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은 부가가치세 예정신고·고지 납부하는 달입니다
2023.10.05 국세청
10월은 부가가치세 예정신고‧고지 납부하는 달입니다.
|
- 경영이 어려운 영세사업자, 수출・중소기업 등 최대한 지원 -
|
□ (신고개요) 법인사업자 60만 명은 10월 25일(수)까지 2023년 제2기 예정 부가가치세를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 (예정고지) 개인 일반과세자 218만 명과 소규모 법인사업자* 17만 명은 국세청에서 송부한 예정고지서에 의해 10월 25일(수)까지 납부하시면 됩니다.
* 직전 과세기간(’23년 1월 ~ 6월, 6개월) 공급가액 합계액이 1억 5천만 원 미만
□ (신고안내) 법인사업자의 성실신고를 지원하기 위해 홈택스 「신고도움서비스」를 통한 맞춤형 도움자료*를 최대한 제공합니다.
* (’22년 2기 예정) 61종, 19.0만 명 → (’23년 2기 예정) 61종, 19.3만 명 (1.6%↑)
○ 홈택스 접속 시 내비게이션을 통해 「신고도움서비스」에 바로 접근이 가능하며, 세무대리인은 수임한 납세자에게 제공된 신고도움자료를 일괄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세정지원) 국세청(청장 김창기)은 수출‧투자를 지원하고 기업의 자금유동성 제고를 위해 수출기업, 중소‧영세기업 등에게 납부기한 연장 및 환급금을 조기에 지급하겠습니다.
□ (신고검증) 신고 후에는 그 내용을 분석하여 불성실 신고자에 대해서는 신고내용확인을 실시하고 있으니 성실한 신고를 당부 드립니다.
|
1
|
|
’23년 2기 부가가치세 예정신고‧고지 납부는 10월 25일까지
|
□ (신고개요) 부가가치세 과세사업을 영위하는 법인사업자*는 ’23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사업 실적에 대한 부가가치세를 10월 25일(수)까지 신고・납부하여야 합니다. 【참고 1,2】
* 다만, 직전 과세기간(6개월) 공급가액 합계액이 1억 5천만 원 미만인 소규모 법인사업자는 예정신고 의무가 없고, 고지된 예정고지세액을 납부
○ 이번 신고의무 대상자는 60만 명으로, ’22년 2기 예정신고(58만 명) 보다 약 2만 명 증가하였습니다.
□ (전자신고) 신고 대상 사업자는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를 통해 신고서 주요 항목을 바로 조회하여 채울 수 있는 ‘미리채움’(총 30종) 서비스를 이용하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참고 3】
○ 사업 실적이 없는 경우에는 모바일 손택스로 간편하게 신고도 가능합니다.
* 홈택스 및 손택스 전자신고 가능 시간 : 10. 1. ∼ 10. 25. 매일 06:00 ∼ 24:00
□ (예정고지) 개인 일반과세자(218만 명)와 소규모 법인사업자(17만 명) 총 235만 명은 직전 과세기간(’23. 1. 1. ~ ’23. 6. 30.) 납부세액의 1/2에 해당하는 세액(50만 원 미만 제외)을 납부하여야 합니다.
○ 예정고지 세액이 50만 원 미만인 경우 고지하지 않으니, ’24년 1월 확정신고 기간에 신고・납부 하시면 됩니다.
□ (전자납부) 자진 납부할 세금은 홈택스(PC, 모바일)를 통해 계좌이체, 신용카드, 간편결제로 편리하게 납부할 수 있으며,
○ 세무서 무인수납창구(신용카드) 또는 금융기관에서 직접 납부할 수도 있습니다.
2
|
|
자발적 성실신고 지원을 위한 법인사업자 맞춤형 안내
|
□ (신고도움서비스) 사업자의 성실신고에 도움이 되도록 홈택스 「신고도움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안내자료를 제공합니다.
□ (공통 도움자료) 모든 법인사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화한 자료*와 동일업종 매출·매입 분석자료, 세법개정내용, 세법해석사례, 대법원 주요판례, 실수하기 쉬운 사례 등 신고 시 유의할 사항을 안내합니다. 【참고 4】
* 최근 2년 부가가치세 신고상황, 신용카드 및 현금영수증 매출 비중, 면세매출 비중
□ (개별 도움자료) 빅데이터, 외부기관 과세자료, 과세기반(세금계산서·신용카드·현금영수증) 등을 분석하여, 업종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도움자료*를 일부 법인사업자(19만 명)에게 제공합니다.
