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2023.06.20 기획재정부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은 6.20(화) 2023년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를 발표하였다. 우리나라는 전년 대비 1단계 하락하며 64개국 중 28위를 기록하였는데,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 등 글로벌 복합위기 상황을 반영하여, 독일(15→22위), 영국(23→29위), 프랑스(28→33위), 일본(34→35위) 등은 하락한 반면, 카타르(18→12위), 사우디아라비아(24→17위), 바레인(30→25위), 말레이시아(32→27위) 등 에너지 수출국들의 순위가 크게 상승하였다.
* 한국 순위 추이: (’16)29 (‘17)29 (‘18)27 (’19)28 (‘20)23 (‘21)23 (‘22)27 (‘23)28
분야별로는 어려운 대내외 경제 여건 속에서도 「경제성과(22→14위)」가 큰 폭 상승하여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한 반면, 「정부효율성(36→38위)」은 소폭 하락하였으며, 「기업효율성(33위)」 및 「인프라(16위)」는 전년과 동일하였다.
분야별 세부부문을 살펴보면, 「경제성과」에서는 국제무역(30→42위)을 제외한 국내경제(12→11위), 국제투자(37→32위), 고용(6→4위), 물가(49→41위) 등 모두 순위가 상승하였다. 「정부효율성」의 경우, 재정(32→40위), 제도여건(31→33위), 기업여건(48→53위)에서 순위가 하락하였다. 특히, 재정은 ’18년부터 하락세가 이어져 온 가운데, 금년에는 ’22년 재정적자 및 국가채무 악화 등이 반영되면서 순위가 크게 하락하였다.
* 「재정」 순위 : 22(’18년) → 24 → 27 → 26 → 32 → 40위(’23년)
** 통합재정수지/국내총생산(GDP)(%): (‘18) 1.6 (’19) △0.6 (‘20) △3.7 (’21) △1.5 (‘22) △3.0
국가채무/국내총생산(GDP)(%): (’18) 35.9 (‘19) 37.6 (’20) 43.6 (‘21) 46.9 (’22) 49.6
「기업효율성」에서는 생산성(36→41위), 금융(23→36위)은 하락하였으나,
노동시장(42→39위), 경영관행(38→35위), 태도·가치(23→18위)는 상승하였다. 「기반 시설(인프라)」의 경우, 기본(16→23위), 기술(19→23위)은 하락했으나, 과학(3→2위), 보건환경(31→29위), 교육(29→26위)은 상승하였다.
금번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평가 결과를 계기로 정부는 재정준칙 입법화 등 건전재정 노력과 공공혁신 가속화를 통해 정부효율성을 높여 나가는 한편, 3대 구조개혁과 규제개혁 등 경제 전반의 체질 개선과 생산성 향상에도 정책 노력을 배가해 나갈 계획이다.
별첨
|
|
’23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
* 종합 순위, 4대 분야(경제성과, 정부효율성, 기업효율성, 인프라) 및 20개 부문별 순위 발표(통계지표 163개, 설문지표 94개의 세부항목을 바탕으로 산출)
└ 통계지표: ’18~‘22년 기준(국제비교를 위해, 모든 지표에서 ‘22년 수치가 활용되지는 않음)
└ 설문지표: ’23.3~5월간 설문조사 결과(응답자: 최소 80명 이상)
1
|
|
종합 결과
|
□ ’23년 한국은 64개국 중 28위로 전년 대비 1단계 하락
ㅇ 아·태 국가(14개) 중 7위*로 전년보다 한 단계 하락, 인구 2천만명 이상 국가(27개) 중에서는 9위로 전년과 동일
* 싱(3→4위), 대만(7→6위), 홍콩(5→7위), 호주(19→19위), 中(17→21위), 말련(32→27위), 韓(27→28위)
