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로봇중개연구 보급에서 활용까지 확장
2022.12.06 보건복지부
재활로봇중개연구 보급에서 활용까지 확장
|
- 국립재활원, 2022년 재활로봇 학술토론회 개최(12.6.) -
|
□ 국립재활원(김완호 원장직무대행)은 ‘재활로봇중개연구 보급에서 활용까지’라는 주제로「2022 재활로봇 학술토론회(심포지엄)」를 2022년 12월 6일(화) 오전 9시 30분 더케이호텔서울에서 개최한다.
□ 재활로봇 학술토론회(이하 심포지엄)는 의료재활로봇 개발과 활성화를 위해 2012년부터 개최되었으며, 올해는 대면 및 유튜브 온라인 중계 방식으로 동시 개최한다.
□ 이번 심포지엄은 ‘재활로봇중개연구부터 보급에서 활용까지’라는 주제로「2022 재활로봇중개연구 심포지엄」과 「2022 의료재활 로봇산업 활성화 심포지엄」이 함께 개최되며, 국립재활원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단과 의료재활로봇보급사업단이 공동으로 주관한다.
○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단의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은 전문인력(재활의학 전문의, 임상 치료사, 공학자 등)과 기업, 대학교, 연구소, 병원 등이 협력하여 다양한 로봇기술을 재활 임상현장에 적용하는 중개 연구를 실시하여 재활로봇 활용을 활성화하고 장애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 의료재활로봇보급사업단의 재활로봇실증지원사업은 의료재활로봇의 시장 진입을 위한 임상데이터를 확보하고 상품성을 제고하여 개발이 완료된 의료재활 로봇을 병원 및 재활 관련 시설 등에 보급하고 실증하는 사업이다.
□ 이번 심포지엄은 그간 진행된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과 재활로봇실증지원사업의 다양한 성과와 우수사례 발표 및 재활 로봇의 최신동향과 관련 정보들을 공유하는 자리로, 총 4개의 세션으로 진행된다.
○ 세션1은 ‘상지재활로봇에 대한 중개연구 우수사례’를 발표한다.
- ①어깨와 팔꿉을 포함한 다자유도 소프트 상지재활로봇 중개연구(한국과학기술원 경기욱 교수팀), ②장애 아동의 손 기능 분석 및 증진을 위한 유연한 장갑형 손 로봇 중개연구(서울대학교 정봉근 교수팀), ③뇌졸중의 상지 신경근 협응에 대한 직관적인 재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및 가능성 연구(한국과학기술원 박형순 교수팀), ④편마비성견관절통증 및 유착성관절낭염을 위한 어깨재활로봇 중개연구(가천대학교 김광기 교수팀)에 대한결과가 소개된다.
○ 세션2는‘하지재활로봇에 대한 중개연구 우수사례’를[12.6.화.행사시작(9시30분)이후] 재활로봇중개연구 보급에서 활용까지 확장(최종) 발표한다.
- ①효율적인 지면보행훈련 모사를 위한 체중탈부하 시스템의 중개연구(성균관대학교 김종현 교수팀), ②한 손 형 실내 이동형 보행훈련장치 고도화 및 상용화를 위한 개선 및 임상시험(경남대학교 이규창 교수팀), ③이동 로봇을 활용한 보행훈련용 시스템 중개연구(한국기술교육대학교 김윤상 교수팀)에 대한 결과가 소개된다.
○ 세션3은 ‘평가/보조로봇에 대한 중개연구 우수사례’를 발표한다.
- ①상지 말단에서 추정된 기계적 임피던스와 경직의 관계 및 임상적 의미 도출(울산과학기술원 강상훈 교수팀), ②원격제어 및 자율주행이 가능하고 기립이 가능하며 이동을 보조하는 형태의 일상생활보조 로봇장치의 중개연구((주)엠디로봇 이정철 대표팀), ③척수손상환자의 상지근위부보조를 통한 arm functionality 변화를 위한 수동형과 능동형 robotic devices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국립재활원 김온유 과장팀)에 대한 결과가 소개된다.
○ 마지막 세션4는 ‘재활로봇의 보급과 활용’에 대해 발표한다.
- ①뇌성마비 아동에서 착용형 보행보조 로봇을 이용한 평지보행 훈련의 결과(충남의대 최자영 교수팀), ②착용형 지상보행재활로봇을 중심으로 한 보행재활로봇 수가 대응 고도화 연구(국립교통재활병원 김태우 교수팀), ③화상환자에서 보행보조 재활로봇 훈련이 미치는 영향(한림의대 서정훈 교수팀)에 대한 연구 결과가 소개된다.
□ 아울러, 2018년도 의료재활로봇보급사업 보급로봇인 보행재활로봇 SUBAR-01을 활용한 기관 중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 서정훈 교수에 대한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 표창 수여식이 진행된다.
○ 서정훈 교수팀은 보급된 로봇을 모범적으로 활용하여 화상 환자에 대한 보행재활로봇 적용 사례를 도출하여 로봇활용기관 최종성과평가 결과 ‘우수’를 받아 표창을 수여받는다.
□ 국립재활원 김완호 부장(원장직무대행)은 “이번 재활 로봇 심포지엄이 재활로봇으로부터 시작되는 연구가 의료기관 및 관련 산업까지 점진적으로 확장될 수 있는 의미있는 시간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문의] 국립재활원 재활로봇중개연구사업단 02-901-1979
(somsom22@korea.kr)
국립재활원 의료재활로봇보급사업단 02-901-1993 (ziaqowid@korea.kr)
<붙임> 1. 2022년 재활로봇 심포지엄 포스터
2. 2022년 재활로봇 심포지엄 프로그램
3. 재활로봇중개연구 성과물 사진
붙임1
|
|
2022년 재활로봇 심포지엄 포스터
|
붙임2
|
|
2022년 재활로봇 심포지엄 프로그램
|
붙임3
|
|
재활로봇중개연구 성과물 사진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자료(데이터) 활용을 통한 정밀의료산업 활성화 추진 (0) | 2022.12.08 |
---|---|
특허청, 『자율주행 경쟁력 고도화를 위한 기술 및 특허 포럼』 개최 (0) | 2022.12.08 |
반도체, 이차전지 등 핵심분야 표준물질 33종 개발 완료, 국산 소재·부품·장비 개발 및 품질관리에 활용 가속화 (0) | 2022.12.07 |
나라장터를 통한 실적증명서 온라인 전송 서비스 확대 (0) | 2022.12.07 |
농식품부, 「동물복지 강화 방안」 발표 (2) | 2022.1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