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4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2023.05.15 과학기술정보통신부
4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127.7억불, 수입 104.4억불
|
’23년 4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127.7억불, 수입은 104.4억불, 무역수지는 23.3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되었다.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국제 경기 둔화에 따른 정보통신산업(ICT) 수요 회복 지연, 반도체 업황 부진, 역대 4월 중 최고 실적을 기록한 전년 동월(199.3억불)의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35.9% 감소하였다.
품목별로는 반도체(△40.5%), 디스플레이(△30.5%), 휴대폰(△41.6%), 컴퓨터·주변기기(△66.7%), 통신장비(△14.7%) 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39.0%), 베트남(△26.7%), 미국(△40.1%), 유럽연합(△36.8%), 일본(△25.1%) 등이 감소하였다.
정보통신산업(ICT) 수입액(104.4억불)은 전년 동월(121.4억불) 대비 14.0% 감소하였다.
※ 주요 수입 지역 : 중국, 대만, 베트남, 일본, 미국 등
|
< ’23.4월p 전체산업 – 정보통신산업 수출입 비교(통관기준, 전년 동월 대비, 억불) >
|
|
||||||||||||
|
|
|||||||||||||
구 분
|
전체산업
|
정보통신산업(ICT)
|
||||||||||||
‘22.4월
|
‘23.4월P
|
‘22.4월
|
‘23.4월P
|
|||||||||||
수 출
|
578.4(12.9%↑)
|
496.2(△14.2%)
|
199.3(16.9%↑)
|
127.7(△35.9%)
|
||||||||||
수 입
|
602.1(18.3%↑)
|
522.3(△13.3%)
|
121.4(12.5%↑)
|
104.4(△14.0%)
|
||||||||||
무역수지
|
△23.7
|
△26.2
|
77.9
|
23.3
|
||||||||||
※ 전체산업(496.2억불) 대비 정보통신산업(ICT) 수출(127.7억불) 비중 : 25.7%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
|
□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반도체 : 64.8억불, △40.5%) 반도체 업황 부진에 따른 출하 감소 및 단가 하락 지속되며 시스템(31.2억불, △22.1%) 및 메모리(29.3억불, △54.1%) 동시 감소
* 시스템 반도체 수출(억불, %) : (’22.12)42.7(9.9↑) → (’23.1)29.0(△25.0) → (’23.4)31.2(△22.1)
* 메모리 반도체 수출(억불, %) : (’23.1)27.7(△57.3) → (’23.2)29.2(△53.9) → (’23.3)45.7(△44.3)
- 디램 단가 추이(8Gb, $) : (’22.5~6)3.35 → (7)2.88 → (8~9)2.85 → (10~12)2.21 → (’23.1~3)1.81 → (4)1.45
○ (디스플레이 : 14.3억불, △30.5%) 전방기기 수요 둔화로 인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9.2억불, △21.6%) 및 국내 생산 축소 영향으로 엘시디(LCD)(2.9억불, △43.9%) 감소
* OLED 월별 수출(억불, %) : (’22.10)14.3(2.9↑) → (’22.11)14.1(△7.6) → (’23.4)9.2(△21.6)
** LCD 월별 수출(억불, %) : (’22.8) 5.4(12.5↑) → (’22.9)3.5(△27.3) → (’23.4)2.9(△43.9)
○ (휴대폰 : 8.1억불, △41.6%) 국제 기기 수요 둔화에 따른 완제품(3.3억불, △42.3%) 감소 및 부품 수요 둔화로 부분품(4.8억불, △41.2%) 감소세 지속
* 휴대폰(완제품) 월별 수출(억불, %) : (’23.1)3.4(174.1↑) → (’23.2)1.7(△36.2) → (’23.4)3.3(△42.3)