* (’22년 2기 예정) 61종, 19.0만 명 → (’23년 2기 예정) 61종, 19.3만 명 (1.6%↑)
| 업종별 주요 맞춤형 도움자료 (예시) |
|
|
공통
|
• 신용카드 사적사용분 및 비영업용승용차 구입내역 분석자료 안내
|
전문직
|
• 세무대리인 불복수임료 성실신고 안내, 고소득・전문직 수입금액 성실신고 안내
|
부동산
|
• 부동산임대업자 성실신고 안내, 토지분 중개수수료 매입세액 불공제 안내
|
서비스
|
• 게임앱 개발업체 영세율 매출 등 성실신고 안내, 유튜버 사업자의 간접광고 수익 성실신고 안내
|
건설업
|
• 근로복지공단 산재보험료 관련 건설공사 자료, 소방시설공사 착공내역 안내
|
도소매
|
• 재활용폐자원 부당공제 혐의분석 자료, 플랫폼 사업자 지급 수수료 안내
|
□ (조회방법) 홈택스 접속 시 하단에 있는 내비게이션 펼치기 버튼을 클릭한 후 「신고도움서비스」에 바로 접근이 가능하며, 세무대리인은 수임한 납세자에게 제공된 신고도움자료를 일괄하여 조회할 수 있으므로,
○ 신고 전에 「신고도움서비스」를 반드시 조회한 후, 도움자료를 반영하여 성실하게 신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접근경로〕
[납세자용] 홈택스 〉 세금신고 〉 부가가치세 신고〉 부가가치세 신고도움서비스
[세무대리인용] 홈택스 〉 세무대리・납세관리 〉 세무대리 〉 부가가치세 신고도움서비스
3
|
|
중소‧수출기업 등에 대한 적극적 세정지원
|
□ (환급금 조기지급) 기업의 자금 유동성을 원활히 하고 수출·투자 지원을 위해 적극행정의 하나로 중소‧혁신기업, 수출기업 등에 환급금을 조기에 지급하고 있습니다.
○ (조기환급) 세정지원 대상 기업이 10월 25일(수)까지 조기환급을 신청하는 경우, 부당환급 혐의가 없으면 환급금을 11월 3일(금)까지 지급*하겠습니다.
* 법정지급기한인 ’23. 11. 9. 보다 6일 앞당겨 지급
| 세정지원 대상 기업 |
|
① 직전년도 매출액 1,500억 원 이하 & 3년 이상 계속 사업한 중소기업
② 매출액 10억 원 이하 영세사업자
③ 납세자의 날 정부포상·표창 수상자 (모범납세자관리규정 제3조)
④ 혁신성장 기업, 신산업 분야 중소기업 (반도체, 바이오, 환경 등)
⑤ 일본 수출규제 피해 중소기업
⑥ 수출기업 세정지원 대상 사업자* [’23. 4월 추가]
* (개인) ’22년 수출액이 매출액의 50% 이상 & 매출과표 5억이상 + 관세청·코트라(KOTRA) 선정 수출기업
(법인) ’21년, ’22년 수출액이 매출액의 50% 이상인 중소기업 + 관세청·코트라(KOTRA) 선정 수출기업
⑦ 코로나19 관련 특별재난지역 사업자 및 직접 피해 사업자
⑧ 고용위기지역,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특별재난지역 사업자
|
□ (납부기한 연장) 복합 경제위기, 재난 피해 등으로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업자가 납부기한 연장을 신청하는 경우 최대 9개월까지 지원하겠습니다.
○ 납부기한 연장은 세무서 방문 없이 홈택스1), 모바일 손택스2), 우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홈택스] ① 국세증명・사업자등록・세금관련 신청/신고 → ② 세금관련 신청・신고 공통분야 → ③ 신고・납부기한 신청/내역조회 → ④ 신고분(고지분) 납부기한 연장 신청
2) [손택스] ① 신청/제출 → ② 세무서류신청-공통분야 → ③ 일반세무서류신청 → ④ 민원명 ‘납부기한’ 또는 ‘신고기한’ 검색 → ⑤ ‘모바일 신청’에서 신청
4
|
|
홈택스 개선을 통한 납세자 신고편의 제고
|
□ (현금매출명세서 작성누락 방지) 현금매출명세서 필수 제출 사업자가 서식 작성을 누락한 상태에서 신고서 작성을 완료하면, 팝업 안내 후 바로 현금매출명세서 작성 화면으로 이동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습니다.
* (당초) 신고서 입력완료 단계에서 신고서 오류로 체크, 직접 화면이동 후 현금매출명세서 작성 ⇨ (개선) 팝업으로 안내 후 현금매출명세서 작성 화면으로 바로 이동

□ (현금매출명세서 안내문구 개선) 현금매출명세서 작성방법을 이해하기 쉽도록 작성항목에 맞게 안내 문구 위치를 수정하고, 안내 문구를 추가 하였습니다.
