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회계연도 지방자치단체 재정분석 결과 공개
2022.11.08 행정안전부
2021회계연도 지방자치단체 재정분석 결과 공개
|
- 충남, 대구 수성 등 광역‧기초 우수단체 42곳 선정 -
|
□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전국 243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도 지방자치단체 재정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 2021회계연도 결산자료를 토대로 자치단체의 재정 현황과 성과를 분석·평가
○ 2021년도 지방자치단체 살림살이는 재정수지는 흑자로 전환, 지방채무도 양호하게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번 재정분석은 ▴건전성 ▴효율성 ▴계획성 3개 분야 13개 지표를 사용하여 지방재정을 총망라하는 수준으로 분석하였고, 인구‧재정 여건이 유사한 13개 자치단체 군으로 유형화하여 평가하였다.
〈 2022년 지방자치단체 재정분석 지표체계 〉
분야
|
세부지표(13개)
|
건전성
(4개)
|
▪ (수지관리) ⓛ 통합재정수지비율
▪ (채무관리) ② 관리채무비율, ③ 통합유동부채비율
▪ (공기업관리) ④ 공기업부채비율
|
효율성
(6개)
|
▪ (세입관리) ⑤ 자체수입(지방세+세외수입)비율, ⑥ 지방세징수율,
⑦ 체납액(지방세+세외수입)관리비율,
▪ (세출관리) ⑧ 지방보조금비율, ⑨ 출자출연전출금비율, ⑩ 자체경비비율
|
계획성
(3개)
|
▪ (재정계획) ⑪ 중기재정계획반영비율, ⑫ 세수오차비율
▪ (재정집행) ⑬ 이‧불용액비율
|
※ 자치단체 유형(13개) : 특·광역시1, 도1, 시4, 군4, 자치구3(서울1, 광역2)
□ 재정분석 결과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건전성 분야 >
□ 통합재정수지비율*은 1.94%로 전년도의 적자운영에서 흑자로 전환되었으며, 이는 2021년도의 부동산거래 증가, 법인 영업이익 호조 등으로 세입이 증가한 결과로 판단된다.
※ 통합재정수지비율(규모) : ’20년 -2.23%(-8.7조) → ’21년 1.94%(7.7조)
* 당해년도의 세입과 세출을 비교하여 재정활동의 적자 또는 흑자 여부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2021회계연도 결산 기준(총계)으로 산출
□ 채무잔액(BTL지급잔액 포함)은 38.8조원으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지방채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5.9조원 증가하였으나, 관리채무비율은 세입증가에 따라 전년 대비 0.78%p 정도 미미한 수준으로 증가하는데 그쳤다.
※ 관리채무비율 : ’20년 6.28%(32.9조) → ’21년 7.06%(38.8조)
○ 증가한 채무의 내용도 사업의 무리한 확장이 아닌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방역 관련 사항으로 우려할 수준이 아니다.
< 효율성 분야 >
□ 자치단체의 적극적 징수 및 체납관리 노력으로 지방세징수율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체납액관리비율(지방세+세외수입)도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
※ 지방세징수율 : ’19년 97.82% → ’20년 98.17% → ’21년 98.22%
※ 체납액관리비율 : ’19년 2.15% → ’20년 1.80% → ’21년 1.66%
○ 한편, 지방세와 세외수입을 포함하는 자체수입비율은 전년 대비 1.23%p 상승하였는데, 부동산가격 상승 등에 따른 취득세 증가와 경기호조에 따른 지방소득세의 증가*에 따른 것으로 파악된다.
※ 자체수입비율(규모) : ’20년27.19%(110.8조) → ’21년28.42%(122.9조) (1.23%p, 12.1조↑)
* 취득세 : ’20년29.5조 → ’21년33.7조 / 지방소득세 : ’20년16.9조→ ’21년20.0조
□ 복지·환경 분야 등 수요 증가로 지방보조금 및 출자‧출연‧전출금은 증가하였으나, 세출 대비 지방보조금비율 등은 전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지방보조금의 증가가 세출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있다.
※ 지방보조금규모(비율) : ’20년 20.6조(5.26%) → ’21년 21.7조(5.23%)
※ 출자·출연·전출금규모(비율) : ’20년 10.4조(2.28%) → ’21년 11.4조(2.38%)
< 계획성 분야 >
□ 취득세 등에 대한 보수적 세입추계(과소추계) 등으로 세수오차비율 및 중기재정계획의 예산반영비율은 전년 대비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 세수추계 정확성 제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세수오차비율 : ’20년 89.73% → ’21년 85.65%
중기지방재정계획반영비율 : ’20년 100.16% → ’21년 95.42%
○ 또한, 이·불용액비율은 재정집행 적극 추진 등으로 0.77%p 감소한 4.95%로 집행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불용액비율 : ’20년 5.72% → ’21년 4.95%
□ 재정분석 결과 우수 자치단체에는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 및 27억 원의 특별교부세가 12월 중 성과 포상으로 지급될 계획이다.
