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023년 10월 수출입 동향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3. 11. 1.
반응형

2023년 10월 수출입 동향

2023.11.01 산업통상자원부

2023년 10월 수출입 동향
- 수출 13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 올해 최대 실적 기록
- 20개월 만에 수출플러스와 무역수지 흑자 동시 달성
- 수출 550.9억 달러(+5.1%), 수입 534.6억 달러(△9.7%), 무역수지 16.4억 달러 흑자

 

총괄】’23.10월 수출은 전년 대비 +5.1% 증가한 550.9억 달러, 수입은 △9.7% 감소한 534.6억 달러, 무역수지는 +16.4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다.

 

수출】10월 수출은 올해 최대실적인 550.9억 달러를 기록하며 ‘22.10월부터 1년간 이어진 마이너스 고리를 끊고 플러스 전환에 성공하였다. 우리 수출이 올해 1분기부터 꾸준한 개선흐름을 유지하며 수출 반등 모멘텀을 구축해온 결과 13개월 만에 수출플러스를 달성하였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 또한 26.2억 달러로 올해 최고치였던 9월 실적을 한 달 만에 재경신하였다. 수출물량도 대폭 증가(+14.2%)하며 2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하였다.

 

* 분기별 평균 수출액(억 달러) : (‘22.4Q) 530 → (‘23.1Q) 504 → (2Q) 519 → (3Q) 524 → (10월) 551

* 일평균 수출액(억 달러) : (‘22.9월) 26.6 → (‘23.1월) 21.6 → (4월) 22.0 → (9월) 26.0 → (10월) 26.2

* 수출물량 증감률(%) : (‘23.1Q)+0.5 → (2Q)+2.4 → (7월)△5.0 → (8월)△7.2 → (9월)+0.3 (10월)+14.2

 

품목별 수출】 우리 주력 수출품목인 자동차(+19.8%)는 16개월 연속, 일반기계(+10.4%)는 7개월 연속, 가전(+5.8%)은 5개월 연속, 선박(+101.4%)・디스플레이(+15.5%)는 3개월 연속 수출이 증가하였다. 우리 4대 수출품목 중 하나인 석유제품(+18.0%)도 제품가격 상승과 휘발유・경유 등의 견조한 수요증가에 힘입어 8개월 만에 수출 플러스로 전환하였다.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22년 8월 이후 가장 낮은 감소율인 △3.1%를 기록하며 개선흐름을 이어나갔다. 석유화학도 올해 최저 감소율(△3.2%)을 보이며, 지난달에 이어 한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하였다. 한편, 석유제품・선박・디스플레이・무선통신기기 등 4개 품목 수출은 올해 최대 실적을 기록하였다.

 

* 반도체 분기별 평균 수출액(억 달러) : ‘22.4Q 89 → ‘23.1Q 69 → 2Q 75 → 3Q 86 → 10월 89

* 석유品 수출증감률(%) : ('22.4Q)+18.0 → (‘23.1Q)△0.5 → (2Q)△34.8 → (3Q)△27.7 → (10월)+18.0

 

지역별 수출】10월에는 주요 9대 수출시장 중 6개 시장에서 수출플러스를 달성, 올해 가장 양호한 실적을 기록하였다. 대(對)미국 수출(101억 달러)은 역대 10월 중 가장 높은 실적을 달성하였다. 특히 전기차(BEV, PHEV, FCEV) 수출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통상현안에 적극 대응한 결과 9월까지 실적(40억 달러)이 이미 ‘22년(37억 달러)을 넘어섰으며, 10월에도 역대 10월 중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대아세안 수출(106억 달러)도 선박・석유제품 등 주요품목 수출이 크게 증가하며 13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되었다. 최대 수출시장인 대(對)중국 수출은 110억 달러를 기록, 3개월 연속 100억 달러 이상의 실적을 이어나갔다.

 

 

* 주요 9대 시장 : (증가)아세안, 미국, 일본, 중동, 중남미, 인도, (감소)중국, EU, CIS

* 대중국 수출액(억 달러) : (‘23.1월) 92 ➞ (4월) 95 ➞ (7월) 99 ➞ (8월) 105 ➞ (9월) 110 ➞ (10월) 110

* 대미국 수출액(억 달러) : (‘23.1월) 81 ➞ (4월) 92 ➞ (7월) 93 ➞ (8월) 90 ➞ (9월) 100 ➞ (10월) 101

* 역대 대미국 전기차 수출액(억 달러) : (1위) 43.0(‘23.1.1~10.25일)(2위) 36.8('22년) (3위) 11.4('21년)

* 대아세안 수출 증감률(%) : (‘22.4Q) △12.5 → (’23.1Q) △19.3 → (2Q) △22.0 → (3Q) △14.0 → (10월) +14.3

 

수입】10월 수입은 원유(+0.1%)가 플러스를 기록한 가운데 가스(△54.3%), 석탄(△26.1%) 등 에너지 수입이 감소(△22.6%)함에 따라 △9.7% 감소하였다.

 

무역수지】10월 무역수지는 +16.4억 달러를 기록하며 올해 6월부터 5개월 연속 흑자기조를 이어나갔다. 이에 따라 ‘22.2월 이후 20개월 만에 수출 플러스와 무역수지 흑자를 동시 달성하였다.

 

평가 및 정책방향】‘23.10월 수출 플러스 전환은 수출기업, 대통령 이하 정부부처 모두의 노력에 힘입은 결과이다. 그간 윤석열 대통령은 대한민국 영업사원 1호로서 지난 1년간 총 17번의 해외 순방에서 100여 차례 이상의 세일즈 정상외교를 통해 수출 반등을 전면 지원하였다. 특히, 올해 10월 사우디・카타르 정상순방에서는 ‘사우디 가스플랜트 건설계약(24억 달러)’, ‘카타르 LNG운반선 건조계약’(39억 달러) 등을 포함한 총 202억 달러, 63건의 계약・MOU 체결하여 우리 수출의 확대 기반을 마련하였다. 산업부도 「범부처 수출상황 점검회의(3회)」, 「민관합동 수출확대 대책회의(1회)」, 「수출현장 방문단(2회)」 등을 통해 수출대책을 수립하고, 수출기업의 현장애로를 해결해왔다.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우리 수출이 세계적 고금리 기조, 미중 경쟁과 공급망 재편,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고유가 등 어려운 대외여건에도 불구하고 무역수지 흑자를 유지하며 플러스 전환에 성공하였다”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수출이 우리 경제의 상저하고 성장을 주도할 것이라고”평가하였다. 아울러 “우리 수출이 골든크로스를 지나서 연말까지 우상향 모멘텀을 지속 이어나갈 수 있도록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 '23.3분기 성장기여도(한은, %p) : (GDP)+0.6 / (소비)+0.2, (투자)+0.1, (순수출)+0.4, (통계상불일치)-0.1

 

“이를 위해 우리 정부는 금융・마케팅・해외인증 등 수출기업이 겪는 3대 현장애로를 신속하게 해소하고 실질적인 수출확대효과를 가져오는 ‘단기 수출확대 전략’을 조속히 마련하여 「제2차 민관합동 수출확대 대책회의(11.8)」에서 발표하는 한편, 사우디, UAE, 카타르 등 중동 지역 정상경제 외교를 통해 체결한 107조원 규모의 계약 및 MOU가 수출・수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중국의 흑연 수출통제 등 우리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되는 대외 리스크 요인을 철저히 관리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하였다.

