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남자 40-50대, 여자 20-30대 음주행태 개선 필요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3. 10. 30.
반응형

남자 40-50대, 여자 20-30대 음주행태 개선 필요

2023.10.30 질병관리청

남자 40-50대, 여자 20-30대 음주행태 개선 필요
-최근 10년 간 음주율은 전반적으로 남자는 감소, 여자는 증가 경향

- 홍조증 경험, 만성질환 치료약 복용 등 취약집단의 위험 음주는 지속

- 건강증진 및 음주폐해 감소를 위해 음주행태 감시 및 근거 생산 강화 추진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음주 심층보고서」를 발간한다고 밝혔다.

 

본 보고서는 올해 진행한 정책연구용역*의 결과를 요약하였으며, 주요 내용으로 만19세 이상 성인의 음주행태에 대한 최근 10년 간 추이 변화, 취약집단의 음주행태 및 관련 요인 등의 분석 결과를 수록하였다.

*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음주 심층분석 연구(’23.1.~8., 인제대 김광기 교수)

 

1

주요 결과

 

[추이 변화, 2012~2021년]

 

우리나라 성인의 음주행태는 최근 10년 간 큰 변화는 없었으며, 전반적으로 남자는 감소하고, 여자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남자가 여자보다 여전히 음주율이 높았고, 연령별로는 남자 40-50대, 여자 20-30대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표별 추이 변화를 보면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남자는 감소(’12년 25.1%→’21년 23.6%)한 반면 여자는 증가(’12년 7.9%→’21년 8.9%)하여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그림 1 참고).

* 연간음주자 중 1회 음주량이 남자는 7잔, 여자는 5잔 이상을 주 2회 이상 마신 분율

 

연령별로는 남자 40-50대, 여자 20-30대에서 높았다(그림 2 참고).

 

 

연간음주자의 월간폭음률*의 경우 남자유의하게 감소(’12년 61.7%→’21년 56.0%)하였으나 여자(’12년 31.0%→’21년 31.1%)는 큰 변화가 없었고(그림 3 참고), 남자는 40-50대, 여자는 20-30대에서 높았다(그림 4 참고).

* 연간음주자 중 1회 음주량이 남자는 7잔, 여자는 5잔 이상을 월 1회 이상 마신 분율

 

 

 

연간음주자의 지속적 위험음주율*남자는 10%, 여자는 3% 내외로 연도별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며(그림 5 참고), 남자의 경우 50-60대, 여자는 30대에서 가장 높았다(그림 6 참고).

* 연간음주자 중 1회 음주량이 남자는 5잔, 여자는 3잔 이상을 주 4회 이상 마신 분율

[연간음주자의 지속적 위험음주율]




<그림 5> 성별 지속적 위험음주율
<그림 6> 연령별 지속적 위험음주율

 

[취약집단 음주행태]

 

담배 및 주류 둘 다 사용자(현재 흡연하면서 월간 음주) 비율은 최근 10년 간 감소 추세(남자 ’12년 36.2%→’21년 28.1%)이나, 담배 및 주류 둘 다 고위험사용자(매일 흡연하면서 고위험 음주)의 경우 최근 10년 간 큰 변화 없이 남자 10명 중 1명(’21년 10.6%)으로 나타났다(그림 7 참고).

 

소량의 음주로 금세 얼굴이 빨개지는 알코올 홍조증*을 경험한 사람은 10명 중 4명(’21년 남 38.9%, 여 36.4%)이었다. 그 중 고위험음주를 하는 경우남자 14.0%, 여자 4.3%로 남자가 여자보다 3배 정도 더 높았다(그림 8 참고).

* 알코올 분해효소가 부족하여 생기는 증상으로, 이런 증상을 가진 사람이 지속적으로 고위험음주 시 식도암 등 암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고 보고됨1)

 

만성질환 치료약 복용자(만30세 이상,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천식 치료약을 1개 이상 복용) 고위험음주율남자 20.4%, 여자 9.0%로 남자에서 높았다(그림 9 참고).

 

 

 

 

[음주행태 관련 요인]

 

음주행태 관련 요인으로는 성, 연령, 건강행동 실천* 이었다.

