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4분기 및 연간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보도자료
2023.02.09 통계청
첨부파일
2022년 4분기 및 연간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보도자료)_배포용.pdf

| 
 2022년 4/4분기 시도별 동향(요약) 
 | 
| 
 ◇ (시도 서비스업생산) 2022년 4/4분기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16개 시·도에서 모두 증가  
 ○ 인천(5.7%), 서울(4.8%), 충남(4.8%), 제주(4.6%) 등은 금융·보험, 숙박·음식점, 보건·사회복지 등에서 상대적으로 호조를 보여 증가율이 높았음 
  - (인천) 운수·창고(13.7%), 보건·사회복지(9.2%), 금융·보험(13.5%) 등에서 증가 
  - (서울) 금융·보험(5.8%), 숙박·음식점(23.5%), 운수·창고(12.0%) 등에서 증가 
  - (충남) 숙박·음식점(28.2%), 금융·보험(11.9%), 보건·사회복지(5.0%) 등에서 증가 
  - (제주) 정보통신(13.8%), 금융·보험(12.2%), 운수·창고(11.2%) 등에서 증가 
 ○ 광주(0.9%), 경북(1.4%), 대전(2.6%) 등은 부동산, 숙박·음식점 등에서 상대적으로 부진하여 증가율이 낮았음  
 | 
| 
 ◇ (시도 소매판매) 2022년 4/4분기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4개 시·도에서 판매가 증가하였으나, 12개 시·도에서 판매가 감소 
 ○ 경남(5.8%), 인천(1.2%) 등은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 면세점 등에서 판매가 늘어 증가 
 ○ 대전(-5.2%), 제주(-5.1%), 서울(-5.0%), 광주(-3.4%), 대구(-2.9%), 전남(-2.0%), 부산(-1.9%), 울산(-1.5%), 충북(-1.4%), 강원(-1.2%), 전북(-0.7%), 경기(-0.4%)은 전문소매점, 슈퍼마켓·잡화점 및 편의점 등에서 판매가 줄어 감소 
  - (대전) 전문소매점(-21.3%), 슈퍼마켓·잡화점 및 편의점(-1.6%) 등에서 판매가 감소 
  - (제주) 면세점(-24.5%), 전문소매점(-6.1%) 등에서 판매가 감소 
  - (서울) 전문소매점(-7.1%), 면세점(-14.4%) 등에서 판매가 감소 
  - (광주) 전문소매점(-12.4%), 백화점(-8.2%) 등에서 판매가 감소 
  - (대구) 전문소매점(-5.3%), 백화점(-5.0%) 등에서 판매가 감소 
  - (전남) 전문소매점(-6.7%), 슈퍼마켓·잡화점 및 편의점(-7.1%) 등에서 판매가 감소 
  - (부산) 전문소매점(-9.7%), 슈퍼마켓·잡화점 및 편의점(-5.3%) 등에서 판매가 감소 
  - (울산) 전문소매점(-8.0%), 백화점(-13.5%) 등에서 판매가 감소 
  - (충북) 전문소매점(-9.8%), 슈퍼마켓·잡화점 및 편의점(-0.9%) 등에서 판매가 감소 
 | 
□ 2022년 4/4분기 시도별 주요지표
(전년동기비, %)
| 
 시도 
 | 
 서비스업생산 
 | 
 소매판매 
 | 
||||||||||||
| 
 ’21년 
 | 
 4/4 
 | 
 ’22년P 
 | 
 1/4 
 | 
 2/4 
 | 
 3/4 
 | 
 4/4P 
 | 
 ’21년 
 | 
 4/4 
 | 
 ’22년P 
 | 
 1/4 
 | 
 2/4 
 | 
 3/4 
 | 
 4/4P 
 | 
|
| 
 서울 
 | 
 5.8 
 | 
 5.0 
 | 
 4.2 
 | 
 1.9 
 | 
 4.7 
 | 
 5.2 
 | 
 4.8 
 | 
 6.6 
 | 
 10.4 
 | 
 -1.0 
 | 
 3.9 
 | 
 -1.3 
 | 
 -0.9 
 | 
 -5.0 
 | 
| 
 부산 
 | 
 4.2 
 | 
 5.4 
 | 
 5.5 
 | 
 4.6 
 | 
 5.9 
 | 
 7.7 
 | 
 4.0 
 | 
 6.8 
 | 
 9.2 
 | 
 -0.3 
 | 
 1.8 
 | 
 -0.4 
 | 
 -0.5 
 | 
 -1.9 
 | 
| 
 대구 
 | 
 3.1 
 | 
 3.0 
 | 
 3.3 
 | 
 3.0 
 | 
 3.3 
 | 
 4.2 
 | 
 2.7 
 | 
 3.0 
 | 
 2.1 
 | 
 -0.6 
 | 
 -0.8 
 | 
 -1.2 
 | 
 2.5 
 | 
 -2.9 
 | 
| 
 인천 
 | 
 2.6 
 | 
 6.2 
 | 
 6.8 
 | 
 6.0 
 | 
 7.5 
 | 
 7.9 
 | 
 5.7 
 | 
 -0.8 
 | 
 1.4 
 | 
 2.2 
 | 
 2.4 
 | 
 2.6 
 | 
 2.8 
 | 
 1.2 
 | 
| 
 광주 
 | 
 3.0 
 | 
 4.9 
 | 
 2.8 
 | 
 3.3 
 | 
 3.7 
 | 
 3.5 
 | 
 0.9 
 | 
 2.0 
 | 
 2.2 
 | 
 -2.4 
 | 
 -2.2 
 | 
 -1.6 
 | 
 -2.4 
 | 
 -3.4 
 | 
| 
 대전 
 | 
 2.8 
 | 
 4.5 
 | 
 4.6 
 | 
 3.4 
 | 
 6.0 
 | 
 6.7 
 | 
 2.6 
 | 
 4.4 
 | 
 7.8 
 | 
 0.1 
 | 
 1.5 
 | 
 3.3 
 | 
 1.4 
 | 
 -5.2 
 | 
| 
 울산 
 | 
 2.0 
 | 
 3.2 
 | 
 4.1 
 | 
 2.6 
 | 
 4.9 
 | 
 5.8 
 | 
 3.1 
 | 
 -0.8 
 | 
 -0.4 
 | 
 -1.7 
 | 
 -2.4 
 | 
 -1.9 
 | 
 -0.7 
 | 
 -1.5 
 | 
| 
 경기 
 | 
 4.3 
 | 
 6.2 
 | 
 5.8 
 | 
 5.6 
 | 
 7.0 
 | 
 6.9 
 | 
 3.6 
 | 
 2.9 
 | 
 2.0 
 | 
 -0.1 
 | 
 1.3 
 | 
 -0.7 
 | 
 -0.4 
 | 
 -0.4 
 | 
| 
 강원 
 | 
 3.8 
 | 
 6.8 
 | 
 5.5 
 | 
 5.9 
 | 
 5.7 
 | 
 6.1 
 | 
 4.3 
 | 
 3.3 
 | 
 9.2 
 | 
 -0.6 
 | 
 0.1 
 | 
 -1.8 
 | 
 0.4 
 | 
 -1.2 
 | 
| 
 충북 
 | 
 3.0 
 | 
 5.2 
 | 
 4.0 
 | 
 4.4 
 | 
 4.8 
 | 
 4.0 
 | 
 2.9 
 | 
 2.6 
 | 
 3.8 
 | 
 -1.9 
 | 
 -2.1 
 | 
 -2.0 
 | 
 -2.0 
 | 
 -1.4 
 | 
| 
 충남 
 | 
 3.9 
 | 
 4.0 
 | 
 4.1 
 | 
 3.3 
 | 
 4.1 
 | 
 4.1 
 | 
 4.8 
 | 
 1.1 
 | 
 1.6 
 | 
 -0.9 
 | 
 -2.5 
 | 
 -1.7 
 | 
 -0.2 
 | 
 0.8 
 | 
| 
 전북 
 | 
 2.5 
 | 
 4.6 
 | 
 4.0 
 | 
 3.2 
 | 
 4.4 
 | 
 4.1 
 | 
 4.1 
 | 
 1.1 
 | 
 3.3 
 | 
 -0.8 
 | 
 0.9 
 | 
 -1.5 
 | 
 -1.8 
 | 
 -0.7 
 | 
| 
 전남 
 | 
 2.5 
 | 
 4.7 
 | 
 3.6 
 | 
 3.4 
 | 
 3.9 
 | 
 4.0 
 | 
 3.0 
 | 
 4.2 
 | 
 7.2 
 | 
 -1.6 
 | 
 -2.8 
 | 
 -0.8 
 | 
 -1.0 
 | 
 -2.0 
 | 
| 
 경북 
 | 
 3.5 
 | 
 4.7 
 | 
 2.7 
 | 
 3.4 
 | 
 3.2 
 | 
 2.6 
 | 
 1.4 
 | 
 2.1 
 | 
 3.4 
 | 
 -0.2 
 | 
 -0.6 
 | 
 -1.8 
 | 
 1.2 
 | 
 0.5 
 | 
| 
 경남 
 | 
 2.5 
 | 
 4.2 
 | 
 4.5 
 | 
 4.0 
 | 
 5.5 
 | 
 6.0 
 | 
 2.7 
 | 
 0.4 
 | 
 -0.1 
 | 
 2.3 
 | 
 -1.0 
 | 
 1.6 
 | 
 2.8 
 | 
 5.8 
 | 
| 
 제주 
 | 
 2.6 
 | 
 9.0 
 | 
 8.6 
 | 
 9.9 
 | 
 11.6 
 | 
 8.5 
