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월간 수출입 현황 [확정치]
2023.04.17 관세청
2023년 3월 월간 수출입 현황 [확정치]
|
- 수출, △13.6% 감소한 551억 달러
|
1 ’23. 3월 수출입 현황
○ (총 괄)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13.6% 감소한 551억 달러, 수입은 △6.4% 감소한 597억 달러로, 무역수지 46억 달러 적자 기록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
2022년
|
2023년
|
|||
3월
|
1~3월
|
2월
|
3월
|
1~3월
|
|
수 출
(전년동기대비)
|
63,787
(18.8)
|
173,398
(18.4)
|
50,053
(△7.6)
|
55,107
(△13.6)
|
151,544
(△12.6)
|
수 입
(전년동기대비)
|
63,811
(28.3)
|
177,900
(30.2)
|
55,348
(3.5)
|
59,739
(△6.4)
|
173,988
(△2.2)
|
무역수지
|
-24
|
-4,502
|
-5,295
|
-4,632
|
-22,445
|
- 3월 수출은 기저효과(’22.3월은 월간 수출액 역대 최대)로 인해 수출 감소 폭이 확대됐으나, 500억 달러를 상회하는 수출실적 기록
![](https://blog.kakaocdn.net/dn/6MjzV/btsaEgEWYNM/KgcOeVIOqXb5pwXfDkqYZk/img.png)
○ 수 출
-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승용차(전년동월대비 증감률 65.6%)는 증가, 반도체(△33.8%)ㆍ석유제품(△16.6%)ㆍ자동차 부품(△5.3%)ㆍ무선통신기기(△40.3%)ㆍ가전제품(△44.7%) 등 감소
-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미국(전년동월대비 증감률 1.6%)ㆍ
중동(22.1%) 등 증가, 중국(△33.4%)ㆍ유럽연합(△1.2%)ㆍ베트남(△24.6%)ㆍ일본(△12.2%)ㆍ싱가포르(△20.8%)ㆍ호주(△15.6%) 등 감소
○ 수 입
- (품목별) 주요 수입품목 중에 기계류(전년동월대비 증감률 5.1%)․석탄(6.2%)․승용차(17.2%)는 증가, 원유(△6.1%)․메모리 반도체(△31.0%)․가전제품(△3.5%)은 감소
(소비재 : △1.2% 감소) 승용차(17.2%)ㆍ의류(11.2%)ㆍ조제식품(0.8%) 등은 증가, 가전제품(△3.5%)ㆍ사료(△13.3%) 등은 감소
(원자재 : △10.0% 감소) 석탄(6.2%)ㆍ비철금속광(7.5%)ㆍ강판(1.8%) 등은 증가, 원유(△6.1%)ㆍ가스(△25.2%)ㆍ석유제품(△19.1%) 등은 감소
(자본재 : △2.4% 감소) 기계류(5.1%)ㆍ제조용 장비(21.1%)ㆍ축전기 및 전지(89.2%) 등은 증가, 메모리 반도체(△31.0%)ㆍ정밀기기(△5.6%)ㆍ컴퓨터 주변기기(△9.8%) 등은 감소
- (국가별) 주요 수입대상국 중에 중국(전년동월대비 증감률 4.5%)ㆍ중동(3.3%)ㆍ대만(1.3%) 등 증가, 미국(△4.3%)ㆍ유럽연합(△0.4%)ㆍ일본(△15.9%)ㆍ호주(△36.7%)ㆍ베트남(△11.6%) 등 감소
2 수출입 특이사항
○ 3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3.6% 감소한 551억 달러로,
6개월 연속 감소
* 수출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2.10월] △5.8 → [11월] △14.2 → [12월] △9.7 → [’23.1월] △16.4 → [2월] △7.6 → [3월] △13.6
○ 수출 중량은 전월 증가(8.5%)에서 감소(△3.3%)로 전환
○ 국가별 수출 금액은 중국(△33.4%)이 10개월 연속 감소한 가운데,