* 현재 흡연, 고위험 음주, 신체활동 실천(30분 이상 주 2회 중등도 운동), 체중(BMI 25미만), 수면시간(평균 7-8시간), 아침식사, 간식섭취에 대해 건강생활 실천 시 점수 부여(0-7점)

 

여자보다 남자(고위험음주 3.04배, 월간폭음 3.58배, 지속적 위험음주 5.07배), 70대 이상에 비해 낮은 연령(40대에서 고위험음주 2.44배, 월간폭음 2.85배, 지속적 위험음주 1.52배)에서 음주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또한 건강행동 실천 점수가 낮을수록(0-3점에서 고위험음주 33.62배, 월간폭음 3.12배, 지속적 위험음주 8.33배) 음주할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났다(표 7 참고).

 

2

정책적 제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성인 음주행태 심층분석 결과, 최근 10년 간 남자가 여자보다 여전히 높은 음주율을 보이나 남자는 감소, 여자는 증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남자 40-50대, 여자 20-30대에서 높았다.

 

또한 담배와 주류 둘 다 사용자, 홍조증 경험자, 만성질환 치료약 복용자 등 취약집단에서 위험 음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심층분석 연구를 수행한 김광기 교수(인제대)는 “우리나라는 음주에 관대한 문화적 특성이 있으며, 특히 20-30대 여자 음주율이 높은 것은 도수가 낮은 술이나 과실주 등 주류상품 개발로 접근성이 높아지고, 음주에 대한 사회‧문화적 수용성도 높아진 영향으로 보여진다.”라고 전했다.

 

“주류 소비 및 음주폐해 감소를 위해서는 대국민 음주가이드라인 개발, 음주 경고문구 강화주류광고 및 마케팅 규제, 장소‧시간적 음주 제한 등 주류이용가능성 제한 정책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또한 “음주 취약집단 대상으로 상담 및 교육 등 보건의료서비스 강화와 개인이 음주 위험성을 인지하고 자율적인 의사결정 능력을 갖추는 등 음주 건강 문해력 향상을 위한 교육‧홍보가 필요하다.”라고 제언하였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음주는 만성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음주행태 개선을 위해서는 개인뿐만 아니라 음주조장 환경을 개선하는 사회 전반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하며,

 

“우리 청은 음주행태 감시와 근거 강화를 위한 국가건강조사를 지속하고 음주조장 환경 개선과 취약집단별 맞춤형 예방 정책 지원 등 음주폐해 감소 및 국민 건강증진을 위해 관계부처 간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이번에 발간된 심층보고서는 국가건강조사 분석보고서인 「국민건강통계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활용 가능하다.

*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https://knhanes.kdca.go.kr)

 

<붙임> 음주 심층분석 주요 결과

<별첨>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음주 심층보고서

 

붙 임

음주 심층분석 주요 결과

 

ㅇ 음주행태 지표별 추이 변화, 2012-2021

- 표 1.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1), 만19세 이상

(단위: %)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p-value
남자
25.1
22.5
23.7
23.9
24.1
24.1
24.0
21.5
25.3
23.6
0.805
연령(세)











19-29
21.3
20.3
15.8
15.5
19.1
19.3
18.7
14.2
15.9
18.1
0.185
30-39
28.3
26.3
28.6
27.3
25.2
26.2
22.7
20.6
25.5
22.4
0.009
40-49
31.6
29.5
28.8
31.7
29.3
30.4
31.0
26.2
34.5
29.2
1.000
50-59
28.8
24.0
30.9
28.0
30.4
28.0
28.9
29.4
29.2
29.8
0.300
60-69
17.3
11.6
18.4
22.4
22.5
18.7
25.6
21.6
28.4
23.3
0.012
70+
10.1
7.0
10.2
8.6
9.9
11.8
11.1
17.0
13.3
15.1
0.005












여자
7.9
7.2
8.8
7.7
8.1
9.1
10.5
8.6
8.1
8.9
0.163
연령(세)











19-29
10.6
10.5
10.3
12.7
11.2
12.2
17.5
10.3
9.7
10.7
0.817
30-39
11.6
9.6
11.9
8.4
11.2
11.1
11.6
10.3
11.4
13.2
0.266
40-49
8.6
6.3
9.4
6.0
7.4
7.9
10.1
9.5
9.7
10.7
0.049
50-59
4.1
6.7
7.3
7.1
7.3
8.2
7.7
6.2
5.3
5.2
0.889
60-69
1.6
1.8
3.0
3.7
1.9
6.2
4.3
6.6
2.1
1.1
0.564
70+
0.7
-
2.6
1.1
1.0
1.7
0.8
2.5
0.9
1.5
0.841

