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후원방문판매업자 주요정보 공개
2023.11.14 공정거래위원회
후원방문판매업자 주요정보 공개
|
- 판매업자·판매원 수는 증가, 총매출액·후원수당 지급총액은 감소 -
|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한기정, 이하 ‘공정위’)는 5,594개* 후원방문판매업자의 2022년도 주요정보를 공개하였다. 후원방문판매는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방문판매와 다단계판매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나 판매원 자신과 직하위 판매원의 실적에만 후원수당이 지급되는 판매형태를 말한다.
* 2022년도말 기준, 7,905개 등록업체 중 1) 2022년에 영업실적이 있고, 2) 2023년 10월 말 기준 정상 영업 중인 사업자 대상
2022년도 후원방문판매업자 수와 판매원 수는 증가하였으나, 후원방문판매 시장의 총매출액은 전년보다 감소하였다. 2020년 이후로 판매업자 수 증가세는 지속되고 있으나, 매출액은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ㅇ (후원방문판매업자 수) 5,472개(′21년) ⇒ 5,594개(′22년) 2.2%↑
ㅇ (후원방문판매원 수) 853,128명(′21년) ⇒ 913,045명(′22년) 7.0%↑
ㅇ (매출액 합계) 2조 9,938억 원(′21년) ⇒ 2조 8,324억 원(′22년) 5.4%↓
㈜리만코리아,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코웨이㈜ 등 매출액 기준 상위 4개사가 전체 시장 매출액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3.9%로 시장 매출액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등록 판매원 수도 시장 전체 등록 판매원 수의 69.28%를 차지하는 등 시장구조가 상위 업체들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 상위 업체들은 대부분 큰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다.
후원수당 지급총액은 7,243억 원으로, 전년(7,547억 원) 대비 4.0% 감소하였다. 후원방문판매원 중 후원수당을 지급받은 판매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61.4% (560,553명)이며, 이들 중 상당수(68.7%, 385,236명)는 연 50만 원 미만을 받았다. 또한, 후원수당을 받은 판매원 중 연 3,000만 원 이상을 받은 판매원은 0.4%(2,363명)에 불과했다.
최근 후원방문판매업 등록을 하고 실질적으로 다단계판매 방식으로 운영한 미등록 다단계업체가 여러 건 적발되고, 2022년말 등록된 7,905개 업체 중 2,311개(29.2%)가 휴·폐업하는 등 후원방문판매업자에 대한 정보 확인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후원방문판매원은 활동에 앞서 해당 업체가 방문판매법상 적법하게 운영되는 업체인지, 후원수당 지급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등을 먼저 확인할 필요가 있다. 5,594개 후원방문판매업자의 매출액, 소속 판매원 수, 후원수당 지급현황 등 주요 정보는 공정위 누리집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 개별 후원방문판매업자의 세부 정보는 공정위 누리집(www.ftc.go.kr) 상단 ‘정보공개’ → ‘사업자정보공개’ → ‘후원방문판매사업자’ 에서 확인 가능
한편, 「다단계판매업자 ‧ 후원방문판매업자의 정보공개에 관한 고시」가 최근 개정*(’23.7.3. 시행)됨에 따라, 내년부터는 전자거래 방식과 그 외 방식으로 나누어 후원방문판매업자의 판매방식별 정보공개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개정(’23.3.21. 시행)을 통해 제한적 전자거래 허용
<붙임> 2022년도 후원방문판매업자 주요정보 공개내역
붙임
|
|
2022년도 후원방문판매업자 주요정보 공개내역
|
1
|
|
개 요
|
□ (추진배경) 소비자가 후원방문판매자로부터 상품을 구입하거나 후원방문판매업체에 판매원으로 가입할 때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지원하고,
ㅇ 후원방문판매시장의 신뢰도를 제고함으로써 후원방문판매시장에 건전한 거래질서가 정착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 (법적근거) 후원방문판매업자의 주요정보는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제13조 제6항, 제29조 제3항 및 「다단계판매업자·후원방문판매업자의 정보공개에 관한 고시」에 근거하여 매년 1회 공개하고 있다.