** 휴대폰(부분품) 월별 수출(억불, %) : (’23.2)8.5(4.7↑) → (’23.3)5.7(△34.1) → (’23.4)4.8(△41.2)
○ (컴퓨터·주변기기 : 5.9억불, △66.7%) 전자기기 및 데이터센터·서버용 보조기억장치(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SSD, 2.9억불, △79.9%) 수출이 감소
* 컴퓨터·주변기기 월별 수출(억불, %) : (’22.6)16.9(13.4↑) → (’22.7)12.1(△21.9) → (’23.4) 5.9(△66.7)
** 4월 주요국 SSD 수출(억불, %) : (중국(홍콩 포함))1.1(△74.4), (미국) 0.7(△88.0)
○ (통신장비 : 2.0억불, △14.7%) 인도(0.2억불, 380.3%↑) 등 5세대(5G) 통신 기반(인프라)가 확대되는 지역은 증가했으나, 국제 경기 둔화로 전체 통신장비는 감소
* 통신장비 월별 수출(억불, %) : (’23.2) 2.1(0.8↑) → (’23.3) 2.4(△9.2) → (’23.4) 2.0(△14.7)
※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월 대비)
• (중소* · 중견기업 40.3억불, △17.7%) 반도체(18.5억불, △21.9%), 디스플레이(1.8억불, △14.6%), 휴대폰(2.1억불, △10.8%), 컴퓨터·주변기기(1.5억불, △10.6%) 등 감소
* 중소기업(13.4억불, △15.0%)은 반도체(2.3억불, △25.2%), 디스플레이(0.6억불, △23.4%), 컴퓨터·주변기기(1.2억불, △8.1%) 등 감소
|
□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중국<홍콩 포함> : 51.0억불, △39.0%) 국제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생산 둔화 지속되며, 반도체(36.0억불, △37.6%)*, 디스플레이(4.6억불, △50.2%), 휴대폰(2.9억불, △46.5%) 등 주요 품목 감소
* 4월 중국, 홍콩 지역별 반도체 수출(억불, %) : (중국)27.4(△33.5), (홍콩)8.6(△47.7)
※ 중국(홍콩 포함) 수출(억불, %) : (’22.5)87.9(1.4↑) → (‘22.6)90.8(△2.6) → (‘23.4)51.0(△39.0)
○ (베트남 : 22.0억불, △26.7%) 전방산업 수요 위축으로 주요 부품 단가 하락 등이 이어지며 반도체(8.5억불, △35.8%), 디스플레이(8.4억불, △13.4%) 등 감소
* 베트남 월별 수출(억불, %) : (’22.7)31.0(5.6↑) → (’22.8)30.0(△8.1) → (’23.4)22.0(△26.7)
○ (미국 : 16.0억불, △40.1%) 휴대폰(1.3억불, 68.5%↑), 이차전지(3.9억불, 22.5%↑)는 증가하였으나, 반도체(2.6억불, △68.6%), 컴퓨터·주변기기(1.4억불, △79.4%) 등 감소
* 미국 수출(억불, %) : (’22.9)26.8(3.6↑) → (’22.10)20.4(△14.2) → (’23.4)16.0(△40.1)
○ (유럽연합 : 8.5억불, △36.8%) 반도체(1.8억불, △16.7%), 디스플레이(0.2억불, △26.8%), 휴대폰(1.6억불, △58.7%) 등 감소
* 유럽연합 수출(억불, %) : (’22.8)10.4(4.6↑) → (’22.9)10.9(△0.1) → (’23.4)8.5(△36.8)
○ (일본 : 2.7억불, △25.1%) 이차전지(0.4억불, 18.0%↑)는 증가하였으나, 반도체(0.8억불, △31.8%), 디스플레이(0.1억불, △26.8%) 등 감소
* 일본 수출(억불, %) : (’22.9)4.4(18.2↑) → (’22.10)3.6(△5.3) → (’23.4)2.7(△25.1)
정보통신산업(ICT) 수입 현황
|
□ (품목별) 반도체(48.1억불, △15.7%), 휴대폰(5.2억불, △25.9%), 디스플레이(3.3억불, △26.4%), 컴퓨터· 주변기기(10.5억불, △28.3%) 등 감소
□ (지역별) 중국(홍콩 포함, 38.2억불, △27.7%), 대만(14.8억불, △21.6%), 일본(9.2억불, △7.4%), 베트남(8.3억불, △23.8%), 미국(6.3억불, △10.2%) 등 감소
디(D)램
|
낸드플래시
|
자료 : Dramexchange, 2023.4, 고정거래가격 기준 / 단위 : 달러
