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9월 인구동향(출생, 사망, 혼인, 이혼)
2022.11.23 통계청
2022년 9월 인구동향(요약)
|
□ 출생아 수는 21,885명으로 전년동월대비 0.1% 감소
□ 사망자 수는 29,199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3.8% 증가
□ 혼인 건수는 14,748건으로 전년동월대비 7.4% 증가
□ 이혼 건수는 8,164건으로 전년동월대비 2.4% 감소
□ 자연증가(출생아 수 - 사망자 수)는 –7,313명
|
<인구동태건수 및 동태율>
(단위: 명(건), 인구 1천 명당 명(건), %)
|
||||||||||
|
출생아 수
|
사망자 수
|
자연증가
|
혼인 건수
|
이혼 건수
|
|||||
|
조출생률
|
|
조사망률
|
|
자연 증가율
|
|
조혼인율
|
|
조이혼율
|
|
2021.9
|
21,905
|
5.2
|
25,662
|
6.1
|
-3,757
|
-0.9
|
13,733
|
3.3
|
8,365
|
2.0
|
2022.9p
|
21,885
|
5.2
|
29,199
|
6.9
|
-7,313
|
-1.7
|
14,748
|
3.5
|
8,164
|
1.9
|
증감
|
-20
|
0.0
|
3,537
|
0.9
|
-3,556
|
-0.8
|
1,015
|
0.2
|
-201
|
-0.0
|
증감률
|
-0.1
|
-
|
13.8
|
-
|
-
|
-
|
7.4
|
-
|
-2.4
|
-
|
<인구동태건수 추이>
![](https://blog.kakaocdn.net/dn/bvCQvM/btrRVtXqxxw/teNTInazfrVWU0UpX9i7Ak/img.png)
2022년 9월 인구동향
|
1. 출생
□ 2022년 9월 출생아 수는 21,885명, 전년동월대비 20명(-0.1%) 감소함.
[표 1] 전국 출생아 수 및 증감률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
9월
|
1~9월
|
7월
|
8월
|
9월
|
1~9월
|
|||
출생아 수(명)
|
272,337
|
260,562
|
21,905
|
202,805
|
20,441
|
21,758
|
21,885
|
192,223
|
전년(동월) 증감률(%)
|
-10.0
|
-4.3
|
-6.8
|
-3.8
|
-8.6
|
-2.4
|
-0.1
|
-5.2
|
![](https://blog.kakaocdn.net/dn/7y4pM/btrRTD0z6fU/qKB7loxCB5kmu7SaewhBaK/img.png)
□ 시도별 출생아 수는 전년동월에 비해 대전, 경기 등 5개 시도는 증가, 서울, 부산 등 12개 시도는 감소함.
[표 2] 시도별 출생아 수
(단위: 명, 인구 1천 명당 명, %)
|
||||||||||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
|
|
|
|
|
|
1~9월
|
||||
9월
|
조출생률
|
1~9월
|
8월
|
9월
|
조출생률
|
누계
|
전년누계비
|
|||
전 국
|
272,337
|
260,562
|
21,905
|
5.2
|
202,805
|
21,758
|
21,885
|
5.2
|
192,223
|
-5.2
|
서 울
|
47,445
|
45,531
|
3,753
|
4.8
|
35,451
|
3,664
|
3,640
|
4.7
|
32,681
|
-7.8
|
부 산
|
15,058
|
14,446
|
1,238
|
4.5
|
11,332
|
1,251
|
1,200
|
4.4
|
10,998
|
-2.9
|
대 구
|
11,193
|
10,661
|
893
|
4.6
|
8,294
|
857
|
860
|
4.4
|
7,791
|
-6.1
|
인 천
|
16,040
|
14,947
|
1,320
|
5.5
|
11,559
|
1,263
|
1,261
|
5.2
|
11,081
|
-4.1
|
광 주
|
7,318
|
7,956
|
707
|
6.0
|
6,217
|
642
|
678
|
5.8
|
5,734
|
-7.8
|
대 전
|
7,481
|
7,414
|
626
|
5.3
|