※ 전체, 성별 결과는 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표준화한 표준화 값이며, 연령별 결과는 당해연도 인구구조를 반영한 조율 값을 제시

1)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 연간음주자 중 최근 1년 동안 1회 평균 음주량이 남자의 경우 7잔 이상, 여자의 경우 5잔 이상이며, 주 2회 이상 음주한 사람의 분율, 만19세 이상

 

 

- 표 2. 연간음주자의 월간폭음률1), 만19세 이상

(단위: %)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p-value
남자
61.7
61.2
61.0
61.8
60.8
60.6
58.6
60.3
60.5
56.0
0.017
연령(세)
 
 
 
 
 
 
 
 
 
 

19-29
61.2
61.1
61.7
62.2
57.7
62.2
52.4
56.1
54.5
52.9
0.005
30-39
67.2
66.1
66.5
69.6
67.3
62.9
61.7
67.3
65.1
57.9
0.058
40-49
62.9
67.4
62.3
64.7
66.6
66.2
66.4
61.1
66.5
61.4
0.666
50-59
68.1
64.5
65.2
62.3
62.0
62.5
61.8
62.3
64.7
60.0
0.024
60-69
53.0
53.2
52.2
56.1
54.5
53.5
58.4
60.9
58.3
53.7
0.081
70+
41.0
31.0
41.0
33.0
37.3
37.4
36.9
43.7
40.9
37.3
0.415












여자
31.0
29.4
29.7
31.2
32.2
31.0
33.9
31.9
32.1
31.1
0.108
연령(세)
 
 
 
 
 
 
 
 
 
 

19-29
41.5
44.5
45.8
44.3
53.5
50.6
58.3
50.5
47.2
45.4
0.223
30-39
38.7
33.3
31.7
33.8
34.9
31.9
33.2
33.2
39.6
36.4
0.630
40-49
28.7
26.3
28.9
30.0
29.9
28.2
32.7
29.8
29.4
32.7
0.040
50-59
29.1
26.2
24.7
26.1
24.3
24.3
26.8
27.8
22.7
22.8
0.095
60-69
14.8
13.6
13.1
18.5
15.0
17.6
15.7
15.3
17.2
12.2
0.882
70+
5.8
7.3
7.0
11.9
3.3
7.0
3.0
7.1
7.0
6.4
0.687

※ 전체, 성별 결과는 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표준화한 표준화 값이며, 연령별 결과는 당해연도 인구구조를 반영한 조율 값을 제시

1) 연간음주자의 월간폭음률: 연간음주자 중 최근 1년 동안 월 1회 이상 한 번의 술자리에서 남자의 경우 7잔 이상, 여자의 경우 5잔 이상 음주한 사람의 분율, 만19세 이상

 

- 표 3. 연간음주자의 지속적 위험음주율1), 만19세 이상

(단위: %)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p-value
남자
9.8
8.4
10.8
9.7
10.7
9.3
9.5
9.1
9.2
9.5
0.612
연령(세)











19-29
2.5
4.0
3.9
3.4
6.6
3.8
2.8
2.7
2.7
4.2
0.838
30-39
7.2
5.3
10.6
6.3
8.8
7.1
7.2
7.6
8.7
6.6
0.852
40-49
12.3
10.0
11.9
14.1
11.6
11.3
10.4
8.8
12.4
13.1
0.941
50-59
17.2
16.3
15.1
17.9
16.2
13.5
15.0
15.6
13.6
12.9
0.014
60-69
14.0
11.2
15.4
13.7
14.6
14.3
18.7
17.1
10.6
15.7
0.482
70+
12.9
8.1
15.2
5.7
10.6
13.0
12.7
11.9
10.4
8.9
0.814












여자
2.7
2.4
3.1
2.6
3.0
3.2
3.2
2.2
2.6
2.8
0.925
연령(세)