□ (의제매입세액공제 개선) 의제매입세액공제 한도 계산 시 면세농산물 등 관련 과세표준을 과다하게 기재하여 공제한도가 초과되지 않도록 부당공제 유의사항 안내를 추가하였습니다.
* (안내문구 추가) 면세농산물 등 관련 과세표준을 과다하게 기재하여 의제매입세액 공제한도를 초과, 부당공제시 의제매입세액공제 부인 및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유튜브 등 영세율 서식 추가)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101조【영세율 첨부서류의 제출】제1항 제10호 다목 개정에 따른 홈택스 서식*을 추가하였습니다.
* 「정보통신망을 통해 공급하는 용역제공 내역서(별지 제8호 서식)」 [’23.2.28.이후 공급분부터 적용]
5
|
|
불성실 신고자에 대한 신고 후 검증 강화
|
□ 국세청은 사업자가 성실하게 신고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자료를 신고 전에 최대한 제공하고 있습니다.
○ 다만, 불성실 신고자에 대해서는 신고내용확인을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탈루혐의가 큰 불성실 신고자는 조사대상자로 선정하여 철저히 검증할 예정입니다.
□ 또한, 부당한 환급신청에 대해서는 ‘부당환급 검색시스템’과 ‘전자세금계산서 조기경보시스템’ 등을 통하여 철저히 검증할 예정입니다.
| 부당환급 주요 적발 사례 |
• 사업과 무관한 골프회원권을 매입세액공제대상으로 하여 부가가치세 환급신고
- 직원이 없는 부동산 시행업자가 대표이사 기명으로 골프회원권을 매입한 바, 사업관련성 및 임직원 복리후생 목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매입세액 불공제
|
• 면세사업자가 과세사업자로 위장등록하고 부가가치세 환급신고
- 별다른 매출 없이 임대료 매입만 있는 스터디카페업자가 부가가치세 환급을 신고하였으나, 현장확인 결과 부가가치세가 면세되는 학원을 운영하는 자로 자습실 중 일부를 스터디카페로 위장등록한 것이 확인되어 매입세액 불공제
|
□ 법인사업자는 성실신고가 최선의 절세방법임을 인식하고 제공해 드린 신고도움자료를 참고하여 성실하게 신고하여 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
’23년 제2기 부가가치세 예정신고 참고자료
|
1. 부가가치세 제도 개요··· 9
2. 부가가치세 신고・납부방법 안내··· 10
3. 미리채움 서비스 제공 항목 및 일정··· 12
4. 부가가치세 신고도움 서비스··· 13
|
참고 1
|
|
부가가치세 제도 개요
|
1 계속사업자
○ 일반과세자(법인·개인일반 사업자)
- 일반적인 경우 법인*은 1년에 4회, 개인은 2회 신고
* 소규모 법인사업자(1억 5천만 원 미만)는 ’21년 4월부터 예정고지 제도 시행
|
||||
과세기간
|
과세대상기간
|
신고납부기간
|
신고대상자
|
|
제1기
1.1.~6.30.
|
예정신고
|
1.1.~3.31.
|
4.1.~4.25.
|
법인사업자
|
확정신고
|
4.1.~6.30.
|
7.1.~7.25.
|
법인사업자
|
|
1.1.~6.30.
|
7.1.~7.25.
|
개인 일반사업자
|
||
제2기
7.1.~12.31.
|
예정신고
|
7.1.~9.30.
|
10.1.~10.25.
|
법인사업자
|
확정신고
|
10.1.~12.31.
|
다음해 1.1.~1.25.
|
법인사업자
|
|
7.1.~12.31.
|
다음해 1.1.~1.25.
