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과학적 예측으로 산사태 피해 줄인다
2023.05.17 산림청
과학적 예측으로 산사태 피해 줄인다
|
- 국림산림과학원, 산사태 발생 위험 48시간 전에 예측-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여름철 자연 재난 대책 기간(5월 15일~10월 15일)을 맞아 5월 15일(월) 산사태 예측‧분석센터 현판식을 갖고 과학적 산사태 예방 및 대응 활동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산사태 예측‧분석 센터는 전국의 실시간 강우량 및 시간대별 예측 강우량을 분석하여 산사태 발생 예측정보를 제공하고, 대규모 산사태 및 인명피해 발생 시 현장 조사의 자문역할도 수행한다.
특히, 재난 위험 정보를 선제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상황판단 지원과 주민대피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 24시간 전에 제공했던 산사태발생위험 예고를 48시간으로 확대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심각한 산림 훼손이 동반된 산불피해 지역은 비가 올 때 산사태 위험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대형산불 피해지의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주의 깊게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산사태 예측‧분석 센터에서는 산사태 피해 예방을 위해 토양 함수지수(토양에 함유된 물의 상대적인 양)를 산정하여 권역별 기준치의 80%에 도달하면 ‘산사태 주의보’를, 100%에 도달하면 ‘산사태 경보’를 산림청을 통해 각 지방자치단체로 전파한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재해예측·분석센터 안희영 센터장은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전례 없는 기상상황으로 산사태 피해 규모가 증가 추세를 보인다.”라며, “과학적 산사태 위험 예보를 통해 산사태의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 산사태 예경보 모델 개념도 및 산사태 중기예보 시스템
담당 부서
|
국립산림과학원
|
책임자
|
과 장
|
이창우
|
(02-961-2681)
|
|
산불산사태연구과
|
담당자
|
임업주사보
|
안희영
|
(02-961-2687)
|
[붙임 1] 산사태 예경보 모델 개념도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교범 국제규격 도입’을 위한 현장의 소리 세계 4대 방산수출국 진입을 앞당긴다(‘국제 규격 S1000D 설명회’ 개최) (0) | 2023.05.19 |
---|---|
’22년 농업소득(평균 949만원)은 경영비 증가 등으로 감소한 반면, 농업외소득(1,920만원)·이전소득(1,525만원)은 각각 7.4%, 2.9% 증가 (0) | 2023.05.19 |
내년까지 수출 중소기업에 정책자금 횟수 제한 없이 지원 (0) | 2023.05.18 |
2023년 중소기업 수출 플러스 달성을 위한 「중소기업 수출상황 점검 및 대응방향」 발표 (0) | 2023.05.18 |
마지막 단좌 시제기 날아오르다(KF-21 시제5호기 최초 비행 성공) (0) | 2023.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