|
< 첨부 > 동향 세부자료
목 차
|
|
|
|
||
|
|
|
1.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5
2. 주요 국가별 수출 동향....9
3. 수입 및 수지 동향....11
4. 2023년 4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통계(잠정)....13
|
1.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1 반도체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0.5% 감소한 64.8억불로,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ICT 기기 수요 약화 및 메모리 단가 하락 등으로 9개월 연속 감소
◦ (메모리 반도체 : 29.3억불, △54.1%) 디램 및 낸드의 수요 둔화·재고 누적으로 고정거래가격 하락 지속되며 10개월 연속 감소 지속
◦ (시스템 반도체 : 31.2억불, △22.1%) 반도체 업황 부진의 영향으로 파운드리, 팹리스 등 시스템 반도체도 4개월 연속 감소
![](https://blog.kakaocdn.net/dn/b7hPtp/btsfe7SNSwT/zHogTxaGzFliWG9BY4s741/img.png)
(국가별) 중국(홍콩 포함, 36.0억불, △37.6%), 베트남(8.5억불, △35.8%), 미국(2.6억불, △68.6%), 유럽연합(1.8억불, △16.7%) 등 감소
|
|
|
|
반도체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
반도체
|
108.9
|
116.1
|
124.8
|
113.8
|
109.6
|
116.8
|
94.1
|
86.4
|
92.8
|
61.5
|
61.1
|
87.3
|
64.8
|
||
(16.0)
|
(14.9)
|
(11.1)
|
(3.1)
|
(△6.8)
|
(△4.5)
|
(△16.2)
|
(△28.6)
|
(△27.8)
|
(△43.5)
|
(△41.5)
|
(△33.9)
|
(△40.5)
|
|||
|
메모리
|
63.8
|
72.8
|
77.9
|
61.7
|
57.5
|
66.2
|
44.7
|
38.4
|
44.4
|
27.7
|
29.2
|
45.7
|
29.3
|
|
(7.7)
|
(10.8)
|
(3.2)
|
(△13.5)
|
(△24.7)
|
(△16.7)
|
(△35.7)
|
(△49.7)
|
(△47.2)
|
(△57.3)
|
(△53.9)
|
(△44.3)
|
(△54.1)
|
|||
|
디(D)램
|
32.4
|
37.1
|
38.8
|
32.7
|
27.9
|
31.1
|
20.7
|
18.2
|
24.5
|
11.7
|
12.6
|
19.6
|
14.7
|
|
(12.9)
|
(27.9)
|
(14.9)
|
(△7.0)
|
(△26.0)
|
(△17.6)
|
(△41.9)
|
(△51.0)
|
(△40.8)
|
(△63.6)
|
(△60.5)
|
(△49.5)
|
(△54.5)
|
|||
낸드
플래시
|
7.4
|
8.0
|
7.9
|
7.4
|
6.2
|
6.7
|
5.7
|
5.2
|
3.5
|
3.6
|
4.9
|
6.4
|
3.5
|
||
(51.0)
|
(36.8)
|
(32.0)
|
(49.3)
|
(9.3)
|
(2.4)
|
(△10.6)
|
(△16.8)
|
(△45.8)
|
(△30.3)
|
(△21.8)
|
(△14.6)
|
(△52.5)
|
|||
메모리
MCP
|
19.8
|
24.1
|
25.1
|
18.3
|
20.8
|
24.7
|
16.5
|
13.5
|
14.9
|
11.1
|
10.6
|
16.2
|
9.8
|
||
(△9.9)
|
(△11.9)
|
(△21.9)
|
(△32.6)
|
(△26.5)
|
(△18.7)
|
(△30.0)
|
(△55.4)
|
(△52.6)
|
(△53.9)
|
(△49.6)
|
(△47.0)
|
(△50.3)
|
|||
메모리
MCO
|
4.1
|
3.5
|
6.1
|
3.2
|
2.5
|
3.6
|
1.7
|
1.5
|
1.5
|
1.2
|
1.0
|
3.4
|
1.1
|
||
(15.3)
|
(3.4)
|
(72.5)
|
(△20.5)
|
(△46.6)
|
(△24.5)
|
(△56.3)
|
(△47.3)
|
(△70.1)
|
(△65.7)
|
(△75.9)
|
(△33.1)
|
(△73.9)
|
|||
시스템
반도체
|