|
개인 일반사업자
|
||
- 개인 일반과세자와 소규모 법인사업자는 직전 과세기간(6개월) 납부세액의 50%*를 예정고지·납부(4월, 10월 예정신고 의무 없음)
* 다만, 징수하여야 할 금액이 50만 원 미만이거나 과세기간 개시일 현재 일반과세자로 과세유형 전환된 사업자 제외
- 사업이 부진*하거나 조기환급이 발생하는 경우에 예정신고 하는 방법을 선택하면, 예정고지세액은 결정취소
* 휴업 등으로 각 예정신고기간의 공급가액 또는 납부세액이 직전 과세기간의 공급가액 또는 납부세액의 1/3에 미달하는 사업자
○ 간이과세자
- (과세기간) 1.1. ~ 12.31.까지 1년
- (신고․납부 기간) 다음해 1.1. ~ 1.25.까지 신고․납부
- 간이과세자*는 직전 과세기간(1년) 납부세액의 50%를 예정부과세액(7월)으로 고지서에 의해 납부(고지세액 50만 원 미만, 유형전환자 제외)
* 다만, 7월 1일 기준 과세유형전환 사업자(간이→일반)와 예정부과기간(1.1.∼6.30.)에 세금계산서를 발행한 간이과세자는 1.1.∼6.30. 기간의 실적을 7.25.까지 신고·납부
2 신규사업자
- (과세기간) 사업개시일로부터 그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 종료일까지
- (신고․납부 기간) 계속사업자와 동일
3 폐업자
- (과세기간) 폐업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개시일부터 폐업일까지
- (신고․납부 기간) 폐업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25일까지
|
참고 2
|
|
부가가치세 신고 ․ 납부방법 안내
|
1. 부가가치세 신고
구 분
|
주 요 내 용
|
전자신고
(PC)
|
○ 대상자: 모든 사업자
-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에서 회원 가입
- 처음 이용하는 경우 국세청 홈택스 회원가입 필요
․ (개인) 공동·금융인증서(주민등록번호 발급), 본인명의 휴대전화, 본인명의 신용카드 번호 중 하나 선택
․ (법인) 공동·금융인증서(사업자등록번호 발급),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용 보안카드 중 하나 선택
○ 접근방법: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
※ 회원 접속 → ‘세금신고 - 부가가치세 신고’ 메뉴 선택
또는 회원 접속 → 홈택스 내비게이션 → 신고서 작성
○ 이용시간: 10. 1.~10. 25. 매일 06:00~24:00
※ (전자신고 장점) 전자세금계산서 합계표, 신용카드・현금영수증
매출・매입 등 30가지 항목을 조회할 수 있음
○ 전자신고 요령은 국세청 누리집(www.nts.go.kr) 참조
※ (매뉴얼) 국세신고안내 > 개인신고안내 > 부가가치세 > 참고자료실
※ (동영상) 국세신고안내 > 개인신고안내 > 부가가치세 > 동영상자료실
|
모바일
신 고
(스마트폰)
|
○ 대상자: 개인 일반과세자
○ 접근방법: 스마트폰에서 ‘홈택스 앱’을 내려받아 설치
※ 회원 접속 후 ‘신고/납부’ → ‘부가가치세 간편신고’ 선택
○ 모바일 신고 요령은 국세청 누리집(www.nts.go.kr) 참조
※ (매뉴얼) 국세신고안내 > 개인신고안내 > 부가가치세 > 참고자료실
※ (동영상) 국세신고안내 > 개인신고안내 > 부가가치세 > 동영상자료실
|
우편신고
․
방문신고
|
○ 이용시간: 2023. 10. 25.(수) 18:00까지
○ 부가가치세 신고서와 부속서류를 작성하여 납세지 관할
세무서에 우편 또는 직접 접수
|
2. 부가가치세 납부
구 분
|
주 요 내 용
|
홈택스
(PC,모바일)
|
○ 국세청 홈택스 납부(공동·금융인증서 접속)
- 전자신고 후 전자납부 하는 경우
☞ ‘납부・고지・환급’ → ‘세금납부’ → ‘납부할세액 조회납부’
- 서면신고 후 전자납부 하는 경우
☞ ‘납부・고지・환급’ → ‘세금납부’ → ‘자진납부’
○ 계좌이체, 신용카드, 간편결제 납부
○ 신용카드 납부대행 수수료*는 사업자가 부담
* 납부세액의 0.8%(체크카드는 0.5%)
○ 페이코, 앱카드*, 삼성・카카오·네이버페이 이용자는 간편결제로 납부 가능
* 6개 카드사(국민·농협·롯데·삼성·신한·현대)
○ 납부시간: 07:00 ~ 23:30(연중 무휴)
|
금융결제원 (인터넷지로, 카드로택스)
|
○ 금융결제원 사이트 납부(www.giro.or.kr, www.cardrotax.kr)
○ 공동·금융인증서로 접속 후 기본정보(납세자 정보, 세목, 납부금액 등)를 조회 또는 입력한 후 납부
○ 계좌이체, 신용카드, 간편결제 납부
○ 납부시간: 00:30 ~ 23:30(연중 무휴)
|
금융기관
(수납창구, CD/ATM, 인터넷뱅킹
등)
|
○ (수납창구) 현금, 계좌이체, 가상계좌 납부
○ (CD/ATM) 계좌이체, 신용카드(분할납부불가), 가상계좌 납부
○ (인터넷뱅킹) 계좌이체, 가상계좌 납부
○ (ARS) 계좌이체, 가상계좌 납부
○ (공과금수납기)* 계좌이체 납부
* 금융기관에서 공과금 납부 전용을 위해 설치된 단말기
○ 납부시간: 은행 운영에 따라 변동 가능
|
세무서
(무인수납
창구 등)
|
○ (무인수납창구)* 신용카드 납부
* 신용카드수납기로 납세자가 직접 이용
|
참고 3
|
|
미리채움 서비스 제공 항목 및 일정
|
No
|
구분
|
제공 항목 (총 30종)
|
제공일정
|
비고
|
1
|
매출
|
전자세금계산서(거래처별 명세 포함) 매출 합계
|
23.10.12
|
|
2
|
신용카드 매출
|
23.10.13.
