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고 특화훈련, 첨단·디지털 분야로 확대
2023.09.25 고용노동부
![](https://blog.kakaocdn.net/dn/bPUJLE/btsvYXxIVRI/VAWcejAruemrrhwEVeLrkK/img.png)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와 직업능력심사평가원(원장 최영섭)은 취업을 희망하는 일반고 3학년생의 신기술분야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고용노동부 일반고 특화훈련(신기술과정)’을 실시한다.
이는 산업구조가 첨단·디지털 분야로 전환되면서 변화하고 있는 기업들의 고졸 인력 수요*를 반영한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훈련 직종, 훈련 방법, 훈련과정 설계 프로세스 등을 개편하여 훈련생들에게 새로운 훈련을 제공한다.
* 유망 신산업(IoT 가전, 미래형 자동차 등) 고졸 인력 부족률: (‘18) 1.6% → (’20) 2.2% (22, 산업부)
주요 개편사항은 다음과 같다. ➊ 첨단·디지털 분야 훈련 직종이 확대된다. 3D프린터, VR/AR 콘텐츠 개발, 빅데이터 등 16개 직종이 추가된다. ❷ 훈련과정 설계 및 운영에 기업이 직접 참여하여 현장 맞춤형 실무인재를 양성한다. ❸ 프로젝트 학습과 포트폴리오 설계 등 참여형 훈련방식을 도입한다. ❹ 기존 훈련비 지원 단가의 130%를 우대(창의적 체험활동 제외)한다.
권태성 직업능력정책국장은 “변화하는 노동시장의 인력 수요에 맞추어 다양한 분야의 고졸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훈련생들이 일반고 특화훈련을 수료한 후 유망한 신기술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첨단·디지털 분야 훈련과정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고용노동부 일반고 특화훈련(신기술과정)’을 운영하고자 하는 훈련기관은 9.25.(월) 개최될 설명회와 직업능력심사평가원 누리집 내 게재될 설명 영상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한 후 10.25.(수)까지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붙임1: 고용노동부 일반고 특화훈련(신기술과정) 개요
붙임2: 고용노동부 일반고 특화훈련(신기술과정) 설명회 개요
참고 1
|
|
고용노동부 일반고 특화훈련(신기술과정) 사업개요
|
<참고> 일반고 특화훈련 사업 개요
▴(사업목적) 취업을 희망하는 일반고 3학년의 직업능력 개발훈련 기회 확대
▴(훈련내용) 약 10개월 범위에서 직종별 전공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
▴(지원내용) ①훈련비 전액 ②단위 기간 출석률 80% 이상 시 훈련장려금 지급
|
□ 사업목적
ㅇ 산업구조 전환에 대응하여 실무역량을 갖춘 국기·첨단·디지털 분야 고졸 인재 양성을 위한 일반고 특화훈련 별도 트랙 신설
□ 지원내용
ㅇ (지원대상) 일반계고 3학년
ㅇ (훈련직종) 일반고 국기 직종(38개) 및 첨단·디지털 분야 국기 직종(23개)
ㅇ (훈련과정) 1,156~1,300시간(약 10개월) 범위 내 직종별 전공교과, 실무과제, 창의적 체험활동(노동인권교육, 취업지원프로그램 등) 편성
- 기업이 훈련과정 설계에 직접 참여하여 실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프로젝트 기반 학습, 개별 포트폴리오 제작, 멘토링 등) 편성
ㅇ (훈련비 등) 훈련비 전액, 훈련장려금(월 최대 11.6만원) 지원
ㅇ (선정 규모) 5개 기관(각 1개 과정)
* 심사 결과 및 지역에 따라 선정 규모 변경 가능
□ 지원절차
ㅇ 운영 TF*를 구성하여 운영 현황 모니터링 및 컨설팅 제공
* 고용노동부, 교육부(교육청), 훈련기관, 직업능력심사평가원
< 고용노동부 일반고 특화훈련(신기술과정) 지원절차 >
훈련과정
심사‧선정
|
⇨
|
훈련생 모집‧배정
|
⇨
|
훈련과정 운영
|
⇨
|
운영 현황 모니터링
|
⇨
|
훈련비 등 지급
|
⇨
|
운영성과 분석
|
고용부·심평원
|
시·도 교육청
|
훈련기관
|
운영 TF
|
고용센터
|
운영 TF
|
|||||
참고 2
|
|
고용노동부 일반고 특화훈련(신기술과정) 설명회 개요
|
□ 일시 및 장소
ㅇ (일시) ’23.9.25.(월) 14:00
ㅇ (장소) 직업능력심사평가원 1001호
□ 세부 진행 일정
○ (주요내용) 정책방향, 도입배경 및 선정 심사 기준 설명, 사업운영계획서 작성법, 질의응답 시간으로 구성
구 분
|
내 용
|
시 간
|
인사말
|
인사말 및 정책방향
|
3’
|
추진배경
|
고용노동부 일반고 특화훈련(신기술) 심사 도입 배경
|
7’
|
심사기준
|
심사항목 및 세부 기준
|
15’
|
신청방법
|
사업 운영 계획서 작성법
|
15’
|
질의응답
|
전체 질의응답
|
30‘
|
□ 향후 일정
ㅇ 심사 접수: ’23. 10. 4.(수) 10:00 ~ 10. 25.(수) 18:00
ㅇ 심사 운영: 10~11월
ㅇ 결과 발표: 12월 초(예정)
구분
|
문의처
|
심사평가 전반
|
◈ 직업능력심사평가원 정책특화심사센터 특화심사파트
(유 선) 02-6943-4050 → 내선 2번
(누리집) www.ksqa.or.kr → 소통마당 → 정책특화심사Q&A
|
HRD-Net
심사평가시스템
|
◈ 한국고용정보원
(유 선) 1577-7114
(누리집) www.hrd.go.kr → 고객센터 → 질문과 답변
|
NCS 확인강사 및
보수교육
|
◈ 능력개발교육원
(유 선) 041-521-8000 → 내선 5번
(누리집) www.hrdi.koreatech.ac.kr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워진 ‘예술인패스’로 다양한 혜택 누리세요 (0) | 2023.09.27 |
---|---|
가짜뉴스 대응 민관협의체 출범 (0) | 2023.09.27 |
첨단 무인기 이용한 생태 분석으로 멧돼지 피해 막는다 (0) | 2023.09.26 |
경찰, 청소년 대상 불법 사이버도박 특별단속 실시 (0) | 2023.09.26 |
2023 고령자 통계 (0) | 2023.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