40.0
|
38.3
|
41.8
|
46.8
|
46.6
|
45.1
|
43.8
|
42.3
|
42.7
|
29.0
|
26.9
|
36.3
|
31.2
|
||
(36.4)
|
(26.8)
|
(33.3)
|
(40.4)
|
(31.0)
|
(20.2)
|
(17.6)
|
(8.3)
|
(9.9)
|
(△25.0)
|
(△25.5)
|
(△18.4)
|
(△22.1)
|
|||
개별 소자
|
1.5
|
1.5
|
1.4
|
1.3
|
1.3
|
1.4
|
1.3
|
1.3
|
1.2
|
1.2
|
1.2
|
1.5
|
1.3
|
||
(△3.6)
|
(3.7)
|
(△5.4)
|
(△21.6)
|
(△12.8)
|
(△8.1)
|
(△11.2)
|
(△9.5)
|
(△17.6)
|
(△14.0)
|
(△8.9)
|
(△3.5)
|
(△10.0)
|
|||
광전자
|
2.0
|
1.8
|
2.1
|
2.3
|
2.4
|
2.5
|
2.7
|
2.9
|
3.0
|
2.2
|
2.2
|
2.2
|
1.6
|
||
(△21.1)
|
(△27.5)
|
(△22.6)
|
(△5.8)
|
(△7.9)
|
(2.0)
|
(6.3)
|
(16.2)
|
(22.4)
|
(△5.9)
|
(9.2)
|
(11.1)
|
(△19.3)
|
2 디스플레이
국내 LCD 생산 축소의 영향 및 전방기기 수요 둔화로 인한 OLED 부진으로 전년 동월 대비 30.5% 감소한 14.3억불 기록
◦ LCD는 국내 생산 중단 및 사업 축소 영향으로 43.9% 감소한 2.9억불 기록
◦ OLED는 모바일용 디스플레이 수요 중심의 베트남(7.8억불, △6.2%), 중국(홍콩포함, 1.0억불, △64.9%) 수요 축소 등으로 21.6% 감소한 9.2억불 기록
TV 용 대형 패널을 제외한 모니터, 노트북 등 액정표시장치(LCD) 주요 패널 단가는 하락세 지속
◦ OLED 채용 확대 기조로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 중 OLED 점유율은 우상향 추세
![](https://blog.kakaocdn.net/dn/coCefd/btsftJXP6NH/mQWVJxJs3KKWKDaQlLNQDK/img.png)
(국가별) 베트남(8.4억불, △13.4%), 중국(홍콩 포함, 4.6억불, △50.2%) 등 주요국 감소
|
|
|
|
디스플레이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
디스 플레이
|
20.5
|
18.2
|
17.8
|
20.0
|
20.9
|
19.8
|
20.3
|
20.1
|
16.0
|
14.6
|
13.0
|
14.3
|
14.3
|
|
(22.5)
|
(2.4)
|
(△8.4)
|
(△4.7)
|
(△5.3)
|
(△18.6)
|
(△9.6)
|
(△17.3)
|
(△35.2)
|
(△37.7)
|
(△42.2)
|
(△41.4)
|
(△30.5)
|
||
|
LCD
|
5.2
|
4.9
|
4.3
|
4.8
|
5.4
|
3.5
|
3.6
|
3.6
|
3.4
|
3.0
|
3.0
|
2.8
|
2.9
|
(5.4)
|
(3.0)
|
(△9.0)
|
(△8.7)
|
(12.5)
|
(△27.3)
|
(△30.4)
|
(△33.5)
|
(△39.6)
|
(△44.7)
|
(△43.0)
|
(△53.3)
|
(△43.9)
|
||
|
OLED
|
11.7
|
9.9
|
10.9
|
12.5
|
12.6
|
13.5
|
14.3
|
14.1
|
10.2
|
9.6
|
8.0
|
9.1
|
9.2
|
(38.8)
|
(2.1)
|
(△2.4)
|
(2.7)
|
(△10.0)
|
(△16.5)
|
(2.9)
|
(△7.6)
|
(△33.7)
|
(△31.3)
|
(△39.3)
|
(△35.9)
|
(△21.6)
|
||
|
부분품
|
3.6
|
3.4
|
2.6
|
2.7
|
2.9
|
2.8
|
2.4
|
2.3
|
2.4
|
2.1
|
2.1
|
2.4
|
2.1
|
(6.7)
|
(2.4)
|
(△26.4)
|
(△24.1)
|
(△11.6)
|
(△16.2)
|
(△29.8)
|
(△34.2)
|
(△35.3)
|
(△50.1)
|
(△50.4)
|
(△42.6)
|
(△40.1)
|
3 휴대폰(부분품 포함)
글로벌 기기 수요 둔화에 따른 완제품 수출 감소, 주요 생산업체의 부품 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체 휴대폰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1.6% 감소한 8.1억불 기록