5,753
|
769
|
708
|
6.0
|
5,909
|
2.7
|
울 산
|
6,617
|
6,127
|
513
|
5.6
|
4,767
|
447
|
486
|
5.3
|
4,212
|
-11.6
|
세 종
|
3,468
|
3,570
|
305
|
10.2
|
2,762
|
236
|
269
|
8.6
|
2,454
|
-11.2
|
경 기
|
77,737
|
76,139
|
6,347
|
5.7
|
59,058
|
6,619
|
6,652
|
6.0
|
58,261
|
-1.3
|
강 원
|
7,835
|
7,357
|
594
|
4.7
|
5,670
|
631
|
653
|
5.2
|
5,570
|
-1.8
|
충 북
|
8,607
|
8,190
|
649
|
5.0
|
6,331
|
674
|
668
|
5.1
|
5,777
|
-8.7
|
충 남
|
11,950
|
10,984
|
949
|
5.5
|
8,612
|
926
|
887
|
5.1
|
7,880
|
-8.5
|
전 북
|
8,165
|
7,475
|
628
|
4.3
|
5,820
|
576
|
590
|
4.1
|
5,387
|
-7.4
|
전 남
|
9,738
|
8,430
|
708
|
4.7
|
6,616
|
688
|
767
|
5.1
|
6,180
|
-6.6
|
경 북
|
12,873
|
12,045
|
1,001
|
4.7
|
9,420
|
976
|
985
|
4.6
|
8,698
|
-7.7
|
경 남
|
16,823
|
15,562
|
1,334
|
4.9
|
12,214
|
1,182
|
1,270
|
4.7
|
10,813
|
-11.5
|
제 주
|
3,989
|
3,728
|
340
|
6.2
|
2,929
|
356
|
313
|
5.6
|
2,797
|
-4.5
|
【 3/4 분기별 출생 】
□ 2022년 3분기 출생아 수는 64,085명, 전년동기보다 2,466명(-3.7%) 감소함.
[표 3] 전국 출생아 수 및 증감률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
3/4분기
|
4/4분기
|
1/4분기
|
2/4분기
|
3/4분기
|
|||
출생아 수(명)
|
272,337
|
260,562
|
66,551
|
57,757
|
68,177
|
59,961
|
64,085
|
전년(동기) 증감률(%)
|
-10.0
|
-4.3
|
-3.4
|
-6.2
|
-2.8
|
-9.3
|
-3.7
|
□ 2022년 3분기 합계출산율은 0.79명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0.03명 감소함.
ㅇ 모(母)의 연령별 출산율은 전년동기에 비해 25-29세는 3.2명, 30-34세는 2.9명 각각 감소함.
[표 4] 모(母)의 연령별 출산율 및 합계출산율
(단위: 가임여자 1명당 명, 해당연령 여자인구 1천 명당 명)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전년
동기차
|
|||
3/4분기
|
4/4분기
|
1/4분기
|
2/4분기
|
3/4분기
|
||||
합계출산율
|
0.84
|
0.81
|
0.82
|
0.71
|
0.86
|
0.75
|
0.79
|
-0.03
|
24세 이하
|
3.8
|
3.0
|
3.0
|
2.5
|
2.7
|
2.4
|
2.5
|
-0.5
|
25-29세
|
30.6
|
27.5
|
27.5
|
23.5
|
27.0
|
23.0
|
24.3
|
-3.2
|
30-34세
|
78.9
|
76.1
|
77.3
|
66.3
|
82.0
|
71.1
|
74.4
|
-2.9
|
35-39세
|
42.3
|
43.5
|
44.6
|
39.5
|
47.3
|
42.2
|
45.5
|
0.9
|
40세 이상
|
3.4
|
3.7
|
3.8
|
3.6
|
4.3
|
3.8
|
4.1
|
0.3
|
![](https://blog.kakaocdn.net/dn/csPyZj/btrRTEZspQR/QbzGAXGHKjCL0UsKE7q4bk/img.png)
□ 출산 순위별 출생아 수 구성비는 전년동기에 비해 첫째아는 5.8%p 증가, 둘째아와 셋째아 이상은 각각 4.4%p, 1.4%p 감소함.
