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K)-라이스벨트’로 하나 된한국과 아프리카, 굳건한 농업협력 약속
2023.07.10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7월 10일 서울에서 아프리카 8개국의 장관을 초청하여 ‘케이(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번 회의를 통해 한국과 8개국은 아프리카의 쌀 증산을 위해 한국의 종자와 농업기술을 전파하는 ‘케이(K)-라이스벨트’ 사업의 공식 출범을 선언하고 장기적인 국제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
* 가나,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세네갈, 우간다, 카메룬, 케냐
가나,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세네갈, 우간다, 카메룬, 케냐의 장관급 대표와 신디 매케인 유엔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영상), 케빈 우라마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부총재 등 해외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한 이번 회의는 ‘케이(K)-농업’에 대한 국제사회의 큰 관심을 보여주었다.
본 회의는 한덕수 국무총리의 축사와 정황근 장관의 개회사로 시작되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축사에서 세계 식량안보에 한국이 적극 기여하겠다는 메시지와 함께 아프리카와의 미래지향적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정황근 장관도 개회사에서 케이(K)-라이스벨트 사업을 통해 아프리카의 식량난을 실질적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신디 매케인 유엔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도 영상 기조연설을 통해 케이(K)-라이스벨트 사업을 높이 평가하고,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개회식 후에는 정부 관계자, 국제기구, 학계 전문가 등의 참석하에 ‘세계 식량안보와 한국 농업 ODA 추진방향’, ‘케이(K)-라이스벨트 성공을 위한 협력방안 발굴’을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이번 회의에 참석한 아프리카 8개국의 대표는 케이(K)-라이스벨트 사업이 단순한 자금제공을 넘어 한국의 경험과 기술을 전수함으로써 아프리카가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되는 의미를 가진다고 평가했다.
정황근 장관은 “직접 아프리카를 다녀오면서 구상한 케이(K)-라이스벨트 사업이 여러 차례의 실무단 현장 방문, 8개국과의 집중적인 협의를 거쳐 정식 출범하게 되었다”라고 밝히며, “국내외 참석자들이 많은 기대를 표현해주신 데 부응하여, 아프리카의 쌀 자급률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케이(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 주요 일정
2. 케이(K)-라이스벨트 사업 개요
3. 아프리카 8개국 개황
붙임 1
|
|
케이(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 주요 일정
|
시 간
|
주 요 내 용
|
1부 (개회식)
|
|
10:00~10:10
|
• 내빈 소개 및 진행 안내
|
10:10~10:15
|
• 주제 영상 상영 (농업 ODA와 K-라이스벨트)
|
10:15~10:25
|
• 개회사 :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 축사 : 국무총리
|
10:25~10:40
|
• 기조연설 : WFP 사무총장(영상), 아프리카개발은행 부총재
|
10:40~10:45
|
• 기념사진 촬영
|
10:45~10:50
|
• 개회식 마무리
|
2부 (MOU 서명식 및 브리핑)
|
|
10:50~11:00
|
• MOU 서명식 진행 안내
|
11:00~11:30
|
• MOU 서명식 및 기념사진 촬영
|
11:30~11:50
|
• 쌀 및 쌀 가공식품 전시회 관람
|
11:50~13:00
|
• 한국 및 아프리카 참여국 장관 공동 브리핑
|
13:00~14:00
|
• 오찬
|
3부 (세미나 Ⅰ, 세계 식량안보와 한국 ODA)
|
|
14:00~15:30
|
• (발표) ①식량안보 현황과 한국의 ODA 정책, ②아프리카 지역 농업 ODA 추진 현황, ③아프리카 ODA 성공사례
• (토론) 식량안보에 기여 가능한 농업 ODA 방안
|
15:30~15:50
|
휴식
|
4부 (세미나 Ⅱ, K-라이스벨트 사업 협력 방안)
|
|
15:50~17:20
|
• (발표) ①K-라이스벨트 정책, ②아프리카 현지 추진 사례, ③한국 농기계 산업 해외진출 현황
• (토론) K-라이스벨트 사업 성공을 위한 협력방안
|
17:20~18:00
|
• 종료 및 휴식
|
18:00~19:30
|
• 만찬
|
붙임 2
|
|
‘케이(K)-라이스벨트’사업 개요
|
1. 추진 배경