- 특히, 에너지 수출국의 순위가 큰 폭 상승한 가운데, 전년 한국보다 순위가 낮았던 바레인, 말레이시아가 한국에 역전
* 카타르 12위(+6), 사우디 17위(+7), 바레인 25위(+5), 말레이 27위(+5)
ㅇ 30-50 클럽* 국가 중에서는 전년보다 한 단계 상승, 美․獨에 이어 3위
* 美(10→9위), 獨(15→22위), 韓(27→28위), 英(23→29위), 佛(28→33위), 日(34→35위), 伊(41→41위)
□ 분야별로는 경제성과는 큰 폭 상승(8단계↑), 기업효율성 및 인프라는 전년과 동일한 반면, 정부효율성은 순위 하락(2단계↓)
2
|
|
분야별 주요 결과
|
1 (경제성과: 22→14위) 국제무역 하락(30→42위)에도 국내경제(12→11위)・
국제투자(37→32위)・고용(6→4위)・물가(49→41위) 상승으로 큰 폭 상승
⇒ 역대 최고 순위 (종전 ‘15년 15위)
|
경제성과 (22 → 14, 8↑)
|
||||
국내경제
(통계9, 설문1)
|
국제무역
(통계 12, 설문 0)
|
국제투자
(통계 10, 설문 1)
|
고용
(통계 8, 설문 0)
|
물가
(통계 5, 설문 0)
|
|
‘18년
|
9
|
35
|
35
|
6
|
54
|
‘19년
|
16
|
45
|
30
|
10
|
53
|
‘20년
|
11
|
41
|
30
|
12
|
48
|
‘21년
|
5
|
33
|
34
|
5
|
51
|
‘22년
|
12
|
30
|
37
|
6
|
49
|
‘23년
|
11
|
42
|
32
|
4
|
41
|
ㅇ (국내경제) 성장률(45→44위), 성장률 전망(48→28위), 1인당 실질GDP
증가율(41→36위) 등 상승
ㅇ (국제무역) 경상수지(6→17위), 무역수지(18→54위) 등 하락
ㅇ (국제투자) 해외직접투자 누적액(33→30위), 외국인증권투자(16→11위) 등 상승
* IMD는 국제 비교를 위해 세부항목 모두 ’21년도 통계 활용
ㅇ (고용) 고용률(12→10위), 청년실업률(12→10위) 등 상승
ㅇ (물가) 소비자물가 상승률(24→14위) 등 상승
2 (정부효율성: 36→38위) 사회여건(35→33위)은 상승하였으나, 재정(32→40위) 및 설문 비중이 높은 제도여건(31→33위), 기업여건(48→53위)이 하락
|
정부 효율성 (36 → 38, 2↓)
|
||||
재정
(통계 4, 설문 3)
|
조세정책
(통계 6, 설문 1)
|
제도여건
(통계 5, 설문 9)
|
기업여건
(통계 6, 설문 13)
|
사회여건
(통계 11, 설문 4)
|
|
‘18년
|
22
|
17
|
29
|
47
|
38
|
‘19년
|
24
|
18
|
33
|
50
|
39
|
‘20년
|
27
|
19
|
29
|
46
|
31
|
‘21년
|
26
|
25
|
30
|
49
|
33
|
‘22년
|
32
|
26
|
31
|
48
|
35
|
‘23년
|
40
|
26
|
33
|
53
|
33
|
ㅇ (재정) 재정수지/GDP(9→24위), 일반정부 부채/GDP(22→29위),
일반정부 부채 실질증가율(34→56위) 등이 하락
- ’18년부터 하락세가 이어져 온 가운데, 금년에는 ’22년 예산으로 증가한 재정 적자 및 국가채무 악화 등이 반영되면서 순위가 하락
* IMD는 IMF WEO 통계 DB를 활용, 동 DB의 한국 재정통계에는 ‘22년 2차 추경까지 반영
※ (참고) 통합재정수지/GDP(%): (’21년) △1.5 (‘22년 본예산: ’21.12월) △2.5
(1차 추경: ‘22.2월) △3.3 (2차 추경: ’22.5월) △3.3 (‘22년 결산) △3.0
국가채무/GDP(%): (‘21년) 46.9 (’22년 본예산) 50.0 (1차 추경) 50.1 (2차 추경) 49.7 (‘22년 결산) 49.6
ㅇ (조세정책) 개인 세부담의 근로의욕 저해(48→51위, 설문) 하락에도
전년과 같은 순위 유지
- 다만, 법인세(47→48위) 등 통계 항목은 국제비교 위해 ‘21년 수치 활용
→ 새 정부의 법인세 인하 등 주요 정책변화는 미반영