 | 
 4.6 
 | 
 5.9 
 | 
 11.3 
 | 
 -0.1 
 | 
 4.8 
 | 
 -1.7 
 | 
 2.0 
 | 
 -5.1 
 | 
| 
 전국 
 | 
 4.4 
 | 
 5.5 
 | 
 4.8 
 | 
 4.1 
 | 
 5.5 
 | 
 6.0 
 | 
 3.9 
 | 
 5.9 
 | 
 6.4 
 | 
 0.2 
 | 
 2.8 
 | 
 -0.2 
 | 
 -0.2 
 | 
 -1.8 
 | 
| 
 < 서비스업생산 증감률(%) > 
 | 
| 
 | 
| 
 | 
| 
 < 소매판매 증감률(%) > 
 | 
| 
 | 
| 
  주) 전국은 무점포소매 포함, 시도는 무점포소매 제외 
 | 
| 
 2022년 4/4분기 시도별 동향 
 | 
1. 서울
| 
 서비스업생산 
 | 
□ 2022년 4/4분기 서울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4.8%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5.2%)보다 0.4%p 축소
◦ 금융·보험, 숙박·음식점, 운수·창고, 도소매 등에서 생산 증가
|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 
 | 
|
| 
 ․증가 : 
 | 
 금융·보험(5.8%), 숙박·음식점(23.5%), 운수·창고(12.0%), 도소매(3.1%), 보건·사회복지(7.1%) 등 
 | 
| 
 ․감소 : 
 | 
 부동산(-9.5%), 수도·하수·폐기물처리(-8.8%) 
 | 
(2015=100, 불변, %, %p)
| 
 | 
 가중치 
 | 
 ’21년 
 | 
 4/4 
 | 
 ’22년P 
 | 
 1/4 
 | 
 2/4 
 | 
 3/4 
 | 
 4/4P 
 | 
 | 
| 
 기여도 
 | 
|||||||||
| 
 총 지 수 
 | 
 1000.0 
 | 
 119.7 
 | 
 126.9 
 | 
 124.7 
 | 
 117.6 
 | 
 124.3 
 | 
 123.8 
 | 
 133.0 
 | 
 - 
 | 
| 
 전년동기비 
 | 
 - 
 | 
 5.8 
 | 
 5.0 
 | 
 4.2 
 | 
 1.9 
 | 
 4.7 
 | 
 5.2 
 | 
 4.8 
 | 
 - 
 | 
| 
 - 도소매 
 | 
 194.7 
 | 
 3.7 
 | 
 4.2 
 | 
 3.8 
 | 
 2.8 
 | 
 2.9 
 | 
 6.7 
 | 
 3.1 
 | 
 0.52 
 | 
| 
 - 운수․창고 
 | 
 79.9 
 | 
 13.7 
 | 
 28.4 
 | 
 21.1 
 | 
 22.6 
 | 
 25.1 
 | 
 26.1 
 | 
 12.0 
 | 
 0.71 
 | 
| 
 - 숙박․음식점 
 | 
 44.3 
 | 
 3.0 
 | 
 20.4 
 | 
 25.3 
 | 
 16.9 
 | 
 21.6 
 | 
 39.2 
 | 
 23.5 
 | 
 0.81 
 | 
| 
 - 정보통신 
 | 
 119.1 
 | 
 2.9 
 | 
 1.8 
 | 
 3.5 
 | 
 4.6 
 | 
 5.2 
 | 
 3.5 
 | 
 1.3 
 | 
 0.17 
 | 
| 
 - 금융․보험 
 | 
 242.5 
 | 
 10.6 
 | 
 3.3 
 | 
 0.7 
 | 
 -5.1 
 | 
 1.4 
 | 
 0.4 
 | 
 5.8 
 | 
 1.80 
 | 
| 
 - 부동산 
 | 
 34.3 
 | 
 3.4 
 | 
 -0.7 
 | 
 -9.6 
 | 
 -9.3 
 | 
 -7.5 
 | 
 -12.0 
 | 
 -9.5 
 | 
 -0.34 
 | 
| 
 - 전문․과학․기술 
 | 
 76.6 
 | 
 2.0 
 | 
 1.7 
 | 
 2.7 
 | 
 3.1 
 | 
 2.2 
 | 
 4.7 
 | 
 1.0 
 | 
 0.07 
 |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49.7 
 | 
 0.8 
 | 
 0.6 
 | 
 2.7 
 | 
 3.4 
 | 
 4.0 
 | 
 2.4 
 | 
 0.9 
 | 
 0.04 
 | 
| 
 - 교육 
 | 
 62.1 
 | 
 3.1 
 | 
 4.1 
 | 
 2.1 
 | 
 1.5 
 | 
 0.2 
 | 
 4.8 
 | 
 2.4 
 | 
 0.11 
 | 
| 
 - 보건․사회복지 
 | 
 59.7 
 | 
 3.5 
 | 
 5.3 
 | 
 6.4 
 | 
 8.6 
 | 
 7.5 
 | 
 2.5 
 | 
 7.1 
 | 
 0.49 
 | 
| 
 - 예술․스포츠․여가 
 | 
 13.7 
 | 
 8.3 
 | 
 42.0 
 | 
 55.3 
 | 
 55.3 
 | 
 53.6 
 | 
 76.7 
 | 
 41.2 
 | 
 0.34 
 | 
| 
 - 협회․수리․개인 
 | 
 21.6 
 | 
 0.5 
 | 
 6.7 
 | 
 4.3 
 | 
 1.6 
 | 
 6.3 
 | 
 5.6 
 | 
 3.3 
 | 
 0.06 
 |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1.8 
 | 
 1.8 
 | 
 -4.7 
 | 
 -6.7 
 | 
 -5.9 
 | 
 -9.9 
 | 
 -2.1 
 | 
 -8.8 
 | 
 -0.01 
 | 
| 
 < 서울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 
 소매판매 
 | 
□ 2022년 4/4분기 서울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5.0% 감소하였으며, 감소세는 전분기(-0.9%)보다 4.1%p 확대
◦ 승용차·연료소매점(5.0%)에서 증가하였으나, 전문소매점(-7.1%), 면세점(-14.4%) 등에서 판매가 감소
(2015=100, 불변, %, %p)
| 
 | 
 가중치 
 | 
 ’21년 
 | 
 4/4 
 | 
 ’22년P 
 | 
 1/4 
 | 
 2/4 
 | 
 3/4 
 | 
 4/4P 
 | 
 | 
| 
 기여도 
 | 
|||||||||
| 
 총 지 수 
 | 
 1000.0 
 | 
 114.2 
 | 
 122.9 
 | 
 113.1 
 | 
 109.1 
 | 
 114.0 
 | 
 112.5 
 | 
 116.7 
 | 
 - 
 | 
| 
 전년동기비 
 | 
 -  
 | 
 6.6 
 | 
 10.4 
 | 
 -1.0 
 | 
 3.9 
 | 
 -1.3 
 | 
 -0.9 
 | 
 -5.0 
 | 
 - 
 | 
| 
  - 백 화 점 
 | 
 137.9 
 | 
 23.5 
 | 
 28.6 
 | 
 6.9 
 | 
 15.4 
 | 
 9.4 
 | 
 9.3 
 | 
 -3.9 
 | 
 -0.58 
 | 
| 
  - 대형마트 
 | 
 77.2 
 | 
 -4.7 
 | 
 -6.7 
 | 
 -4.4 
 | 
 -4.3 
 | 
 -6.7 
 | 
 -4.9 
 | 
 -1.6 
 | 
 -0.08 
 | 
| 
  - 면세점 
 | 
 57.4 
 | 
 19.1 
 | 
 16.6 
 | 
 -10.2 
 | 
 1.4 
 | 
 -12.7 
 | 
 -13.5 
 | 
 -14.4 
 | 
 -2.27 
 | 
| 
  - 슈퍼ㆍ잡화ㆍ편의점 
 | 
 132.7 
 | 
 -4.4 
 | 
 0.3 
 | 
 -0.5 
 | 
 3.5 
 | 
 -2.3 
 | 
 -1.5 
 | 
 -1.4 
 | 
 -0.16 
 | 
| 
  - 승용차ㆍ연료소매점 
 | 
 148.9 
 | 
 -1.6 
 | 
 -5.0 
 | 
 -3.5 
 | 
 -8.7 
 | 
 -9.5 
 | 
 -0.5 
 | 
 5.0 
 | 
 0.71 
 | 
| 
  - 전문소매점 
 | 
 445.9 
 | 
 6.1 
 | 
 14.9 
 | 
 1.4 
 | 
 7.3 
 | 
 4.6 
 | 
 2.2 
 | 
 -7.1 
 | 
 -2.76 
 |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 
2. 부산
| 
 서비스업생산 
 | 
□ 2022년 4/4분기 부산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4.0%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7.7%)보다 3.7%p 축소
◦ 숙박·음식점, 금융·보험, 예술·스포츠·여가, 도소매 등에서 생산 증가