□ 쌀 생산량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한국의 녹색혁명 경험을 공유하여 기아 종식(SDG 2) 목표 달성 기여 및 국가 위상 제고
2. 대상국 및 목표
□ (대상국) 서아프리카(가나, 기니, 기니비사우, 감비아, 세네갈) - 중앙아프리카(카메룬) - 동아프리카(우간다, 케냐) 총 8개국
* 사업 개시 연도 : (’23년) 가나 (‘24년) 감비아, 기니, 세네갈, 우간다, 카메룬, 케냐
(’25년, 잠정) 기니비사우
□ (목표) 올해 벼 종자 2천여 톤 생산을 시작으로 2027년부터 연간 다수확 벼 종자 1만 톤을 생산· 보급하여 연간 약 3천만 명에게 안정적으로 식량 공급
* 이스리-6,-7 품종의 경우 연간 쌀 5~6톤/ha 생산 가능 (아프리카 평균 1.5~3톤/ha)
3. 주요 내용
□ 벼 재배단지 확보 및 생산 인프라 조성
ㅇ 국가별로 50~100ha 규모의 안정적인 벼 종자생산 단지 구축
ㅇ 종자 재배단지에 생산 인프라(경지정리, 용배수로, 경작로 등) 조성
□ 다수확 벼 종자 생산
ㅇ 농진청 벼 전문가 파견, 기술지도 등을 통해 현지의 벼 전문가 양성하고, 농업 투입재(농약·비료), 농기계, 종자 저장시설 구축
□ 농가에 종자 보급
ㅇ 각 수원국별 종자 생산 및 보급 체계, 종자 등록 등 농업 제도·규제 상황과 시장 유통체계 등을 조사하여 국별 보급 체계 구축
ㅇ 수원국 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농가의 생산 참여방식 결정
붙임 3
|
|
아프리카 8개국 개황
|
국가
|
기본 정보
|
우리나라와 관계
|
가나
|
인구: 3,240만명
면적: 238,537㎢(한반도 1.1배)
1인 GDP: 2,270불
경제성장율: 3.9%
농림어업비중: 19.4%
1957년 영국에서 독립
|
수교일: 1977.11.4
공관 현황
-(아국) 상주(‘78), 임정택대사(’20)
-(상대국) 상주(‘99)
교역:수출 209백만불,수입 37백만불
ODA: 2.75억불(‘87 ~‘20)
|
감비아
|
인구: 264만명
면적: 11,295㎢(한반도 1/20)
1인 GDP: 772불
경제성장율: 4.3%
농림어업비중: 19.2%
1965년 영국에서 독립
|
수교일: 1965.4.21
공관 현황
-(아국)주세네갈(대) 겸임
-(상대국)주중감비아(대) 겸임
교역:수출 4백만불, 수입 5백만불
ODA: 584만불(‘94 ~‘21)
|
기니
|
인구: 1,350만명
면적: 246,000㎢(한반도 크기)
1인 GDP: 1,189불
경제성장율: 3.9%
농림어업비중: 24.7%
1958년 프랑스에서 독립
|
수교일: 2006.8.28
공관 현황
-(아국)주세네갈(대) 겸임
-(상대국)주일본(대) 겸임
교역:수출 34백만불, 수입 53백만불
ODA: 697만불(‘87 ~‘19)
|
기니비사우
|
인구: 206만명
면적: 36,125㎢(한반도의 1/7)
1인 GDP: 795불
경제성장율: 3.8%
농림어업비중: 44.1%
1973년 포르투칼에서 독립
|
수교일: 1983.12.22
공관 현황
-(아국)주세네갈(대) 겸임
-(상대국)주중국(대) 겸임
교역:수출 2백만불, 수입 1백만불
ODA: 196만불(‘87 ~‘19)
|
세네갈
|
인구: 1,720만명
면적: 196,712㎢(한반도 크기)
1인 GDP: 1,607불
경제성장율: 6.1%
농림어업비중: 16.7%
1960년 프랑스에서 독립
|
수교일: 1962.10.19
공관 현황
-(아국)상주(‘73), 김지준대사(’21)
-(상대국)상주(‘07)
교역:수출 90백만불, 수입 52백만불
ODA: 2.65억불(‘89~’20)
|
우간다
|
인구: 4,700만명
면적: 241,038㎢(남한의 2.4배)
1인 GDP: 1,000불
경제성장율: 5.1%
농림어업비중: 24.3%
1962년 영국에서 독립
|
수교일: 1963.3.26
공관 현황
-(아국)상주(‘11), 박성수대사
-(상대국)주일본(대) 겸임
교역:수출 27백만불, 수입 13백만불
ODA: 2.6억불(‘87 ~‘21)
|
카메룬
|
인구: 2,719만명
면적: 475,650㎢(한반도 2.2배)
1인 GDP: 1,666불
경제성장율: 3.6%
농림어업비중: 17.2%
1960년 프랑스에서 독립
|
수교일: 1961.8.10
공관 현황
-(아국)상주(‘08년) 남기욱대사(’23)
-(상대국)주일카메룬(대) 겸임
교역:수출 226백만불,수입 166백만불
|
케냐
|
인구: 5,092만명
면적: 580,000㎢(한반도 2.7배)
1인 GDP: 2,200불
경제성장율: 7.2%
농림어업비중: 23%
1963년 영국에서 독립
|
수교일: 1964.2.7
공관 현황
-(아국)상주(‘64), 여성준대사(’21)
-(상대국)상주(’07)
교역:수출 4.56억불, 수입 0.7억불
ODA: 222만불(‘87 ~‘21)
|
* (자료 출처) World Bank(‘21), IMF(’21), KITA(‘22년) 등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학협력 전문인력 역량 강화를 위한 ‘산학협력 길라잡이’ 개정 발간 (0) | 2023.07.11 |
---|---|
「전화금융사기 특별 자수·신고 기간」 운영 (0) | 2023.07.11 |
(공동)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브리핑(19일차) (0) | 2023.07.11 |
‘나랏돈 빼먹기’ 국민이 직접 감시한다 (0) | 2023.07.11 |
한국 정부 온라인 학습, 국제사회가 주목 (0) | 2023.07.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