◦ (완제품 : 3.3억불, △42.3%) 미국의 플래그십 수요 확대로 미국向(1.0억불, 126.9%↑) 수출 증가했으나, 글로벌 ICT 기기 수요 부진에 따라 전체 수출은 3개월 연속 감소 기록
* 휴대폰 완제품 수출 추이(억불, %) : (’23.1) 3.4(174.1↑) → (’23.2) 1.7(△36.2) → (’23.4) 3.3(△42.3)
◦ (부분품 : 4.8억불, △41.2%) 기기 수요 부진 및 시장 불확실성 확대로 인해 주요 생산업체의 부품 수요 감소되며 부분품 수출은 2개월 연속 감소
* 휴대폰 부분품 수출 추이(억불, %) : (’23.2) 8.5(4.8↑) → (’23.3) 5.7(△34.1) → (’23.4) 4.8(△41.2)
![](https://blog.kakaocdn.net/dn/btqzqk/btsftJKdV3s/KfhYzm3A0c20oTtXJvyAK0/img.png)
(국가별) 미국(1.3억불, 68.5%↑)은 증가, 중국(홍콩 포함, 2.9억불, △46.5%), 베트남(1.2억불, △39.0%), 유럽연합(1.6억불, △58.7%), 일본(0.1억불, △29.8%) 등 감소
|
|
|
|
휴대폰(부분품 포함)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
휴대폰
(부분품 포함)
|
13.8
|
11.2
|
9.6
|
9.0
|
11.3
|
14.5
|
15.5
|
13.8
|
9.5
|
14.1
|
10.3
|
8.3
|
8.1
|
|
(11.7)
|
(7.5)
|
(10.8)
|
(△6.2)
|
(△3.7)
|
(20.1)
|
(13.0)
|
(△6.4)
|
(△29.2)
|
(24.3)
|
(△5.5)
|
(△49.3)
|
(△41.6)
|
||
|
완제품
|
5.7
|
4.2
|
4.6
|
3.0
|
2.5
|
4.1
|
2.9
|
2.8
|
0.9
|
3.4
|
1.7
|
2.6
|
3.3
|
(△0.6)
|
(2.0)
|
(18.3)
|
(△22.2)
|
(△34.9)
|
(23.5)
|
(△28.8)
|
(△34.5)
|
(△76.6)
|
(174.1)
|
(△36.2)
|
(△66.4)
|
(△42.3)
|
||
|
부분품
|
8.1
|
6.9
|
5.0
|
6.0
|
8.8
|
10.4
|
12.7
|
11.0
|
8.6
|
10.7
|
8.5
|
5.7
|
4.8
|
(22.2)
|
(11.1)
|
(4.6)
|
(4.6)
|
(11.8)
|
(18.9)
|
(30.2)
|
(5.1)
|
(△11.2)
|
(5.7)
|
(4.7)
|
(△34.1)
|
(△41.2)
|
4 컴퓨터 및 주변기기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은 글로벌 경기 약화로 인한 소비심리 둔화로 전년 동월 대비 66.7% 감소한 5.9억불로 10개월 연속 감소 기록
◦ (컴퓨터 : 0.7억불, △17.4%) ICT 기기 수요 둔화 등으로 중국((홍콩 포함)0.7억불, △17.2%) 등 감소하며 3개월 만에 감소 전환
* 컴퓨터 수출 추이(억불, %) : (‘23.1)0.7(△24.3)→(‘23.2)0.8(2.7↑)→(‘23.3)0.9(23.0↑)→(‘23.4)0.7(△17.4)
◦ (주변기기 : 5.1억불, △69.4%) 전자기기 및 서버·데이터센터용 보조기억장치 (SSD : 2.9억불, △79.9%) 수요 둔화 지속되며 10개월 연속 감소 기록
* 세계 SSD 시장 성장률 전망(Gartner, ’23.2, %) : (’20) 21.1 → (’21) 18.5 → (’22) △2.2 → (’23) 0.9
|
|
|
|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
컴퓨터 및 주변기기
|
17.6
|
17.7
|
16.9
|
12.1
|
12.6
|
15.4
|
10.3
|
9.7
|
11.7
|
6.3
|
6.5
|
8.5
|
5.9
|
|
(57.7)
|
(32.8)
|
(13.4)
|
(△21.9)
|
(△25.4)
|
(△20.2)
|
(△30.9)
|
(△45.2)
|
(△29.5)
|
(△58.8)
|
(△58.6)
|
(△52.5)
|
(△66.7)
|
||
|
컴퓨터
|
0.9
|
0.9
|
0.9
|
0.9
|
0.7
|
0.8
|
0.7
|
0.8
|
1.1
|
0.7
|
0.8
|
0.9
|
0.7
|
(△44.8)
|
(△53.0)
|
(△51.5)
|
(△58.0)