|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 
 | 
|
| 
 ․증가 : 
 | 
 숙박·음식점(22.3%), 금융·보험(8.8%), 예술·스포츠·여가(94.1%), 도소매(2.6%), 보건·사회복지(3.9%) 등 
 | 
| 
 ․감소 : 
 | 
 부동산(-9.3%), 운수·창고(-2.0%), 교육(-2.0%), 수도·하수·폐기물처리(-4.0%) 
 | 
(2015=100, 불변, %, %p)
| 
 | 
 가중치 
 | 
 ’21년 
 | 
 4/4 
 | 
 ’22년P 
 | 
 1/4 
 | 
 2/4 
 | 
 3/4 
 | 
 4/4P 
 | 
 | 
| 
 기여도 
 | 
|||||||||
| 
 총 지 수 
 | 
 1000.0 
 | 
 105.6 
 | 
 110.4 
 | 
 111.4 
 | 
 105.8 
 | 
 112.3 
 | 
 112.8 
 | 
 114.8 
 | 
 - 
 | 
| 
 전년동기비 
 | 
 - 
 | 
 4.2 
 | 
 5.4 
 | 
 5.5 
 | 
 4.6 
 | 
 5.9 
 | 
 7.7 
 | 
 4.0 
 | 
 - 
 | 
| 
 - 도소매 
 | 
 227.9 
 | 
 4.4 
 | 
 5.1 
 | 
 3.4 
 | 
 2.6 
 | 
 3.2 
 | 
 5.0 
 | 
 2.6 
 | 
 0.58 
 | 
| 
 - 운수․창고 
 | 
 159.2 
 | 
 9.7 
 | 
 14.5 
 | 
 6.9 
 | 
 14.8 
 | 
 7.9 
 | 
 8.2 
 | 
 -2.0 
 | 
 -0.32 
 | 
| 
 - 숙박․음식점 
 | 
 63.0 
 | 
 0.5 
 | 
 17.6 
 | 
 25.5 
 | 
 13.1 
 | 
 24.6 
 | 
 40.6 
 | 
 22.3 
 | 
 1.15 
 | 
| 
 - 정보통신 
 | 
 42.2 
 | 
 3.3 
 | 
 4.9 
 | 
 6.4 
 | 
 9.0 
 | 
 6.8 
 | 
 7.2 
 | 
 3.1 
 | 
 0.15 
 | 
| 
 - 금융․보험 
 | 
 112.1 
 | 
 5.5 
 | 
 1.6 
 | 
 3.6 
 | 
 -2.4 
 | 
 2.2 
 | 
 5.6 
 | 
 8.8 
 | 
 1.11 
 | 
| 
 - 부동산 
 | 
 32.2 
 | 
 -1.7 
 | 
 -9.9 
 | 
 -4.9 
 | 
 -1.2 
 | 
 -3.8 
 | 
 -4.9 
 | 
 -9.3 
 | 
 -0.36 
 | 
| 
 - 전문․과학․기술 
 | 
 42.7 
 | 
 -0.8 
 | 
 -1.2 
 | 
 2.9 
 | 
 -0.3 
 | 
 1.6 
 | 
 5.6 
 | 
 5.1 
 | 
 0.18 
 |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49.7 
 | 
 8.1 
 | 
 9.8 
 | 
 3.8 
 | 
 8.0 
 | 
 1.8 
 | 
 4.8 
 | 
 0.9 
 | 
 0.04 
 | 
| 
 - 교육 
 | 
 104.2 
 | 
 1.4 
 | 
 0.2 
 | 
 -1.6 
 | 
 0.8 
 | 
 -4.0 
 | 
 -1.6 
 | 
 -2.0 
 | 
 -0.17 
 | 
| 
 - 보건․사회복지 
 | 
 111.5 
 | 
 3.3 
 | 
 4.4 
 | 
 6.1 
 | 
 5.6 
 | 
 7.6 
 | 
 7.2 
 | 
 3.9 
 | 
 0.55 
 | 
| 
 - 예술․스포츠․여가 
 | 
 15.9 
 | 
 10.5 
 | 
 38.8 
 | 
 102.8 
 | 
 27.3 
 | 
 158.2 
 | 
 123.6 
 | 
 94.1 
 | 
 1.10 
 | 
| 
 - 협회․수리․개인 
 | 
 30.6 
 | 
 -3.6 
 | 
 0.3 
 | 
 -0.1 
 | 
 -3.6 
 | 
 0.8 
 | 
 0.6 
 | 
 1.5 
 | 
 0.04 
 |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8.9 
 | 
 -1.4 
 | 
 -4.7 
 | 
 -5.1 
 | 
 -10.7 
 | 
 -4.9 
 | 
 -1.2 
 | 
 -4.0 
 | 
 -0.03 
 | 
| 
 < 부산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 
 소매판매 
 | 
□ 2022년 4/4분기 부산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1.9% 감소하였으며, 감소세는 전분기(-0.5%)보다 1.4%p 확대
◦ 승용차·연료소매점(6.9%)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전문소매점(-9.7%), 슈퍼·잡화·편의점(-5.3%) 등에서 판매가 감소
(2015=100, 불변, %, %p)
| 
 | 
 가중치 
 | 
 ’21년 
 | 
 4/4 
 | 
 ’22년P 
 | 
 1/4 
 | 
 2/4 
 | 
 3/4 
 | 
 4/4P 
 | 
 | 
| 
 기여도 
 | 
|||||||||
| 
 총 지 수 
 | 
 1000.0 
 | 
 104.2 
 | 
 109.5 
 | 
 103.9 
 | 
 99.8 
 | 
 104.9 
 | 
 103.6 
 | 
 107.4 
 | 
 - 
 | 
| 
 전년동기비 
 | 
 -  
 | 
 6.8 
 | 
 9.2 
 | 
 -0.3 
 | 
 1.8 
 | 
 -0.4 
 | 
 -0.5 
 | 
 -1.9 
 | 
 - 
 | 
| 
  - 백 화 점 
 | 
 113.5 
 | 
 19.4 
 | 
 23.2 
 | 
 11.1 
 | 
 13.7 
 | 
 15.4 
 | 
 18.0 
 | 
 0.1 
 | 
  0.02 
 | 
| 
  - 대형마트 
 | 
 97.6 
 | 
 -0.2 
 | 
 -4.2 
 | 
 -7.4 
 | 
 -8.3 
 | 
 -9.6 
 | 
 -9.9 
 | 
 -1.1 
 | 
 -0.08 
 | 
| 
  - 면세점 
 | 
 26.8 
 | 
 -36.6 
 | 
 -30.8 
 | 
 -0.7 
 | 
 -28.0 
 | 
 -6.7 
 | 
 9.7 
 | 
 32.2 
 | 
  0.19 
 | 
| 
  - 슈퍼ㆍ잡화ㆍ편의점 
 | 
 138.5 
 | 
 -3.6 
 | 
 1.7 
 | 
 -0.3 
 | 
 -1.3 
 | 
 2.9 
 | 
 2.2 
 | 
 -5.3 
 | 
 -0.68 
 | 
| 
  - 승용차ㆍ연료소매점 
 | 
 249.6 
 | 
 11.0 
 | 
 5.2 
 | 
 1.8 
 | 
 4.4 
 | 
 -5.0 
 | 
 1.6 
 | 
 6.9 
 | 
  2.10 
 | 
| 
  - 전문소매점 
 | 
 374.0 
 | 
 7.0 
 | 
 15.3 
 | 
 -4.6 
 | 
 0.3 
 | 
 -0.8 
 | 
 -7.5 
 | 
 -9.7 
 | 
 -3.35 
 |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 
3. 대구
| 
 서비스업생산 
 | 
□ 2022년 4/4분기 대구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2.7%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4.2%)보다 1.5%p 축소
◦ 금융·보험, 보건·사회복지, 도소매, 숙박·음식점 등에서 생산 증가
|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 
 | 
|
| 
 ․증가 : 
 | 
 금융·보험(10.9%), 보건·사회복지(7.1%), 도소매(1.8%), 숙박·음식점(6.7%), 예술·스포츠·여가(10.0%) 등 
 | 
| 
 ․감소 : 
 | 
 부동산(-17.0%), 운수·창고(-2.6%),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2.9%) 등 
 | 
(2015=100, 불변, %, %p)
| 
 | 
 가중치 
 | 
 ’21년 
 | 
 4/4 
 | 
 ’22년P 
 | 
 1/4 
 | 
 2/4 
 | 
 3/4 
 | 
 4/4P 
 | 
 | 
| 
 기여도 
 | 
|||||||||
| 
 총 지 수 
 | 
 1000.0 
 | 
 106.4 
 | 
 110.6 
 | 
 109.9 
 | 
 105.1 
 | 
 110.6 
 | 