 

◇ 본 보도자료는 관세청 통관자료를 기초로 2023년 10월 수출입 실적을 분석한 것으로 10월 31일까지의 통관기준 잠정치를 기준으로 작성

◇ 수출입 실적과 주요 품목별 수출 실적 연간통계 확정 시(’24.2월)까지 정정 가능

 

2023년 10월 수출입 동향

 

수출 550.9억 달러(+5.1%), 수입 534.6억 달러(△9.7%)

 

1

10월 수출입 개요

 

 

(품목) 자동차석유제품・일반기계·선박·가전・디스플레이 등 6개 품목 수출 증가

 

자동차16개월(‘22.7~), 일반기계7개월, 가전은 5개월 선박・디스플레이는 3개월 연속 전년대비 수출 증가를 기록, 석유제품은 8개월 만에 수출 플러스 전환

 

반도체 1분기 저점 이후 개선흐름 지속

 

【 10월 15대 주요 품목별 수출액(억 달러) 및 증감률(%)
구 분
반도체
석유화학
일반기계
자동차
철 강
석유제품
디스플레이
차부품
수출액
89.4
36.2
43.2
58.8
26.5
52.7
20.9
17.7
증감률
△3.1
△3.2
+10.4
+19.8
△0.7
+18.0
+15.5
△3.7
구 분
바이오헬스
무선통신
컴퓨터
섬 유
선 박
가 전
이차전지
전 체
수출액
10.4
17.1
6.3
8.4
28.3
6.6
6.8
550.9
증감률
△1.6
△4.5
△30.4
△9.0
+101.4
+5.8
△14.5
+5.1

 

(지역) 9대 주요 시장* 중 아세안, 미국, 일본, 중남미, 중동, CIS 등 6개 시장 수출 플러스 달성

 

* 중국, 아세안, 미국, EU, 일본, 중남미, 중동, 인도, CIS

 

(對)미국 수출은 역대 10월중 최고치를 달성하며 3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기록, 대아세안은 13개월 만에 수출 플러스 전환

 

대중국 수출110억 달러를 기록, 3개월 연속 100억 달러 이상 달성

 

【 10월 9대 주요 지역별 수출액(억 달러) 및 증감률(%)
구 분
중 국
아세안
미 국
EU
일본
중남미
인도
중 동
CIS
전 체
수출액
110.0
105.6
100.8
50.1
25.1
19.6
15.3
15.3
9.5
550.9
증감률
△9.5
+14.3
+17.3
△10.7
+10.4
+8.6
+9.2
+8.7
△16.0
△5.1
역대 순위
-
1위
1위
-
-
-
1위
-
-

 

2

10월 수출입 주요 특징

 

1 (개괄) 10월 수출은 13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 무역수지는 5개월 연속 흑자기조 유지, 20개월 만에 수출플러스+흑자 동시 달성

 

ㅇ ‘22년 10월 수출 감소세로 전환된 이후 13개월 만에 수출플러스 달성

 

* 수출 증감률(%) : (‘23.1Q)△12.7 → (2Q)△12.0 → (7월)△16.1 → (8월)△8.1 → (9월)△4.4 → (10월)+5.1

 

- 올해 1분기 저점이후 수출개선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10월에는 월 기준 올해 최대 수출액 551억 달러를 기록하며 플러스 전환

 

* 분기별 평균 수출액(억 달러) : (‘22.4Q) 530 → (‘23.1Q) 504 → (2Q) 519 → (3Q) 524 → (10월) 551

 

- 일평균 수출액도 지난 '22.9월(26.6억 달러) 이후 최고치 기록(올해 최대치였던 '23.9월 26.0억 달러를 1달 만에 재경신)

 

* 일평균 수출액(억 달러) : (‘22.9월) 26.6 → (‘23.1월) 21.6 → (4월) 22.0 → (9월) 26.0 → (10월) 26.2

 

ㅇ 수입은 에너지(119.9억 달러, △22.6%)非에너지(414.6억 달러, △5.0%) 모두 감소하며 전년대비 △9.7% 감소한 534.6억 달러

 

ㅇ 무역수지는 +16.4억 달러로 6월 이후 5개월 연속 흑자기조 유지하며, 20개월 만수출플러스와 무역수지 흑자 동시 달성

 

* 무역수지(억 달러) : (‘23.1~5월) △274.3 → (6월) +12.1 → (7월) +18.2 → (8월) +10.1 → (9월) +37.0 → (10월) +16.4

 

2 (품목별 수출) 자동차 등 6개 품목 수출 증가, 반도체 수출 개선흐름 지속

 

자동차 수출16개월 연속, 일반기계 7개월 연속, 가전은 5개월 연속, 선박・디스플레이 3개월 연속 플러스 기록, 특히 자동차는 역대 10월 중 1위 실적달성

 

ㅇ 석유제품도 제품가격 상승, 휘발유·경유・등유 등의 견조한 수요증가에 힘입어 8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

 

반도체(△3.1%)는 감소세가 시작된 ‘22.8월 이후 가장 낮은 수출 감소율을 보이며, 올해 1분기 저점 이후 분기 기준 수출 회복 흐름 지속

 

* 반도체 분기별 평균 수출액(억 달러) : (‘22.4Q) 89 → (‘23.1Q) 69 → (2Q) 75 → (3Q) 86 → (10월) 89

 

【 10월 주요 품별 수출액(억 달러) 및 증감률(%)
구 분
자동차
일반기계
석유제품
선박
디스플레이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수출액
58.8
43.2
52.7
28.3
20.9
89.4
17.1
증감율
+19.8
+10.4
+18.0
+101.4
+15.5
△3.1
△4.5
역대순위
1위


-

-
-

반도체

 

반도체 수출 올해 1분기 저점 이후 회복흐름을 지속하고 있으며, 수출 감소율도 ‘22.8월 이후 최저수준 △3.1% 기록

 

* 반도체 수출증감률(%) : (‘22.4Q) △25.8 → (’23.1Q) △40.0 → (2Q) △34.8 → (3Q) △22.6 → (10월) △3.1

 

메모리 감산효과 가시화, 스마트폰 신제품AI 서버용 고부가 제품 수요 확대 추세 등에 따라 수급개선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ㅇ 특히, 10월에는 현물가격고정가격이 상승*하며 가격 여건도 개선되고 있어 향후 수출 개선흐름이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

 

* 10.25일 현물價 증감률(Dram Exchange, 전월比) : (DDR4-8Gb) +4.9%, (Nand-128Gb) +1.3%

* D램 고정가($) : (‘22.10월)2.21 → (’23.1월) 1.81 → (’23.4월) 1.45 → (7월) 1.34 → (9월) 1.30 → (10월) 1.50

낸드 고정가($) : (‘22.10월) 4.14 → (’23.1월) 4.14 → (’23.4월) 3.82 → (7월) 3.82 → (9월) 3.82 → (10월) 3.88

 

 

자동차・기계・철강

 

(자동차) 북미 중심으로 친환경차·SUV 高부가가치 차량 수출이 호조세를 이어감에 따라 16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19.8%)

 

ㅇ 특히, 유망품목인 전기차(자동차 수출의 19.4%) 수출이 전년대비 큰폭으로 증가(+36.0%)하며 자동차 수출 호조세를 견인

 

(기계) 미・아세안 생산・설비투자에 따른 수요 확대, 중남미 수출 다변화를 통한 신흥국 수출 확대 등에 힘입어 7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10.4%)

 

(선박) 컨테이너선, LNG운반선 등 高부가선박 수출 호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선가 상승 반영되며 3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101.4%)

 

* 클락슨 선가지수 : (‘20.6월) 126.9 → (12월) 125.6 → (’21.6월) 138.8(‘21.12월) 153.6

 

석유제품·석유화학

 