□ (공개대상) 2022년도 말 기준 7,905개 등록업체 중 ①2022년에 영업실적이 있고, ②2023년 10월 말 기준 영업 중인 5,594개 후원방문판매업자의 2022년도 사업 현황을 공개하였다.
2
|
|
주요정보 현황자료
|
1 후원방문판매업자 수
ㅇ 2022년도 주요 정보공개 대상 후원방문판매업자의 수는 총 5,594개로 전년(5,472개) 대비 2.2%(122개) 증가하였다.
- 2022년도 말 기준 등록된 후원방문판매업자는 총 7,905개였으나, 그중 2023년 10월 말까지 휴·폐업한 업체의 수는 2,311개이다.
<표1> 최근 5년 간 정보공개 대상 후원방문판매업자 수
기준 연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판매업자 수
|
2,654개
|
2,189개
|
3,130개
|
5,472개
|
5,594개
|
※ 후원방문판매업자는 본사와 대리점의 후원방문판매업 등록 여부를 기준으로 ①본사와 대리점 모두 후원방문판매업자인 경우(예: ㈜리만코리아,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코웨이㈜)) 및②대리점만 후원방문판매업자인 경우(예: ㈜유니베라, 한국화장품㈜) 등으로 분류
2 매출액 합계
ㅇ (연도별 현황) 2022년도 주요 정보공개 대상 후원방문판매업자의 매출액 합계는 2조 8,324억 원으로 전년(2조 9,938억원)대비 5.4%(▲1,614억원) 감소하였다.
- 후원방문판매시장의 매출액 합계는 2016년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ㅇ (상위 4개사 현황) ㈜리만코리아, ㈜아모레퍼시픽 등 매출액 기준 상위 4개 판매업자(본사 및 소속 대리점)의 매출액 합계는 2조 0,934억 원으로, 전년(2조 3,008억원) 대비 9%(▲2,074억원) 감소하였다.
- 상위 4개 판매업자 중 ㈜리만코리아의 매출액은 증가(12.53%)하였으나, ㈜아모레퍼시픽(▲3.38%), ㈜LG생활건강(▲17.49%), ㈜코웨이(▲45.68%)의 매출액은 감소하였다.
- 한편, 상위 4개 판매업자가 시장 전체 매출액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3.9%로, 전년(76.9%)보다 2.9%p 감소하였다.
<표2> 상위 4개 후원방문판매업자의 매출액 변동 현황
(단위 : 개, 백만 원)
순위
|
사업자명
|
본사 및
대리점 수
|
매출액
|
전년 대비
증감액
|
전년 대비
증감률
|
2021년
매출 순위
|
||
2021년
|
2022년
|
|||||||
1
|
㈜리만코리아
|
3,957
|
715,434
|
805,100
|
89,666
|
12.53%
|
1
|
|
2
|
㈜아모레퍼시픽
|
417
|
616,802
|
578,501
|
Δ20,244
|
Δ3.38%
|
3
|
(⇧)
|
3
|
㈜LG생활건강
|
434
|
598,745
|
508,902
|
Δ107,900
|
Δ17.49%
|
2
|
|
4
|
코웨이㈜
|
27
|
369,803
|
200,873
|
Δ168,930
|
Δ45.68%
|
4
|
|
합계
|
2,300,784
|
2,093,376
|
Δ207,408
|
Δ9.01%
|
-
|
3 후원방문판매원 수
ㅇ (연도별 현황) 정보공개 대상 5,594개 후원방문판매업자에게 등록되어 있는 전체 판매원 수*는 총 913,045명으로, 전년(853,128명) 대비 7% (59,517명) 증가하였다.
* 후원수당을 지급받은 판매원 수 + 후원수당을 지급받지 않은 판매원 수를 말함
- 매출액 기준 상위 4개 판매업자의 등록 판매원 수는 632,523명으로 시장 전체 등록 판매원 수의 69.3%를 차지하며, 전년(643,139명) 대비 1.7% 감소하였다.
ㅇ (후원수당 수령 판매원수) 2022년도에 후원방문판매업자로부터 후원수당을 지급받은 판매원 수는 560,553명으로, 전년(563,496명) 대비 2,943명(▲0.5%) 감소하였다.