|
(△60.1)
|
(△60.1)
|
(△66.2)
|
(△63.0)
|
(△52.6)
|
(△24.3)
|
(2.7)
|
(23.0)
|
(△17.4)
|
||
주변 기기
|
16.7
|
16.8
|
16.0
|
11.2
|
11.9
|
14.6
|
9.6
|
8.9
|
10.5
|
5.6
|
5.8
|
7.6
|
5.1
|
|
(75.4)
|
(47.5)
|
(22.8)
|
(△16.3)
|
(△21.3)
|
(△15.6)
|
(△25.2)
|
(△42.7)
|
(△25.7)
|
(△61.1)
|
(△61.7)
|
(△55.6)
|
(△69.4)
|
5 통신장비*
※ 통신장비 : ICT 품목분류체계 내 통신기기 단위에서 휴대단말기 제외 품목(스위치, 안테나 등 포함)
5G 통신 인프라 확대 지역(인도(0.2억불, 380.3%↑) 등)은 일부 증가했으나,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4.7% 감소한 2.0억불 기록
|
|
|
|
통신장비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
통신장비
|
2.3
|
2.3
|
2.3
|
2.5
|
2.3
|
2.7
|
2.6
|
2.6
|
2.6
|
1.6
|
2.1
|
2.4
|
2.0
|
|
(6.8)
|
(49.2)
|
(25.1)
|
(30.7)
|
(24.6)
|
(42.4)
|
(43.4)
|
(31.3)
|
(24.1)
|
(△27.2)
|
(0.8)
|
(△9.2)
|
(△14.7)
|
2. 주요 국가별 수출 동향
|
|
|
|
월별 주요 국가 수출 추이
|
|
|
|
|
![](https://blog.kakaocdn.net/dn/nEMaV/btsfWU4YXeq/lKuqqqg7enUkimYvNgUWjK/img.png)
1 중국(홍콩 포함) : 51.0억불 수출, 전년 동월 대비 39.0% 감소
최대 수출국인 중국은 반도체(36.0억불, △37.6%), 디스플레이(4.6억불, △50.2%), 휴대폰(2.9억불, △46.5%), 컴퓨터·주변기기(1.7억불, △65.0%) 등 감소
◦ 우리나라 ICT 수출에서 차지하는 對중국 수출 비중은 40.0%
* 對 중국(홍콩 포함) 수출 비중(%) : (‘22.11) 42.1 → (12) 40.1 → (‘23.1) 40.1 → (2) 40.0 → (3) 40.1 → (4) 40.0
◦ (중국 : 41.0억불, △36.0%) 반도체(27.4억불, △33.5%), 디스플레이(4.4억불, △49.5%), 휴대폰(2.8억불, △47.0%), 컴퓨터·주변기기(1.4억불, △60.3%)는 감소
◦ (홍콩 : 10.0억불, △48.5%) 반도체(8.6억불, △47.7%), 컴퓨터·주변기기(0.4억불, △75.6%), 디스플레이(0.2억불, △62.5%), 휴대폰(0.1억불, △29.3%) 등 감소
|
|
|
|
중국(홍콩 포함)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
금액
|
83.6
|
87.9
|
90.8
|
83.5
|
82.5
|
96.3
|
78.3
|
70.0
|
67.6
|
52.5
|
51.3
|
63.3
|
51.0
|
|
(증감률)
|
(4.1)
|
(1.4)
|
(△2.6)
|
(△8.2)
|
(△14.7)
|
(△4.9)
|
(△16.0)
|
(△30.4)
|
(△36.2)
|
(△42.9)
|
(△39.4)
|
(△40.1)
|
(△39.0)
|
|
|
중국
|
64.1
|
65.5
|
67.3
|
70.1
|
66.6
|
70.8
|
61.6
|
55.6
|
53.5
|
44.6
|
43.3
|
45.0
|
41.0
|
(14.0)
|
(7.6)
|
(5.1)
|
(4.4)
|
(△2.1)
|
(3.2)
|
(△12.8)
|
(△25.7)
|
(△31.0)
|
(△37.9)
|
(△33.8)
|
(△45.8)
|
(△36.0)
|
||
홍콩
|
19.5
|
22.4
|
23.4
|
13.4
|
15.9
|
25.4
|
16.6
|
14.4
|
14.2
|
8.0
|
7.9
|
18.3
|
10.0
|
|
(△19.1)
|
(△13.1)
|
(△19.5)
|
(△43.8)
|
(△44.6)
|
(△21.9)
|
(△26.1)
|
(△44.0)
|
(△50.2)
|
(△60.7)
|
(△58.4)
|
(△19.4)
|
(△48.5)
|
2 베트남 : 22.0억불 수출, 전년 동월 대비 26.7% 감소
반도체(8.5억불, △35.8%), 디스플레이(8.4억불, △13.4%) 등 주요 품목 감소