[표 5] 출산 순위별 출생아 수 구성비
(단위: %, %p)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전년
동기차
|
|||
3/4분기
|
4/4분기
|
1/4분기
|
2/4분기
|
3/4분기
|
||||
계1)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
|
첫째아
|
56.6
|
56.8
|
56.9
|
58.9
|
61.7
|
61.7
|
62.7
|
5.8
|
둘째아
|
35.1
|
35.0
|
35.0
|
33.4
|
31.5
|
31.3
|
30.5
|
-4.4
|
셋째아 이상
|
8.3
|
8.2
|
8.1
|
7.8
|
6.8
|
7.0
|
6.8
|
-1.4
|
1) 출산 순위 미상 제외
□ 부모의 평균 결혼생활 기간은 3.75년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0.02년 증가함.
- 첫째아 출산 시 평균 결혼생활 기간은 2.69년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0.24년 증가함.
[표 6] 출산 순위별 부모의 평균 결혼생활 기간
(단위: 년)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전년
동기차
|
|||
3/4분기
|
4/4분기
|
1/4분기
|
2/4분기
|
3/4분기
|
||||
계1)
|
3.62
|
3.74
|
3.73
|
3.74
|
3.75
|
3.77
|
3.75
|
0.02
|
첫째아
|
2.35
|
2.46
|
2.45
|
2.53
|
2.70
|
2.73
|
2.69
|
0.24
|
둘째아
|
4.78
|
4.89
|
4.92
|
4.98
|
4.93
|
4.92
|
4.99
|
0.07
|
셋째아 이상
|
7.36
|
7.45
|
7.42
|
7.51
|
7.54
|
7.49
|
7.67
|
0.25
|
1) 결혼생활 기간 미상 제외, 법적인 결혼여부와 관계없이 실제 결혼생활 시작에서 출산까지의 동거기간
□ 시도별 합계출산율은 전년동기에 비해 대전, 제주 2개 시도는 증가, 경기는 유사, 서울, 부산 등 14개 시도는 감소함.
[표 7] 시도별 합계출산율
(단위: 가임여자 1명당 명)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전년
동기차
|
|||
3/4분기
|
4/4분기
|
1/4분기
|
2/4분기
|
3/4분기
|
||||
전 국
|
0.84
|
0.81
|
0.82
|
0.71
|
0.86
|
0.75
|
0.79
|
-0.03
|
서 울
|
0.64
|
0.63
|
0.62
|
0.55
|
0.66
|
0.56
|
0.59
|
-0.03
|
부 산
|
0.75
|
0.73
|
0.75
|
0.62
|
0.80
|
0.72
|
0.73
|
-0.02
|
대 구
|
0.81
|
0.78
|
0.81
|
0.69
|
0.84
|
0.74
|
0.75
|
-0.06
|
인 천
|
0.83
|
0.78
|
0.80
|
0.70
|
0.81
|
0.74
|
0.75
|
-0.05
|
광 주
|
0.81
|
0.90
|
0.94
|
0.78
|
0.93
|
0.82
|
0.85
|
-0.09
|
대 전
|
0.81
|
0.81
|
0.81
|
0.72
|
0.89
|
0.79
|
0.91
|
0.10
|
울 산
|
0.98
|
0.94
|
0.95
|
0.84
|
0.96
|
0.83
|
0.86
|
-0.09
|
세 종
|
1.28
|
1.28
|
1.30
|
1.13
|
1.32
|
1.08
|
1.03
|
-0.27
|
경 기
|
0.88
|
0.85
|
0.86
|
0.76
|
0.93
|
0.80
|
0.86
|
0.00
|
강 원
|
1.04
|
0.98
|
1.02
|
0.89
|
1.04
|
0.94
|
0.98
|
-0.04
|
충 북
|
0.98
|
0.95
|
0.95
|
0.86
|
0.98
|
0.82
|
0.90
|
-0.05
|
충 남
|
1.03
|
0.96
|
1.00
|
0.83
|
1.00
|
0.86
|
0.94
|
-0.06
|
전 북
|
0.91
|
0.85
|
0.86
|
0.75
|
0.89
|
0.79
|
0.82
|
-0.04
|
전 남
|
1.15
|
1.02
|
1.06
|
0.87
|
1.06
|
0.92
|
1.04
|
-0.02
|
경 북
|
1.00
|
0.97
|
0.99
|
0.84
|
1.02
|
0.90
|
0.93
|
-0.06
|
경 남
|
0.95
|
0.90
|
0.93
|
0.78
|
0.91
|
0.81
|
0.86
|
-0.07
|
제 주
|
1.02
|
0.95
|
0.91
|
0.81
|
1.02
|
0.87
|
0.97
|
0.06
|
2. 사망
□ 2022년 9월 사망자 수는 29,199명, 전년동월대비 3,537명(13.8%) 증가함.