19-29
3.1
2.5
3.5
2.9
3.4
1.8
4.0
2.6
2.9
1.7
0.371
30-39
3.4
2.4
2.7
3.9
3.6
4.9
2.6
2.2
3.7
5.7
0.250
40-49
2.9
3.5
3.4
1.3
2.3
2.7
3.4
1.9
2.3
3.0
0.575
50-59
2.4
2.5
3.1
2.9
3.1
3.0
4.7
1.9
2.6
2.0
0.798
60-69
1.2
1.0
2.7
1.9
2.9
4.1
2.1
3.5
0.9
0.5
0.946
70+
1.4
0.6
3.4
1.1
2.0
3.0
1.3
0.4
1.0
1.0
0.449

※ 전체, 성별 결과는 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표준화한 표준화 값이며, 연령별 결과는 당해연도 인구구조를 반영한 조율 값을 제시

1) 연간음주자의 지속적 위험음주율: 연간음주자 중 위험음주(한 번에 남자 5잔, 여자 3잔 이상)를 거의 매일(주 4회 이상)하는 사람의 분율, 만19세 이상

 

 

ㅇ 음주 취약집단의 추이 변화, 2012-2021

- 표 4. 담배 및 주류 둘 다 고위험사용자 비율1), 만19세 이상, 남자

(단위: %)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p-value
남자
13.5
11.2
11.7
11.6
11.7
10.7
11.4
10.5
12.2
10.6
0.108
연령(세)











19-29
14.8
10.1
7.2
9.2
11.7
8.8
9.7
9.0
9.4
9.4
0.233
30-39
17.8
14.5
17.3
16.8
14.1
13.0
13.5
11.8
14.3
10.7
0.004
40-49
16.7
15.2
15.3
14.5
13.2
15.3
16.8
13.7
18.4
15.2
0.757
50-59
11.5
11.5
11.8
12.5
14.6
10.3
11.2
13.7
11.1
11.8
0.959
60-69
5.4
3.6
7.4
4.1
6.5
6.1
5.8
5.4
8.3
7.3
0.094
70+
1.1
1.1
1.6
1.7
1.4
1.7
0.9
2.3
2.9
2.1
0.021

※ 전체, 성별 결과는 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표준화한 표준화 값이며, 연령별 결과는 당해연도 인구구조를 반영한 조율 값을 제시

1) 담배 및 주류 둘 다 고위험사용자 비율(남자): 남자 중 고위험음주자(최근 1년 동안 1회 평균 음주량이 7잔 이상이며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사람)이면서 종류와 상관없이 담배제품을 현재 매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의 분율, 만19세 이상

 

- 표 5. 홍조증 경험자의 고위험음주율1), 만19세 이상

(단위: %)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p-value
남자
-
-
-
-
-
-
-
14.4
14.2
14.0
0.012
연령(세)











19-29
-
-
-
-
-
-
-
11.6
9.2
13.1
0.757
30-39
-
-
-
-
-
-
-
12.8
16.1
15.4
0.458
40-49
-
-
-
-
-
-
-
17.2
19.2
16.1
0.768
50-59
-
-
-
-
-
-
-
19.2
16.9
13.2
0.076
60-69
-
-
-
-
-
-
-
12.6
11.8
15.0
0.497
70+
-
-
-
-
-
-
-
13.3
6.7
6.3
0.303












여자
-
-
-
-
-
-
-
6.3
4.7
4.3
0.222
연령(세)











19-29
-
-
-
-
-
-
-
8.1
7.9
5.4
0.287
30-39
-
-
-
-
-
-
-
7.9
6.5
5.1
0.004
40-49
-
-
-
-
-
-
-
6.4
3.5
5.1
0.686
50-59
-
-
-
-
-
-
-
4.9
3.1
4.9
0.988
60-69
-
-
-
-
-
-
-
4.0
1.0
-
-
70+
-
-
-
-
-
-
-
1.1
0.8
1.1
0.899

※ 전체, 성별 결과는 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표준화한 표준화 값이며, 연령별 결과는 당해연도 인구구조를 반영한 조율 값을 제시

1) 홍조증 경험자의 고위험음주율: 과거에 홍조증을 경험했거나 또는 현재 경험하고 있으면서 최근 1년 동안 1회 한 번의 음주량이 남자 7잔 이상, 여자 5잔 이상이며, 주 2회 이상 음주하는 사람의 분율, 만19세 이상

 

 