(석유제품) 유가 상승흐름에 따른 휘발유단가 상승, 휘발유・경유・등유의 견조한 수요 증가에 따라 올해 최고 수출액인 52.7억 달러 기록

 

* 국제 휘발유(92RON) 가격($/b) : (‘22.10월) 91.2 → (’23.2월) 96.0 → (6월) 87.6 → (10월) 93.8(+2.6%)

 

(油化) 생산설비 가동률 상승에 따라 수출량은 증가하나, 글로벌 공급 과잉에 따라 수출단가가 소폭 하락하여 수출은 감소

 

ㅇ 다만, 미국・아세안・EU・중동 등 주요국에서 수출이 증가하면서 수출 감소율은 올해 들어 최저 수준을 달성하며, 지난달에 이어 2개월 연속 한 자릿수 기록(△3.2%)

 

* 수출 증감률(%) : (‘23.1분기)△22.3 → (2분기)△24.2 → (7월)△23.8 → (8월)△11.7 → (9월)△6.1 → (10월)△3.2

 

 

IT 품목군

 

(무선통신기기) 아이폰15 신제품 출시효과에 따라 카메라모듈 등 부품 수출이 양호한 실적을 기록하며 올해 최대 실적 기록

 

* 분기별 평균 수출액(억 달러) : (‘23.1Q) 12.9→ (2Q) 10.6 → (3Q)12.6 → (10월)17.1

 

◈ (디스플레이) 모바일(아이폰15 등)・노트북 등 IT제품의 OLED 수요 확대에 따라 올해 최대 수출실적을 기록하며 3개월 연속 플러스(+15.5%)

 

* 수출증감률(전년比) : OLED +15.5%, LCD +15.1%

 

 

3 (지역별 수출) 주요 9대 수출시장 중 6개 지역 증가, 올해 최다 플러스

 

對미국·아세안·일본·중동·인도·중남미 수출 증가, 아세안올해 최대 실적

 

- 특히, 對美 수출자동차·일반기계 好실적에 힘입어 역대 10월 중

1위 실적을 기록하며 3개월 연속 증가세 지속

 

* 對美 주요품목별 수출 증감률(10.1~25일, %) : (자동차) +37.3, (일반기계) +54.2, (무선통신) +99.8

 

- 對아세안 수출도 '22.10월 이후 13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14.3%)

 

對中 수출3개월 연속 100억 달러대를 이어가는 가운데, 감소율한 자릿수(△9.5%) 올해 최저 수준

 

* 對中 수출액(억 달러) : (‘23.1월) 92 ➞ (4월) 95 ➞ (7월) 99 ➞ (8월) 105 ➞ (9월) 110 ➞ (10월) 110

 

구 분
중 국
아세안
미 국
EU
일 본
중남미
인 도
중 동
CIS
수출액(억 달러)
110.0
105.6
100.8
50.1
25.1
19.6
15.3
15.3
9.5
수출증감률(%)
△9.5
+14.3
+17.3
△10.7
+10.4
+8.6
+9.2
+8.7
△16.0
역대 10월 중 순위
-
1위
1위
-
-
-
1위
-
-

 

(對미국) 자동차·일반기계·무선통신 등 주력품목 수출 호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반도체·차부품 수출플러스 전환되면서 3개월 연속 플러스

 

* 對美 수출액 추이(억 달러) : (‘23.5월)94.7 → (6월)95.9 → (7월)92.9 → (8월)89.6 → (9월)100.4 → (10월)100.8

 

ㅇ 전년 10월의 好실적에 따른 기저효과에도 불구, 역대 10월 중 1위 실적

 

* 역대 10월 對美 수출액(억 달러) : (1위) 101(‘23년)(2위) 86(‘22년)(3위) 81(‘21년)

 

(對EU) 자동차 관련 품목일반기계·철강주력품목 수출소폭 감소하였고, 전년 10월 好실적에 따른 逆기저효과가 복합작용하며 감소

* 對EU 수출액 추이(억 달러) : (‘23.5월)58.6 → (6월)61.8 → (7월)56.4 → (8월)55.4 → (9월)57.6 → (10월)50.1

 

* 역대 10월 對EU 수출액(억 달러) : (1위) 56.2(‘22년)(2위) 50.9(‘21년)(3위) 50.1(‘23년)

 

(對중동) 일반기계·철강 수출소폭 감소하였음에도, 최대 수출품목

자동차와 함께 석유제품 수출호조세를 보이며, 1달 만에 플러스 전환

* 對중동 수출액 추이(억 달러) : (‘23.5월)15.6 → (6월)16.5 → (7월)14.8 → (8월)14.3 → (9월)13.8 → (10월)15.3

(對중국) 중국 경기둔화 우려 속에서도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 감소율이 크게 개선되면서, 對中 수출3개월 연속 100억 달러대 기록

 

* 對中 반도체 수출감소율(%) : ('23.1분기) △44.6 → (2분기) △34.7 → (3분기) △34.8 → (10.1~25일) △2.9

 

 

(對아세안) 석유제품·선박·일반기계주요품목 수출 증가에 힘입어 13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 올해 최대치이자, 역대 10월 중 1위 달성

 

* 對아세안 수출액 추이(억 달러) : (‘23.5월)84 → (6월)85 → (7월)88 → (8월)96 → (9월)94 → (10월)106

* 역대 10월 對아세안 수출액(억 달러) : (1위) 106(‘23년)(2위) 98(‘21년)(3위) 92(‘22년)

 

4 (수입) 가스·석탄 등 에너지 수입이 줄어들며 전체 수입도 감소

 

ㅇ ’23.10월 수입은 에너지 수입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비 △9.7% 감소

 

* 月 수입증감률(%) : (’23.6월) △11.8 → (7월) △25.4 → (8월) △22.8 → (9월) △16.5 → (10월) △9.7

 

ㅇ 전년비 국제가격 하락으로
가스(△54.3%)・석탄(△26.1%)
수입 감소, 3대 에너지 수입은 △22.6% 감소한 119.9억 달러

 

* 에너지 수입액·증감률(억 달러) : (원유) 80.6(+0.1%), (가스) 25.6(△54.3%), (석탄) 13.8(△26.1%)

 

에너지를 제외한 수입 414.6억 달러 기록, 전년대비 △5.0% 감소

 

- 산업생산에 필수적인 석유제품(+23.4%)이차전지(+18.3%) 수입은 증가

 

* 원부자재 수입액(백만 달러) : (석유제품) 2,244, (이차전지) 643

 

- 한편, 전화기(△13.7%)·자동차(△10.4%) 중심 소비재 수입(△9.7%)감소

 

5 (수지) 무역흑자 +16억 달러 기록, 6월에 이어 5개월 연속 흑자

 

10월 무역수지는 ‘23.6월(+12.1억 달러) 이후 5개월 연속 흑자 기조 유지

 

- 올해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한 석유제품, 선박, 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對중국 수출에 힘입어 수출플러스전환(+5.1%)한 가운데, 에너지 수입 감소 등에 따른 전체 수입 감소(△9.7%)흑자기조 지속

 

 

6 (주요국 상황) 수출둔화는 제조기반 수출국에서 공통적으로 발생

 

일본, 대만對세계 수출 감소세최근까지 계속되는 상황

 

- (일본) 수출은 ’22.4월 이후 ’23.8월까지 17개월 연속으로 감소세

 

* 수출증감률(%, WTO) : ‘23.1월△9→2월△8→3월△7→4월△3→5월△5→6월△4→7월△3→8월△7

 

