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결과 발표
2023.04.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2년 데이터 시장규모(E) 25조 527억원, 데이터 직무인력 19만 8천명 발표
|
-2021년도 데이터산업 시장규모는 22조 8,986억원 확정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원장 윤혜정, 이하 ‘K-DATA’)은 국내 데이터산업 시장규모, 인력현황 등을 조사하는 국가승인통계조사(제127004호), 「2022 데이터산업현황조사」 결과를 4월18일(화)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데이터산업 영위 사업체 8,940개 중 표본 1,375개와 일반산업 영위 사업체* 13,179개 중 표본 1,200개의 조사 응답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 공공, 금융, 제조, 유통, 서비스, 의료, 통신미디어, 물류, 교육, 유틸리티(전기/가스/수도 등), 농축산광업, 건설, 숙박음식점업 등 13개 분야 100인 이상 사업체
|
[참고] 2022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분류체계
|
|
|
|
|
◆ 데이터 관련 비즈니스는 총 3개의 대분류, 10개의 중분류 등으로 구분 가능
► (대분류 ➊)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중분류 6개)
: △ 데이터 수집·연계 솔루션 개발·공급업, △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솔루션 개발·공급업 △ 데이터 분석 솔루션 개발·공급업, △ 데이터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
△ 데이터 보안 솔루션 개발·공급업, △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솔루션 개발·공급업 등
► (대분류 ➋)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중분류 2개)
: △ 데이터 구축·가공 서비스업, △데이터 관련 컨설팅 서비스업 등
► (대분류 ➌)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중분류 2개)
: △ 데이터 판매·중개 서비스업, △ 정보제공 서비스업 등
|
우선 데이터산업 시장규모의 경우, ’21년 확정치는 22.9조원으로 ’20년(20.0조원) 대비 14.5%(2.9조원↑) 성장하였으며, ’22년(E) 예상치는 25.1조원으로 조사되었다. 데이터산업 시장규모는 최근 3년간(’20~’22E) 연평균성장률 11.9%를 나타내며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21년 확정 시장규모 기준 업종별 성장률의 경우, ▲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 부문(’20년 2.5조원 → ’21년 3.0조원)이 18.7%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다음 ▲ 데이터 판매 및 제공서비스업 부문(16.3%↑, ’20년 9.8조원 → ’21년 11.4조원), ▲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 부문(10.7%↑, ’20년 7.7조원 → ’21년 8.5조원) 순으로 나타났다.
< 2016~2022(E) 데이터산업 시장규모 요약 (단위 : 억원) >
구 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E)
|
증감률
’20~’21
|
CAGR
’20~’22(E)
|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
|
15,720
|
16,457
|
18,617
|
20,805
|
25,133
|
29,843
|
32,723
|
18.7%
|
14.1%
|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
|
55,850
|
58,894
|
61,290
|
65,412
|
76,999
|
85,274
|
92,570
|
10.7%
|
9.6%
|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
|
65,977
|
68,179
|
75,778
|
82,364
|
97,891
|
113,869
|
125,235
|
16.3%
|
13.1%
|
전체
|
137,547
|
143,530
|
155,684
|
168,582
|
200,024
|
228,986
|
250,527
|
14.5%
|
11.9%
|
’22년 인력 현황의 경우, 먼저 데이터 산업에 종사하는 총 인력은 40만 6,457명으로 이 중 데이터직무* 인력은 13만 4,310명으로 나타났다. 해당 수치는 이전년도 대비 약 1.2만명 증가한 수치(총 인력, 데이터 직무인력 모두 1.2만명 증가)이며 데이터 산업 종사인력이 데이터 직무인력 위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데이터직무(8개): 데이터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 데이터 기획자, 데이터 컨설턴트, 데이터 아키텍트
< 2016~2022 데이터산업 종사인력 현황 (단위 : 명) >
구 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증감률
’21~’22
|
CAGR
’20~’22
|
데이터 직무인력
|
73,256
|
77,105
|
82,623
|
89,058
|
101,967
|
122,431
|
134,310
|
9.7%
|
14.8%
|
데이터 직무인력 외
|
215,365
|
217,648
|
235,439
|
255,614
|
264,054
|
272,278
|
272,147
|
0.0%
|
1.5%
|
전체
|
288,621
|
294,753
|
318,062
|
344,672
|
366,021
|
394,709
|
406,457
|
3.0%
|
5.4%
|
아울러 ‘22년 우리나라 전(全)산업 데이터 직무 인력은 이전년도 대비 약 1.7만명 증가한 수치인 19만 7802명(이전년도 대비 9.4%↑)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산업뿐만 아니라 일반 산업에서도 이전년도 대비 8.6% 규모의 데이터 직무인력이 증가하는 등 모든 산업분야에서 데이터 인력 활용이 증가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 2016~2022 全산업 데이터 직무인력 현황 (단위 : 명) >
구 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증감률
’21~’22
|
CAGR
’20~’22(E)
|
일반산업
|
29,119
|
32,215
|
35,104
|
41,775
|
48,210
|
58,442
|
63,492
|
8.6%
|
14.8%
|
데이터산업
|
73,256
|
77,105
|
82,623
|
89,058
|
101,967
|
122,431
|
134,310
|
9.7%
|
14.8%
|
전산업
|
102,375
|
109,320
|
117,727
|
130,833
|
150,177
|
180,873
|
197,802
|
9.4%
|
14.8%
|
과기정통부는 「2022 데이터산업현황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1차 데이터 산업진흥 기본계획」*의 후속조치(기업 지원, 인력 양성 등)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그리고 향후에도 데이터 생산·유통·활용으로 이어지는 데이터 생애 전주기 활성화 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는 유의미한 지표를 지속 개발해 조사·분석하여 정책에 반영해 나갈 예정이다.
* ’23.1.26일 제2차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총리 주재) 심의·의결
2022년도 데이터산업현황조사의 구체적인 조사결과를 담은 전체 보고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www.msit.go.kr) 및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www.kdata.or.kr)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3주년 4·19혁명 기념식 19일 거행_국가보훈처 (0) | 2023.04.19 |
---|---|
완연한 봄, 궁궐에서 열리는 ‘2023년 봄 궁중문화축전’ (0) | 2023.04.19 |
연령·성별·국적·장애의 경계 잇는 공공디자인, 국민 아이디어로 찾는다 (1) | 2023.04.18 |
글로벌 기업 연구개발(R&D), 대학생이 해결한다! (1) | 2023.04.18 |
국민건강, 안전 위협 불법 식의약품, 생활용품 반입 차단 (0) | 2023.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