- 전체 등록 판매원 중 후원수당을 지급받은 판매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61.4%로, 전년(66.1%) 보다 4.7%p 감소하였다.
- 상위 4개 판매업자의 후원수당 수령 판매원 수는 462,533명으로, 전체 후원수당 수령 판매원의 82.5%를 차지하고 있다.
<표3> 상위 4개 판매업자의 등록 판매원과 후원수당 수령 판매원 현황
(단위 : 명)
순위
|
회사명
|
2021년
|
2022년
|
증감
|
||||
등록
|
수령
|
등록
|
수령(비율)
|
등록
|
수령
|
|||
1
|
㈜리만코리아
|
590,350
|
431,908
|
587,470
|
419,966
|
71.5%
|
Δ2,880
|
Δ11,942
|
2
|
㈜아모레퍼시픽
|
22,100
|
21,978
|
23,506
|
23,506
|
100.0%
|
1,406
|
1,528
|
3
|
㈜LG생활건강
|
22,269
|
21,191
|
16,838
|
15,662
|
93.0%
|
Δ5,431
|
Δ5,529
|
4
|
코웨이㈜
|
8,420
|
6,967
|
4,709
|
3,399
|
72.2%
|
Δ3,711
|
Δ3,568
|
합계
|
643,139
|
482,044
|
632,523
|
462,533
|
73.1%
|
Δ10,616
|
Δ19,511
|
4 후원수당 지급현황
ㅇ (지급총액) 정보공개 대상 후원방문판매업자의 후원수당 지급총액은 7,243억 원으로 전년(7,547억 원)보다 4.0%(▲305억 원) 감소하였다.
- 후원수당을 지급받은 전체 판매원(560,553명) 기준으로 1인당 연간 평균 1,292,029원을 지급받았으며, 지난해(1,339,468원)보다 약 5만 원(▲3.5%) 감소하였다.
- 매출액 기준 상위 4개 판매업자의 후원수당 지급총액은 전년(6,071억 원) 대비 7.8%(▲472억 원) 감소한 5,599억 원으로, 시장 전체 후원수당 지급총액의 77.3%를 차지하였다.
<표4> 상위 4개 후원방문판매업자의 후원수당 지급총액 변동 현황
(단위 : 개, 백만 원)
순위
|
사업자명
|
본사 및
대리점 수
|
후원수당 지급총액
|
전년 대비
증감액
|
전년 대비
증감률
|
|
2021년
|
2022년
|
|||||
1
|
㈜리만코리아
|
3,957
|
213,769
|
227,322
|
13,554
|
6.34%
|
2
|
㈜아모레퍼시픽
|
417
|
168,802
|
164,664
|
Δ4,138
|
Δ2.45%
|
3
|
㈜LG생활건강
|
434
|
167,452
|
139,365
|
Δ28,086
|
Δ16.77%
|
4
|
코웨이㈜
|
27
|
57,102
|
28,585
|
Δ28,517
|
Δ49.94%
|
합계
|
607,125
|
559,936
|
Δ47,188
|
Δ7.77%
|
ㅇ (후원수당 지급분포) 후원수당을 받은 판매원(560,553명) 중 대다수인 68.7%(385,236명)가 연 50만 원 미만의 후원수당을 받았다.
- 후원수당을 받은 판매원 중 연 3천만 원 이상을 받은 판매원은 2,363명(0.4%)이며, 연 1억 원 이상의 후원수당을 받은 판매원은 136명으로 전체 수령자 중 0.02%에 불과하다.
