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월 15일 06시 27분 37초 동해해역 지진 규모 4.5
2023.05.15 기상청
동해시 해역 규모 4.5 지진 발생…
피해 없을 듯
|
- 4월 23일 이후, 규모 2.0 이상 지진 13회 발생
|
☐ 지진발생 현황(정밀분석 결과)
○ 발생시각 : 2023년 05월 15일 06시 27분 37초
○ 발생위치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37.87°N, 129.52°E)
○ 규모 / 발생깊이 : 4.5(ML) / 31km
○ 계기진도 : 최대진도 Ⅲ(강원, 경북), Ⅱ(충북)
※ 유감신고 현황(5월 15일 07시 기준) : 강원 18건
※ 여진 발생 현황(5월 15일 08시 10분 기준): 1회(규모 1.8, 08:06)
○ 지진 통보 현황
- 지진속보: 2023년 05월 15일 06시 27분 53초(최초관측 후 6초)
※ 신속정보(해역: 규모 4.0 이상)는 지진조기경보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발표
※ 지진발생 10초 후 동해 지진관측소에서 최초 관측(06시 27분 47초)
- 지진정보: 2023년 05월 15일 06시 30분
※ 지진정보는 위 지진속보를 지진분석사가 수동으로 분석한 정밀정보 결과임
- 지진재난문자방송(긴급재난문자):2023년 05월 15일 06시 27분 55초
※ 신속정보의 추정규모와 위치(진앙반경 80km)를 기반으로 최초 관측 후 8초 만에 강원 전역에 송출
○ 이번 지진(규모 4.5)으로 인한 지진해일 발생 가능성은 없음
○ 2023년 4월 23일 이후 이번 지진의 진앙 5km 이내에서 규모 2.0 이상 지진은 13회 발생하였음
□ 지진발생 위치 및 진도 상세정보
등급
|
진도 등급별 현상
|
Ⅱ
|
조용한 상태나 건물 위층에 있는 소수의 사람만 느낌
|
Ⅲ
|
실내, 특히 건물 위층에 있는 사람이 현저하게 느끼며, 정지하고 있는 차가 약간 흔들림
|
☐ 지진관측 현황
○ 최초 지진파 관측지점: 동해 관측소(TOHA), 관측시각 : 06시 27분 47초
☐ 단층운동 초기 분석결과
○ 이번 지진은 역단층 운동으로 분석됨
- 단층운동 분석에 따른 모멘트 규모(Mw)는 3.7로 분석됨
※ 모멘트 규모(Mw): 지진을 발생시킨 단층의 움직임을 해석하여 계산한 규모
< 표 1. 지진발생 정보 및 단층운동 분석 결과 >
연/월/일
|
발생시각
(시:분:초)
|
위도
(°N)
|
경도
(°E)
|
규모
(Mw)
|
주향(°)/경사(°)
/이동방향(°)
|
발생위치
|
2023/5/15
|
06:27:37
|
37.87
|
129.52
|
3.7
|
350/46/84
(179)/(44)/(96)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 동해시 해역 지진 발생통계(4.23 이후, 이번 지진의 진앙반경 5km 이내)
(2023. 5. 15. 08:10 기준 지진 발생 현황)
규모
|
ML<2.0
|
2.0≤ML<3.0
|
3.0≤ML<4.0
|
4.0≤ML<5.0
|
합계
|
횟수
|
23
|
9
|
3
|
1
|
36
|
○ 2023년 4월 23일 이후 규모 2.0 이상 지진은 13회 발생하였음(진앙 5km 이내)
번호
|
발생시각
|
규모
(ML)
|
깊이
(km)
|
위도
(°N)
|
경도
(°E)
|
위치
|
1
|
2023-05-15 06:27:37
|
4.5
|
31
|
37.87
|
129.52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2
|
2023-05-14 08:35:25
|
3.1
|
30
|
37.86
|
129.51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
3
|
2023-05-08 21:12:05
|
2.1
|
23
|
37.87
|
129.51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4
|
2023-04-28 23:39:24
|
2.6
|
27
|
37.88
|
129.51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5
|
2023-04-26 12:15:24
|
2.0
|
27
|
37.87
|
129.52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6
|
2023-04-26 06:51:41
|
2.2
|
28
|
37.86
|
129.51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1km 해역
|
7
|
2023-04-25 15:55:55
|
3.5
|
33
|
37.86
|
129.49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0km 해역
|
8
|
2023-04-25 12:02:50
|
3.1
|
28
|
37.87
|
129.52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9
|
2023-04-25 05:03:39
|
2.3
|
25
|
37.88
|
129.54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
10
|
2023-04-24 21:50:59
|
2.4
|
27
|
37.87
|
129.52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11
|
2023-04-24 21:41:25
|
2.1
|
27
|
37.87
|
129.53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3km 해역
|
12
|
2023-04-24 13:02:10
|
2.9
|
31
|
37.85
|
129.47
|
강원 동해시 북동쪽 48km 해역
|
13
|
2023-04-23 21:06:40
|
2.7
|
27
|
37.87
|
129.52
|
강원 동해시 북동쪽 52km 해역
|
☐ 지진 발생통계(1978년∼현재, 이번 지진의 진앙반경 50km 이내)
규모
|
2.0≤ML<3.0
|
3.0≤ML<4.0
|
4.0≤ML<5.0
|
5.0≤ML<6.0
|
합계
|
횟수
|
32
|
6
|
3
|
0
|
41
|
※ 이번 지진 이전의 최대 규모 지진 : 2019년 4월 19일 규모 4.3 (ML)
※ 최근 발생 지진 : 2023년 5월 14일 규모 3.1 (ML)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쌍둥이(트윈) 기술, 미·중 경쟁 속에 한국 맹추격 중 (0) | 2023.05.15 |
---|---|
K-방산의 미래 핵심기술 개발 아이디어 공모(2023년도 핵심기술 과제 공모) (0) | 2023.05.15 |
오늘부터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 추가접종 시작!(5.15.월) (0) | 2023.05.15 |
충북 증평, 한우 구제역 의심농장 발생 (0) | 2023.05.15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신평역 인근 열차 탈선 (0) | 2023.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