|
|
|
|
베트남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금액
|
30.0
|
27.5
|
28.1
|
31.0
|
30.0
|
30.4
|
32.1
|
30.0
|
28.2
|
23.1
|
21.1
|
28.0
|
22.0
|
(증감률)
|
(25.8)
|
(15.4)
|
(5.1)
|
(5.6)
|
(△8.1)
|
(△15.1)
|
(△1.3)
|
(△15.2)
|
(△19.8)
|
(△30.5)
|
(△31.7)
|
(△20.0)
|
(△26.7)
|
3 미국 : 16.0억불 수출, 전년 동월 대비 40.1% 감소
휴대폰(1.3억불, 68.5%↑), 이차전지(3.9억불, 22.5%↑)는 증가, 반도체(2.6억불, △68.6%), 컴퓨터·주변기기(1.4억불, △79.4%) 등 감소
|
|
|
|
미국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금액
|
26.7
|
27.7
|
29.3
|
24.1
|
23.4
|
26.8
|
20.4
|
18.3
|
24.8
|
16.8
|
16.5
|
18.9
|
16.0
|
(증감률)
|
(25.9)
|
(21.3)
|
(14.4)
|
(△9.0)
|
(△5.2)
|
(3.6)
|
(△14.2)
|
(△26.4)
|
(△5.6)
|
(△18.8)
|
(△20.9)
|
(△33.3)
|
(△40.1)
|
4 유럽연합 : 8.5억불 수출, 전년 동월 대비 36.8% 감소
반도체(1.8억불, △16.7%), 휴대폰(1.6억불, △58.7%) 등은 감소
|
|
|
|
유럽연합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금액
|
13.4
|
13.0
|
12.3
|
11.0
|
10.4
|
10.9
|
9.6
|
9.6
|
10.3
|
8.8
|
9.3
|
9.9
|
8.5
|
(증감률)
|
(23.5)
|
(26.1)
|
(9.2)
|
(12.9)
|
(4.6)
|
(△0.1)
|
(△4.6)
|
(△24.0)
|
(△17.8)
|
(△15.7)
|
(△23.5)
|
(△30.2)
|
(△36.8)
|
5 일본 : 2.7억불 수출, 전년 동월 대비 25.1% 감소
반도체(0.8억불, △31.8%), 디스플레이(0.1억불, △26.8%), 휴대폰(0.1억불, △29.8%) 등 감소
|
|
|
|
일본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금액
|
3.6
|
4.2
|
4.1
|
3.4
|
3.4
|
4.4
|
3.6
|
3.1
|
3.3
|
3.1
|
3.1
|
4.1
|
2.7
|
(증감률)
|
(14.7)
|
(25.4)
|
(5.2)
|
(△5.6)
|
(△6.9)
|
(18.2)
|
(△5.3)
|
(△17.3)
|
(△15.4)
|
(△10.7)
|
(△4.8)
|
(△11.1)
|
(△25.1)
|
3. 수입 및 수지 동향
’23년 4월 ICT 수입은 전년 동월(121.4억불) 대비 14.0% 감소한 104.4억불 기록
◦ (품목별) 반도체(48.1억불, △15.7%), 컴퓨터·주변기기(10.5억불, △28.3%), 휴대폰(5.2억불, △25.9%), 디스플레이(3.3억불, △26.4%) 등 감소
◦ (국가별) 중국(홍콩 포함, 38.2억불, △27.7%), 대만(14.8억불, △21.6%), 베트남(8.3억불, △23.8%), 일본(9.2억불, △7.4%), 미국(6.3억불, △10.2%) 등 감소
5
|
|
|
|
2023년 4월 ICT산업 주요 국가/품목별 수입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 분
|
전자부품
|
컴퓨터 및 주변기기
|
ICT 응용ㆍ기반 기기
|
전체
|
|||||
전체
|
57.8
|
(△16.9)
|
10.5
|
(△28.3)
|
24.2
|
(11.0)
|
104.4
|
(△14.0)
|
|
|
중국(홍콩 포함)
|
15.2
|
(△45.8)
|
5.8
|
(△35.3)
|
12.1
|
(21.2)
|
38.2
|
(△27.7)
|
대만
|
14.1
|
(△21.7)
|
0.4
|
(△29.7)
|
0.1
|
(△16.9)
|
14.8
|
(△21.6)
|
|
일본
|
6.7
|
(△4.9)
|
0.3
|
(△16.1)
|
1.8
|
(△14.6)
|
9.2
|
(△7.4)
|
|
베트남
|
2.5
|
(12.8)
|
1.5
|
(△9.6)
|