[표 8] 전국 사망자 수 및 증감률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
9월
|
1~9월
|
7월
|
8월
|
9월
|
1~9월
|
|||
사망자 수(명)
|
304,948
|
317,680
|
25,662
|
229,900
|
26,030
|
30,001
|
29,199
|
278,997
|
전년(동월) 증감률(%)
|
3.3
|
4.2
|
5.4
|
1.7
|
1.2
|
15.8
|
13.8
|
21.4
|
![](https://blog.kakaocdn.net/dn/b1U5YP/btrRSQskhrA/sDtQ7darSwhigbzryEhVSk/img.png)
□ 시도별 사망자 수는 전년동월에 비해 제주를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증가함.
[표 9] 시도별 사망자 수
(단위: 명, 인구 1천 명당 명, %)
|
||||||||||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
|
|
|
|
|
|
1~9월
|
||||
9월
|
조사망률
|
1~9월
|
8월
|
9월
|
조사망률
|
누계
|
전년누계비
|
|||
전 국
|
304,948
|
317,680
|
25,662
|
6.1
|
229,900
|
30,001
|
29,199
|
6.9
|
278,997
|
21.4
|
서 울
|
45,522
|
48,798
|
3,921
|
5.1
|
34,790
|
4,453
|
4,284
|
5.6
|
41,530
|
19.4
|
부 산
|
22,950
|
23,531
|
1,892
|
6.9
|
17,070
|
2,227
|
2,119
|
7.8
|
20,902
|
22.4
|
대 구
|
14,460
|
14,560
|
1,203
|
6.1
|
10,589
|
1,397
|
1,413
|
7.3
|
13,270
|
25.3
|
인 천
|
15,689
|
16,493
|
1,318
|
5.5
|
11,959
|
1,491
|
1,441
|
6.0
|
14,231
|
19.0
|
광 주
|
7,785
|
7,981
|
645
|
5.5
|
5,817
|
709
|
724
|
6.2
|
6,985
|
20.1
|
대 전
|
7,572
|
7,889
|
608
|
5.1
|
5,707
|
719
|
723
|
6.1
|
6,875
|
20.5
|
울 산
|
5,302
|
5,493
|
434
|
4.7
|
4,062
|
533
|
460
|
5.0
|
4,758
|
17.1
|
세 종
|
1,317
|
1,354
|
99
|
3.3
|
959
|
134
|
136
|
4.3
|
1,245
|
29.8
|
경 기
|
62,794
|
67,399
|
5,362
|
4.8
|
48,652
|
6,469
|
6,189
|
5.6
|
58,857
|
21.0
|
강 원
|
12,182
|
12,749
|
1,072
|
8.5
|
9,276
|
1,266
|
1,253
|
10.0
|
11,290
|
21.7
|
충 북
|
11,594
|
11,941
|
930
|
7.1
|
8,732
|
1,161
|
1,094
|
8.4
|
10,421
|
19.3
|
충 남
|
16,022
|
16,326
|
1,303
|
7.5
|
11,725
|
1,601
|
1,558
|
9.0
|
14,692
|
25.3
|
전 북
|
14,691
|
15,049
|
1,207
|
8.2
|
10,977
|
1,407
|
1,407
|
9.7
|
13,323
|
21.4
|
전 남
|
17,436
|
17,568
|
1,431
|
9.5
|
12,814
|
1,658
|
1,708
|
11.4
|
15,593
|
21.7
|
경 북
|
22,799
|
22,928
|
1,926
|
8.9
|
16,637
|
2,315
|
2,161
|
10.1
|
20,853
|
25.3
|
경 남
|
22,881
|
23,392
|
1,929
|
7.1
|
17,035
|
2,085
|
2,156
|
8.0
|
20,528
|
20.5
|
제 주
|
3,952
|
4,229
|
382
|
6.9
|
3,099
|
376
|
373
|
6.7
|
3,644
|
17.6
|
【 3/4 분기별 사망 】
□ 2022년 3분기 사망자 수는 85,229명, 전년동기대비 7,917명(10.2%) 증가함.