- (대만) 반도체 수출비중이 높은 대만도 ’22.11월 이후 큰 폭의 수출 감소를 기록하고 있으며, ’23.8월 수출△7.4% 감소

 

* 수출증감률(%, WTO) : ‘23.3월△19 → 4월△13 → 5월△14 → 6월△24 → 7월△11 → 8월△7

 

 

 

(중국) 3~4월의 경우 전년의 코로나 봉쇄 기저효과 등으로 증가했으나,

5월부터 철강·전자제품수출실적 악화수출 감소세 전환

 

- 9월에도 전자제품 중심으로 수출감소하며, 5개월 연속 수출 감소세

 

* 주요 품목별 수출증감률(%, ’23.3~9월) : (전자제품) 13→11→△1→△6→△12→△5→△4

(농산물) 17→3→△7→△6→△6→△2→+2, (철강제품) 53→23→△28→△40→△41→△27→△7

 

 

3

수출 총력지원 강화

 

방문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3.10월 수출 플러스 전환수출기업, 대통령 이하 정부부처 모두의 노력에 힘입은 결과”라고 강조하며

 

ㅇ “그간 윤석열 대통령은 대한민국 영업사원 1호로서 지난 1년간 총 17번의 해외 순방에서 100여 차례 이상 세일즈 정상외교를 통해 수출 반등을 전면 지원하였다”고 밝힘

 

ㅇ 특히, “올해 10월 사우디・카타르 정상순방에서는 ‘사우디 가스플랜트 건설계약(24억 달러)’, ‘카타르 LNG운반선 건조계약(39억 달러) 등을 포함한 총 202억 달러, 63건의 계약・MOU 체결하여 우리 수출의 확대 기반을 마련하였다”고 평가

 

□ 이어서 “우리 수출이 세계적 고금리 기조, 미중 경쟁과 공급망 재편,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고유가 등 어려운 대외여건에도 불구하고 무역수지 흑자를 유지하며 플러스 전환에 성공”하였다고 말하며,

 

ㅇ “앞으로도 수출이 우리 경제의 상저하고 성장 주도할 것”이라고 평가하고, “우리 수출이 골든크로스를 지나서 연말까지 우상향 모멘텀을 지속 이어나갈 수 있도록 총력 대응하겠다”고 밝힘

 

* '23.3분기 성장기여도(한은, %p) : (GDP)+0.6 / (소비)+0.2, (투자)+0.1, (순수출)+0.4, (통계상불일치)-0.1

 

□ 정부는 금융・마케팅・해외인증 등 수출기업이 겪는 3대 현장애로신속하게 해소하고 실질적인 수출확대효과를 가져오는 ‘단기 수출확대 전략’을 마련하여 「제2차 민관합동 수출확대 대책회의(11.8)」에서 발표하는 한편,

 

ㅇ 사우디, UAE, 카타르 등 중동 지역 정상경제외교를 통해 체결한 107조원 규모계약 및 MOU수출 및 수주로 실현될 수 있도록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언급

 

ㅇ 또한 이스라엘-하마스 사태, 중국의 흑연 수출통제 등 우리 수출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되는 대외 리스크 요인을 철저히 관리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힘

 

참 고

15대 주요 수출 품목 규모 및 증감률

 

(단위: 백만 달러, %)
순 번
품 목
’22.10
‘23.8
‘23.9
‘23.10
금 액
증감률
금 액
증감률
금 액
증감률
금 액
증감률
1
반도체
9,227
△17.4
8,559
△20.6
9,936
△13.6
8,940
△3.1
2
석유제품
4,462
9.3
4,444
△33.0
4,898
△6.9
5,267
18.0
3
석유화학
3,737
△25.4
3,890
△11.7
3,819
△6.1
3,617
△3.2
4
자동차
4,912
28.3
5,294
28.8
5,231
9.5
5,884
19.8

전기차*
840
14.4
1,222
66.4
1,165
46.5
1,143
36.0
5
일반기계
3,912
△3.5
4,100
7.6
4,391
9.8
4,319
10.4
6
철강제품
2,664
△20.8
2,855
△11.4
2,870
6.9
2,646
△0.7
7
자동차부품
1,840
3.1
1,905
5.9
1,942
△3.5
1,772
△3.7
8
디스플레이
1,812
△7.9
1,910
4.1
1,813
4.2
2,093
15.5

OLED
1,447
3.8
1,481
16.0
1,416
3.6
1,671
15.5
9
선박
1,407
△8.8
1,612
35.1
1,364
15.4
2,833
101.4
10
무선통신기기
1,792
△5.5
1,206
△8.6
1,619
△3.1
1,712
△4.5
11
바이오헬스
1,060
△19.5
922
△25.2
1,124
△15.0
1,043
△1.6
12
컴퓨터
901
△37.1
522
△54.6
652
△53.9
627
△30.4
13
섬유
921
△19.1
828
△10.9
884
△8.5
839
△9.0
14
이차전지
800
16.7
740
△21.3
789
△16.3
684
△14.5
15
가전
622
△22.3
652
12.2
721
8.5
658
5.8
전체
52,428
△5.8
51,996
△8.1
54,660
△4.4
50,093
5.1

* 순수전기차(BEV), 수소전기차(FC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 3개 차종 모두 포함

 

품목·지역별 상세 수출 동향 (10월)

 

1

품목별 상세 수출 동향

 

(자동차 : 19.8%) 최대 수출시장인 북미·유럽 내 견조한 국산 SUV·

친환경차 수요와 더불어, 판매단가가 높은 전기차의 신차 출시에 따른 국산차 수출·판매 호조세가 지속되며 16개월 연속 수출 증가

* 자동차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49.1(+28.3%) → (’23.10) 58.8(+19.8%)
* 전기차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8.4(+14.4%) → (’23.10) 11.4(+36.0%)
* 10.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美) 22.5(+37.3%), (EU) 4.7(△4.6%), (중동) 3.1(+19.9%)

 

(일반기계 : 10.4%) 주요 수출시장(북미·EU·아세안) 내 인프라 투자사업 확대로 인한 기계 장비류 수요 증가 신흥시장(중남미·중동 등) 내 중장비 구매 수요 확대 및 현지 생산공장 신설 등으로 7개월 연속 수출 증가

* 일반기계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39.1(△3.5%) → (’23.10) 43.2(+10.4%)
* 10.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美) 10.9(+54.2%), (亞) 4.5(+10.0%), (중남미) 2.1(+12.6%)

 

(디스플레이 : 15.5%) LCD 생산 감축에도 불구하고, IT제품·자동차 등 OLED 수요 확대, 스마트폰 패널 및 TV패널 수요 확대 등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수출 증가

* 디스플레이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18.1(△7.9%) → (’23.10) 20.9(+15.5%)
* OLED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14.5(+3.8%) → (’23.10) 16.7(+15.5%)

 

 

(석유제품 : 18.0%) 정유사 정기보수 기간 종료에 따른 가동률 상승 및 수출 물량 확대, 사우디·러시아 등의 감산 연장이 기회요인으로 작용하여 초과 수요가 지속되는 가운데 수출 증가 전환

* 석유제품 수출단가($/톤) : (’22.10) 923(+25.1%) → (‘23.10e) 898(△2.7%)
* 석유제품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44.6(+9.3%) → (’23.10) 52.7(+18.0%)

 

(선박 : 101.4%) ‘21년도부터 증가한 선박 수주물량 생산이 본격화되고, 수출 단가에 ’21년도 선가 상승분이 반영되며 3개월 연속 수출 증가