ㅇ (제도여건) 자본비용의 사업개발 지원(44→34위, 설문) 상승에도 불구, 환율 안정성*(3→45위), 관료주의(57→60위, 설문) 등 하락
* 글로벌 통화긴축에 따른 ’22.하반기 환율 변동성 확대에 기인
ㅇ (기업여건) 경쟁법의 효율성(34→27위, 설문), 노동관련 규제의 사업 저해 정도(44→37위, 설문) 등은 개선된 반면,
- 외국인투자자 인센티브 매력도(28→40위, 설문), 보조금의 경쟁저해 정도(35→45위, 설문) 등은 하락
ㅇ (사회여건) 기회균등 법안의 경제발전 기여도(50→40위), 남녀소득 격차(54→45위) 등은 상승, 정치적 불안(45→52위) 하락
3 (기업효율성: 33→33위) 생산성(36→41위), 금융(23→36위) 하락,
반면 노동시장(42→39위), 경영관행(38→35위), 태도․가치(23→18위) 상승
|
기업 효율성 (33 → 33, -)
|
||||
생산성
(통계 3, 설문 4)
|
노동시장
(통계 12, 설문 10)
|
금융
(통계 9, 설문 7)
|
경영관행
(통계 4, 설문 10)
|
태도․가치
(통계 0, 설문 7)
|
|
‘18년
|
39
|
53
|
33
|
55
|
30
|
‘19년
|
38
|
36
|
34
|
47
|
25
|
‘20년
|
38
|
28
|
34
|
36
|
15
|
‘21년
|
31
|
37
|
23
|
30
|
21
|
‘22년
|
36
|
42
|
23
|
38
|
23
|
‘23년
|
41
|
39
|
36
|
35
|
18
|
ㅇ (생산성) 노동생산성 순위 추이*는 큰 변화가 없는 가운데, 서비스 분야
생산성(37→35위)은 상승하였으나, 생산성 국제경쟁력(51→54위, 설문), 대기업 효율성(35→39위, 설문) 등 하락
* 노동생산성 순위: (’18) 34 (‘19) 36 (’20) 34 (‘21) 35 (’22) 34 (‘23) 35
ㅇ (노동시장) 경제활동인구 장기 증가율(21→16위), 사내 직업훈련 우선순위도(34→23위, 설문), 인재유치 우선순위도(18→14위, 설문) 등 상승
ㅇ (금융) 주가지수 변화율(10→60위), 주식시장에서의 자금조달 용이성(36→41위, 설문), 기업대출 용이성(39→49위, 설문), 기업부채의 경쟁력 제약 정도(44→56위, 설문) 등 하락
- 금융 경쟁력 자체보다는 ’22년 국내 주가 하락 및 하반기 자금시장 불안 등이 반영된 측면
* ‘22년 주요국 주가 변화율(%): (韓)△25% (美)△8.8% (유로스톡스)△11.7%
(獨)△12.3%, (日)△9.4% (싱)+4.1% (중)△15.1%
ㅇ (경영관행) 경영진 신뢰감(59→55위, 설문), 회계감사 적절성(53→47위, 설문), 기업가정신 확산(50→44위, 설문) 등 상승
ㅇ (태도・가치) 국민문화 개방성(41→30위, 설문), 도전에 대한 융통성・적응력(37→30위, 설문), 디지털전환 이해도(21→11위, 설문) 등 상승
4 (인프라: 16→16위) 기본(16→23위)·기술인프라(19→23위)는 하락,
과학인프라(3→2위), 보건환경(31→29위), 교육(29→26위)은 상승
|
인프라 (16 → 16, -)
|
||||
기본 인프라
(통계 8, 설문 5)
|
기술 인프라
(통계 10, 설문 7)
|
과학 인프라
(통계 15, 설문 3)
|
보건 환경
(통계 15, 설문 5)
|
교육
(통계 11. 설문 4)
|
|
‘18년
|
22
|
14
|
7
|
32
|
25
|
‘19년
|
23
|
22
|
3
|
32
|
30
|
‘20년
|
20
|
13
|
3
|
31
|
27
|
‘21년
|
18
|
17
|
2
|
30
|
30
|
‘22년
|
16
|
19
|
3
|
31
|
29
|
‘23년
|
23
|
23
|
2
|
29
|
26
|
ㅇ (기본인프라) 인구 증가율(50→53위), 노인 부양비율(6→9위) 등 하락
ㅇ (기술인프라) 법적 환경의 기술개발 지원 정도(48→52위, 설문),
기술개발 자금조달 용이성(30→36위, 설문) 등 하락
