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022년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결과 발표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3. 4. 19.
반응형

2022년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결과 발표

2023.04.1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2년 데이터 시장규모(E) 25조 527억원, 데이터 직무인력 19만 8천명 발표
-2021년도 데이터산업 시장규모는 22조 8,986억원 확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원장 윤혜정, 이하 ‘K-DATA’)은 국내 데이터산업 시장규모, 인력현황 등을 조사하는 국가승인통계조사(제127004호), 「2022 데이터산업현황조사」 결과를 4월18일(화)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데이터산업 영위 사업체 8,940개 중 표본 1,375개와 일반산업 영위 사업체* 13,179개 중 표본 1,200개의 조사 응답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 공공, 금융, 제조, 유통, 서비스, 의료, 통신미디어, 물류, 교육, 유틸리티(전기/가스/수도 등), 농축산광업, 건설, 숙박음식점업 등 13개 분야 100인 이상 사업체

 


[참고] 2022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분류체계



데이터 관련 비즈니스는 총 3개의 대분류, 10개의 중분류 등으로 구분 가능

► (대분류 ➊)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중분류 6개)
: △ 데이터 수집·연계 솔루션 개발·공급업, △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솔루션 개발·공급업 △ 데이터 분석 솔루션 개발·공급업, △ 데이터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
△ 데이터 보안 솔루션 개발·공급업, △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솔루션 개발·공급업 등

► (대분류 ➋)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중분류 2개)
: △ 데이터 구축·가공 서비스업, △데이터 관련 컨설팅 서비스업 등

► (대분류 ➌)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중분류 2개)
: △ 데이터 판매·중개 서비스업, △ 정보제공 서비스업 등

 

우선 데이터산업 시장규모의 경우, ’21년 확정치는 22.9조원으로 ’20년(20.0조원) 대비 14.5%(2.9조원↑) 성장하였으며, ’22년(E) 예상치는 25.1조원으로 조사되었다. 데이터산업 시장규모는 최근 3년간(’20~’22E) 연평균성장률 11.9%를 나타내며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21년 확정 시장규모 기준 업종별 성장률의 경우, ▲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 부문(’20년 2.5조원 → ’21년 3.0조원)이 18.7%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다음 ▲ 데이터 판매 및 제공서비스업 부문(16.3%↑, ’20년 9.8조원 → ’21년 11.4조원), ▲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 부문(10.7%↑, ’20년 7.7조원 → ’21년 8.5조원) 순으로 나타났다.

 

< 2016~2022(E) 데이터산업 시장규모 요약 (단위 : 억원) >

구 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E)
증감률
’20~’21
CAGR
’20~’22(E)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
15,720
16,457
18,617
20,805
25,133
29,843
32,723
18.7%
14.1%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
55,850
58,894
61,290
65,412
76,999
85,274
92,570
10.7%
9.6%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
65,977
68,179
75,778
82,364
97,891
113,869
125,235
16.3%
13.1%
전체
137,547
143,530
155,684
168,582
200,024
228,986
250,527
14.5%
11.9%

 

’22년 인력 현황의 경우, 먼저 데이터 산업에 종사하는 총 인력은 40만 6,457명으로 이 중 데이터직무* 인력은 13만 4,310명으로 나타났다. 해당 수치는 이전년도 대비 약 1.2만명 증가한 수치(총 인력, 데이터 직무인력 모두 1.2만명 증가)이며 데이터 산업 종사인력이 데이터 직무인력 위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데이터직무(8개): 데이터 개발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 데이터 기획자, 데이터 컨설턴트, 데이터 아키텍트

 

< 2016~2022 데이터산업 종사인력 현황 (단위 : 명) >

구 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증감률
’21~’22
CAGR
’20~’22
데이터 직무인력
73,256
77,105
82,623
89,058
101,967
122,431
134,310
9.7%
14.8%
데이터 직무인력 외
215,365
217,648
235,439
255,614
264,054
272,278
272,147
0.0%
1.5%
전체
288,621
294,753
318,062
344,672
366,021
394,709
406,457
3.0%
5.4%

 

아울러 ‘22년 우리나라 전(全)산업 데이터 직무 인력은 이전년도 대비 약 1.7만명 증가한 수치인 19만 7802명(이전년도 대비 9.4%↑)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산업뿐만 아니라 일반 산업에서도 이전년도 대비 8.6% 규모의 데이터 직무인력이 증가하는 등 모든 산업분야에서 데이터 인력 활용이 증가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 2016~2022 全산업 데이터 직무인력 현황 (단위 : 명) >

구 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증감률
’21~’22
CAGR
’20~’22(E)
일반산업
29,119
32,215
35,104
41,775
48,210
58,442
63,492
8.6%
14.8%
데이터산업
73,256
77,105
82,623
89,058
101,967
122,431
134,310
9.7%
14.8%
전산업
102,375
109,320
117,727
130,833
150,177
180,873
197,802
9.4%
14.8%

 

과기정통부는 「2022 데이터산업현황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제1차 데이터 산업진흥 기본계획」*의 후속조치(기업 지원, 인력 양성 등)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그리고 향후에도 데이터 생산·유통·활용으로 이어지는 데이터 생애 전주기 활성화 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는 유의미한 지표를 지속 개발해 조사·분석하여 정책에 반영해 나갈 예정이다.

 

* ’23.1.26일 제2차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총리 주재) 심의·의결

 

2022년도 데이터산업현황조사의 구체적인 조사결과를 담은 전체 보고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www.msit.go.kr) 및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www.kdata.or.kr)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