 110.4 
 | 
 113.6 
 | 
 - 
 | 
| 
 전년동기비 
 | 
 - 
 | 
 3.1 
 | 
 3.0 
 | 
 3.3 
 | 
 3.0 
 | 
 3.3 
 | 
 4.2 
 | 
 2.7 
 | 
 - 
 | 
| 
 - 도소매 
 | 
 233.4 
 | 
 3.4 
 | 
 2.8 
 | 
 3.1 
 | 
 2.7 
 | 
 2.6 
 | 
 5.1 
 | 
 1.8 
 | 
 0.40 
 | 
| 
 - 운수․창고 
 | 
 67.8 
 | 
 2.7 
 | 
 4.4 
 | 
 1.5 
 | 
 2.2 
 | 
 4.8 
 | 
 2.3 
 | 
 -2.6 
 | 
 -0.13 
 | 
| 
 - 숙박․음식점 
 | 
 65.7 
 | 
 5.1 
 | 
 15.4 
 | 
 14.8 
 | 
 13.0 
 | 
 17.3 
 | 
 23.8 
 | 
 6.7 
 | 
 0.37 
 | 
| 
 - 정보통신 
 | 
 44.6 
 | 
 4.5 
 | 
 6.7 
 | 
 3.3 
 | 
 6.0 
 | 
 6.1 
 | 
 2.5 
 | 
 -1.2 
 | 
 -0.06 
 | 
| 
 - 금융․보험 
 | 
 118.4 
 | 
 7.5 
 | 
 5.7 
 | 
 6.3 
 | 
 2.3 
 | 
 5.1 
 | 
 6.4 
 | 
 10.9 
 | 
 1.54 
 | 
| 
 - 부동산 
 | 
 34.4 
 | 
 -6.4 
 | 
 -18.3 
 | 
 -18.1 
 | 
 -15.8 
 | 
 -24.7 
 | 
 -13.9 
 | 
 -17.0 
 | 
 -0.67 
 | 
| 
 - 전문․과학․기술 
 | 
 38.6 
 | 
 2.2 
 | 
 -0.2 
 | 
 0.2 
 | 
 -0.3 
 | 
 0.8 
 | 
 2.1 
 | 
 -1.8 
 | 
 -0.07 
 |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43.7 
 | 
 1.2 
 | 
 2.5 
 | 
 0.6 
 | 
 3.3 
 | 
 1.9 
 | 
 0.5 
 | 
 -2.9 
 | 
 -0.12 
 | 
| 
 - 교육 
 | 
 130.0 
 | 
 1.2 
 | 
 0.0 
 | 
 -0.8 
 | 
 3.4 
 | 
 -3.5 
 | 
 -2.2 
 | 
 -0.4 
 | 
 -0.05 
 | 
| 
 - 보건․사회복지 
 | 
 135.6 
 | 
 2.9 
 | 
 4.1 
 | 
 7.3 
 | 
 6.7 
 | 
 10.5 
 | 
 5.5 
 | 
 7.1 
 | 
 1.25 
 | 
| 
 - 예술․스포츠․여가 
 | 
 17.8 
 | 
 13.3 
 | 
 14.1 
 | 
 11.1 
 | 
 4.6 
 | 
 8.9 
 | 
 20.3 
 | 
 10.0 
 | 
 0.17 
 | 
| 
 - 협회․수리․개인 
 | 
 60.1 
 | 
 1.4 
 | 
 3.9 
 | 
 2.1 
 | 
 1.4 
 | 
 3.6 
 | 
 2.7 
 | 
 0.8 
 | 
 0.04 
 |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10.0 
 | 
 -0.8 
 | 
 -4.4 
 | 
 0.1 
 | 
 -1.4 
 | 
 -5.7 
 | 
 4.1 
 | 
 3.5 
 | 
 0.03 
 | 
| 
 < 대구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 
 소매판매 
 | 
□ 2022년 4/4분기 대구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2.9% 감소하였으며, 전분기 증가(2.5%)에서 감소로 전환
◦ 승용차·연료소매점(0.7%)에서 증가하였으나, 전문소매점(-5.3%), 백화점(-5.0%) 등에서 판매가 감소
(2015=100, 불변, %, %p)
| 
 | 
 가중치 
 | 
 ’21년 
 | 
 4/4 
 | 
 ’22년P 
 | 
 1/4 
 | 
 2/4 
 | 
 3/4 
 | 
 4/4P 
 | 
 | 
| 
 기여도 
 | 
|||||||||
| 
 총 지 수 
 | 
 1000.0 
 | 
 101.4 
 | 
 105.0 
 | 
 100.8 
 | 
 98.1 
 | 
 103.3 
 | 
 99.6 
 | 
 102.0 
 | 
 - 
 | 
| 
 전년동기비 
 | 
 -  
 | 
 3.0 
 | 
 2.1 
 | 
 -0.6 
 | 
 -0.8 
 | 
 -1.2 
 | 
 2.5 
 | 
 -2.9 
 | 
 - 
 | 
| 
  - 백 화 점 
 | 
 114.2 
 | 
 19.5 
 | 
 14.4 
 | 
 3.0 
 | 
 6.3 
 | 
 5.5 
 | 
 6.8 
 | 
 -5.0 
 | 
 -0.73 
 | 
| 
  - 대형마트 
 | 
 94.4 
 | 
 -0.2 
 | 
 -4.7 
 | 
 -4.2 
 | 
 -6.4 
 | 
 -5.0 
 | 
 -3.1 
 | 
 -2.2 
 | 
 -0.18 
 | 
| 
  - 면세점 
 | 
 - 
 | 
 - 
 | 
 - 
 | 
 - 
 | 
 - 
 | 
 - 
 | 
 - 
 | 
 - 
 | 
 - 
 | 
| 
  - 슈퍼ㆍ잡화ㆍ편의점 
 | 
 128.8 
 | 
 -4.8 
 | 
 -2.2 
 | 
 -0.5 
 | 
 0.5 
 | 
 -0.2 
 | 
 -1.4 
 | 
 -1.1 
 | 
 -0.15 
 | 
| 
  - 승용차ㆍ연료소매점 
 | 
 267.3 
 | 
 -1.9 
 | 
 -7.4 
 | 
 -1.0 
 | 
 -5.2 
 | 
 -4.0 
 | 
 5.5 
 | 
 0.7 
 | 
 0.20 
 | 
| 
  - 전문소매점 
 | 
 393.8 
 | 
 6.8 
 | 
 9.9 
 | 
 -0.8 
 | 
 1.4 
 | 
 -0.5 
 | 
 1.8 
 | 
 -5.3 
 | 
 -1.88 
 |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 
4. 인천
| 
 서비스업생산 
 | 
□ 2022년 4/4분기 인천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5.7%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7.9%)보다 2.2%p 축소
◦ 운수·창고, 보건·사회복지, 금융·보험, 숙박·음식점 등에서 생산 증가
|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 
 | 
|
| 
 ․증가 : 
 | 
 운수·창고(13.7%), 보건·사회복지(9.2%), 금융·보험(13.5%), 숙박·음식점(8.0%), 예술·스포츠·여가(24.2%) 등 
 | 
| 
 ․감소 : 
 | 
 부동산(-2.8%), 정보통신(-4.3%), 협회·수리·개인(-2.7%), 수도·하수·폐기물처리(-4.6%) 등 
 | 
(2015=100, 불변, %, %p)
| 
 | 
 가중치 
 | 
 ’21년 
 | 
 4/4 
 | 
 ’22년P 
 | 
 1/4 
 | 
 2/4 
 | 
 3/4 
 | 
 4/4P 
 | 
 | 
| 
 기여도 
 | 
|||||||||
| 
 총 지 수 
 | 
 1000.0 
 | 
 102.4 
 | 
 107.6 
 | 
 109.4 
 | 
 103.5 
 | 
 109.6 
 | 
 110.6 
 | 
 113.7 
 | 
 - 
 | 
| 
 전년동기비 
 | 
 - 
 | 
 2.6 
 | 
 6.2 
 | 
 6.8 
 | 
 6.0 
 | 
 7.5 
 | 
 7.9 
 | 
 5.7 
 | 
 - 
 | 
| 
 - 도소매 
 | 
 188.5 
 | 
 1.8 
 | 
 1.8 
 | 
 2.4 
 | 
 2.8 
 | 
 3.0 
 | 
 2.7 
 | 
 1.2 
 | 
 0.23 
 | 
| 
 - 운수․창고 
 | 
 219.8 
 | 
 2.8 
 | 
 14.9 
 | 
 15.0 
 | 
 11.2 
 | 
 17.4 
 | 
 17.5 
 | 
 13.7 
 | 
 2.45 
 | 
| 
 - 숙박․음식점 
 | 
 70.1 
 | 
 0.9 
 | 
 16.4 
 | 
 17.2 
 | 
 15.2 
 | 
 21.0 
 | 
 25.7 
 | 
 8.0 
 | 
 0.44 
 | 
| 
 - 정보통신 
 | 
 24.4 
 | 
 6.6 
 | 
 9.4 
 | 
 3.8 
 | 
 11.4 
 | 
 7.6 
 | 
 2.0 
 | 
 -4.3 
 | 
 -0.13 
