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한 재난안전 기술과 연구개발 25건 표창
2023.09.12 행정안전부
우수한 재난안전 기술과 연구개발 25건 표창
|
- 2023 대한민국 안전기술대상 8점, 재난안전 연구개발대상 17점 선정·시상
- 화재, 사면붕괴, 안전사고 등 예방을 위한 다양한 첨단기술과 연구성과 선보여
|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2023년 대한민국 안전기술대상’과 ‘2023년 재난안전 연구개발대상’ 수상작으로 재난안전관리 분야 우수 안전기술·제품 8점과 우수 연구개발성과 17점을 각각 선정했다고 밝혔다.
○ 이번 수상작에 대한 시상식은 주한 외교사절단, 관계기관 주요인사 등 내외빈 80여 명이 참석하는 「2023년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 개막식(13일,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하여 안전산업·연구개발 종사자의 사기를 진작하고 수상의 영예를 더욱 높인다.
□ ‘대한민국 안전기술대상’은 재난안전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2015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우수한 첨단 안전기술이나 제품에 대하여 시상하는 것이다.
○ 올해는 지난 4월부터 40일간의 공모를 거쳐 총 60건이 접수되었고, 서면심사, 현장심사, 국민심사와 발표심사를 거쳐 대통령상 1점, 국무총리상 1점과 행정안전부장관상 6점 등 총 8점을 최종 선정했다.
○ 대통령상은 현대모비스㈜의 ‘엠브레인(M.Brain)’이 선정되었다. 이 제품은 세계 최초로 뇌파를 통해 운전자의 컨디션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청각(알람), 촉각(진동), 시각(LED)적 작동 신호를 운전자에게 보내 졸음운전 등에 따른 사고를 예방하는 원리이다.
- 향후, 폐쇄회로 티비(CCTV) 관제 근로자, 보안담당자 등 장시간 혼자 일하는 분야 등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안전사고 예방 분야에서 활용이 기대된다.
○ 국무총리상은 ㈜아세아방재의 ‘장애인과 함께 쓰는 유니버설 디자인(UD)이 적용된 무동력 승강식 피난기’가 선정되었으며, 행안부장관상으로는 차량 화재 예방, 사면붕괴 피해예방 등 국민의 일상생활과 산업현장에 활용되는 6개의 우수 안전기술·제품이 선정되었다.
□ ‘재난안전 연구개발 대상’은 연구자의 자긍심을 높이고 재난안전기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2019년부터 추진해 온 것으로, 우수한 재난안전 분야 연구개발 성과에 대해 시상하는 것이다.
○ 올해는 2022년 재난안전관리 분야 연구개발 성과 중 중앙·지자체·연구기관 등에서 추천한 36건에 대해 외부위원으로 구성된 위원회의 평가를 거쳐 최우수상(국무총리상) 1점, 우수상(행정안전부장관상) 6점, 장려상 10점 등 총 17건을 선정하였으며, 소정의 포상금도 함께 지급한다.
○ 최우수상(국무총리상)에는 ㈜라지 김늘새롬 연구소장의 ‘전기차 화재대응 고내열 원단 및 재봉사 적용 질식소화포’가 선정됐으며, 이는 1400℃ 이상에서도 우수한 내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제품으로, 30회 이상 반복 소화가 가능한 활용도가 높은 자동차 화재 대응 소방 담요이다.
○ 우수상(행안부장관상)은 ▴빅데이터 기반 양간지풍 도시산불방재 기술개발(강원대학교 김병식 교수), ▴인공지능 핵심기술을 통한 공공 CCTV 활용 시민안전 실증 및 사업화(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배유석 책임연구원), ▴빗물 배수관 실시간 유량 감시를 통한 도시침수 예보시스템 구축 기반 확보(자인테크놀로지(주) 신민철 대표이사) 등 총 6점이 선정되었다.
○ 장려상에는 ▴지하시설 복합재난으로부터 지속가능한 사회구현을 위한 재난안전 디지털트윈 플랫폼(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우석), ▴119 인공지능 골든타임 사수 신고접수(㈜위니텍 정병호), ▴수환경내 화학물질 현장 처리 장치 개발(㈜동명엔터프라이즈 윤현식) 등 총 10점이 선정되었다.
□ 이용철 안전예방정책실장은 “사회가 발전할수록 재난의 유형이 다양하고 복잡해지고 있어, 첨단과학기술을 활용한 선제적인 재난대응이 중시되고 있다”라며,
○ “행정안전부는 앞으로도 국민 안전에 기여하는 우수한 재난안전 기술·제품과 연구개발 성과를 발굴하고 확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책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참고1
|
|
2023 대한민국 안전기술대상 수상작
|
![](https://blog.kakaocdn.net/dn/bk0Tqi/btstRLzHN1i/jNmOoKHZqxcIHlk7Aqdxek/img.png)
참고2
|
|
2023 대한민국 재난안전 연구개발 대상 수상작
|
훈 격
|
성과명
|
수상자
(소속기관)
|
국무
총리상
|
국내 최초 재난안전 인증 획득한 전기차 화재대응 고내열 원단 및 재봉사 적용 질식소화포
|
김늘새롬
(㈜라지)
|
행안부장관상
|
빅데이터 기반 양간지풍 도시산불방재 기술개발
|
김병식
(강원대학교)
|
영상 이해 인공지능 핵심기술을 통한 공공 CCTV 활용 시민 안전 실증 및 사업화
|
배유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빗물 배수관 실시간 유량 감시를 통한 도시침수 예보시스템 구축 기반 확보
|
신민철
(자인테크놀로지㈜)
|
|
지능형 위기경보를 위한 위험수준 자동분석 및 운영기술
|
안재현
(서경대학교)
|
|
보행자 교통사고 사각지대 AIoT 안전망 구축
|
조승표
(㈜에이치브레인)
|
|
차세대 비동물 신경독성 탐지플랫폼 개발
|
김우근
(안전성평가연구소)
|
|
장려상
|
지하시설 복합재난으로부터 지속가능한 사회구현을 위한 재난안전 디지털트윈 플랫폼
|
정우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119 인공지능 골든타임 사수 신고접수
|
정병호
(㈜위니텍)
|
|
수환경내 화학물질 현장 처리 장치 개발
|
윤현식
(㈜동명엔터프라이즈)
|
|
어업인의 안전과 작업효율을 책임지는 어선용 무선조정장치 개발
|
차봉진
(국립수산과학원)
|
|
미세먼지 및 악취 동시 제거가 가능한 공기정화기 개발
|
조형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
‘광섬유 센서로 강도 예측’ 건물 붕괴 예방 기술 개발
|
박형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온 가족이 함께 체험하는 실감형 생활안전 교육콘텐츠 플랫폼 개발
|
권승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세계최초) 인공지능 및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 안전축사 기술
|
박대헌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
분광 측정 기반 유기물 수질오염 발생원 판별 기법
|
허진
(세종대학교)
|
|
능동적 협조체계 유지와 신속한 결과 제공을 통한 패류독소 사고 제로화 실현
|
김동욱
(국립수산과학원)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우·태풍 피해 복구비 1조 8,236억원 확정에 따라 항구복구 신속 추진 (0) | 2023.09.12 |
---|---|
「2023년 국방 공공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시상식 개최 (0) | 2023.09.12 |
㈜포켓몬코리아의 전자상거래법 위반행위 제재 (0) | 2023.09.12 |
교육부, 국회에 교권 보호 법안 조속 타결 요청 (0) | 2023.09.11 |
선관위 채용비리 353건 적발…28명 고발·312건 수사의뢰 (0) | 2023.09.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