미국은 전월(16.3%)에 이어 1.6% 증가
* 중국 수출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2.6월] △0.8 → [7월] △2.7 → [8월] △5.5 → [9월] △6.6 → [10월] △15.7 → [11월] △25.5 → [12월] △27.0 → [’23.1월] △31.1→ [2월] △24.2→ [3월] △33.4
* 미국 수출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2.8월] 13.6 → [9월] 15.8 → [10월] 6.5 → [11월] 7.9 → [12월] 6.4 → [’23.1월] △5.9 → [2월] 16.3 → [3월] 1.6
○ 반도체 수출은 8개월 연속 감소, 석유제품 수출은 감소로 전환
* 반도체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2.8월] △7.0 → [9월] △4.9 → [10월] △16.4 → [11월] △28.6 → [12월] △27.8 → [’23.1월] △43.4 → [2월] △41.5 → [3월] △33.8
* 석유제품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3.2월] 11.0 → [3월] △16.6
○ 원유 수입단가*는 국제유가 하락으로 △13.9% 하락
* 수입단가(달러($)/배럴) : [’22.12월] 93.0 → [’23.1월] 85.6 → [2월] 86.4 → [3월] 85.9
수입단가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22..12월] 12.6 → [’23.1월] 2.6 → [2월]△7.0 → [3월]△13.9
※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4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음
2023년 3월 수출입현황 및 무역수지 [상세]
|
1
|
|
수출 현황
|
□〔총 괄〕전년 동월 대비 △13.6% 감소한 551억 달러 기록
ㅇ 승용차(65.6%)는 증가, 반도체(△33.8%)․석유제품(△16.6%)․자동차 부품(△5.3%)․무선통신기기(△40.3%)․선박(△26.7%)․가전제품(△44.7%)․액정디바이스(△62.3%) 등은 감소
ㅇ 미국(1.6%)․중동(22.1%) 등 증가, 중국(△33.4%)․유럽연합(△1.2%)․베트남(△24.6%)․일본(△12.2%)․싱가포르(△20.8%)․대만(△36.8%)․호주(△15.6%) 등 감소
![](https://blog.kakaocdn.net/dn/KQNxd/btsaPFYsbGD/vTVlKkGFWjjFYsz4HunyT1/img.png)
ㅇ (수출중량) 전년 동월 대비 △3.3% 감소한 1,575만 톤
(단위 : 만 톤, 전년 동월 대비 %)
구 분
|
’22
|
’22.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중량
|
18,602
|
1,628
|
1,480
|
1,665
|
1,420
|
1,603
|
1,694
|
1,546
|
1,430
|
1,498
|
1,599
|
1,493
|
1,623
|
1,575
|
(증감률)
|
△1.1
|
0.3
|
△5.4
|
7.9
|
△6.2
|
△3.9
|
8.1
|
△2.4
|
△11.4
|
△6.6
|
△3.9
|
△3.4
|
8.5
|
△3.3
|
* 순중량 기준 (포장, 용기 물량 제외)
□〔주요품목별〕승용차는 증가, 석유제품․가전제품․무선통신기기․반도체․액정디바이스․자동차 부품 등은 감소
ㅇ (석유제품) 전년 동월 대비 △16.6% 감소한 46억 3천만 달러
ㅇ (철강제품) 전년 동월 대비 △10.8% 감소한 45억 3천만 달러
ㅇ (가전제품) 전년 동월 대비 △44.7% 감소한 6억 5천만 달러
ㅇ (유선통신기기) 전년 동월 대비 △15.9% 감소한 8천만 달러