[표 10] 전국 사망자 수 및 증감률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
3/4분기
|
4/4분기
|
1/4분기
|
2/4분기
|
3/4분기
|
|||
사망자 수(명)
|
304,948
|
317,680
|
77,312
|
87,780
|
103,363
|
90,406
|
85,229
|
전년(동기) 증감률(%)
|
3.3
|
4.2
|
5.0
|
11.2
|
33.2
|
20.5
|
10.2
|
□ 2022년 3분기 조사망률(인구 1천 명당)은 6.6명으로 전년동기보다 0.6명 증가함.
ㅇ 전년동기대비 남자는 0.5명, 여자는 0.6명 증가하고, 85세 이상 남자는 12.8명 증가함.
[표 11] 성ㆍ연령별 사망률
(단위: 해당 연령 인구 1천 명당 명)
|
2020년
|
2021년
|
2021년
|
2022년p
|
전년
동기차
|
||||
3/4분기
|
4/4분기
|
1/4분기
|
2/4분기
|
3/4분기
|
|||||
전체 조사망률
|
5.9
|
6.2
|
6.0
|
6.8
|
8.2
|
7.1
|
6.6
|
0.6
|
|
남자
|
조사망률
|
6.5
|
6.7
|
6.6
|
7.3
|
8.3
|
7.4
|
7.0
|
0.5
|
0-44세
|
0.6
|
0.6
|
0.6
|
0.6
|
0.6
|
0.6
|
0.6
|
-0.0
|
|
45-64세
|
4.6
|
4.6
|
4.5
|
4.7
|
5.0
|
4.6
|
4.5
|
-0.0
|
|
65-84세
|
26.4
|
26.1
|
25.1
|
28.2
|
31.7
|
27.5
|
25.5
|
0.4
|
|
85세 이상
|
143.3
|
141.7
|
135.0
|
156.2
|
188.7
|
158.7
|
147.8
|
12.8
|
|
여자
|
조사망률
|
5.4
|
5.7
|
5.4
|
6.3
|
7.8
|
6.6
|
6.0
|
0.6
|
0-44세
|
0.4
|
0.4
|
0.4
|
0.4
|
0.4
|
0.4
|
0.4
|
0.0
|
|
45-64세
|
1.8
|
1.8
|
1.7
|
1.9
|
2.0
|
1.9
|
1.8
|
0.0
|
|
65-84세
|
14.2
|
13.9
|
13.1
|
15.0
|
17.8
|
14.8
|
13.8
|
0.7
|
|
85세 이상
|
109.5
|
108.5
|
102.1
|
119.0
|
157.0
|
126.7
|
110.9
|
8.8
|
![](https://blog.kakaocdn.net/dn/NGlEM/btrRXbBYSy2/wDvsqRS6efZqQ060G6ZyN0/img.png)
□ 사망자의 연령별 구성비는 전년동기대비 85세 이상에서 남자는 2.2%p, 여자는 1.6%p 증가함.
![](https://blog.kakaocdn.net/dn/GmF1d/btrRS5JJyu1/eLbxZ9h3mncxvvoagTYklK/img.png)
□ 시도별 조사망률은 전년동기대비 모든 시도에서 증가함.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벤츠·기아·테슬라 등 자발적 시정조치(리콜, 총 6개사 43개 차종 62,967대)_국토교통부 (0) | 2022.11.24 |
---|---|
미래 디자인 트렌드를 보여주는디자인코리아 2022개막_산업통상자원부 (1) | 2022.11.24 |
2022년 10월 국내인구이동 결과 (0) | 2022.11.24 |
23년 부동산 보유세, ’20년 수준으로 되돌린다 (0) | 2022.11.24 |
설 명절 앞두고 불공정하도급신고센터 운영 (0) | 2022.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