1.0
|
(6.0)
|
8.3
|
(△23.8)
|
|
미국
|
2.5
|
(△16.8)
|
0.5
|
(31.7)
|
2.6
|
(△8.2)
|
6.3
|
(△10.2)
|
|
|
|
|
최근 ICT 수입 추이
|
|
|
|
|
![](https://blog.kakaocdn.net/dn/dgrsTD/btsfpew5j2I/UljZGoAUlKT8OwEaXnaEe0/img.png)
‘23년 4월 ICT 무역수지는 23.3억불 흑자를 기록
|
|
|
|
전체·ICT 무역 수지
|
|
|
|
|
(단위 : 억불)
구분
|
'22.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전체
|
△23.7
|
△15.8
|
△24.7
|
△50.2
|
△94.2
|
△38.4
|
△67.4
|
△70.8
|
△47.7
|
△125.2
|
△53.0
|
△46.3
|
△26.2
|
ICT산업
|
77.9
|
75.9
|
75.5
|
60.7
|
57.5
|
79.1
|
40.9
|
37.9
|
50.9
|
8.7
|
18.0
|
39.3
|
23.3
|
◦ (품목별) 반도체(16.7억불), 디스플레이(10.9억불), 휴대폰(2.9억불)은 흑자
|
|
|
|
주요 품목별 무역 수지
|
|
|
|
|
(단위 : 억불)
구분
|
'22.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반도체
|
52.0
|
55.5
|
57.8
|
46.6
|
42.4
|
51.1
|
27.8
|
17.2
|
35.1
|
9.6
|
11.7
|
32.7
|
16.7
|
디스 플레이
|
16.0
|
13.1
|
13.4
|
15.4
|
16.8
|
15.4
|
17.3
|
16.9
|
12.8
|
11.5
|
10.5
|
10.6
|
10.9
|
휴대폰
|
6.8
|
3.3
|
3.2
|
3.0
|
1.4
|
8.5
|
△0.5
|
8.1
|
4.1
|
3.5
|
4.5
|
3.1
|
2.9
|
컴퓨터·
주변기기
|
2.9
|
3.7
|
3.7
|
△3.0
|
△0.6
|
△0.3
|
△3.2
|
△3.2
|
△0.4
|
△10.3
|
△9.7
|
△4.5
|
△4.7
|
◦ (국가별) 중국(홍콩 포함, 12.8억불), 베트남(13.7억불), 미국(9.7억불), 유럽연합(2.9억불)은 흑자 기조 지속, 對일 적자는 6.4억불 기록
|
|
|
|
주요 국가별 무역 수지
|
|
|
|
|
(단위 : 억불)
구분
|
'22.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4
|
중국(홍콩)
|
30.7
|
29.8
|
33.2
|
28.4
|
26.7
|
45.7
|
14.8
|
21.5
|
20.2
|
△1.6
|
7.9
|
13.4
|
12.8
|
베트남
|
19.1
|
17.9
|
19.5
|
20.9
|
16.2
|
20.9
|
23.5
|
21.6
|
20.9
|
11.9
|
10.5
|
18.0
|
13.7
|
미국
|
19.7
|
20.3
|
21.6
|
16.5
|
16.2
|
20.0
|
13.3
|
11.6
|
17.2
|
10.4
|
10.2
|
12.4
|
9.7
|
유럽연합
|
7.6
|
6.6
|
5.8
|
4.3
|
3.8
|
4.5
|
3.3
|
3.2
|
3.5
|
2.5
|
3.4
|
2.5
|
2.9
|
일본
|
△6.3
|
△4.9
|
△6.7
|
△8.9
|
△7.7
|
△9.7
|
△9.5
|
△8.9
|
△9.2
|
△9.2
|
△6.4
|
△5.8
|
△6.4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대학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4개 대학 (전남대, 부산대, 경북대, 충남대) 선정 (0) | 2023.05.16 |
---|---|
국립대학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4개 대학 (전남대, 부산대, 경북대, 충남대) 선정 (0) | 2023.05.16 |
짝퉁 결혼반지? 예비부부 울리는 짝퉁 귀금속 (0) | 2023.05.15 |
디지털 쌍둥이(트윈) 기술, 미·중 경쟁 속에 한국 맹추격 중 (0) | 2023.05.15 |
K-방산의 미래 핵심기술 개발 아이디어 공모(2023년도 핵심기술 과제 공모) (0) | 2023.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