- 다만, 첨단기술제품 수출액(5→6위, ’20년 기준), ICT 서비스 수출비중(35→37위, ‘21년 기준) 등은 통계지표 시차로 인해, ’21~‘22년 ICT 수출 증가 등의 효과가 적시성있게 반영되지 못했을 가능성
*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추이 및 증가율(억불, %, 산업부) :
(’19) 1,769(△19.7) → (‘20) 1,835(+3.8) → (’21) 2,276(+24.0) → (’22) 2,333(+2.5)
ㅇ (과학인프라) 지재권 보호 정도(37→28위, 설문), 산학간 지식전달 정도
(30→26위, 설문) 등 상승
ㅇ (보건・환경) 의사‧간호사 1인당 인구(41→37위), 환경법의 경쟁력
저해 정도(50→40위, 설문) 등 상승
ㅇ (교육) 대학교육 경쟁력(46→49위) 등 하락, 초등학교 학생-교사 비율(42→41위), 언어기술의 기업 니즈 부합도(45→42위, 설문) 등 상승
3
|
|
평가 및 대응방향
|
□ 금번 IMD 평가를 통해 새 정부 정책 노력의 성과와 과제를 확인
ㅇ ‘경제성과’의 경우, 적극적인 위기 대응 등을 통해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역대 최고 순위로 상승
- 설문 비중이 높은 기업관련 부문(기업여건, 경영관행, 태도·가치)에서도 기업환경 개선 노력의 성과가 일부 반영
* 예) 노동규제가 사업을 방해하지 않는 정도(44→37위), 기업가정신 확산(50→44위) 등
ㅇ 그러나 재정 등 ‘정부 효율성’의 하락세가 지속되며, 국가경쟁력 순위 하락을 주도하고 있는 점 감안시, 이에 대한 대응이 긴요
□ 정부는 재정준칙 입법화 등 건전재정 노력과 공공혁신 가속화를 통해 정부 효율성을 높여 나가는 한편,
ㅇ 3대 구조개혁과 규제개혁 등 경제 전반의 체질 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 노력도 배가해 나갈 계획
참고1
|
|
IMD 국가경쟁력 평가 개요
|
기관
|
‣IMD(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국제경영개발대학원, 스위스 로잔)
|
|||||||||||||||||||
발표
|
‣매년 6월 세계경쟁력연감(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
|||||||||||||||||||
대상
|
‣OECD 국가 및 신흥국 총 64개국
|
|||||||||||||||||||
목적
|
‣국가와 기업이 그들의 부를 증진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역량*을 평가
* (국가)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역량
(기업)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역량
|
|||||||||||||||||||
구성
|
‣4대 분야, 20개 부문, 336개 세부항목*(보조지표 제외시 257개)
* 통계자료: 163개 + 설문조사: 94개 / 보조지표: 79개
|
|||||||||||||||||||
경제성과
|
정부 효율성
|
기업 효율성
|
인프라
|
|||||||||||||||||
국내 경제
|
국제 무역
|
국제 투자
|
고용
|
물가
|
재정
|
조세정책
|
제도 여건
|
기업 여건
|
사회 여건
|
생산
성
|
노동 시장
|
금융
시
장
|
경
영활동
|
행태가치
|
기본 인프라
|
기술 인프라
|
과학 인프라
|
보건 환경
|
교 육
|
|
자료
|
‣(통계) 국제기구, 각국 정부통계, 민간기업 등의 자료 활용*
* 국제기구 (IMF, World Bank, OECD, ILO 등), 정부통계(통계청 등), 민간기업 (Mercer HR Consulting - 생계비지수 등)
‣(설문) 전 세계 기업인들을 대상으로 IMD 및 각국 파트너기관