ㅇ (무선통신기기) 전년 동월 대비 △40.3% 감소한 13억 4천만 달러
ㅇ (반도체) 전년 동월 대비 △33.8% 감소한 88억 달러
* 중국(비중 33.8), 베트남(15.7), 대만(8.2), 미국(4.7) 등으로 수출
ㅇ (액정디바이스) 전년 동월 대비 △62.3% 감소한 1억 2천만 달러
ㅇ (승용차) 전년 동월 대비 65.6% 증가한 62억 6천만 달러
* 최대 수출국인 미국(비중 43.1, 증감률 62.8%) 및 캐나다(7.0, 56.8%), 독일(4.2, 124.4%), 영국(4.1, 20.3%), 프랑스(2.9, 116.6%) 등 수출 증가
ㅇ (자동차부품) 전년 동월 대비 △5.3% 감소한 20억 달러
ㅇ (선박) 전년 동월 대비 △26.7% 감소한 10억 7천만 달러
< 주요 품목별 수출 증감률 >
(단위 : 전년 동월 대비, %)
구분
|
’22년
|
’22.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석유제품
|
63.1
|
99.5
|
74.9
|
109.7
|
83.1
|
75.1
|
113.7
|
45.9
|
8.6
|
20.4
|
20.0
|
14.3
|
11.0
|
△16.6
|
철강제품
|
5.1
|
22.2
|
21.1
|
21.6
|
5.1
|
1.5
|
2.8
|
△16.6
|
△13.0
|
△11.4
|
△20.5
|
△24.0
|
△9.3
|
△10.8
|
가전제품
|
18.8
|
66.5
|
45.6
|
42.6
|
8.1
|
△10.1
|
11.8
|
△6.3
|
△22.3
|
△33.4
|
△28.1
|
△54.1
|
△39.2
|
△44.7
|
유선통신기기
|
△8.8
|
10.3
|
△12.2
|
△9.8
|
△16.4
|
△3.6
|
△8.7
|
13.6
|
5.5
|
△23.9
|
△11.5
|
△6.5
|
35.0
|
△15.9
|
무선통신기기
|
△18.1
|
17.2
|
△11.2
|
△22.2
|
△14.1
|
△16.0
|
△27.4
|
△20.2
|
△12.3
|
△20.1
|
△41.9
|
△9.5
|
△31.2
|
△40.3
|
반도체
|
1.3
|
36.9
|
15.6
|
14.2
|
10.8
|
2.5
|
△7.0
|
△4.9
|
△16.4
|
△28.6
|
△27.8
|
△43.4
|
△41.5
|
△33.8
|
액정디바이스
|
△29.7
|
10.1
|
△4.1
|
△17.8
|
△35.2
|
△41.7
|
△42.8
|
△57.1
|
△46.9
|
△43.8
|
△54.9
|
△57.6
|
△45.6
|
△62.3
|
승용차
|
16.6
|
△10.0
|
5.4
|
17.7
|
△3.1
|
26.2
|
38.1
|
34.7
|
29.0
|
31.4
|
28.3
|
22.3
|
47.9
|
65.6
|
자동차부품
|
3.1
|
0.8
|
△3.3
|
7.9
|
△2.6
|
2.6
|
15.1
|
9.9
|
3.9
|
1.0
|
△5.8
|
△15.1
|
13.3
|
△5.3
|
선 박
|
△21.4
|
△37.1
|
△17.9
|
46.4
|
△36.2
|
29.8
|
△29.2
|
18.5
|
△9.6
|
△69.5
|
82.7
|
92.5
|
△13.0
|
△26.7
|
□〔주요 지역별〕미국․중동 등 증가, 중국․유럽연합 등 감소
ㅇ (중국) 전년 동월 대비 △33.4% 감소한 104억 2천만 달러
- 반도체 제조용 장비(2.8)․방송기기(1558.8)․장비부품(9.7) 등은 증가, 메모리 반도체(△51.0)․정밀기기(△35.5)․석유제품(△18.2)․컴퓨터 주변기기(△66.9)․금속광(△29.5)․비철금속(△39.0)․무선통신기기(△48.3)․액정디바이스(△56.0) 등은 감소
< 對중국 수출 추이 >
(단위 : 억 달러, 전년 동월 대비 %)
구 분
|
’22
|
’22.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수출액
|
1,558
|
156
|
129
|
134
|
130
|
132