 | 
| 
 - 금융․보험 
 | 
 59.8 
 | 
 2.9 
 | 
 2.8 
 | 
 7.9 
 | 
 2.5 
 | 
 6.7 
 | 
 8.5 
 | 
 13.5 
 | 
 1.01 
 | 
| 
 - 부동산 
 | 
 38.5 
 | 
 9.7 
 | 
 15.1 
 | 
 6.6 
 | 
 20.3 
 | 
 11.4 
 | 
 -0.8 
 | 
 -2.8 
 | 
 -0.16 
 | 
| 
 - 전문․과학․기술 
 | 
 49.5 
 | 
 0.3 
 | 
 -2.9 
 | 
 1.2 
 | 
 -1.4 
 | 
 0.1 
 | 
 3.0 
 | 
 3.3 
 | 
 0.17 
 |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49.9 
 | 
 3.3 
 | 
 2.1 
 | 
 2.8 
 | 
 4.5 
 | 
 1.2 
 | 
 2.5 
 | 
 3.3 
 | 
 0.17 
 | 
| 
 - 교육 
 | 
 120.0 
 | 
 -0.1 
 | 
 1.1 
 | 
 -0.4 
 | 
 -1.0 
 | 
 -0.1 
 | 
 -0.1 
 | 
 -0.6 
 | 
 -0.07 
 | 
| 
 - 보건․사회복지 
 | 
 107.9 
 | 
 3.6 
 | 
 4.9 
 | 
 8.4 
 | 
 6.4 
 | 
 7.2 
 | 
 10.6 
 | 
 9.2 
 | 
 1.35 
 | 
| 
 - 예술․스포츠․여가 
 | 
 19.6 
 | 
 2.2 
 | 
 11.7 
 | 
 26.4 
 | 
 24.9 
 | 
 25.2 
 | 
 30.9 
 | 
 24.2 
 | 
 0.38 
 | 
| 
 - 협회․수리․개인 
 | 
 35.5 
 | 
 2.8 
 | 
 8.2 
 | 
 0.6 
 | 
 -0.9 
 | 
 2.3 
 | 
 3.7 
 | 
 -2.7 
 | 
 -0.09 
 |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16.4 
 | 
 -1.7 
 | 
 -1.4 
 | 
 -4.0 
 | 
 -0.2 
 | 
 -6.9 
 | 
 -3.6 
 | 
 -4.6 
 | 
 -0.07 
 | 
| 
 < 인천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 
 소매판매 
 | 
□ 2022년 4/4분기 인천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1.2%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2.8%)보다 1.6%p 축소
◦ 전문소매점(-4.2%)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면세점(252.9%), 승용차·연료소매점(0.3%)에서 판매가 증가
(2015=100, 불변, %, %p)
| 
 | 
 가중치 
 | 
 ’21년 
 | 
 4/4 
 | 
 ’22년P 
 | 
 1/4 
 | 
 2/4 
 | 
 3/4 
 | 
 4/4P 
 | 
 | 
| 
 기여도 
 | 
|||||||||
| 
 총 지 수 
 | 
 1000.0 
 | 
 101.0 
 | 
 102.3 
 | 
 103.2 
 | 
 99.2 
 | 
 106.0 
 | 
 104.1 
 | 
 103.5 
 | 
 - 
 | 
| 
 전년동기비 
 | 
 -  
 | 
 -0.8 
 | 
 1.4 
 | 
 2.2 
 | 
 2.4 
 | 
 2.6 
 | 
 2.8 
 | 
 1.2 
 | 
 - 
 | 
| 
  - 백 화 점 
 | 
 - 
 | 
 - 
 | 
 - 
 | 
 - 
 | 
 - 
 | 
 - 
 | 
 - 
 | 
 - 
 | 
 - 
 | 
| 
  - 대형마트 
 | 
 86.2 
 | 
 -1.9 
 | 
 -5.4 
 | 
 -7.3 
 | 
 -7.3 
 | 
 -6.4 
 | 
 -8.4 
 | 
 -6.9 
 | 
 -0.51 
 | 
| 
  - 면세점 
 | 
 96.6 
 | 
 -74.1 
 | 
 95.2 
 | 
 233.3 
 | 
 80.7 
 | 
 273.8 
 | 
 284.5 
 | 
 252.9 
 | 
 2.89 
 | 
| 
  - 슈퍼ㆍ잡화ㆍ편의점 
 | 
 136.6 
 | 
 -4.3 
 | 
 0.8 
 | 
 0.7 
 | 
 0.7 
 | 
 3.5 
 | 
 -0.9 
 | 
 -0.4 
 | 
 -0.07 
 | 
| 
  - 승용차ㆍ연료소매점 
 | 
 325.9 
 | 
 1.7 
 | 
 -1.9 
 | 
 1.5 
 | 
 2.0 
 | 
 -0.4 
 | 
 4.5 
 | 
 0.3 
 | 
 0.13 
 | 
| 
  - 전문소매점 
 | 
 312.0 
 | 
 2.9 
 | 
 4.4 
 | 
 -0.4 
 | 
 4.3 
 | 
 2.2 
 | 
 -3.2 
 | 
 -4.2 
 | 
 -1.37 
 | 
* ’19.1/4분기부터 백화점 수가 3개 미만으로 미공표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 
5. 광주
| 
 서비스업생산 
 | 
□ 2022년 4/4분기 광주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0.9%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3.5%)보다 2.6%p 축소
◦ 보건·사회복지, 금융·보험, 도소매, 교육 등에서 생산 증가
|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 
 | 
|
| 
 ․증가 : 
 | 
 보건·사회복지(5.7%), 금융·보험(6.9%), 도소매(1.6%), 교육(1.6%), 정보통신(2.4%) 등 
 | 
| 
 ․감소 : 
 | 
 부동산(-12.9%), 전문·과학·기술(-7.4%), 운수·창고(-4.0%) 등 
 | 
(2015=100, 불변, %, %p)
| 
 | 
 가중치 
 | 
 ’21년 
 | 
 4/4 
 | 
 ’22년P 
 | 
 1/4 
 | 
 2/4 
 | 
 3/4 
 | 
 4/4P 
 | 
 | 
| 
 기여도 
 | 
|||||||||
| 
 총 지 수 
 | 
 1000.0 
 | 
 110.0 
 | 
 115.2 
 | 
 113.1 
 | 
 109.2 
 | 
 114.8 
 | 
 112.0 
 | 
 116.2 
 | 
 - 
 | 
| 
 전년동기비 
 | 
 - 
 | 
 3.0 
 | 
 4.9 
 | 
 2.8 
 | 
 3.3 
 | 
 3.7 
 | 
 3.5 
 | 
 0.9 
 | 
 - 
 | 
| 
 - 도소매 
 | 
 206.7 
 | 
 2.7 
 | 
 2.7 
 | 
 2.1 
 | 
 2.0 
 | 
 2.4 
 | 
 2.7 
 | 
 1.6 
 | 
 0.31 
 | 
| 
 - 운수․창고 
 | 
 70.1 
 | 
 2.2 
 | 
 7.1 
 | 
 2.7 
 | 
 5.7 
 | 
 5.0 
 | 
 4.8 
 | 
 -4.0 
 | 
 -0.22 
 | 
| 
 - 숙박․음식점 
 | 
 60.4 
 | 
 1.2 
 | 
 18.3 
 | 
 10.1 
 | 
 13.0 
 | 
 14.7 
 | 
 13.3 
 | 
 1.2 
 | 
 0.06 
 | 
| 
 - 정보통신 
 | 
 49.9 
 | 
 5.1 
 | 
 5.5 
 | 
 3.6 
 | 
 6.0 
 | 
 1.8 
 | 
 4.2 
 | 
 2.4 
 | 
 0.14 
 | 
| 
 - 금융․보험 
 | 
 100.0 
 | 
 7.2 
 | 
 6.2 
 | 
 3.7 
 | 
 -0.2 
 | 
 3.3 
 | 
 4.7 
 | 
 6.9 
 | 
 0.82 
 | 
| 
 - 부동산 
 | 
 71.4 
 | 
 1.7 
 | 
 3.0 
 | 
 -5.3 
 | 
 -2.4 
 | 
 -4.3 
 | 
 -0.3 
 | 
 -12.9 
 | 
 -1.25 
 | 
| 
 - 전문․과학․기술 
 | 
 37.3 
 | 
 2.8 
 | 
 2.6 
 | 
 -0.3 
 | 
 3.6 
 | 
 2.6 
 | 
 -0.6 
 | 
 -7.4 
 | 
 -0.25 
 |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53.2 
 | 
 -0.5 
 | 
 1.5 
 | 
 2.1 
 | 
 3.0 
 | 
 1.3 
 | 
 3.1 
 | 
 1.0 
 | 
 0.05 
 | 
| 
 - 교육 
 | 