(우리나라: KIEP)이 온라인 설문조사 실시(최소 80명 이상 응답자 확보)
|
참고2
|
|
국가별 순위변동표
|
국가
|
순위
|
|
국가
|
순위
|
||||
‘21
|
‘22
|
‘23
|
|
‘21
|
‘22
|
‘23
|
||
덴마크
|
3
|
1
|
1
|
|
프랑스
|
29
|
28
|
33
|
아일랜드
|
13
|
11
|
2
|
|
인도네시아
|
37
|
44
|
34
|
스위스
|
1
|
2
|
3
|
|
일본
|
31
|
34
|
35
|
싱가포르
|
5
|
3
|
4
|
|
스페인
|
39
|
36
|
36
|
네덜란드
|
4
|
6
|
5
|
|
카자흐스탄
|
35
|
43
|
37
|
대만
|
8
|
7
|
6
|
|
쿠웨이트
|
-
|
-
|
38
|
홍콩
|
7
|
5
|
7
|
|
포르투갈
|
36
|
42
|
39
|
스웨덴
|
2
|
4
|
8
|
|
인도
|
43
|
37
|
40
|
미국
|
10
|
10
|
9
|
|
이탈리아
|
41
|
41
|
41
|
UAE
|
9
|
12
|
10
|
|
슬로베니아
|
40
|
38
|
42
|
핀란드
|
11
|
8
|
11
|
|
폴란드
|
47
|
50
|
43
|
카타르
|
17
|
18
|
12
|
|
칠레
|
44
|
45
|
44
|
벨기에
|
24
|
21
|
13
|
|
사이프러스
|
33
|
40
|
45
|
노르웨이
|
6
|
9
|
14
|
|
헝가리
|
42
|
39
|
46
|
캐나다
|
14
|
14
|
15
|
|
터키
|
51
|
52
|
47
|
아이슬란드
|
21
|
16
|
16
|
|
루마니아
|
48
|
51
|
48
|
사우디아라비아
|
32
|
24
|
17
|
|
그리스
|
46
|
47
|
49
|
체코
|
34
|
26
|
18
|
|
크로아티아
|
59
|
46
|
50
|
호주
|
22
|
19
|
19
|
|
라트비아
|
38
|
35
|
51
|
룩셈부르크
|
12
|
13
|
20
|
|
필리핀
|
52
|
48
|
52
|
중국
|
16
|
17
|
21
|
|
슬로바키아
|
50
|
49
|
53
|
독일
|
15
|
15
|
22
|
|
요르단
|
49
|
56
|
54
|
이스라엘
|
27
|
25
|
23
|
|
페루
|
58
|
54
|
55
|
오스트리아
|
19
|
20
|
24
|
|
멕시코
|
55
|
55
|
56
|
바레인
|
-
|
30
|
25
|
|
불가리아
|
53
|
53
|
57
|
에스토니아
|
26
|
22
|
26
|
|
콜롬비아
|
56
|
57
|
58
|
말레이시아
|
25
|
32
|
27
|
|
보츠와나
|
61
|
58
|
59
|
한국
|
23
|
27
|
28
|
|
브라질
|
57
|
59
|
60
|
영국
|
18
|
23
|
29
|
|
남아프리카공화국
|
62
|
60
|
61
|
태국
|
28
|
33
|
30
|
|
몽골
|
60
|
61
|
62
|
뉴질랜드
|
20
|
31
|
31
|
|
아르헨티나
|
63
|
62
|
63
|
리투아니아
|
30
|
29
|
32
|
|
베네수엘라
|
64
|
63
|
64
|
* 인구 2천만명 이상 국가(진하게 표시) 27개국 중 9위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국가경쟁력 64개국 중 28위…‘경제성과’ 오르고 ‘정부효율성’ 떨어져 (0) | 2023.06.20 |
---|---|
6월 15일자 단순평균 기준 산지쌀값은 185,572원/80kg (0) | 2023.06.20 |
대학 내·외부 벽을 허물고 대학개혁을 선도할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결과 발표 (0) | 2023.06.20 |
수원시 서부권에 5천호 규모 공공주택지구 조성 (0) | 2023.06.20 |
제7회 여성농업인 생활수기 공모전 개최 (0) | 2023.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