|
131
|
133
|
122
|
114
|
112
|
92
|
99
|
104
|
(증감률)
|
△4.4
|
16.7
|
△3.4
|
1.3
|
△0.8
|
△2.7
|
△5.5
|
△6.6
|
△15.7
|
△25.5
|
△27.0
|
△31.1
|
△24.2
|
△33.4
|
ㅇ (미국) 전년 동월 대비 1.6% 증가한 97억 9천만 달러
- 승용차(62.8)․석유제품(11.7)․축전기 및 전지(19.3) 등은 증가, 자동차 부품(△6.4)․가전제품(△9.7)․컴퓨터 주변기기(△52.4)․메모리 반도체(△74.9)․철강관(△5.9)․비철금속(△4.0)․무선통신기기(△41.6) 등은 감소
< 對미국 수출 추이 >
(단위 : 억 달러, 전년 동월 대비 %)
구 분
|
’22
|
’22.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수출액
|
1,098
|
96
|
96
|
96
|
98
|
101
|
88
|
92
|
86
|
88
|
93
|
81
|
90
|
98
|
(증감률)
|
14.5
|
20.9
|
27.1
|
29.2
|
12.1
|
15.8
|
13.6
|
15.8
|
6.5
|
7.9
|
6.4
|
△5.9
|
16.3
|
1.6
|
ㅇ (유럽연합) 전년 동월 대비 △1.2% 감소한 61억 4천만 달러
- 승용차(112.9)․석유제품(127.6)․비철금속(15.7) 등은 증가, 자동차 부품(△5.6)․축전기 및 전지(△13.5)․의약품(△22.0)․정밀기기(△2.4)․무선통신기기(△71.9)․메모리 반도체(△32.1)․가전제품(△42.8) 등은 감소
- 국가별로는 폴란드(26.2)․헝가리(53.3)․프랑스(29.8)․벨기에(20.7) 등 11개국은 증가, 독일(△6.5)․네덜란드(△7.4)․이탈리아(△10.3)․스페인(△1.3)․체코(△6.8)․스웨덴(△1.5) 등 16개국은 감소
< 對유럽연합 수출 추이 >
(단위 : 억 달러, 전년 동월 대비 %)
구 분
|
’22
|
’22.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수출액
|
681
|
62
|
55
|
60
|
52
|
62
|
54
|
54
|
56
|
53
|
63
|
54
|
62
|
61
|
(증감률)
|
7.0
|
△1.8
|
7.4
|
23.2
|
0.5
|
15.5
|
7.2
|
△0.9
|
10.4
|
△0.5
|
5.3
|
0.1
|
13.0
|
△1.2
|
ㅇ (베트남) 전년 동월 대비 △24.6% 감소한 46억 3천만 달러
- 컴퓨터 주변기기(15.3)․승용차(7.3)․철강관(172.9) 등은 증가, 무선통신기기(△25.1)․메모리 반도체(△38.4)․석유제품(△71.0)․비철금속(△27.6)․정밀기기(△35.5)․가전제품(△21.7) 등은 감소
< 對베트남 수출 추이 >
(단위 : 억 달러, 전년 동월 대비 %)
구 분
|
’22
|
’22.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수출액
|
610
|
61
|
54
|
50
|
48
|
52
|
47
|
48
|
50
|
46
|
48
|
38
|
40
|
46
|
(증감률)
|
7.5
|
45.9
|
24.7
|
18.8
|
5.8
|
5.9
|
△2.4
|
△6.7
|
1.1
|
△15.1
|
△15.3
|
△28.5
|
△22.7
|
△24.6
|
ㅇ (일본) 전년 동월 대비 △12.2% 감소한 24억 4천만 달러
- 정밀기기(17.7)․자동차 부품(4.6)․축전기 및 전지(4.1) 등은 증가, 석유제품(△19.1)․철강의 판(△2.6)․의약품(△25.4)․은(△62.8)․비철금속(△35.0)․컴퓨터 주변기기(△65.9)․메모리 반도체(△41.0) 등은 감소
< 對일본 수출 추이 >
(단위 : 억 달러, 전년 동월 대비 %)
구 분
|
’22
|
’22.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수출액