* 선박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14.1(△8.8%) → (’23.10) 28.3(+101.4%)
* 클락슨 선가지수 : (’20.12) 125.6 → (’21.6) 138.8 → (‘21.12) 153.6 → (‘22.6) 161.5
→ (‘22.12) 161.8 → (‘23.6) 170.9 → (‘22.9) 174.5

 

(무선통신 : △4.5%)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침체가 지속되고 있으나, 고가형 모델 판매 비중 확대와 고부가가치 부품 탑재 등으로 평균 단가가 상승하며 수출 보합세

* 무선통신기기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17.9(△5.5%) → (’23.10) 17.1(△4.5%)
* ‘23.2Q 출하량 증감률(옴디아, ’23.8) : 애플 △11.7%, 삼성 △14.3%, 샤오미 △15.7%, 오포 △10.5%

 

(반도체 : △3.1%) IT 수요 약세가 지속되고는 있으나, 메모리반도체 기업들의 감산 확대,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및 AI 서버용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가 확대되는 등 전반적인 수급 상황 개선세

* 반도체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92.3(△17.4%) → (’23.10) 89.4(△3.1%)
* 메모리반도체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44.7(△35.7%) → (’23.10) 45.1(+1.0%)
* 10.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中) 27.3(△2.9%), (亞) 15.9(△15.9%), (美) 2.5(+38.7%)

 

(차부품 : △3.7%) 중고차 판매량 감소에 따른 부품 수요 감소, 친환경차 向 수요 이동에 따른 내연기관용 부품 수요 하락 등으로 소폭 감소

* 차부품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18.4(+3.1%) → (’23.10) 17.7(△3.7%)
* 10.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美) 5.1(+2.6%) (EU) 2.3(△8.9%) (中) 1.0(△0.2%)

 

(철강 : △0.7%)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에 따른 저조한 수주 활동과 함께 단가 약세와 수요 둔화로 인한 회복세가 제한되며 감소

* 철강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26.6(△20.8%) → (’23.10) 26.5(△0.7%)
* 철강재 수출단가($/톤) : (’22.10) 1,253(△13.3%) → (‘23.10e) 1,130(△9.8%)
* 10.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亞) 3.5(+4.0%) (EU) 2.6(△11.0%) (中) 2.2(△24.6%)

 

(가전 : 5.8%) 한국산 대형가전이 에너지소비효율 개선 등으로 시장 내 경쟁우위를 지속하고 있고, 주력 시장인 미국 내 리모델링 수요 증가 등이 복합 작용하며 수출 증가

* 가전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6.2(△22.3%) → (’23.10) 6.6(+5.8%)
* 10.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亞) 2.6(+3.8%), (日) 0.3(△9.2%), (中) 0.3(△21.8%)

 

(석유화학 : △3.2%) 정기보수 마무리 단계를 보이며 업계에서 가동률을 올리고 있으나 주요시장인 중국의 경기부진 지속, 글로벌 공급설비 과잉 등으로 수출 감소

* 석유화학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37.4(△25.4%) → (‘23.10) 36.2(△3.2%)
* 국제유가(두바이油, $/bbl) : (’22.10) 91.16(+11.7%) → (’23.10) 89.75(△1.5%)
* 석유화학 수출단가($/톤) : (’22.10) 1,318(△10.7%) → (’23.10e) 1,227(△6.0%)

 

(바이오헬스 : △1.6%) 엔데믹에 따른 진단키트 수요 급감, 글로벌 기업 간 경쟁 심화로 인한 의약품 수출단가 하락 등으로 수출 감소

* 바이오헬스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10.6(△19.5%) → (’23.10) 10.4(△1.6%)
* 의약품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6.4(△2.9%) → (’23.10) 6.3(△1.8%)

 

(컴퓨터 : △30.4%) 제조사들의 고강도 감산으로 인한 수출물량 축소, 글로벌 SSD 시장 내 낸드 공급 과잉에 따른 가격 하락 등으로 수출 감소

* 컴퓨터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9.0(△37.1%) → (‘23.10) 6.3(△30.4%)
* SSD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7.4(△31.5%) → (‘23.10) 4.2(△42.9%)

 

(이차전지 : △14.5%) 글로벌 OEM社의 배터리 구매이연 및 재고조정 지속, 주요 수출시장 내 현지 이차전지 공장 가동에 따른 완제품 수요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수출 감소

* 이차전지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8.0(+16.7%) → (’23.10) 6.8(△14.5%)
* 10.1∼25일 수출액/ 증감률(억 달러) : (美) 2.1(△34.1%), (EU) 1.0(△27.0%), (日) 0.6(+2.5%)

 

(섬유 : △9.0%) 아세안 소싱처로의 신규 주문 증가로 국산 섬유 소재 수출 감소는 둔화세이나, 미국 대형·중견 유통사의 실적 부진에 따른 재고 조정 및 수요 위축 등으로 수출 감소

* 섬유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9.2(△19.1%) → (’23.10) 8.4(△9.0%)
* 패션·의류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2.3(△4.7%) → (’23.10) 2.0(△13.7%)
* 10.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亞) 2.1(△6.2%), (中) 1.0(△5.4%), (美) 0.9(△12.8%)

 

2

지역별 상세 수출 동향

 

(미국 : 17.3%) 자동차(지속적 생산 증가, 친환경차 및 중형 SUV 수출 확대), 일반기계(스마트 팩토리 수요 확대에 따라 3D프린터, 물류로봇 등 수출 증가), ③무선통신기기(프리미엄 완제품 수출 증가) 등 주요품목 개선에 따른 수출 증가

* 미국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85.9(+6.5%) → (’23.10) 100.8(+17.3%)
* 10.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자동차) 22.5(+37.3%), (일반기계) 10.9(+54.2%),
(반도체) 2.1(+38.7%), (무선통신기기) 1.6(+99.8%)

 

(아세안 : 14.3%) 디스플레이(애플 신제품 출시에 따른 유관 기자재 수요 확대),석유제품(경제활동 정상화에 따른 교통량 증가 등), 일반기계(FDI 증가, 제조업 설비 및 인프라 투자 확대) 등 주요품목 호조로 수출 증가 전환

* 아세안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3.10) 92.3(△5.7%) → (’23.10) 105.6(+14.3%)
* 10.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디스플레이) 11.8(+19.1%), (석유제품) 11.1(+22.6%)
(일반기계) 4.5(+10.0%), (반도체) 15.9(△15.9%)

 

(중남미 : 8.6%) 섬유(멕시코, 콜롬비아 등의 관세 부과, 중국산 제품의 저가 공세 등) 등 품목의 감소에도 불구하고,일반기계(멕시코 고정자산 투자 증가, 브라질 건설경기 호조에 따른 기계장비 수요 증가세 등), 디스플레이(멕시코 부엔핀에 대비한 TV 생산량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 주요품목 증가세

* 중남미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18.0(△27.2%) → (’23.10) 19.6(+8.6%)
* 10.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일반기계) 2.1(+12.6%), (철강) 1.9(+14.2%),
(디스플레이) 0.8(+117.2%), (섬유) 0.2(△25.3%)

 

(일본 : 10.4%) 일반기계(저출산, 자동화에 따른 로봇 생산 및 설비투자 수요 증가 영향), 철강(자동차 부문 생산 증대로 인한 강판 수요 증가),바이오헬스(일본 내 의약품 공급 부족에 따른 해외 약품 수요 증가) 등의 개선세로 수출 증가 전환

* 일본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22.7(△13.1%) → (’23.10) 25.1(+10.4%)
* 10.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석유제품) 4.6(+68.8%), (철강) 2.3(+13.1%),
(일반기계) 1.9(+17.1%), (바이오헬스) 0.8(+34.7%)

