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은행(WB) '23년 세계 경제전망 발표
2023.01.11 기획재정부
2023년 세계은행(World Bank) 세계경제전망 발표
|
□ 세계은행(WB)은 1.10.(화) 9:30(美 워싱턴 D.C 기준, 한국시각 1.10.(화) 23:30)에 「세계경제전망(Global Economic Prospects)*」을 발표하였음
* WB는 매년 2회(1월, 6월) 「세계경제전망」을 발간하며,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는 별도로 발표하지 않음
ㅇ 주요 내용 및 전망치는 첨부*를 참고
* 2023.1월 세계은행(World Bank) 세계경제 전망 주요내용 및 전망치
※ 참고자료는 보도편의를 위해 세계은행의 보고서를 요약·정리한
자료이므로 상세 내용은 WB Global Economic Prospects
(www.worldbank.org/gep)를 참고
참고 1
|
|
2023년 1월 세계은행(World Bank) 세계경제전망 주요내용
|
1 (세계경제 전망) 금년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시장환율 기준)은 1.7%*(선진국 0.5%, 신흥․개도국 3.4%)으로, ‘22.6월 전망 대비 하향 조정(△1.3%p)
※ 주요 국제기구 성장률 전망 비교(PPP(Purchasing-power-parity) 기준)
WB 성장률 전망(’23.1.10) : (’22년) 3.1% , (’23년) 2.2%
OECD 성장률 전망(’22.11.22) : (’22년) 3.1% , (’23년) 2.2%
IMF 성장률 전망(’22.10.11) : (’22년) 3.2% , (’23년) 2.7%
ㅇ ➊고물가, ➋주요국 통화긴축에 따른 고금리, ➌투자 감소, ➍우크라이나 전쟁 등 惡材 중첩 → 최근 30년간 3번째로 낮은 수준의 성장세 전망*
* (’20년) 팬데믹 위기, (’09년) 글로벌 금융위기
2 (지역별 전망) 전세계적인 인플레이션 및 급격한 통화정책 긴축으로 선진국 성장 둔화 → 파급효과로 신흥・개도국 자금조달·재정 여건 악화

ㅇ (선진국) 고물가, 재정·통화 긴축정책, 에너지 공급불안 등으로 ’22년 중반 이후 경제상황 급격히 악화 → 전년대비 하락(‘22년 2.5→’23년 0.5)
- (미국) 식량·에너지 가격 상승 등 인플레이션, 노동시장 경색, 재정·통화 긴축정책 등으로 인해 0.5% 성장 전망(‘22년 1.9→’23년 0.5)
- (유로존)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가격급등 및 공급불안, 예상을 상회한 통화 긴축 등으로 인해 0% 성장 전망(‘22년 3.3→’23년 0.0)
ㅇ (신흥·개도국) 선진국 성장 둔화로 인한 외부수요 약화, 차입비용 상승 등으로 성장 제약, 다만 중국의 회복으로 감소세 상쇄 → 전년 同*(‘22년 3.4→’23년 3.4)
* 중국 제외 시 2.7%(‘22년 3.8%)
- (동아태) 중국의 국경봉쇄(lock-down) 완화 등으로 인한 경제 반등으로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한 4.3%* 성장 전망(‘22년 3.2→’22년 4.3)
* 중국 제외 시 4.7%(‘22년 5.6%) → 상품 수출 감소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관광 회복 효과보다 더 크게 작용하고, 추가 재정긴축·글로벌 성장 둔화 등 하방 위험 반영
- (유럽ㆍ중앙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침체 주로 반영, 그 외 에너지 수급불안 등 영향으로 0.1% 전망(‘22년 0.2→’23년 0.1)
- (중남미) 수출수요 감소, 국내정책 불확실성, 글로벌 금융 긴축으로 인한 자본유출 위험 등으로 인해 1.3% 성장 전망(‘22년 3.6→’23년 1.3)
- (중동․북아프리카) 석유 생산 감축 등으로 인한 석유 수출국의 성장 둔화, 일부 국가 사회·정치적 불안정 → 3.5% 전망(‘22년 5.7→’23년 3.5)
- (남아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 글로벌 금리 상승, 주요 교역 상대국의 성장 둔화 등 악영향 지속 → 5.5% 전망(‘22년 6.1→’23년 5.5)