○ 종합점수 분야 최우수단체로는 광역은 대전·충남 등 2곳, 기초는 경기 화성·경기 연천·서울 강서구 등 11곳이며, 전년 대비 분석결과의 상승 폭이 큰 경기, 인천 옹진 등은 일종의 노력상이라 할 수 있는 특별상 대상이다.
○ 또한, 효율성 및 계획성 분야별로도 광주·대구 등 최우수단체를 각각 13곳씩 선정하여 포상할 계획이다.
□ 이번 자치단체별 재정분석 결과는 지방재정통합공개시스템인 ‘지방재정 365’(http://lofin.mois.go.kr)에 공개하여 주민 누구나 자기 지역의 살림살이를 쉽게 볼 수 있다.
□ 한창섭 행정안전부 차관은 “내년에는 부동산경기 위축 등으로 지방세입 여건이 녹록지 않고, 국내·외 경기 불확실성 등으로 지방재정 여건도 매우 어려워질 것으로 예측된다”라며
○ “이번 재정분석 결과를 자치단체의 예산편성·심의 및 집행 등 재정 운용 과정 전반에 내실 있게 반영하여 지방재정의 건전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유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참고1
|
|
「2022년(FY2021) 지방재정분석」지표별 결과
|
(단위: %)
분야
|
지표명
|
FY2017
|
FY2018
|
FY2019
|
FY2020
|
FY2021
|
지표성격
|
|
재정
건전성
|
1. 통합재정수지비율
|
5.03
|
3.55
|
1.90
|
-2.23
|
1.94
|
상향(↑)
|
|
2. 관리채무비율
|
8.06
|
7.35
|
6.27
|
6.28
|
7.06
|
하향(↓)
|
||
3. 통합유동부채비율
|
23.01
|
23.26
|
22.66
|
26.27
|
24.05
|
하향(↓)
|
||
4. 공기업부채비율
|
41.58
|
37.26
|
34.44
|
34.94
|
33.75
|
하향(↓)
|
||
재정
효율성
|
세입
관리
|
5-1. 자체수입비율(지방세)
|
26.23
|
25.90
|
24.52
|
23.62
|
24.64
|
상향(↑)
|
5-2. 자체수입비율(세외수입)
|
4.62
|
4.28
|
4.09
|
3.58
|
3.78
|
상향(↑)
|
||
징수
관리
|
6. 지방세징수율
|
97.69
|
97.80
|
97.82
|
98.17
|
98.22
|
상향(↑)
|
|
7-1. 체납액관리비율(지방세)
|
1.70
|
1.51
|
1.27
|
1.01
|
0.92
|
하향(↓)
|
||
7-2. 체납액관리비율(세외수입)
|
1.11
|
0.99
|
0.88
|
0.79
|
0.74
|
하향(↓)
|
||
외부
지원
관리
|
8. 지방보조금비율
|
6.31
|
6.14
|
5.88
|
5.26
|
5.23
|
하향(↓)
|
|
9. 출자·출연·전출금비율
|
2.52
|
2.48
|
2.40
|
2.28
|
2.38
|
하향(↓)
|
||
내부
경비
관리
|
10. 자체경비비율
|
-
|
-
|
10.21
|
9.48
|
9.31
|
하향(↓)
|
|
재정
계획성
|
재정
계획
|
11. 중기재정계획반영비율
|
-
|
-
|
101.96
|
100.16
|
95.42
|
100%지향
|
12. 세수오차비율
|
-
|
-
|
92.51
|
89.73
|
85.65
|
100%지향
|
||
재정
집행
|
13. 이·불용액비율
|
-
|
-
|
7.79
|
5.72
|
4.95
|
하향(↓)
|
주: 1) 상향지표(↑)는 지표 값이 높을수록 양호하며, 하향지표(↓)는 지표 값이 낮을수록 양호
2) 중기재정계획반영비율과 세수오차비율은 100%에 가까울수록 양호
참고 2
|
|
「2022년 지방재정분석」 우수단체 선정 결과
|
< 광역 최우수단체 >
|
|||
유형
분야
|
특‧광역시
|
도
|
|
종합점수
|
최우수
|
대전광역시
|
충청남도
|