<표5> 후원수당 지급금액 구간별 판매원 분포표
지급금액 수준별 구분
|
구간별
판매원 수(명)
|
구간별
비중
|
누적
판매원 수(명)
|
누적
비중
|
1억 원 이상
|
136
|
0.02%
|
136
|
0.02%
|
1억 원 미만~5천만 원 이상
|
565
|
0.10%
|
701
|
0.13%
|
5천만 원 미만~3천만 원 이상
|
1,662
|
0.30%
|
2,363
|
0.42%
|
3천만 원 미만~2천만 원 이상
|
2,391
|
0.43%
|
4,754
|
0.85%
|
2천만 원 미만~1천만 원 이상
|
9,826
|
1.75%
|
14,580
|
2.60%
|
1천만 원 미만~500만 원 이상
|
21,801
|
3.89%
|
36,381
|
6.49%
|
500만원 미만~100만 원 이상
|
83,419
|
14.88%
|
119,800
|
21.37%
|
100만원 미만~50만 원 이상
|
55,517
|
9.90%
|
175,317
|
31.28%
|
50만 원 미만~1원
|
385,236
|
68.72%
|
560,553
|
100.00%
|
후원수당 수령 판매원 수
|
560,553
|
|||
후원수당 미수령 판매원 수
|
352,492
|
|||
총판매원 수
|
913,045
|
* 매출액 기준 상위 4개 사업자의 세부 후원수당 금액 수준별 지급현황은 참고4 참조
5 판매방식별 주요정보
ㅇ (전자거래 방식) 후원방문판매업자의 본사 사이버몰을 통한 전자거래가 허용된 것은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개정(2023. 3. 21. 시행) 이후이므로, 2022년에는 해당 사항이 없다.
ㅇ (그 외 방식) 전자거래 방식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를 제외한 기존 대면판매 방식의 매출액, 후원수당, 판매원 수 등 정보는 통합 주요 정보 내용과 동일하다.
6 주요 취급 품목
ㅇ 후원방문판매업자의 주요 취급 품목은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일반 생활용품, 상조 상품 등으로 전년도와 유사하였다.
3
|
|
기대 효과
|
□ 이번 정보공개를 통해 후원방문판매 시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물품구매나 후원방문판매원 등록 및 유지 여부를 합리적으로 결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 1. 후원방문판매 개요
2. 2022년도 매출액 순위 20개 사업자 일반현황
3. 2022년도 매출액 순위 20개 사업자 후원수당 지급현황
4. 2022년도 매출액 순위 4개 사업자 후원수당 금액 수준별 지급현황
참고 1
|
|
후원방문판매 개요
|
□ 2012년 방문판매법 전면 개정을 통해, 다단계판매조직과 유사하게 운영되는 변형 방문판매업체를 규제하고자 방문판매와 별도로 후원방문판매라는 개념을 신설함
ㅇ 신고제인 방문판매업과는 달리 등록제인 후원방문판매업을 도입하여 변형 방문판매업체에 의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고자 함
□ 후원방문판매란 방문판매와 다단계판매의 요소를 모두 갖추되, 후원수당 1단계 지급방식을 가진 판매형태를 말함 (방문판매법 제2조 제7호)
ㅇ 방문판매는 ①사업장 이외의 장소에서 ②소비자에게 권유하여 계약의 청약을 받거나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요소로 함
※ ‘23.3.21. 방문판매법 개정을 통해 제한적 전자거래 방식이 포함되었음
- 본사가 개설·운영하는 사이버몰에서 소비자를 대상으로 판매하는 경우만 허용됨
ㅇ 다단계판매는 ①특정인을 하위 판매원으로 가입하도록 권유하는 방식에 따른 ②판매원 가입이 3단계 이상으로 운영되며, ③다른 판매원의 실적에 따른 후원수당이 지급되는 것을 요소로 함
ㅇ 후원수당 1단계 지급방식이란 판매원 자신과 그 직하위 판매원의 실적에 대하여만 후원수당이 지급되는 것을 말함
<다단계판매와 후원방문판매의 후원수당 지급구조 비교>

참고 2
|
|
2022년도 매출액 상위 20개 사업자 일반현황
|
(단위 : 백만 원, 개, 명)
순번
|
상호명(회사명)