- (사하라 이남) 인플레이션 및 긴축정책으로 인한 국내수요 감소 지속 → 장기 평균 이하 성장세 유지하며 3.6% 전망(‘22년 3.4→’23년 3.6)
3 (정책제언) ’20년 팬데믹 위기 이후 3년만에 경기침체 재진입 위험 증대 → 하방리스크 관리를 위한 국제공조 강화 필요
ㅇ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국 성장세가 잠재성장률 수준을 큰 폭으로 하회 → ’22.6월 대비 세계경제 전망치 대폭 하향 조정*
* 성장률(%, %p) : 세계경제 3.0→1.7(△1.3), 선진국 2.2→0.5(△1.7), 신흥·개도국 4.2→3.4(△0.8)
ㅇ 특히, ➊추가긴축, ➋신흥개도국 금융취약성, ➌중국 성장둔화 ➍지정학적 갈등, ➎기후재해 등 하방리스크로 인해 경기침체 확산·불황 가능성↑
⇨ 경기침체 위험 회피 및 채무 부실화 방지에 중점을 두어, 통화정책 협의·취약계층 지원·개도국 부채관리·기후변화 대응 등 필요
|
참고 2
|
|
2022년 세계은행(World Bank) 세계경제 전망치
|
(단위 : %, %p)
|
2020
|
2021
|
2022e
|
2023f
|
2024f
|
‘22.6월 전망 대비 조정폭
|
|
2023f
|
2024f
|
||||||
▪경제성장률 (시장환율 기준)
|
|||||||
(세 계)
|
△3.2
|
5.9
|
2.9
|
1.7
|
2.7
|
△1.3
|
△0.3
|
ㅇ 선진국
|
△4.3
|
5.3
|
2.5
|
0.5
|
1.6
|
△1.7
|
△0.3
|
- 미국
|
△2.8
|
5.9
|
1.9
|
0.5
|
1.6
|
△1.9
|
△0.4
|
- 유로지역
|
△6.1
|
5.3
|
3.3
|
0.0
|
1.6
|
△1.9
|
△0.3
|
- 일본
|
△4.3
|
2.2
|
1.2
|
1.0
|
0.7
|
△0.3
|
0.1
|
ㅇ 신흥시장ㆍ개도국
|
△1.5
|
6.7
|
3.4
|
3.4
|
4.1
|
△0.8
|
△0.3
|
(동아시아·태평양)
|
1.2
|
7.2
|
3.2
|
4.3
|
4.9
|
△0.9
|
△0.2
|
- 중국
|
2.2
|
8.1
|
2.7
|
4.3
|
5.0
|
△0.9
|
△0.1
|
(유럽·중앙아시아)
|
△1.7
|
6.7
|
0.2
|
0.1
|
2.8
|
△1.4
|
△0.5
|
- 러시아
|
△2.7
|
4.8
|
△3.5
|
△3.3
|
1.6
|
△1.3
|
△0.6
|
(중남미)
|
△6.2
|
6.8
|
3.6
|
1.3
|
2.4
|
△0.6
|
0.0
|
- 브라질
|
△3.3
|
5.0
|
3.0
|
0.8
|
2.0
|
0.0
|
0.0
|
(중동·북아프리카)
|
△3.6
|
3.7
|
5.7
|
3.5
|
2.7
|
△0.1
|
△0.5
|
- 사우디
|
△4.1
|
3.2
|
8.3
|
3.7
|
2.3
|
△0.1
|
△0.7
|
(남아시아)
|
△4.5
|
7.9
|
6.1
|
5.5
|
5.8
|
△0.3
|
△0.7
|
- 인도
|
△6.6
|
8.7
|
6.9
|
6.6
|
6.1
|
△0.5
|
△0.4
|
(사하라이남)
|
△2.0
|
4.3
|
3.4
|
3.6
|
3.9
|
△0.2
|
△0.1
|
- 남아공
|
△6.3
|
4.9
|
1.9
|
1.4
|
1.8
|
△0.1
|
0.0
|
▪국제무역량
(전년 대비)
|
△8.2
|
10.6
|
4.0
|
1.6
|
3.4
|
△2.7
|
△0.4
|
▪국제유가
(배럴당 $)
|
42.3
|
70.4
|
100.0
|
88.0
|
80.0
|
△4.0
|
0.0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2월 및 연간 고용동향 분석 (0) | 2023.01.11 |
---|---|
겨울철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1.11.수) (0) | 2023.01.11 |
전 세계 식량·기후 위기 극복을 위해 케이(K)-농업을 전파한다 (0) | 2023.01.11 |
2023년 커피원두(생두) 가격 안정화 전망 (1) | 2023.01.11 |
여성기업 전문인력 매칭 플랫폼(2023년 여성기업육성사업 통합 공고) (0) | 2023.0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