효율성
|
우수
|
광주광역시
|
충청북도
|
계획성
|
우수
|
대구광역시
|
경상남도
|
< 기초-시 최우수단체 >
|
|||||
유형분야
|
시-Ⅰ
|
시-Ⅱ
|
시-Ⅲ
|
시-Ⅳ
|
|
종합점수
|
최우수
|
경기 화성
|
경기 군포
|
경기 동두천
|
강원 속초
|
효율성
|
우수
|
경기 수원
|
경기 의왕
|
강원 강릉
|
경남 사천
|
계획성
|
우수
|
전북 전주
|
강원 원주
|
경남 거제
|
강원 동해
|
< 기초-군 최우수단체 >
|
|||||
유형분야
|
군-Ⅰ
|
군-Ⅱ
|
군-Ⅲ
|
군-Ⅳ
|
|
종합점수
|
최우수
|
경기 연천
|
강원 철원
|
경남 남해
|
전남 곡성
|
효율성
|
우수
|
대구 달성
|
경북 울진
|
전북 임실
|
충북 괴산
|
계획성
|
우수
|
충남 홍성
|
충남 금산
|
강원 평창
|
전북 무주
|
< 기초-자치구 최우수단체 >
|
||||
유형분야
|
서울
|
광역-Ⅰ
|
광역-Ⅱ
|
|
종합점수
|
최우수
|
서울 강서
|
대구 수성
|
부산 사상
|
효율성
|
우수
|
서울 성북
|
부산 해운대
|
부산 남구
|
계획성
|
우수
|
서울 노원
|
광주 북구
|
울산 중구
|
< 특별상* >
|
|||
분야
|
종합점수
|
효율성
|
계획성
|
단체
|
강원
|
인천 옹진
|
경기
|
* 전년 대비 분야별 점수 상승 폭이 가장 큰 단체
참고 3
|
|
「2022년 지방재정분석」 자치단체 유형분류
|
’22년 자치단체
유형분류기준
|
(인구) ①인구규모(30%), ②인구증감률(8%), ③고령인구비율(7%), ④조출생률(5%)
|
(재정) ⑤재정력지수(30%), ⑥세출규모(8%), ⑦사회복지비비율(7%) ⑧자치단체 면적(5%)
|
유형(그룹)
|
자치단체명
|
||||||
시
(75개)
|
Ⅰ
(16개)
|
경기 수원시
|
경기 성남시
|
경기 고양시
|
경기 용인시
|
경기 부천시
|
|
경기 안산시
|
경기 안양시
|
경기 남양주시
|
경기 화성시
|
경기 평택시
|
|||
충북 청주시
|
충남 천안시
|
전북 전주시
|
경북 포항시
|
경남 창원시
|
|||
경남 김해시
|
|
|
|
|
|||
Ⅱ
(20개)
|
경기 의정부시
|
경기 시흥시
|
경기 파주시
|
경기 광명시
|
경기 김포시
|
||
경기 군포시
|
경기 광주시
|
경기 이천시
|
경기 양주시
|
경기 오산시
|
|||
경기 구리시
|
경기 의왕시
|
경기 하남시
|
경기 과천시
|
강원 원주시
|
|||
충남 아산시
|
전남 여수시
|
경북 구미시
|
경남 진주시
|
경남 양산시
|
|||
Ⅲ
(19개)
|
경기 안성시
|
경기 포천시
|
경기 여주시
|
경기 동두천시
|
강원 춘천시
|
||
강원 강릉시
|
충북 충주시
|
충남 서산시
|
충남 당진시
|
전북 군산시
|
|||
전북 익산시
|
전남 목포시
|
전남 순천시
|
전남 나주시
|
전남 광양시
|
|||
경북 경주시
|
경북 김천시
|
경북 경산시
|
경남 거제시
|
|
|||
Ⅳ
(20개)
|
강원 동해시
|
강원 태백시
|
강원 속초시
|
강원 삼척시
|
충북 제천시
|
||
충남 공주시
|
충남 보령시
|
충남 논산시
|
충남 계룡시
|
전북 정읍시
|
|||
전북 남원시
|
전북 김제시
|
경북 안동시
|
경북 영주시
|
경북 영천시
|
|||
경북 상주시
|
경북 문경시
|
경남 통영시
|
경남 사천시
|
경남 밀양시
|
|||
군
(82개)
|
Ⅰ
(21개)
|
부산 기장군
|
대구 달성군
|
인천 강화군
|
울산 울주군
|
경기 양평군
|
|
경기 가평군
|
경기 연천군
|
충북 증평군
|
충북 진천군
|
충북 음성군
|
|||
충남 홍성군
|
충남 예산군
|
충남 태안군
|
전북 완주군
|
전남 담양군
|
|||
전남 화순군
|
전남 무안군
|
전남 영광군
|
경북 칠곡군
|
경남 함안군
|
