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 UN 국제구조대 운영회의 참석 "K-소방 성과 공유"
2023.04.23 소방청
“K-소방, 튀르키예 지진대응 활동 공유”
소방청, UN 국제탐색구조자문단 운영그룹 회의 참석
|
- 국제연합(UN) 주관 ‘인도주의 네트워크 파트너십 주간’ 국제회의 등 참석
- 대한민국 국제구조대(KDRT) 튀르키예 지진 대응 활동 공유 및 연간계획 논의
|
소방청(청장 직무대리 남화영)은 24일부터 5일간 스위스 제네바 UN 유럽본부에서 개최되는 국제탐색구조자문단(INSARAG)* 운영그룹 회의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 INSARAG(International Search and Rescue Advisory Group)은 해외 재난 발생 시 피해국가의 구호ㆍ구조 활동을 돕기 위해 결성된 국제연합(UN) 산하 단체로, 아시아 10개국과 유럽ㆍ아프리카ㆍ중동 46개국, 미주 13개국 등 총 69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번 회의는 매년 봄 국제연합(UN)이 주관하는 인도주의 네크워크 파트너십 주간(HNPW)** 행사의 일환으로 전 세계 국제구조대의 대표자들이 모여 각국 국제구조대의 2023년 운영 정책과 일정에 대해 논의하고 최신 국제구조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다.
** HNPW(Humanitarian Networks Partnership Week)는 국제연합(UN) 인도주의업무조정국(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이 주관하는 연례 행사로 유엔 기구, 정부, 군사, 학계, NGO 등 인도적 지원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만나 현안에 대해 토론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등 국제사회 인도적 협력의 장이다.
주요 일정은 ▲ 1일차 아시아-태평양 지역회의 ▲ 2일차 운영그룹회의 ▲ 3일차 튀르키예 지진 대응 사례 토의 등이며 각종 출동, 훈련, 행사 및 그간의 활동 연혁에 대한 전시회가 함께 개최된다.
소방청은 이번 회의에서 지난 2월 튀르키예 출동 등 대한민국 국제구조대의 지난 1년간 성과를 공유하고 올해 운영정책을 논의하는 등 대한민국의 국격에 걸맞는 국제구조대 활동을 위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낼 예정이다.
앞서 소방청 소속 대한민국 국제구조대 62명은 해외긴급구호대 1진으로 튀르키예 강진 현지에 파견되어 2월 8일부터 2월 18일까지 11일간 안타키아 지역에서 생존자 8명을 구조하고, 희생자 시신 19구를 유족과 정부기관에 인계했다.
김조일 119대응국장은“우리나라는 지난해 국제탐색구조자문단(INSARAG) 아시아-태평양 지역 의장국 역할을 맡는 등 국제사회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국위선양을 위해 역량을 강화하고 재외국민보호와 인도주의 구조 활동을 위한 국제협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참고 1
|
|
국제구조대 활동 실적(2023.3.31.기준)
|
□ 총 출동현황: 17개국 18회(구조활동 14회, 의료지원 3회, 방역 1회)
○ (구조실적) 9명 구조대만(’99) 지진 1명, 튀르키예(‘23) 지진 8명, 희생자 수습 560명
연 도
|
파 견 국
|
재해내용
(피 해)
|
국제구조대 활동내용
|
||
인 원
|
기 간
|
실 적
|
|||
’97년
|
캄보디아
|
여객기추락
(全 탑승자 사망)
|
7명
|
9.4.~9.8.(5일)
|
희생자 수습(21명)
|
’99년
|
터키 이즈밋
|
지진
(14,695명 사망)
|
17명
|
8.20.~8.30.(11일)
|
희생자 수습(154명)
|
대만 난토후
|
지진
(2,321명 사망)
|
16명
|
9.22.~9.27.(6일)
|
구조(1명)
희생자 수습(21명)
|
|
’03년
|
알제리 부메르데스
|
지진
(2,268명 사망)
|
21명
|
5.23.~5.31.(8일)
|
희생자 수습(22명)
|
이란 케르만밤
|
지진
(26,171명 사망)
|
24명
|
12.27.~1.3.(8일)
|
희생자 수습(57명)
|
|
’04년
|
태국 푸켓
|
쓰나미
(160,000명 사망)
|
15명
|
12.29.~1.7.(10일)
|
희생자 수습(14명)
|
’05년
|
파키스탄 북동부
|
지진
(50,000명 사망)
|
2명
|
10.14.~10.21.(8일)
|
의료팀 지원
|
’06년
|
인도네시아 반툴
|
지진
(5,500명 사망)
|
1명
|
5.28.~6.4.(8일)
|
의료팀 지원
|
’08년
|
중국 스촨성
|
지진
(80,000명 사망)
|
41명
|
5.16.~5.23.(8일)
|
희생자 수습(27명)
|
미얀마 양곤주
|
태풍
(77,738명 사망)
|
5명
|
6.5.~6.15.(11일)
|
안전조치 및 방역활동
|
|
’09년
|
인도네시아
|
지진
(608명 사망)
|
41명
|
10.1.~10.7.(7일)
|
희생자 수습(3명)
|
’10년
|
아이티
|
지진
(75,000명 사망)
|
25명
|
1.15.~1.25.(11일)
|
희생자 수습(33명)
|
’11년
|
일본 센다이
|
지진 강진 9.0
(15,901명 사망)
|
107명
|
3.12.~3.23.(12일)
|
희생자 수습(18명)
|
’13년
|
필리핀 타클로반
|
태풍
(6,138명 사망)
|
29명
|
11.15.~12.1.(17일)
|
희생자 수습(145명)
|
’15년
|
네팔 카트만두
|
지진 규모 7.9
(7,675명사망)
|
27명
|
4.27.~5.8.(12일)
|
희생자 수습(8명)
|
’18년
|
라오스
|
댐 붕괴
(49명 사망, 22명 실종)
|
1명
|
7.29.~8.24.(27일)
|
의료팀 지원
|
’19년
|
헝가리 부다페스트
|
유람선 침몰
(26명사망)
|
24명
|
5.30.~7.30.(62일)
|
희생자 수습(18명)
|
’23년
|
튀르키예
|
지진
(44,000명 사망)
|
63명
|
2.8.~2.18.(11일)
|
구조(8명)
희생자 수습(19명)
|
참고 2
|
|
국제구조대 활동 사진
|
□ 튀르키예 지진 대응 구조 출동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활력을 위한 ‘온 국민, 힘 모으기!’ 「5월 동행축제」 (0) | 2023.04.23 |
---|---|
어린이날 간식은 농촌융복합제품으로 준비하세요! (0) | 2023.04.23 |
재난 피해 최소화를 위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개정 본격 추진 (0) | 2023.04.23 |
3개 오송역 주차장 사업자의 부당한 공동행위 제재 (0) | 2023.04.23 |
황사 위기경보 부산·울산 주의 단계, 대구·충북·경남·전남·제주 관심 단계 발령 (0) | 2023.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