 

(인도 : 9.2%) 자동차부품(흉작으로 인한 농촌 소득 감소로 소형차 판매 하락, 높은 연료 비용 등의 영향으로 부품 수요 감소) 등의 감소세에도 석유화학(플라스틱 파이프 시장 확대 등), 철강(몬순 종료 후 건설 및 인프라 관련 활동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 등 품목 개선으로 수출 증가세

* 인도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14.0(+0.1%) → (’23.10) 15.3(+9.2%)
* 10.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석유화학) 2.6(+35.8%), (철강) 2.2(+39.4%),
(일반기계) 1.1(△12.7%), (자동차부품) 0.6(△14.7%)

 

(중동 : 8.7%) 철강(이집트산 철강 공급 확대, 냉연강판 및 아연도 강판 중심 수요 감소 등) 등 일부 품목이 감소하였으나, 자동차(연말 판매 증가 대비 물량확보, 역내 인구 증가에 따른 차량 수요 증가 등), 자동차부품(승용차 수출 시장 확대에 따른 부품 수요 증가) 등을 통해 수출 증가

* 중동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9) 14.1(△6.5%) → (’23.10) 15.3(+8.7%)
* 10.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자동차) 3.1(+19.9%), (자동차부품) 0.5(+11.5%),
(일반기계) 1.2(△5.1%), (철강) 0.8(△24.8%)

 

(중국 : △9.5%) 컴퓨터(공급부족에 따른 가격 상승, 연말 소비행사 대비 수요 증가 등) 등 일부 품목의 수출이 개선되었으나, 철강(국경절 연휴 기간 철강 수입 감소 등), ③디스플레이(TV 패널 수요 감소) 등으로 수출 감소

* 중국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121.6(△15.7%) → (’23.10) 110.0(△9.5%)
* 10.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컴퓨터) 1.2(+73.4%), (디스플레이) 3.2(△16.6%),
(석유화학) 10.5(△21.6%), (철강) 2.2(△24.6%)

 

(EU : △10.7%) 바이오헬스(바이오시밀러 규제 완화, 고령화사회 진입에 따른 면역 관련 의약품 시장 성장) 등 수출 증가에도,일반기계(신규 주문 감소에 따른 설비투자 감소),철강(건설 및 제조업 경기부진에 따른 철강 수요 위축) 등 주요품목이 감소하며 수출 감소세

* EU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2.10) 56.2(+10.4%) → (’23.10) 50.1(△10.7%)
* 10.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석유화학) 2.7(+18.0%), (바이오헬스) 2.1(+35.1%),
(일반기계) 3.5(△16.5%), (철강) 2.6(△11.0%)

 

 

I. 수출 동향 (잠정치)


 

 

 

가. 수출추이



 

① 월별 수출실적

(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22.10
11
12
‘23.1
2
3
4
5
6
7
8
9
10
수출액
524
518
548
463
500
549
495
521
542
505
520
547
551
증감률
△5.8
△14.2
△9.7
△16.4
△7.7
△13.9
△14.5
△15.4
△6.0
△16.1
△8.1
△4.4
5.1
일평균
24.4
21.6
22.4
21.6
22.7
22.9
22.0
24.2
23.6
21.5
21.7
26.0
26.2

② 수출액 및 수출증감률 추이

 

 

③ 수출물량 추이

(억 달러, 만 톤, 전년동기대비%)
구 분
‘22.10
11
12
‘23.1
2
3
4
5
6
7
8
9
10
물 량
1,430
1,498
1,599
1,493
1,623
1,574
1,505
1,607
1,564
1,522
1,571
1,550
1,634
증감률
△11.4
△6.6
△3.9
△1.1
△1.3
△7.3
6.2
△1.4
5.3
△5.0
△7.2
2.7
14.2
금액지수
125.1
124.3
128.6
110.8
119.9
133.0
118.1
125.5
126.9
120.3
123.8
131.5
-
물량지수
116.6
118.2
124.5
107.7
117.1
130.0
116.2
124.6
127.0
120.3
122.1
128.4
-

 

* 수출 물량은 관세청 세관 신고상의 중량(톤) 기준이며,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수출금액지수 및 수출물량지수는 ‘15년(100) 기준

 

④ 원화표시 수출 동향

 

구분
‘22.10
11
12
‘23.1
2
3
4
5
6
7
8
9
10
환율
(₩/$)
1,426.7
1,364.1
1,296.2
1,247.3
1,270.7
1,305.7
1,320.0
1,328.2
1,296.7
1,286.3
1,318.5
1,329.5
1,350.7
수출액
(억 달러)
524.3
517.7
548.5
463.5
500.0
549.5
494.6
521.1
542.5
505.2
520.0
546.6
550.9
증감률
(%)
△5.8
△14.2
△9.7
△16.4
△7.7
△13.9
△14.5
△15.4
△6.0
△16.1
△8.1
△4.4
5.1
수출액
(조원)
74.8
70.6
71.1
57.8
63.5
71.7
65.3
69.2
70.3
65.0
68.6
72.7
74.4
증감률
(%)
13.6
△1.0
10.8
△12.7
△2.1
△7.9
△8.4
△11.5
△4.5
△17.5
△8.1
△8.7
△0.5

* 원화표시 수출액은 달러 표시 수출액을 원/달러 기준 환율로 환산한 수치임

 

나. 품목별 10월 수출 추이



 

① 15대 품목별 10월 수출증감률(%)

 

 