 136.5 
 | 
 4.0 
 | 
 5.3 
 | 
 3.6 
 | 
 5.2 
 | 
 5.4 
 | 
 2.2 
 | 
 1.6 
 | 
 0.19 
 | 
| 
 - 보건․사회복지 
 | 
 142.6 
 | 
 2.1 
 | 
 3.5 
 | 
 4.4 
 | 
 4.3 
 | 
 4.9 
 | 
 2.9 
 | 
 5.7 
 | 
 0.95 
 | 
| 
 - 예술․스포츠․여가 
 | 
 20.9 
 | 
 14.0 
 | 
 21.5 
 | 
 17.0 
 | 
 23.7 
 | 
 16.0 
 | 
 30.8 
 | 
 2.1 
 | 
 0.04 
 | 
| 
 - 협회․수리․개인 
 | 
 41.5 
 | 
 -1.7 
 | 
 1.3 
 | 
 0.9 
 | 
 -3.4 
 | 
 3.4 
 | 
 0.6 
 | 
 2.6 
 | 
 0.10 
 |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9.5 
 | 
 -2.2 
 | 
 10.1 
 | 
 2.3 
 | 
 17.6 
 | 
 5.0 
 | 
 1.2 
 | 
 -10.0 
 | 
 -0.10 
 | 
| 
 < 광주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 
 소매판매 
 | 
□ 2022년 4/4분기 광주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3.4% 감소하였으며, 감소세는 전분기(-2.4%)보다 1.0%p 확대
◦ 승용차·연료소매점(10.5%)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전문소매점(-12.4%), 백화점(-8.2%) 등에서 판매가 감소
(2015=100, 불변, %, %p)
| 
 | 
 가중치 
 | 
 ’21년 
 | 
 4/4 
 | 
 ’22년P 
 | 
 1/4 
 | 
 2/4 
 | 
 3/4 
 | 
 4/4P 
 | 
 | 
| 
 기여도 
 | 
|||||||||
| 
 총 지 수 
 | 
 1000.0 
 | 
 101.9 
 | 
 103.8 
 | 
 99.5 
 | 
 96.4 
 | 
 101.6 
 | 
 99.7 
 | 
 100.3 
 | 
 - 
 | 
| 
 전년동기비 
 | 
 -  
 | 
 2.0 
 | 
 2.2 
 | 
 -2.4 
 | 
 -2.2 
 | 
 -1.6 
 | 
 -2.4 
 | 
 -3.4 
 | 
 - 
 | 
| 
  - 백 화 점 
 | 
 90.0 
 | 
 18.8 
 | 
 23.5 
 | 
 5.5 
 | 
 7.4 
 | 
 14.4 
 | 
 11.9 
 | 
 -8.2 
 | 
 -0.91 
 | 
| 
  - 대형마트 
 | 
 80.9 
 | 
 -1.8 
 | 
 -6.1 
 | 
 -7.5 
 | 
 -9.0 
 | 
 -7.0 
 | 
 -8.4 
 | 
 -5.2 
 | 
 -0.32 
 | 
| 
  - 면세점 
 | 
 - 
 | 
 - 
 | 
 - 
 | 
 - 
 | 
 - 
 | 
 - 
 | 
 - 
 | 
 - 
 | 
 - 
 | 
| 
  - 슈퍼ㆍ잡화ㆍ편의점 
 | 
 153.0 
 | 
 -5.7 
 | 
 2.5 
 | 
 0.5 
 | 
 2.1 
 | 
 -0.9 
 | 
 -0.7 
 | 
 1.8 
 | 
 0.27 
 | 
| 
  - 승용차ㆍ연료소매점 
 | 
 233.5 
 | 
 -2.4 
 | 
 -8.4 
 | 
 -1.1 
 | 
 -8.0 
 | 
 -7.8 
 | 
 1.3 
 | 
 10.5 
 | 
 2.72 
 | 
| 
  - 전문소매점 
 | 
 442.4 
 | 
 5.8 
 | 
 6.2 
 | 
 -5.3 
 | 
 -1.0 
 | 
 -0.3 
 | 
 -7.1 
 | 
 -12.4 
 | 
 -5.20 
 |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 
6. 대전
| 
 서비스업생산 
 | 
□ 2022년 4/4분기 대전 서비스업생산은 전년동분기대비 2.6% 증가하였으며, 증가세는 전분기(6.7%)보다 4.1%p 축소
◦ 금융·보험, 보건·사회복지, 운수·창고, 숙박·음식점 등에서 생산 증가
| 
 <전년동분기대비 주요 증감업종> 
 | 
|
| 
 | 
|
| 
 ․증가 : 
 | 
 금융·보험(14.1%), 보건·사회복지(4.4%), 운수·창고(7.4%), 숙박·음식점(7.7%) 등 
 | 
| 
 ․감소 : 
 | 
 전문·과학·기술(-2.1%), 교육(-3.2%), 부동산(-5.5%),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0.3%) 
 | 
(2015=100, 불변, %, %p)
| 
 | 
 가중치 
 | 
 ’21년 
 | 
 4/4 
 | 
 ’22년P 
 | 
 1/4 
 | 
 2/4 
 | 
 3/4 
 | 
 4/4P 
 | 
 | 
| 
 기여도 
 | 
|||||||||
| 
 총 지 수 
 | 
 1000.0 
 | 
 108.1 
 | 
 118.6 
 | 
 113.1 
 | 
 104.4 
 | 
 113.3 
 | 
 113.0 
 | 
 121.7 
 | 
 - 
 | 
| 
 전년동기비 
 | 
 - 
 | 
 2.8 
 | 
 4.5 
 | 
 4.6 
 | 
 3.4 
 | 
 6.0 
 | 
 6.7 
 | 
 2.6 
 | 
 - 
 | 
| 
 - 도소매 
 | 
 173.5 
 | 
 3.5 
 | 
 4.5 
 | 
 2.3 
 | 
 2.0 
 | 
 3.4 
 | 
 3.7 
 | 
 0.1 
 | 
 0.01 
 | 
| 
 - 운수․창고 
 | 
 79.0 
 | 
 4.8 
 | 
 9.6 
 | 
 9.0 
 | 
 5.0 
 | 
 9.4 
 | 
 14.4 
 | 
 7.4 
 | 
 0.49 
 | 
| 
 - 숙박․음식점 
 | 
 54.6 
 | 
 1.0 
 | 
 16.2 
 | 
 15.7 
 | 
 10.5 
 | 
 17.2 
 | 
 28.8 
 | 
 7.7 
 | 
 0.39 
 | 
| 
 - 정보통신 
 | 
 63.7 
 | 
 3.9 
 | 
 6.0 
 | 
 3.6 
 | 
 4.6 
 | 
 2.8 
 | 
 3.1 
 | 
 3.8 
 | 
 0.28 
 | 
| 
 - 금융․보험 
 | 
 78.0 
 | 
 9.8 
 | 
 11.2 
 | 
 12.8 
 | 
 11.7 
 | 
 11.8 
 | 
 13.6 
 | 
 14.1 
 | 
 1.34 
 | 
| 
 - 부동산 
 | 
 23.9 
 | 
 -1.2 
 | 
 1.8 
 | 
 -2.8 
 | 
 -3.9 
 | 
 0.1 
 | 
 -1.6 
 | 
 -5.5 
 | 
 -0.15 
 | 
| 
 - 전문․과학․기술 
 | 
 169.7 
 | 
 0.8 
 | 
 2.6 
 | 
 0.7 
 | 
 -3.7 
 | 
 5.7 
 | 
 3.2 
 | 
 -2.1 
 | 
 -0.40 
 |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 
 | 
 55.7 
 | 
 1.1 
 | 
 -2.8 
 | 
 1.9 
 | 
 2.6 
 | 
 2.9 
 | 
 2.7 
 | 
 -0.3 
 | 
 -0.01 
 | 
| 
 - 교육 
 | 
 121.4 
 | 
 0.4 
 | 
 -2.0 
 | 
 0.2 
 | 
 1.5 
 | 
 0.0 
 | 
 2.3 
 | 
 -3.2 
 | 
 -0.31 
 | 
| 
 - 보건․사회복지 
 | 
 108.0 
 | 
 2.5 
 | 
 3.9 
 | 
 6.0 
 | 
 7.5 
 | 
 8.0 
 | 
 4.4 
 | 
 4.4 
 | 
 0.55 
 | 
| 
 - 예술․스포츠․여가 
 | 
 19.4 
 | 
 4.6 
 | 
 12.6 
 | 
 13.0 
 | 
 4.8 
 | 
 14.8 
 | 
 14.9 
 | 
 16.2 
 | 
 0.24 
 | 
| 
 - 협회․수리․개인 
 | 
 31.9 
 | 
 3.6 
 | 
 8.2 
 | 
 7.7 
 | 
 3.2 
 | 
 7.1 
 | 
 13.4 
 | 
 6.8 
 | 
 0.20 
 |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 
 | 
 21.2 
 | 
 -1.2 
 | 
 -2.8 
 | 
 0.9 
 | 
 -0.9 
 | 
 -0.1 
 | 
 3.1 
 | 
 1.0 
 | 
 0.02 
 | 
| 
