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재정추계 시산결과 발표
2023.01.27 보건복지부
국민연금 재정추계 시산결과 발표
|
- 재정추계전문위원회, 기본가정에 기초한 전망결과 제시 -
|
□ 국민연금 재정추계전문위원회(위원장 : 전병목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는 1.27일 국민연금 재정추계 시산결과를 발표하였다.
○ 국민연금은 2003년부터 매 5년마다 재정계산을 실시하여, 장기적 관점에서 재정추계를 하고, 이를 토대로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을 수립한다.
○ 이번 재정계산은 2018년 4차에 이은 제5차 재정계산으로, ’22.8월 재정추계전문위원회 구성을 시작으로 기금운용발전전문위원회, 재정계산위원회가 구성‧운영 중이다.
□ 재정추계전문위원회는 국회 연금개혁 특위 산하 민간자문위원회의 시산결과 요청에 따라, 연금개혁 논의 지원을 위해 당초 일정(’23.3월)보다 2개월 앞당겨 재정추계 시산결과를 발표하였다.
○ 재정추계 시산결과는 재정추계전문위원회에서 총 16차례의 회의를 통해 합의한 인구, 경제 및 제도변수에 대한 기본가정에 기초하여 급여지출 및 적립기금 변화 추이 등을 우선적으로 산출한 것이며,
○ 다양한 시나리오별 민감도 분석 내용 등은 ’23.3월 확정되는 재정추계 최종결과에 포함될 예정이다.
□ 발표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악화, 경제성장 둔화 등 거시경제 여건변화로 국민연금 재정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 합계출산율이 하락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국민연금 가입자 감소 및 수급자 증가*로 보험료 수입 감소, 급여지출 증가가 예상된다.
* 65세 이상 인구대비 노령연금 수급자 비율은 ’23년 44.0%에서 ’70년 84.2% 도달 예상
○ 실질경제성장률과 실질임금상승률 하락 등 거시경제 변수는 단기적으로 보험료 수입 감소 효과가 있는 반면, 지역가입자 비중 및 납부예외자 비율 하락 등은 재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국민연금은 현행 제도를 유지할 경우, 20여 년간은 지출보다 수입이 많은 구조를 유지하나, 저출산‧고령화 심화와 경기 둔화의 영향으로 2041년부터 수지적자가 발생하여 2055년 기금이 소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 4차와 비교할 때, 수지적자 시점은 1년, 기금소진 시점은 2년 앞당겨졌다.

□ 이에 따라, 재정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재정목표를 제시하고, 보험료율 조정만으로 재정목표를 달성할 경우 필요한 보험료율 수준을 제시하였다.
○ 연금개혁이 늦어짐에 따라 4차 재정계산에 비해 필요보험료율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5차 재정계산의 경우, 적립기금 규모에 대한 목표 시나리오별 필요보험료율이 4차 재정계산 대비 약 1.66%p~1.84%p 증가하였다.
○ 이는, 연금개혁이 늦어질수록, 미래 청년세대의 부담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연금개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재정목표 달성을 위한 필요보험료율 >
보험료율
인상시점1)
|
재정목표(추계기간 말2) 기준) 시나리오
|
|||||
적립배율
1배
|
적립배율
2배
|
적립배율
5배
|
수지적자 미발생
|
일정한 적립배율 유지(적립배율)
|
||
5차
|
2025년
|
17.86%
|
18.08%
|
18.71%
|
19.57%
|
20.77% (14.8)
|
2035년
|
20.73%
|
21.01%
|
21.85%
|
22.54%
|
23.73% (11.7)
|
|
4차
|
2020년
|
16.02%
|
16.28%
|
17.05%
|
18.20%
|
20.20% (17.3)
|
2030년
|
17.95%
|
18.27%
|
19.25%
|
20.22%
|
22.20% (14.0)
|
|
주: 1) 보험료율 인상시점은 추계시작 시점 및 단계적 인상 가능성을 고려하여 재정추계전문위원회에서 설정
: 2) 4차 재정계산은 2088년, 5차 재정계산은 2093년 기준
|
□ 한편, 인구구조가 큰 영향을 미치는 제도부양비(가입자수 대비 수급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부과방식비용률도 전반적으로 상승하였다.
○ 부과방식비용률이란 당해연도 보험료 수입만으로, 당해연도 급여지출을 충당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필요한 보험료율로 연금개혁과 관련이 있기 보다는 인구변수에 영향을 받는다.
< 제도부양비, 부과방식비용률 >
구 분
|
2023
|
2030
|
2040
|
2050
|
2060
|
2070
|
2080
|
2088
|
2093
|
|
제도부양비(%)
|
5차
|
24.0
|
36.4
|
62.9
|
95.6
|
125.4
|
138.3
|
143.1
|
128.1
|
119.6
|
4차
|
23.0
|
35.0
|
62.7
|
91.0
|
116.0
|
123.6
|
121.9
|
118.6
|
|
|
부과방식비용률(%)
|
5차
|
6.0
|
9.2
|
15.1
|
22.7
|
29.8
|
33.4
|
34.9
|
31.7
|
29.7
|
4차
|
6.3
|
9.0
|
14.9
|
20.8
|
26.8
|
29.7
|
29.5
|
28.8
|
|
□ 전병목 재정추계전문위원장은 “국민연금 재정추계 시산결과는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가입‧수급연령 등 제도 세부내용을 조정하지 않고, 현행 제도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전망한 것으로,
○ 기금소진연도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현재 진행 중인 국회 연금개혁 논의와 향후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 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여야 한다”라고 강조하였다.
<붙임> 국민연금재정추계전문위 구성현황
참고
|
|
국민연금재정추계전문위 구성 현황(제5차 재정계산)
|
2023. 1월 현재
구 분
|
성 명
|
소 속(직 위)
|
비 고
|
위원장
|
전 병 목
|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
정부위원
(2)
|
박 재 만
|
보건복지부 국민연금정책과장
|
|
신 대 원
|
기획재정부 재정효과분석팀장
|
|
|
민간위원
(9)
|
김 승 연
|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
|
김 종 호
|
부경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
|
|
박 성 용
|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
|
|
송 헌 재
|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
|
|
양 준 모
|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
|
이 항 석
|
성균관대학교 수학과 교수
|
|
|
정 규 철
|
한국개발연구원 경제전망실장
|
|
|
정 세 은
|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
|
한 정 림
|
국민연금연구원 재정추계분석실장
|
간사 겸
|
* 위원 : 총 12명(위원장 포함), 민간위원은 ‘가나다’ 순으로 기재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회전 시 전방 빨간불이면 무조건 ‘일시정지’ (0) | 2023.01.29 |
---|---|
지역대학의 혁신거점화, 대학(캠퍼스) 첨단산업단지(혁신파크) 사업 공모 (0) | 2023.01.29 |
변경된 ‘실내 마스크 착용 방역지침’시행(1.30.)에 따른 각급 학교, 학원에서 적용할 세부기준 안내 (0) | 2023.01.28 |
국민연금 재정추계 시산결과 발표 (1) | 2023.01.28 |
30일부터 실내 마스크 착용 ‘권고’…학교·학원 내 세부기준은 (0) | 2023.0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