② 15대 품목별 수출 추이

(백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비중%)
품목명
’22년 전체
‘22년
‘23년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선박
18,178
1,407
1,120
2,500
1,426
1,551
1,112
1,621
1,026
2,486
1,751
1,612
1,364
2,833
(△20.9)
(△8.8)
(△68.2)
(76.0)
(85.0)
(△10.5)
(△26.0)
(59.2)
(△47.8)
(98.9)
(△30.9)
(35.1)
(15.4)
(101.4)
2.7
2.7
2.2
4.6
3.1
3.1
2.0
3.3
2.0
4.6
3.5
3.1
2.5
5.1
무선
통신
기기
17,231
1,792
1,628
1,201
1,562
1,244
1,060
1,031
1,141
1,019
952
1,206
1,619
1,712
(△10.4)
(△5.5)
(△18.9)
(△33.3)
(15.6)
(△2.0)
(△42.5)
(△34.3)
(△12.1)
(△12.3)
(△15.4)
(△8.6)
(△3.1)
(△4.5)
2.5
3.4
3.1
2.2
3.4
2.5
1.9
2.1
2.2
1.9
1.9
2.3
3.0
3.1
일반
기계
51,099
3,912
4,322
4,574
3,859
4,440
4,798
4,629
4,467
4,463
4,393
4,100
4,391
4,319
(2.0)
(△3.5)
(△1.9)
(△3.9)
(△15.9)
(12.8)
(△0.9)
(7.7)
(1.4)
(7.9)
(2.8)
(7.6)
(9.8)
(10.4)
7.5
7.5
8.3
8.3
8.3
8.9
8.7
9.4
8.6
8.2
8.7
7.9
8.0
7.8
석유
화학
54,316
3,737
3,565
3,652
3,846
4,066
4,124
3,819
3,814
3,553
3,529
3,890
3,819
3,617
(△1.4)
(△25.4)
(△26.2)
(△23.6)
(△24.0)
(△18.2)
(△24.5)
(△23.6)
(△26.6)
(△22.2)
(△23.8)
(△11.7)
(△6.1)
(△3.2)
7.9
7.1
6.9
6.7
8.3
8.1
7.5
7.7
7.3
6.6
7.0
7.5
7.0
6.6
철강
제품
38,448
2,664
2,985
2,844
2,714
2,972
3,132
2,992
3,320
3,383
2,949
2,855
2,870
2,646
(5.7)
(△20.8)
(△10.6)
(△20.9)
(△25.9)
(△9.9)
(△10.9)
(△10.9)
(△8.9)
(3.1)
(△10.4)
(△11.4)
(6.9)
(△0.7)
5.6
5.1
5.8
5.2
5.9
5.9
5.7
6.0
6.4
6.2
5.8
5.5
5.3
4.8
반도체
129,229
9,227
8,435
9,060
6,001
5,967
8,598
6,379
7,367
8,896
7,443
8,559
9,936
8,940
(1.0)
(△17.4)
(△29.9)
(△29.1)
(△44.5)
(△42.5)
(△34.5)
(△41.0)
(△36.2)
(△28.0)
(△33.6)
(△20.6)
(△13.6)
(△3.1)
18.9
17.6
16.3
16.5
12.9
11.9
15.6
12.9
14.1
16.4
14.7
16.5
18.2
16.2
자동차
54,067
4,912
5,375
5,421
4,981
5,594
6,496
6,156
6,195
6,228
5,903
5,294
5,231
5,884
(16.4)
(28.3)
(30.5)
(28.1)
(21.8)
(47.0)
(63.6)
(40.3)
(49.2)
(58.3)
(15.0)
(28.8)
(9.5)
(19.8)
7.9
9.4
10.4
9.9
10.7
11.2
11.8
12.4
11.9
11.5
11.7
10.2
9.6
10.7
석유
제품
62,875
4,462
4,814
4,671
4,221
4,601
4,489
3,672
4,249
3,345
3,881
4,444
4,898
5,267
(64.9)
(9.3)
(24.4)
(20.8)
(14.7)
(10.2)
(△18.6)
(△29.0)
(△34.9)
(△40.0)
(△39.3)
(△33.0)
(△6.9)
(18.0)
9.2
8.5
9.3
8.5
9.1
9.2
8.2
7.4
8.2
6.2
7.7
8.5
9.0
9.6
디스
플레이
21,149
1,812
1,799
1,378
1,275
1,119
1,223
1,230
1,411
1,396
1,688
1,910
1,813
2,093
(△1.1)
(△7.9)
(△15.6)
(△35.9)
(△36.0)
(△41.0)
(△41.6)
(△29.3)
(△7.4)
(△11.1)
(△4.6)
(4.1)
(4.2)
(15.5)
3.1
3.5
3.5
2.5
2.8
2.2
2.2
2.5
2.7
2.6
3.3
3.7
3.3
3.8
섬유
12,301
921
951
1,037
801
928
1,016
934
949
989
868
828
884
839
(△4.0)
(△19.1)
(△20.2)
(△17.0)
(△28.0)
(△4.3)
(△12.1)
(△15.0)
(△15.0)
(△2.8)
(△15.4)
(△10.9)
(△8.5)
(△9.0)
1.8
1.8
1.8
1.9
1.7
1.9
1.8
1.9
1.8
1.8
1.7
1.6
1.6
1.5
가전
8,028
622
585
574
590
694
711
677
673
658
664
652
721
658
(△7.4)
(△22.3)
(△25.1)
(△24.8)
(△20.0)
(4.3)
(△8.3)
(△10.3)
(△13.7)
(3.3)
(2.4)
(12.2)
(8.5)
(5.8)
1.2
1.2
1.1
1.0
1.3
1.4
1.3
1.4
1.3
1.2
1.3
1.3
1.3
1.2
자동차
부품
23,316
1,840
1,856
1,986
1,726
2,015
2,052
1,905
1,939
1,988
2,022
1,905
1,942
1,772
(2.4)
(3.1)
(0.8)
(△6.3)
(△16.2)
(13.3)
(△5.6)
(△1.7)
(△0.8)
(5.5)
(△0.5)
(5.9)
(△3.5)
(△3.7)
3.4
3.5
3.6
3.6
3.7
4.0
3.7
3.9
3.7
3.7
4.0
3.7
3.6
3.2
컴퓨터
15,956
901
860
1,047
520
526
713
446
704
725
721
522
652
627
(△4.7)
(△37.1)
(△50.1)
(△34.7)
(△63.8)
(△64.9)
(△57.6)
(△73.3)
(△57.5)
(△53.5)
(△33.4)
(△54.6)
(△53.9)
(△30.4)
2.3
1.7
1.7
1.9
1.1
1.1
1.3
0.9
1.4
1.3
1.4
1.0
1.2
1.1
바이오
헬스
16,289
1,060
1,022
1,246
1,113
1,066
1,198
1,025
1,089
1,296
962
922
1,124
1,043
(0.1)
(△19.5)
(△27.8)
(△34.1)
(△33.5)
(△32.4)
(△35.2)
(△18.4)
(△27.3)
(△6.2)
(△17.6)
(△25.2)
(△15.0)
(△1.6)
2.4
2.0
2.0
2.3
2.4
2.1
2.2
2.1
2.1
2.4
1.9
1.8
2.1
1.9
이차전지
9,981
800
726
957
800
861
869
774
799
930
741
740
789
684
(15.1)
(16.7)
(△1.1)
(29.7)
(9.9)
(24.4)
(0.6)
(△4.6)
(△5.2)
(17.0)
(△16.1)
(△21.3)
(△16.3)
(△14.5)
1.5
1.5
1.4
1.7
1.7
1.7
1.6
1.6
1.5
1.7
1.5
1.4
1.4
1.2

 

③ 신규 유망 품목별 수출 추이

(백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품목명
’22년 전체
‘22년
‘23년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OLED
15,301
1,447
1,427
1,029
971
810
925
929
1,069
1,032
1,265
1,481
1,416
1,671
(5.3)
(3.8)
(△6.8)
(△32.9)
(△31.2)
(△39.1)
(△35.8)
(△22.0)
(6.0)
(△6.6)
(△0.4)
(16.0)
(3.6)
(15.5)
SSD
13,388
741
675
781
319
368
539
290
529
532
531
356
463
423
(3.8)
(△31.5)
(△51.3)
(△35.9)
(△73.5)
(△72.0)
(△62.1)
(△79.9)
(△62.3)
(△60.4)
(△39.1)
(△63.3)
(△62.2)
(△42.9)
MCP
25,306
1,645
1,347
1,486
1,111
1,063
1,615
983
1,272
2,143
1,427
1,670
2,074
1,845
(△20.8)
(△30.0)
(△55.4)
(△52.6)
(△53.9)
(△49.6)
(△47.0)
(△50.3)
(△47.1)
(△14.5)
(△21.9)
(△19.6)
(△15.9)
(12.2)

 

④ 5대 유망 소비재 수출 추이

(백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품목명
’22년 전체
‘22년
‘23년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농수산
식품
10,480
818
853
883
751
888
977
904
903
943
835
889
901
944
(2.5)
(△10.4)
(△13.3)
(△10.9)
(△10.0)
(8.0)
(1.5)
(△6.0)
(△4.7)
(6.3)
(△5.5)
(2.3)
(11.2)
(15.5)
화장품
7,953
689
638
594
467
646
773
678
769
737
643
699
826
765
(△13.3)
(△13.6)
(△26.6)
(△13.9)
(△17.1)
(12.6)
(9.2)
(△5.4)
(△8.1)
(12.5)
(4.9)
(12.2)
(12.0)
(11.0)
패션 의류
2,629
231
234
241
158
201
235
220
217
227
200
187
203
199
(0.3)
(△4.7)
(△10.6)
(△9.7)
(△24.5)
(12.9)
(2.0)
(2.2)
(△0.7)
(1.2)
(△6.9)
(△5.9)
(△10.7)
(△13.7)
생활 유아용품
7,900
599
596
636
559
658
703
621
652
654
647
686
719
652
(0.0)
(△10.5)
(△17.5)
(△15.3)
(△18.4)
(5.9)
(△6.9)
(△9.5)
(△5.6)
(1.3)
(△6.7)
(12.9)
(5.2)
(8.8)
의약품
10,482
638
560
721
675
603
731
613
611
786
561
497
672
627
(23.5)
(△2.9)
(△20.0)
(△34.2)
(△44.3)
(△33.9)
(△37.2)
(△9.3)
(△28.0)
(5.1)
(△7.3)
(△29.5)
(△8.1)
(△1.8)