|
총매출액
|
본사 및
대리점 수
|
전체
판매원 수
|
1
|
㈜리만코리아
|
805,100
|
3,957
|
587,470
|
2
|
㈜아모레퍼시픽
|
578,501
|
417
|
23,506
|
3
|
㈜LG생활건강
|
508,902
|
434
|
16,838
|
4
|
코웨이㈜
|
200,874
|
27
|
4,709
|
5
|
㈜유니베라
|
76,503
|
242
|
29,399
|
6
|
보람상조개발㈜
|
66,548
|
1
|
2,562
|
7
|
㈜타파웨어브랜즈코리아
|
62,409
|
29
|
1,818
|
8
|
㈜코슈코
|
56,062
|
1
|
20,732
|
9
|
오텍캐리어 ㈜
|
45,897
|
1
|
74
|
10
|
㈜엔씨플랫폼
|
42,766
|
1
|
23,712
|
11
|
미트리㈜
|
41,056
|
1
|
11,091
|
12
|
풀무원건강생활㈜
|
39,625
|
149
|
8,729
|
13
|
㈜화진화장품
|
29,632
|
1
|
5,587
|
14
|
㈜코리아나화장품
|
22,195
|
7
|
838
|
15
|
㈜그린알로에
|
21,237
|
1
|
8,663
|
16
|
보람상조라이프㈜
|
17,952
|
1
|
4,014
|
17
|
㈜더클라세움
|
16,189
|
1
|
7,946
|
18
|
㈜아로마라이프
|
13,369
|
1
|
458
|
19
|
㈜엑손알앤디
|
12,463
|
1
|
8,214
|
20
|
㈜라이징스타
|
11,123
|
1
|
12,312
|
참고 3
|
|
2022년도 매출액 상위 20개 사업자 후원수당 지급현황
|
(단위 : 백만 원, 명, 원)
순번
|
상호명(회사명)
|
후원수당
지급총액
|
후원수당 수령 판매원 수
|
1인당
평균 지급액
|
1
|
㈜리만코리아
|
227,322
|
419,966
|
541,287
|
2
|
㈜아모레퍼시픽
|
164,664
|
23,506
|
7,005,210
|
3
|
㈜LG생활건강
|
139,365
|
15,662
|
8,898,303
|
4
|
코웨이㈜
|
28,585
|
3,399
|
8,409,876
|
5
|
㈜유니베라
|
6,669
|
4,417
|
1,509,913
|
6
|
보람상조개발㈜
|
133
|
264
|
504,487
|
7
|
㈜타파웨어브랜즈코리아
|
15,957
|
1,484
|
10,752,793
|
8
|
㈜코슈코
|
23,829
|
19,871
|
1,199,160
|
9
|
오텍캐리어 ㈜
|
88
|
8
|
10,978,635
|
10
|
㈜엔씨플랫폼
|
18,255
|
11,974
|
1,524,554
|
11
|
미트리㈜
|
2,658
|
6,669
|
398,582
|
12
|
풀무원건강생활㈜
|
4,398
|
1,027
|
4,282,753
|
13
|
㈜화진화장품
|
4,740
|
2,484
|
1,908,254
|
14
|
㈜코리아나화장품
|
8,396
|
758
|
11,076,612
|
15
|
㈜그린알로에
|
2,364
|
1,024
|
2,308,949
|
16
|
보람상조라이프㈜
|
152
|
1,696
|
89,772
|
17
|
㈜더클라세움
|
9,742
|
1,568
|
6,213,165
|
18
|
㈜아로마라이프
|
3,059
|
458
|
6,679,405
|
19
|
㈜엑손알앤디
|
6,666
|
2,291
|
2,909,742
|
20
|
㈜라이징스타
|
5,916
|
2,681
|
2,206,847
|
참고 4
|
|
2022년도 매출액 상위 4개 사업자 후원수당 금액 수준별 지급현황
|
1. ㈜리만코리아
(단위: 원, 명)
금액 수준
|
후원수당 총지급액
|
판매원 수
|
비중
|
1억원 이상
|
609,282,600
|
5
|
0.0012%
|
1억원 미만∼5천만원 이상
|
2,096,050,070
|
30
|
0.0071%
|
5천만원 미만∼3천만원 이상
|
2,725,477,410
|
71
|
0.0169%
|
3천만원 미만∼2천만원 이상
|
7,050,831,090
|
310
|
0.0738%
|
2천만원 미만∼1천만원 이상
|
44,102,271,560
|
3,219
|
0.7665%
|
1천만원 미만∼500만원 이상
|
30,231,180,020
|
4,276
|
1.0182%
|
500만원 미만∼100만원 이상
|
93,669,895,800