|
306
|
28
|
26
|
28
|
27
|
25
|
25
|
26
|
23
|
23
|
24
|
23
|
23
|
24
|
(증감률)
|
1.8
|
14.9
|
5.4
|
19.9
|
2.1
|
△2.7
|
0.9
|
1.6
|
△13.1
|
△18.2
|
△10.5
|
△12.3
|
△5.3
|
△12.2
|
ㅇ (중동) 전년 동월 대비 22.1% 증가한 18억 4천만 달러
- 승용차(60.8)․철강관(170.2)․석유제품(9.2)․의약품(33.7)․비철금속(35.3)․가전제품(13.1) 등은 증가, 자동차 부품(△3.4)․화물차(△14.9)․정밀기기(△6.8)․컴퓨터 주변기기(△35.4) 등은 감소
- 사우디아라비아(58.1)․아랍에미리트(28.4)․이스라엘(26.6)․이라크(2.6)․카타르(6.3)․리비아(9.1)․오만(25.3) 등 13개국은 증가, 이집트(△31.0)․요르단(△11.7)․알제리(△20.7) 등 7개국은 감소
< 對중동 수출 추이 >
(단위 : 억 달러, 전년 동월 대비 %)
구 분
|
’22
|
’22.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수출액
|
174
|
15
|
13
|
16
|
14
|
15
|
13
|
14
|
14
|
15
|
18
|
15
|
17
|
18
|
(증감률)
|
12.3
|
17.8
|
△2.7
|
49.0
|
8.3
|
14.3
|
7.8
|
9.9
|
△6.4
|
5.0
|
5.8
|
4.4
|
20.5
|
22.1
|
2
|
|
수입 현황
|
□〔총 괄〕전년 동월 대비 △6.4% 감소한 597억 달러 기록
![](https://blog.kakaocdn.net/dn/bgyMKR/btsaKxGnknY/hWvsQgCJUYNsKyXpnctKzK/img.png)
□〔수입중량〕전년 동월 대비 2.6% 증가한 5,042만 톤
< 수입중량 추이 >
(단위 : 만 톤, 전년 동월 대비 %)
구 분
|
’22
|
’22.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중량
|
56,685
|
4,915
|
4,372
|
4,794
|
4,469
|
5,036
|
5,086
|
4,661
|
4,360
|
4,659
|
4,748
|
4,821
|
4,603
|
5,042
|
(증감률)
|
△0.9
|
2.8
|
△7.2
|
7.2
|
△5.9
|
△3.8
|
7.3
|
△6.7
|
△7.1
|
△4.0
|
△5.9
|
△6.1
|
3.4
|
2.6
|
* 순중량 기준 (포장, 용기 물량 제외)
□〔품목별〕소비재(△1.2%), 원자재(△10.0%), 자본재(△2.4%) 감소
< 용도별 수입 증감률 추이 >
(단위 : 전년 동월 대비, %)
구 분
|
’22
|
’22.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소비재
|
9.1
|
8.3
|
4.6
|
11.8
|
3.4
|
8.5
|
28.3
|
13.0
|
7.9
|
0.7
|
△4.9
|
3.9
|
△2.0
|
△1.2
|
원자재
|
30.1
|
53.1
|
37.1
|
52.6
|
28.7
|
35.0
|
35.7
|
24.5
|
9.8
|
4.7
|
0.7
|
△5.3
|
7.1
|
△10.0
|
자본재
|
7.5
|
6.5
|
0.08
|
14.2
|
13.7
|
7.7
|
16.3
|
10.7
|
10.9
|
0.4
|
△6.4
|
△1.5
|
0.1
|
△2.4
|
ㅇ (소비재) 전년 동월 대비 △1.2% 감소 / 승용차(17.2)․의류(11.2)․조제식품(0.8)․가사용구(0.7) 등은 증가, 가전제품(△3.5)․사료(△13.3)․어류(△9.6)․소고기(△21.1)․돼지고기(△12.4) 등은 감소
ㅇ (원자재) 전년 동월 대비 △10.0% 감소 / 석탄(6.2)․비철금속광(7.5)․강판(1.8) 등 증가, 원유(△6.1)․가스(△25.2)․석유제품(△19.1)․의약품(△33.3)․철광(△8.6) 등은 감소