 

다. 주요 지역별 10월 수출 추이



 

① 주요 지역별 10월 수출 증감률(%)

 

 

② 주요 지역별 수출 추이

(백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지역
’22년
전체
‘22년
‘23년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중국
155,789
12,156
11,378
11,198
9,209
9,886
10,478
9,523
10,581
10,504
9,928
10,505
11,000
10,996
(△4.4)
(△15.7)
(△25.5)
(△27.0)
(△31.1)
(△24.2)
(△33.0)
(△26.5)
(△21.2)
(△19.0)
(△24.9)
(△19.9)
(△17.6)
(△9.5)
미국
109,766
8,592
8,776
9,349
8,059
8,993
9,776
9,179
9,461
9,592
9,303
8,957
10,039
10,077
(14.5)
(6.5)
(7.9)
(6.4)
(△6.0)
(16.2)
(1.4)
(△4.4)
(△1.7)
(△1.8)
(△7.9)
(2.3)
(8.5)
(17.3)
일본
30,606
2,272
2,302
2,429
2,296
2,346
2,414
2,068
2,565
2,559
2,364
2,363
2,517
2,509
(1.8)
(△13.1)
(△18.2)
(△10.5)
(△12.3)
(△5.4)
(△13.0)
(△21.2)
(△9.4)
(△3.5)
(△5.3)
(△7.2)
(△2.5)
(10.4)
아세안
124,889
9,231
9,044
9,338
8,282
8,438
9,574
8,245
8,362
8,553
8,877
9,652
9,409
10,555
(14.8)
(△5.7)
(△14.2)
(△16.9)
(△19.6)
(△16.3)
(△21.3)
(△26.8)
(△21.8)
(△16.9)
(△22.3)
(△10.8)
(△8.0)
(14.3)
EU(27)
68,072
5,616
5,274
6,287
5,421
6,185
6,126
6,081
5,853
6,180
5,630
5,542
5,763
5,015
(7.0)
(10.4)
(△0.5)
(5.3)
(0.1)
(12.8)
(△1.4)
(9.7)
(△3.1)
(18.0)
(△8.5)
(2.7)
(6.5)
(△10.7)
중동
17,524
1,410
1,502
1,774
1,469
1,658
1,838
1,657
1,564
1,646
1,483
1,427
1,385
1,532
(12.3)
(△6.5)
(5.0)
(5.8)
(4.3)
(20.6)
(21.4)
(31.2)
(△0.2)
(14.5)
(△2.8)
(6.9)
(△2.0)
(8.7)
중남미
26,590
1,804
1,805
2,199
1,710
1,878
2,362
1,808
1,995
2,534
1,979
1,978
2,404
1,958
(3.0)
(△27.2)
(△19.2)
(△2.0)
(△24.9)
(△17.7)
(△6.4)
(△20.8)
(△26.2)
(9.1)
(△7.1)
(△11.1)
(18.1)
(8.6)
CIS
11,271
1,134
1,288
1,019
921
1,051
1,258
1,325
1,202
1,399
973
927
913
953
(△17.8)
(0.2)
(4.5)
(△29.2)
(△17.8)
(△13.8)
(87.1)
(118.5)
(77.8)
(89.3)
(△0.9)
(8.1)
(△4.6)
(△16.0)
베트남
60,964
4,959
4,649
4,756
3,768
4,043
4,629
3,800
4,269
4,315
4,417
4,946
4,923
4,835
(7.5)
(1.1)
(△15.1)
(△15.3)
(△29.0)
(△22.8)
(△24.6)
(△29.7)
(△13.8)
(△11.0)
(△15.4)
(4.5)
(3.4)
(△2.5)
인도
18,870
1,403
1,379
1,486
1,453
1,499
1,576
1,331
1,348
1,427
1,431
1,599
1,629
1,532
(20.9)
(0.1)
(△6.4)
(13.1)
(△0.8)
(11.0)
(4.5)
(△13.6)
(△20.7)
(△0.1)
(△39.4)
(△2.0)
(0.8)
(9.2)

 

II. 수입 동향 (잠정치)


 

가. 수입추이



 

① 월별 수입실적

(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구분
‘22.10
11
12
‘23.1
2
3
4
5
6
7
8
9
10
수입액
592
588
596
590
554
596
520
543
530
487
510
510
535
증감률
9.9
2.6
△2.5
△2.7
3.5
△6.5
△13.7
△14.0
△11.8
△25.4
△22.8
△16.5
△9.7
일평균
27.5
24.5
24.3
27.4
25.2
24.9
23.1
25.3
23.1
20.7
21.2
24.3
25.5

 

② 연간 수입액 및 수입증감률 추이

 

 

③ 수입물량 추이

(억 달러, 만 톤, 전년동기대비%)
구 분
‘22.10
11
12
‘23.1
2
3
4
5
6
7
8
9
10
물 량
4,360
4,659
4,749
4,822
4,617
5,044
4,141
4,581
4,524
4,416
4,697
4,648
4,515
증감률
△7.1
△4.0
△5.9
△6.1
3.7
2.6
△5.3
△4.4
1.2
△12.3
△7.6
△0.3
3.6
금액지수
165.1
164.5
166.4
164.4
154.0
166.9
145.5
150.7
147.3
135.4
141.2
141.8
-
물량지수
130.3
131.3
134.2
135.2
125.8
135.5
120.2
124.7
125.9
117.8
122.0
120.8
-

* 수입 물량은 관세청 세관 신고상의 중량(톤) 기준이며,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수입금액지수 및 수입물량지수는 ‘15년(100) 기준임

 

 

나. 주요 원자재 동향



 

① 주요 에너지자원 수입 추이

 

(백만 달러, %)
구분
‘21
‘22
‘22.10
‘23.9
‘23.10
증감률 (%)
전년동월비
전월비
원 유
67,013
105,964
8,045
7,508
8,057
0.1
7.3
석유제품
23,544
26,325
1,827
2,220
2,244
23.4
0.0
가 스
30,844
56,749
5,593
2,455
2,557
△54.3
4.2
석 탄
14,534
28,154
1,865
1,346
1,379
△26.1
2.5
합 계
135,934
217,192
17,330
13,528
14,237
△17.8
5.1

 

② 원유 도입단가 및 도입물량

 

구 분
‘21
‘22
‘22.10
‘23.9
‘23.10
증감률 (%)
전년동월비
전월비
국제유가(Dubai, $/B)
69.4
96.4
91.2
93.3
89.8
△1.5
△3.8
도입단가($/B)
69.8
102.6
101.2
88.2
96.1
△5.0
9.0
도입물량(백만B)
960.1
1031.7
79.5
85.1
83.8
5.4
△1.5
수입액(백만$)
67,013
105,840
8,045
7,508
8,057
0.1
7.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