- 표 6. 만성질환 치료약 복용자의 고위험음주율1), 만30세 이상

(단위: %)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p-value
남자
24.1
26.8
28.4
25.5
28.3
20.1
26.7
21.7
26.1
20.4
0.195
연령(세)











30-39
-2)
-
-
-
-
-
-
-
-
-
-
40-49
29.2
34.7
46.7
33.7
32.9
34.1
38.3
33.5
31.0
29.9
0.478
50-59
25.1
20.6
29.5
23.1
28.6
28.0
30.5
32.0
24.8
23.1
0.540
60-69
12.5
9.2
14.3
18.0
19.5
15.9
25.7
17.9
24.0
16.7
0.037
70+
6.2
4.3
7.0
7.0
8.3
7.4
7.7
13.7
7.5
8.8
0.059












여자
0.9
4.9
5.3
3.4
3.9
11.2
4.4
4.1
6.5
9.0
0.099
연령(세)











30-39
-
-
-
-
-
-
-
-
-
-
-
40-49
0.6
6.6
3.5
4.6
9.5
5.4
10.0
3.2
8.3
13.1
0.039
50-59
2.9
2.1
7.4
8.7
6.6
3.8
7.0
4.5
4.8
4.2
0.861
60-69
0.6
0.9
1.8
2.5
1.3
4.2
3.1
4.0
0.7
0.4
0.642
70+
-
-
1.7
0.2
0.2
0.5
0.3
0.8
0.2
0.3
0.276

※ 전체, 성별 결과는 2005년 추계인구로 연령표준화한 표준화 값이며, 연령별 결과는 당해연도 인구구조를 반영한 조율 값을 제시

1) 만성질환 치료약 복용자의 고위험음주율: 현재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천식, 당뇨병 약을 1개라도 복용하고 있는 사람 중 최근 1년 동안 1회 평균 음주량이 남자의 경우 7잔 이상, 여자의 경우 5잔 이상이며, 주 2회 이상 음주한 사람의 분율, 만30세 이상

2) 분석대상자 수가 20명 미만으로 결과 비제시

 

ㅇ 음주행태 관련 요인, 2019-2021

- 표 7. 음주행태 관련 요인 분석, 만19세 이상

구분
연간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
연간음주자의
월간폭음률
연간음주자의 지속적 위험음주율
사회인구학적 특성



성별(기준: 여자)
3.04
3.58
5.07
연령(기준: 70세 이상)



20대
1.45
3.28
0.74
30대
2.03
3.14
1.44
40대
2.44
2.85
1.52
50대
2.41
2.21
1.73
60대
1.86
1.62
1.68
결혼상태(기준: 미혼)



별거/사별/이혼
1.03
1.02
1.52
배우자와 동거
1.05
1.23
1.70
교육수준(기준: 중졸 이하)



고졸
1.27
1.31
1.11
대졸
0.95
1.06
0.71
대학원 이상
0.74
0.81
0.46
소득수준(기준: 1분위(하))



2분위(중하)
1.15
1.02
1.19
3분위(중)
1.09
1.08
1.05
4분위(중상)
1.10
1.18
1.24
5분위(상)
1.06
1.13
1.13
가구특성(기준: 다인가구)



1인가구
1.14
1.20
1.25
홍조증(기준: 현재 홍조증 있음)



홍조증 없음
2.31
2.36
2.17
주관적 건강수준(기준: 좋음)



보통
0.99
0.92
1.09
나쁨
1.02
0.89
1.70
건강행동 실천 점수(기준: 매우높음 6~7점)



보통(4~5점)
6.26
1.53
2.76
낮음(0~3점)
33.62
3.12
8.33
* OR값 제시, 음영 표시된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나는 지표
†건강행동 실천 점수는 Alameda 7의 기준을 적용하였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 설문 문항 중 끼니별(간식) 결식 여부, 식사빈도(아침식사), 신체활동(중등도 신체활동 실천 및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 수면시간, 담배제품 현재사용 여부(일반담배 현재 흡연여부, 니코틴 포함 액상형 전자담배 월간 사용여부, 궐련형 전자담배 현재 흡연여부, 기타 담배종류별 현재 사용여부), 음주빈도와 음주량, 체중 및 신장을 활용하여 건강행동 실천 점수를 산출함.

 


1) Zhang et al. Facial flushing after alcohol consumption and the risk of cancer. Medicine (2017) 96:1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