- (원유) 중량 9.0% 증가, 수입액 △6.1% 감소, 수입단가 △13.9% 하락
< 원유 수입 추이 >
[단위 : 십만 톤, 백만 bbl, 백만 $, $/bbl, (전년 동월 대비, %)]
구 분
|
’22
|
’22.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3.1
|
2
|
3
|
중 량
|
1,383
(7.2)
|
115
(19.2)
|
115
(2.9)
|
108
(△0.6)
|
99
(△8.3)
|
132
(23.3)
|
129
(17.4)
|
114
(8.0)
|
107
(△6.5)
|
111
(2.8)
|
120
(3.8)
|
110
(△13.2)
|
113
(7.4)
|
125
(9.0)
|
배 럴
|
1,023
(7.2)
|
85
(19.2)
|
85
(2.9)
|
80
(△0.6)
|
73
(△8.3)
|
97
(23.3)
|
96
(17.4)
|
84
(8.0)
|
79
(△6.5)
|
82
(2.8)
|
89
(3.8)
|
81
(△13.2)
|
84
(7.4)
|
92
(9.0)
|
금 액
|
105,964
(58.1)
|
8,467
(86.8)
|
9,595
(77.3)
|
8,945
(66.2)
|
8,553
(53.4)
|
11,455
(98.1)
|
10,539
(73.4)
|
8,963
(55.5)
|
8,045
(24.0)
|
8,065
(21.8)
|
8,285
(16.9)
|
6,938
(△11.0)
|
7,252
(△0.1)
|
7,946
(△6.1)
|
수 입
단 가
|
103.6
(48.2)
|
99.8
(56.7)
|
112.9
(72.3)
|
111.6
(67.3)
|
116.5
(67.3)
|
117.6
(60.6)
|
110.3
(47.7)
|
106.2
(44.0)
|
101.9
(32.6)
|
97.8
(18.5)
|
93.0
(12.6)
|
85.6
(2.6)
|
86.4
(△7.0)
|
85.9
(△13.9)
|
ㅇ (자본재) 전년 동월 대비 △2.4% 감소 / 기계류(5.1)․제조용 장비(21.1)․축전기 및 전지(89.2) 등은 증가, 메모리 반도체(△31.0)․정밀기기(△5.6)․컴퓨터 주변기기(△9.8)․무선통신기기(△43.5) 등은 감소
□〔지역별〕중국(4.5%)․중동(3.3%)․대만(1.3%) 등 증가, 미국(△4.3%)․유럽연합(△0.4%)․일본(△15.9%)․호주(△36.7%)․베트남(△11.6%) 등 감소
3
|
|
무역수지 현황
|
□ -46억 달러로 13개월 연속 적자 기록
* 무역수지(억 달러) : (’22.11) -70.8 → (12) -47.7 → (’23.1) -125.2 → (2) -53.0 → (3) -46.3
□ 주요 흑자국
○ 동남아 : 39억 8천만 달러 ○ 미 국 : 31억 달러
○ 베트남 : 23억 달러 ○ 유럽연합 : 3억 1천만 달러
|
□ 주요 적자국
○ 중 동 : -69억 9천만 달러 ○ 중 국 : -27억 7천만 달러
○ 일 본 : -20억 5천만 달러 ○ 호 주 : -13억 7천만 달러
|
![](https://blog.kakaocdn.net/dn/dSoGDI/btsar6pp5Fg/50JVNILjcY8ZLQ8lpcx4e0/img.png)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기업 연구개발(R&D), 대학생이 해결한다! (1) | 2023.04.18 |
---|---|
국민건강, 안전 위협 불법 식의약품, 생활용품 반입 차단 (0) | 2023.04.18 |
하남권 등 7개 지구 광역교통 편리해진다 (0) | 2023.04.18 |
새만금, 올 들어 3조원 투자유치, 신기록 행진 중- ㈜LG화학·절강화유코발트 1조 2,000억 투자 (0) | 2023.04.18 |
‘리츠’ 시장대응력 높이고 규제 손질한다 (0) | 2023.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