|
|
|
3
|
판매·결제대행자료
|
23.10.17.
|
|
|
4
|
현금영수증 매출
|
23.10.1.
|
|
|
5
|
내국신용장 · 구매확인서 전자발급금액
|
23.10.15.
|
|
|
6
|
수출실적 내역 (수출신고번호, 선적일, 수출액, 환율)
|
23.10.11.
|
|
|
7
|
매입
|
전자세금계산서(거래처별 명세 포함) 매입 합계
|
23.10.12.
|
|
8
|
수출 중소법인의 수입 부가가치세 납부유예세액
|
23.10.14.
|
|
|
9
|
사업용 신용카드 매입
|
23.10.13.
|
|
|
10
|
화물운전자복지카드 매입
|
23.10.1.
|
|
|
11
|
현금영수증 매입
|
23.10.1.
|
|
|
12
|
면세농산물등 매입가액(의제매입세액 공제신고서)
|
23.10.14.
|
|
|
13
|
공제
|
직전기 재고매입세액
|
23.10.1.
|
|
14
|
재고납부세액
|
-
|
확정
|
|
15
|
신용카드 매출전표 발행세액공제 기공제세액
|
23.10.1.
|
|
|
16
|
일반과세자 예정신고 미환급세액
|
-
|
확정
|
|
17
|
일반과세자 예정고지세액
|
-
|
확정
|
|
18
|
간이과세자 예정부과세액
|
-
|
확정
|
|
19
|
간이과세자 예정신고세액
|
-
|
확정
|
|
20
|
철스크랩 등 매입자납부특례 기납부세액
|
23.10.15.
|
|
|
21
|
재활용폐자원 의제매입세액공제 신고서상 계산서 금액
|
23.10.14.
|
|
|
22
|
신용카드사를 통한 대리납부 관련 세액공제금액
|
23.10.11.
|
|
|
23
|
기타
|
부동산임대공급가액명세서 직전기 임차인 명세
|
23.10.1.
|
|
24
|
수정신고․경정청구시 당초 부가세 신고서 및 부속서류
|
신고마감후
|
|
|
25
|
전자세금계산서 발급세액 공제액
|
23.10.12
|
|
|
26
|
전자계산서 매출 합계, 거래처별 명세
|
23.10.12.
|
|
|
27
|
전자계산서 매입 합계, 거래처별 명세
|
23.10.12.
|
|
|
28
|
국고입금세액 정보(세무대리인)
|
23.10.15.
|
|
|
29
|
전자세금계산서 지연 발급․수취․전송 관련 가산세 내역
|
23.10.15.
|
|
|
30
|
음식・숙박업 직전기 사업장현황명세서
|
-
|
확정
|
참고 4
|
|
부가가치세「신고도움 서비스」화면
|
□ 일반 접근경로 (납세자)


□ 일반 접근경로(세무대리인)


□ 화면 내용 (예시)
○ 개별분석자료
|
|
○ 기본사항
|
|
○ 세법개정내용
|
|
○ 세법해석사례
|
|
○ 대법원 주요판례
|
|
○ 과거 신고내용분석
|
|
|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처투자사(벤처캐피탈) 업계 의견을 대폭 반영한 「벤처투자 활력제고 방안」 발표 (0) | 2023.10.05 |
---|---|
임업직불금 대상지 합동 실태조사 실시 (0) | 2023.10.05 |
2023년 10월의 독립운동가, ‘의열활동의 주역’ <이종암·이강훈·엄순봉 선생> 선정 (0) | 2023.10.04 |
육아 친화적 근로환경 조성을 위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자녀 나이 확대 등 추진 (0) | 2023.10.04 |
지방자치단체 대상 ‘공직부패 100일 특별감찰’ 적발사례 공개 (0) | 2023.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