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11월 1일 ~ 11월 10일 수출입 현황
2023.11.13 관세청
’23년 11월 1일 ~ 11월 10일 수출입 현황
|
|
< 요 약 >
|
|
|
|
|
관세청은 13일, 11월 1일~10일 기간의 수출입 현황을 발표했다.
수출은 182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2% 증가, 수입은 200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2% 증가했으며, 무역수지는 17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
1 총 괄
ㅇ (11.1.∼11.10.) 수출 182억 달러, 수입 200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수출 3.2%(5.6억 달러↑) 증가, 수입 1.2%(2.3억 달러↑) 증가
< 11월(1일∼10일) 수출입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
2022년
|
2023년
|
|||
당 월
(11.1.-10.)
|
연간누계
(1.1.-11.10.)
|
전 월
(10.1.-10.)
|
당 월
(11.1.-10.)
|
연간누계
(1.1.-11.10.)
|
|
수 출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17,673
(△3.0)
|
594,637
(9.8)
|
11,536
(△2.1)
|
18,237
(3.2)
|
537,559
(△9.6)
|
수 입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
19,744
(△6.8)
|
632,643
(22.2)
|
16,927
(8.4)
|
19,977
(1.2)
|
557,411
(△11.9)
|
무역수지
|
-2,070
|
-38,005
|
-5,391
|
-1,741
|
-19,852
|
※조업일수 [(’22) 8.5 일, (’23) 8.5 일] 고려 시 일평균수출액 [(’22.11.) 20.8, (’23.11.) 21.5 억 달러] 3.2% 증가
2 수출현황

ㅇ (주요품목) 전년동기대비 반도체(1.3%), 승용차(37.2%), 무선통신기기(4.1%) 등 증가, 석유제품(△9.2%), 자동차 부품(△6.4%) 등 감소
- 반도체 수출 비중은 15.3%로 0.3%p 감소
ㅇ (주요국가) 미국(23.0%), 베트남(7.6%), 일본(26.9%) 등 증가, 중국(△0.1%), 유럽연합(△5.0%) 등 감소
- 상위 3국(중국, 미국, 베트남) 수출 비중은 51.6% 기록
3 수입현황

ㅇ (주요품목) 전년동기대비 원유(39.5%), 석유제품(36.8%) 등 증가, 반도체(△3.7%), 가스(△4.7%), 승용차(△34.5%) 등 감소
- 에너지(원유, 가스, 석탄) 수입액 16.9% 증가
ㅇ (주요국가) 미국(11.4%), 유럽연합(1.1%), 사우디아라비아(38.3%) 등 증가, 중국(△2.9%), 일본(△11.8%) 등 감소
붙임
|
|
11.1~10일 수출입 통계(주요 품목 및 국가)
|
□ 주요품목
(단위 : 백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
수출(11.1.~10.)
|
수입(11.1.~10.)
|
||||
주요품목
|
금액
|
증감률
|
주요품목
|
금액
|
증감률
|
반도체
|
2,796
|
1.3
|
원유
|
3,565
|
39.5
|
승용차
|
1,999
|
37.2
|
반도체
|
2,025
|
△3.7
|
석유제품
|
1,784
|
△9.2
|
가스
|
1,195
|
△4.7
|
철강제품
|
1,200
|
△5.7
|
석유제품
|
966
|
36.8
|
무선통신기기
|
729
|
4.1
|
기계류
|
867
|
10.4
|
자동차부품
|
631
|
△6.4
|
정밀기기
|
496
|
0.1
|
정밀기기
|
416
|
17.1
|
석탄
|
485
|
△28.5
|
컴퓨터주변기기
|
233
|
△17.6
|
무선통신기기
|
475
|
82.1
|
가전제품
|
231
|
16.9
|
승용차
|
423
|
△34.5
|
선박
|
126
|
△67.1
|
반도체제조장비
|
418
|
△37.8
|
□ 주요국가
(단위 : 백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
수출(11.1.~10.)
|
수입(11.1.~10.)
|
||||
주요국가
|
금액
|
증감률
|
주요국가
|
금액
|
증감률
|
중국
|
3,893
|
△0.1
|
중국
|
4,339
|
△2.9
|
미국
|
3,720
|
23.0
|
미국
|
2,523
|
11.4
|
베트남
|
1,791
|
7.6
|
유럽연합
|
2,015
|
1.1
|
유럽연합
|
1,766
|
△5.0
|
일본
|
1,411
|
△11.8
|
일본
|
949
|
26.9
|
사우디아라비아
|
1,391
|
38.3
|
싱가포르
|
595
|
59.7
|
호주
|
1,112
|
43.8
|
대만
|
576
|
0.7
|
대만
|
853
|
16.7
|
홍콩
|
546
|
△6.0
|
베트남
|
659
|
△6.7
|
인도
|
478
|
3.8
|
말레이시아
|
504
|
29.7
|
말레이시아
|
265
|
△1.6
|
러시아
|
243
|
△43.2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약처, 10월 의료제품 허가 현황 안내 (0) | 2023.11.13 |
---|---|
일하는 부모의 육아휴직 등 모성보호제도 사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편 추진 (0) | 2023.11.13 |
‘13월의 보너스 챙기자’…올해 연말정산부터 적용되는 개정 세법 5가지 (0) | 2023.11.13 |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 이용현황 - 11.10(금) 기준, 총 이용금액 2조원 돌파 - (0) | 2023.11.13 |
찾아가지 않은 금융자산 “17.9조원”,간편하게 확인해보세요! (0) | 2023.1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