 < 대전 총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 
 소매판매 
 | 
□ 2022년 4/4분기 대전 소매판매는 전년동분기대비 5.2% 감소하였으며, 전분기 증가(1.4%)에서 감소로 전환
◦ 승용차·연료소매점(11.4%) 등에서 증가하였으나, 전문소매점(-21.3%), 슈퍼·잡화·편의점(-1.6%) 등에서 판매가 감소
(2015=100, 불변, %, %p)
| 
 | 
 가중치 
 | 
 ’21년 
 | 
 4/4 
 | 
 ’22년P 
 | 
 1/4 
 | 
 2/4 
 | 
 3/4 
 | 
 4/4P 
 | 
 | 
| 
 기여도 
 | 
|||||||||
| 
 총 지 수 
 | 
 1000.0 
 | 
 106.4 
 | 
 115.0 
 | 
 106.5 
 | 
 101.9 
 | 
 107.3 
 | 
 107.6 
 | 
 109.0 
 | 
 - 
 | 
| 
 전년동기비 
 | 
 -  
 | 
 4.4 
 | 
 7.8 
 | 
 0.1 
 | 
 1.5 
 | 
 3.3 
 | 
 1.4 
 | 
 -5.2 
 | 
 - 
 | 
| 
  - 백 화 점 
 | 
 107.0 
 | 
 38.5 
 | 
 62.7 
 | 
 32.0 
 | 
 54.3 
 | 
 61.1 
 | 
 29.5 
 | 
 4.7 
 | 
 0.74 
 | 
| 
  - 대형마트 
 | 
 113.2 
 | 
 -3.2 
 | 
 -6.2 
 | 
 -6.7 
 | 
 -10.0 
 | 
 -9.0 
 | 
 -5.8 
 | 
 -1.7 
 | 
 -0.13 
 | 
| 
  - 면세점 
 | 
 - 
 | 
 - 
 | 
 - 
 | 
 - 
 | 
 - 
 | 
 - 
 | 
 - 
 | 
 - 
 | 
 - 
 | 
| 
  - 슈퍼ㆍ잡화ㆍ편의점 
 | 
 147.5 
 | 
 -3.5 
 | 
 3.2 
 | 
 -2.2 
 | 
 -0.1 
 | 
 -6.0 
 | 
 -1.0 
 | 
 -1.6 
 | 
 -0.23 
 | 
| 
  - 승용차ㆍ연료소매점 
 | 
 228.5 
 | 
 -2.3 
 | 
 -11.1 
 | 
 -0.6 
 | 
 -9.9 
 | 
 -6.7 
 | 
 3.2 
 | 
 11.4 
 | 
 2.66 
 | 
| 
  - 전문소매점 
 | 
 403.4 
 | 
 6.2 
 | 
 11.8 
 | 
 -7.3 
 | 
 -1.3 
 | 
 1.4 
 | 
 -6.2 
 | 
 -21.3 
 | 
 -8.31 
 | 
| 
  < 소매판매액지수(전년동기비) 추이 > 
 | 
| 
 | 
| 
 | 
| 
 < 소매업태별지수(전년동기비) > 
 | 
| 
 | 
| 
 2022년 연간 시도별 동향 
 | 
1. 서울
□ (서비스업생산) 서울 서비스업생산은 부동산(-9.6%)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운수·창고(21.1%), 숙박·음식점(25.3%), 도소매(3.8%)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4.2% 증가
□ (소매판매) 서울 소매판매는 백화점(6.9%), 전문소매점(1.4%)에서 늘었으나, 면세점(-10.2%), 승용차·연료소매점(-3.5%) 등에서 줄어 전년대비 1.0% 감소
2. 부산
□ (서비스업생산) 부산 서비스업생산은 부동산(-4.9%)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숙박·음식점(25.5%), 운수·창고(6.9%), 예술·스포츠·여가(102.8%)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5.5% 증가
□ (소매판매) 부산 소매판매는 백화점(11.1%), 승용차·연료소매점(1.8%)에서 늘었으나, 전문소매점(-4.6%), 대형마트(-7.4%) 등에서 줄어 전년대비 0.3% 감소
3. 대구
□ (서비스업생산) 대구 서비스업생산은 부동산(-18.1%)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보건·사회복지(7.3%), 금융·보험(6.3%), 숙박·음식점(14.8%)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3.3% 증가
□ (소매판매) 대구 소매판매는 백화점(3.0%)에서 늘었으나, 대형마트(-4.2%), 전문소매점(-0.8%) 등에서 줄어 전년대비 0.6% 감소
4. 인천
□ (서비스업생산) 인천 서비스업생산은 수도·하수·폐기물처리(-4.0%)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운수·창고(15.0%), 보건·사회복지(8.4%), 숙박·음식점(17.2%)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6.8% 증가
□ (소매판매) 인천 소매판매는 대형마트(-7.3%), 전문소매점(-0.4%)에서 감소하였으나, 면세점(233.3%), 승용차·연료소매점(1.5%)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2.2% 증가
5. 광주
□ (서비스업생산) 광주 서비스업생산은 부동산(-5.3%) 등에서 감소하였으나,보건·사회복지(4.4%), 숙박·음식점(10.1%), 금융·보험(3.7%)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2.8% 증가
□ (소매판매) 광주 소매판매는 백화점(5.5%), 슈퍼·잡화·편의점(0.5%)에서 늘었으나, 전문소매점(-5.3%), 대형마트(-7.5%) 등에서 줄어 전년대비 2.4% 감소
6. 대전
□ (서비스업생산) 대전 서비스업생산은 부동산(-2.8%)에서 감소하였으나, 금융·보험(12.8%), 보건·사회복지(6.0%), 숙박·음식점(15.7%)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4.6% 증가
□ (소매판매) 대전 소매판매는 전문소매점(-7.3%) 대형마트(-6.7%)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백화점(32.0%)에서 늘어 전년대비 0.1% 증가
7. 울산
□ (서비스업생산) 울산 서비스업생산은 부동산(-6.8%)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보건·사회복지(6.5%), 숙박·음식점(15.8%), 도소매(2.6%)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4.1% 증가
□ (소매판매) 울산 소매판매는 대형마트(-6.1%), 슈퍼·잡화·편의점(-2.4%), 백화점(-4.2%), 전문소매점(-0.6%)에서 줄어 전년대비 1.7% 감소
8. 경기
□ (서비스업생산) 경기 서비스업생산은 부동산(-4.8%)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보건·사회복지(10.6%), 숙박·음식점(20.4%), 도소매(4.0%)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5.8% 증가
□ (소매판매) 경기 소매판매는 백화점(7.6%), 전문소매점(0.9%)에서 늘었으나, 대형마트(-3.6%), 승용차·연료소매점(-1.2%) 등에서 줄어 전년대비 0.1% 감소
9. 강원
□ (서비스업생산) 강원 서비스업생산은 수도·하수·폐기물처리(-2.1%)에서 감소하였으나, 숙박·음식점(17.3%), 예술·스포츠·여가(19.5%), 보건·사회복지(6.0%)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5.5% 증가
□ (소매판매) 강원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1.6%)에서 늘었으나, 전문소매점(-2.1%), 대형마트(-3.4%) 등에서 줄어 전년대비 0.6% 감소
10. 충북
□ (서비스업생산) 충북 서비스업생산은 전문·과학·기술(-0.4%)에서 감소하였으나, 숙박·음식점(22.4%), 보건·사회복지(5.1%), 운수·창고(8.5%)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4.0% 증가
□ (소매판매) 충북 소매판매는 전문소매점(-4.2%), 대형마트(-5.6%), 승용차·연료소매점(-0.3%), 슈퍼·잡화·편의점(-0.3%)에서 줄어 전년대비 1.9% 감소
11. 충남