|
45,973
|
10.9468%
|
100만원 미만∼50만원 이상
|
28,059,022,730
|
44,569
|
10.6125%
|
50만원 미만∼0원 초과
|
18,778,206,489
|
321,513
|
76.5569%
|
합계
|
227,322,217,769
|
419,966
|
100%
|
2. ㈜아모레퍼시픽
(단위: 원, 명)
금액 수준
|
후원수당 총지급액
|
판매원 수
|
비중
|
1억원 이상
|
304,473,267
|
2
|
0.0085%
|
1억원 미만∼5천만원 이상
|
3,427,847,439
|
55
|
0.2340%
|
5천만원 미만∼3천만원 이상
|
11,617,372,775
|
311
|
1.3231%
|
3천만원 미만∼2천만원 이상
|
14,845,629,142
|
623
|
2.6504%
|
2천만원 미만∼1천만원 이상
|
44,485,344,706
|
3,330
|
14.1666%
|
1천만원 미만∼500만원 이상
|
59,851,871,527
|
8,604
|
36.6034%
|
500만원 미만∼100만원 이상
|
30,131,929,210
|
10,581
|
45.0140%
|
100만원 미만∼50만원 이상
|
0
|
0
|
0.0000%
|
50만원 미만∼0원 초과
|
0
|
0
|
0.0000%
|
합계
|
164,664,468,067
|
23,506
|
100%
|
3. ㈜LG생활건강
(단위: 원, 명)
금액 수준
|
후원수당 총지급액
|
판매원 수
|
비중
|
1억원 이상
|
677,422,000
|
6
|
0.0383%
|
1억원 미만∼5천만원 이상
|
11,975,180,451
|
194
|
1.2387%
|
5천만원 미만∼3천만원 이상
|
26,171,131,712
|
693
|
4.4247%
|
3천만원 미만∼2천만원 이상
|
18,159,063,128
|
743
|
4.7440%
|
2천만원 미만∼1천만원 이상
|
18,729,358,787
|
1,273
|
8.1280%
|
1천만원 미만∼500만원 이상
|
41,983,592,715
|
5,309
|
33.8973%
|
500만원 미만∼100만원 이상
|
18,535,349,718
|
5,254
|
33.5462%
|
100만원 미만∼50만원 이상
|
2,746,734,195
|
1,496
|
9.5518%
|
50만원 미만∼0원 초과
|
387,386,144
|
694
|
4.4311%
|
합계
|
139,365,218,849
|
15,662
|
100%
|
4. 코웨이㈜
(단위: 원, 명)
금액 수준
|
후원수당 총지급액
|
판매원 수
|
비중
|
1억원 이상
|
5,799,209,766
|
38
|
1.1180%
|
1억원 미만∼5천만원 이상
|
5,774,592,641
|
84
|
2.4713%
|
5천만원 미만∼3천만원 이상
|
3,632,430,868
|
93
|
2.7361%
|
3천만원 미만∼2천만원 이상
|
2,555,710,857
|
107
|
3.1480%
|
2천만원 미만∼1천만원 이상
|
3,771,321,068
|
271
|
7.9729%
|
1천만원 미만∼500만원 이상
|
3,163,461,706
|
451
|
13.2686%
|
500만원 미만∼100만원 이상
|
3,490,430,015
|
1,441
|
42.3948%
|
100만원 미만∼50만원 이상
|
282,455,834
|
383
|
11.2680%
|
50만원 미만∼0원 초과
|
115,557,384
|
531
|
15.6222%
|
합계
|
28,585,170,139
|
3,399
|
100%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감소 (0) | 2023.11.15 |
---|---|
미래등기시스템 도입을 위한 「상법」, 「민법」 등 4개 법률 개정안 국회 제출 (0) | 2023.11.15 |
호주 차세대 보병전투차량 도입사업, 조속한 계약 체결 위해 정부 차원 적극 지원 (0) | 2023.11.14 |
국무1차장 주재 빈대 확산방지 정부대응회의 (0) | 2023.11.14 |
과감하게 벽을 허무는 대학개혁을 선도할 2023년 글로컬대학 본지정 평가 결과 발표 (0) | 2023.1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