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지원 사업

[고용노동부] 2021년 5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1. 6. 29.
반응형

2021년 5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고용노동부 2021.06.29

(총괄) ’21.4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3,486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8%(+127천원) 증가하였음

첨부파일

6.29 2021년 5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노동시장조사과).hwp

6.29 2021년 5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참고 노동시장조사과).hwp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21. 5월 사업체노동력조사 주요 특징(코로나19 영향 포함)

<1> ’21.4월 기준 근로실태 부문

 (’21.4월 임금)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486천원으로 3.8% 증가

* 임금상승률(%): (’20.4) 1.6 → (11) 2.4 → (12) 3.0 → (’21.1) -5.2 → (2) 16.1 → (3) 3.8 → (4) 3.8

 (종사상지위) 상용(3,665천원) 4.2% 증가, 임시일용(1,724천원) 2.6% 증가

* <상용> 임금상승률 확대에는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전년도에 둔화되었던 기저효과, 도소매업, 금융보험업 등에서의 특별급여 증가 등이 주요하게 작용

<임시일용> 건설업 임금상승률 둔화,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낮은 산업의 임시일용근로자 증가, 최저임금 상승률 둔화 등으로 임시일용 임금상승률이 둔화(11.0%→2.6%)

(전년은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낮은 산업의 임시일용 감소로 임금상승률이 크게 증가)

** 상용 임금상승률(%): (’20.4)10.4 → (11) 2.3 → (12) 2.7 → (’21.1) -5.8 → (2)16.4 → (3) 4.2 → (4) 4.2

임시일용 임금상승률(%): (’20.4)11.0 → (11) 7.1 → (12) 8.2 → (’21.1) 5.9 → (2) 7.5 → (3) 2.1 → (4) 2.6

 (규모) 300인 이상(5,011천원) 4.0% 증가, 300인 미만(3,186천원) 3.7% 증가

* 전년동월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임금상승률이 둔화된 기저효과와 더불어, 300인 미만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300인 이상은 제조업, 금융보험업 등에서 특별급여 증가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임금상승률 확대(300인 이상: 0.3% → 4.0%, 300인 미만: 1.6% → 3.7%)

 (’21.4월 근로시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69.0시간으로 전년보다 12.3시간 증가

*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월력상 근로일수 전년대비 2일 증가(20일→22일)

 (종사상지위) 상용(176.0시간) 13.8시간 증가, 임시일용(100.5시간) 2.0시간 증가

* <상용> 상용근로자의 근로시간은 월력상 근로일수에 영향을 크게 받는 편으로 전년대비 월력상 근로일수 2일 증가 영향으로 근로시간 증가

<임시일용> 근로시간 증가는 사회적거리두기 완화 조치 유지, 코로나19 방역대응 등의 영향으로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등에서, 월력상 근로일수 2일 증가의 영향으로 제조업 등에서 근로시간이 증가한데 기인

 (규모) 300인 이상(172.0시간) 12.7시간 증가, 300인 미만(168.5시간)은 12.3시간 증가

<2> ’21.5월 기준 고용 부문

 (’21.5월말 종사자) 사업체 종사자수는 18,659천명, 사회적거리두기 완화 유지, 전년도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350천명 증가

*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3월부터 전년동월대비 종사자수가 감소하여 ’20.5월에도 지속

 
고용보험행정통계 피보험자수 증감(천명) (‘20.5월) +155 (‘21.2월) +192 (3월) +324 (4월) +422 (5월) +443
경제활동인구조사 취업자수 증감(천명) (‘20.5월) -392 (‘21.2월) -473 (3월) +314 (4월) +652 (5월) +619
사업체노동력조사 종사자수 증감(천명) (‘20.5월) -311 (‘21.2월) -170 (3월) +223 (4월) +379 (5월) +350
 

 (종사상지위) 전년대비 상용근로자* 120천명, 임시일용근로자 213천명, 기타종사자 18천명 증가

* 상용근로자는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정보통신업, 도소매업 등에서 주로 증가

▸상용근로자 증감(천명) (‘20.5월) -140 (’21.2월) -218 (3월) -20 (4월) +109 (5월) +120
▸임시일용근로자 증감(천명) (‘20.5월) -101 (’21.2월) +65 (3월) +202 (4월) +234 (5월) +213
▸기타종사자 증감(천명) (‘20.5월) -69 (’21.2월) -16 (3월) +41 (4월) +36 (5월) +18

 (산업) 사회적거리두기 완화 조치 유지, 전년도 기저효과 등으로 대부분의 산업에서 전년동월대비 종사자수 증가

- 숙박음식점, 사업시설관리임대 등은 전년동월대비 감소 지속, 제조업은 ’20.2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

▸숙박 및 음식점업 증감(천명) (‘20.5월) -155 (’21.2월) -162 (3월) -59 (4월) -31 (5월) -37
▸사업시설관리임대업 증감(천명) (‘20.5월) -59 (’21.2월) -56 (3월) -34 (4월) -21 (5월) -22
▸제조업 증감(천명) (‘20.5월) -69 (’21.2월) -68 (3월) -46 (4월) -7 (5월) +11
▸교육서비스업 증감(천명) (‘20.5월) -69 (’21.2월) -8 (3월) +93 (4월) +85 (5월) +68
▸보건복지서비스업 증감(천명) (‘20.5월) +85 (’21.2월) +94 (3월) +117 (4월) +131 (5월) +114

 (규모) 300인 이상은 74천명 증가, 300인 미만은 276천명 증가

* ’21.3∼5월 증감(천명): (∼29인) +241→ +339→ +301, (30∼299인) -54→ -17→ -24, (300인∼) +36→ +56→ +74

 (’21.5월 입·이직) 입직자는 33천명 증가, 이직자는 43천명 증가

 (입직) 채용(+95천명) 증가, 전입·복직 등이 포함된 기타입직(-62천명) 감소

- 채용은 주로 제조업, 숙박음식점업 등에서 증가, 코로나19에 의한 휴업·휴직자의 복직 등이 포함된 기타입직은 숙박음식점업 등에서 감소

* 전년대비 채용 증감(천명): (‘20.5월) -45→ (’21.2월)+14→ (3월)+172→ (4월)+183→ (5월)+95

기타입직 증감(천명): (‘20.5월) +89→ (’21.2월)+35→ (3월) +5→ (4월) -24→ (5월) -62

 (이직) 자발적이직(+50천명), 비자발적이직(+28천명) 증가 및 코로나19에 따른 휴업·휴직 등이 포함된 기타이직(-35천명)* 감소

▸자발적이직 증감(천명) (‘20.5월) -41 (’21.2월) -92 (3월) -22 (4월) +32 (5월) +50
▸비자발적이직 증감(천명) (‘20.5월) -10 (’21.2월) -17 (3월) -44 (4월) +45 (5월) +28
▸기타이직 증감(천명) (‘20.5월) +59 (’21.2월) -17 (3월) -92 (4월) -78 (5월) -35

* 기타이직 감소 업종(천명): ①제조업 -16, ②운수창고업 -5, ③사업시설임대관리업 -4 등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