□ (서비스업생산) 충남 서비스업생산은 수도·하수·폐기물처리(-8.4%)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숙박·음식점(19.9%), 금융·보험(8.4%), 보건·사회복지(3.9%)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4.1% 증가
□ (소매판매) 충남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2.3%), 대형마트(-3.7%), 전문소매점(-0.7%), 승용차·연료소매점(-0.2%)에서 줄어 전년대비 0.9% 감소
12. 전북
□ (서비스업생산) 전북 서비스업생산은 수도·하수·폐기물처리(-1.5%)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숙박·음식점(20.0%), 금융·보험(6.2%), 보건·사회복지(3.6%), 운수·창고(6.4%)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4.0% 증가
□ (소매판매) 전북 소매판매는 전문소매점(0.5%)에서 늘었으나, 승용차·연료소매점(-1.7%), 대형마트(-5.5%) 등에서 줄어 전년대비 0.8% 감소
13. 전남
□ (서비스업생산) 전남 서비스업생산은 수도·하수·폐기물처리(-8.1%)에서 감소하였으나, 숙박·음식점(19.8%), 금융·보험(8.7%), 보건·사회복지(2.9%)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3.6% 증가
□ (소매판매) 전남 소매판매는 전문소매점(-1.6%), 슈퍼·잡화·편의점(-2.5%), 대형마트(-6.7%), 승용차·연료소매점(-0.4%)에서 줄어 전년대비 1.6% 감소
14. 경북
□ (서비스업생산) 경북 서비스업생산은 수도·하수·폐기물처리(-5.6%)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숙박·음식점(13.4%), 금융·보험(5.9%), 보건·사회복지(3.0%)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2.7% 증가
□ (소매판매) 경북 소매판매는 전문소매점(3.1%)에서 늘었으나, 승용차·연료소매점(-1.9%), 대형마트(-6.1%) 등에서 줄어 전년대비 0.2% 감소
15. 경남
□ (서비스업생산) 경남 서비스업생산은 수도·하수·폐기물처리(-5.5%)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숙박·음식점(18.7%), 금융·보험(7.8%), 보건·사회복지(5.1%)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4.5% 증가
□ (소매판매) 경남 소매판매는 슈퍼·잡화·편의점(-2.5%)에서 감소하였으나, 승용차·연료소매점(4.8%), 전문소매점(1.5%)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2.3% 증가
16. 제주
□ (서비스업생산) 제주 서비스업생산은 전문·과학·기술(-0.6%)에서 줄었으나, 숙박·음식점(20.5%), 정보통신(11.6%), 금융·보험(8.9%) 등에서 늘어 전년대비 8.6% 증가
□ (소매판매) 제주 소매판매는 승용차·연료소매점(1.3%), 면세점(0.4%)에서 늘었으나, 대형마트(-3.5%), 슈퍼·잡화·편의점(-1.2%) 등에서 줄어 전년대비 0.1% 감소
< 연간 시도별 증감률 >
[전년비, %]
| 
 시도 
 | 
 서비스업생산 
 | 
 소매판매 
 | 
||||||||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P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P 
 | 
|
| 
 전 국 
 | 
 2.3 
 | 
 1.4 
 | 
 -2.0 
 | 
 4.4 
 | 
 4.8 
 | 
 4.3 
 | 
 2.4 
 | 
 -0.2 
 | 
 5.9 
 | 
 0.2 
 | 
| 
 서 울 
 | 
 3.6 
 | 
 1.7 
 | 
 1.3 
 | 
 5.8 
 | 
 4.2 
 | 
 5.6 
 | 
 5.2 
 | 
 -8.9 
 | 
 6.6 
 | 
 -1.0 
 | 
| 
 부 산 
 | 
 1.9 
 | 
 0.3 
 | 
 -4.2 
 | 
 4.2 
 | 
 5.5 
 | 
 0.9 
 | 
 0.2 
 | 
 -4.4 
 | 
 6.8 
 | 
 -0.3 
 | 
| 
 대 구 
 | 
 1.3 
 | 
 0.6 
 | 
 -2.8 
 | 
 3.1 
 | 
 3.3 
 | 
 0.5 
 | 
 -1.0 
 | 
 -3.0 
 | 
 3.0 
 | 
 -0.6 
 | 
| 
 인 천 
 | 
 2.6 
 | 
 1.2 
 | 
 -9.6 
 | 
 2.6 
 | 
 6.8 
 | 
 3.5 
 | 
 0.5 
 | 
 -8.4 
 | 
 -0.8 
 | 
 2.2 
 | 
| 
 광 주 
 | 
 2.1 
 | 
 1.3 
 | 
 -1.5 
 | 
 3.0 
 | 
 2.8 
 | 
 1.3 
 | 
 -1.9 
 | 
 -0.4 
 | 
 2.0 
 | 
 -2.4 
 | 
| 
 대 전 
 | 
 1.3 
 | 
 0.7 
 | 
 -2.5 
 | 
 2.8 
 | 
 4.6 
 | 
 0.1 
 | 
 -1.1 
 | 
 0.2 
 | 
 4.4 
 | 
 0.1 
 | 
| 
 울 산 
 | 
 0.7 
 | 
 -0.3 
 | 
 -3.2 
 | 
 2.0 
 | 
 4.1 
 | 
 -0.5 
 | 
 -0.8 
 | 
 -0.1 
 | 
 -0.8 
 | 
 -1.7 
 | 
| 
 경 기 
 | 
 2.6 
 | 
 1.7 
 | 
 -1.0 
 | 
 4.3 
 | 
 5.8 
 | 
 2.3 
 | 
 -0.7 
 | 
 1.6 
 | 
 2.9 
 | 
 -0.1 
 | 
| 
 강 원 
 | 
 2.1 
 | 
 0.2 
 | 
 -4.9 
 | 
 3.8 
 | 
 5.5 
 | 
 2.7 
 | 
 -0.6 
 | 
 -0.4 
 | 
 3.3 
 | 
 -0.6 
 | 
| 
 충 북 
 | 
 2.4 
 | 
 0.6 
 | 
 -3.0 
 | 
 3.0 
 | 
 4.0 
 | 
 1.4 
 | 
 -2.4 
 | 
 0.4 
 | 
 2.6 
 | 
 -1.9 
 | 
| 
 충 남 
 | 
 1.8 
 | 
 1.3 
 | 
 -3.4 
 | 
 3.9 
 | 
 4.1 
 | 
 1.1 
 | 
 -0.5 
 | 
 1.7 
 | 
 1.1 
 | 
 -0.9 
 | 
| 
 전 북 
 | 
 0.5 
 | 
 1.1 
 | 
 -1.2 
 | 
 2.5 
 | 
 4.0 
 | 
 -0.3 
 | 
 0.5 
 | 
 0.8 
 | 
 1.1 
 | 
 -0.8 
 | 
| 
 전 남 
 | 
 1.9 
 | 
 1.7 
 | 
 -1.9 
 | 
 2.5 
 | 
 3.6 
 | 
 2.0 
 | 
 -0.8 
 | 
 4.3 
 | 
 4.2 
 | 
 -1.6 
 | 
| 
 경 북 
 | 
 1.0 
 | 
 1.0 
 | 
 -4.4 
 | 
 3.5 
 | 
 2.7 
 | 
 -0.5 
 | 
 -1.1 
 | 
 0.5 
 | 
 2.1 
 | 
 -0.2 
 | 
| 
 경 남 
 | 
 1.2 
 | 
 0.5 
 | 
 -2.3 
 | 
 2.5 
 | 
 4.5 
 | 
 -0.5 
 | 
 0.9 
 | 
 2.1 
 | 
 0.4 
 | 
 2.3 
 | 
| 
 제 주 
 | 
 2.4 
 | 
 2.2 
 | 
 -10.4 
 | 
 2.6 
 | 
 8.6 
 | 
 11.2 
 | 
 10.6 
 | 
 -26.8 
 | 
 5.9 
 | 
 -0.1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사회 취약계층, 도시가스 요금 감면,전기요금 감면, 지역난방요금 감면 등 신청하세요_보건복지부 (0) | 2023.02.13 | 
|---|---|
| “신용도 올라간 대출자에 ‘금리인하요구권’ 먼저 알려드립니다” (0) | 2023.02.13 | 
| 2023년 전국사업체조사 실시 (0) | 2023.02.09 | 
| 6개월~4세 영유아도 코로나19 예방접종… 13일부터 당일 접종 시작 (0) | 2023.02.09 | 
| 2월 13일부터 영유아(6개월-4세) 대상 코로나19 백신 당일접종 시작(2.9.목) (0) | 2023.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