|||
경남 거창군
|
|
|
|
|
|||
Ⅱ
(20개)
|
인천 옹진군
|
강원 홍천군
|
강원 횡성군
|
강원 철원군
|
강원 인제군
|
||
강원 고성군
|
충북 옥천군
|
충남 금산군
|
충남 부여군
|
충남 서천군
|
|||
전북 고창군
|
전북 부안군
|
전남 해남군
|
전남 영암군
|
전남 장성군
|
|||
경북 성주군
|
경북 예천군
|
경북 울진군
|
경남 창녕군
|
경남 고성군
|
|||
Ⅲ
(20개)
|
강원 평창군
|
강원 정선군
|
강원 양구군
|
강원 양양군
|
충북 보은군
|
||
충북 영동군
|
충북 단양군
|
충남 청양군
|
전북 임실군
|
전남 고흥군
|
|||
전남 완도군
|
전남 신안군
|
경북 영덕군
|
경북 청도군
|
경북 고령군
|
|||
경북 울릉군
|
경남 남해군
|
경남 하동군
|
경남 산청군
|
경남 함양군
|
|||
Ⅳ
(21개)
|
강원 영월군
|
강원 화천군
|
충북 괴산군
|
전북 진안군
|
전북 무주군
|
||
전북 장수군
|
전북 순창군
|
전남 곡성군
|
전남 구례군
|
전남 보성군
|
|||
전남 장흥군
|
전남 강진군
|
전남 함평군
|
전남 진도군
|
경북 군위군
|
|||
경북 의성군
|
경북 청송군
|
경북 영양군
|
경북 봉화군
|
경남 의령군
|
|||
경남 합천군
|
|
|
|
|
|||
자치구
(69개)
|
서울
(25개)
|
(25개)
|
서울 종로구
|
서울 중구
|
서울 용산구
|
서울 성동구
|
서울 광진구
|
서울 동대문구
|
서울 중랑구
|
서울 성북구
|
서울 강북구
|
서울 도봉구
|
|||
서울 노원구
|
서울 은평구
|
서울 서대문구
|
서울 마포구
|
서울 양천구
|
|||
서울 강서구
|
서울 구로구
|
서울 금천구
|
서울 영등포구
|
서울 동작구
|
|||
서울 관악구
|
서울 서초구
|
서울 강남구
|
서울 송파구
|
서울 강동구
|
|||
광역
(44개)
|
Ⅰ
(22개)
|
부산 부산진구
|
부산 동래구
|
부산 해운대구
|
부산 강서구
|
대구 동구
|
|
대구 북구
|
대구 수성구
|
대구 달서구
|
인천 중구
|
인천 미추홀구
|
|||
인천 연수구
|
인천 남동구
|
인천 부평구
|
인천 계양구
|
인천 서구
|
|||
광주 서구
|
광주 북구
|
광주 광산구
|
대전 서구
|
대전 유성구
|
|||
울산 남구
|
울산 북구
|
|
|
|
|||
Ⅱ
(22개)
|
부산 중구
|
부산 서구
|
부산 동구
|
부산 영도구
|
부산 남구
|
||
부산 북구
|
부산 사하구
|
부산 금정구
|
부산 연제구
|
부산 수영구
|
|||
부산 사상구
|
대구 중구
|
대구 서구
|
대구 남구
|
인천 동구
|
|||
광주 동구
|
광주 남구
|
대전 동구
|
대전 중구
|
대전 대덕구
|
|||
울산 중구
|
울산 동구
|
|
|
|
※ 시·군·구의 경우 인구·재정에 대한 비율을 반영한 표준점수를 구한 후, 점수 순위별로 4분위 등으로 나누어 유형화
참고 4
|
|
「2022년 지방재정분석」 주요지표 정의표
|
분야
|
지 표 명
|
산 출 공 식
|
내 용
|
Ⅰ. 재정
건전성
|
통합재정수지비율
(통합회계)
|
통합재정수지
통합재정규모
|
▪지방자치단체 재정운용 흑자 또는 적자비율
※ 통합재정수지 = (세입 + 융자회수) - (세출 + 융자지출)
통합재정규모 = 세출 + 융자지출 - 융자회수
|
관리채무비율
(통합회계)
|
지방채무잔액(BTL 지급잔액 포함)
세입결산액
|
▪BTL 지급잔액을 포함한 지방자치단체 채무비율
※ BTL(임대형 민간투자사업, Build-Transfer-Lease) 지급잔액이란 자치단체로 이전된 시설물에 대해 자치단체가 민간사업자에게 지급해야 할 순지방비
|
|
통합유동부채비율
(통합회계)
|
유동부채(만기 1년미만)
유동자산(1년내 회수가능)
|
▪유동자산 대비 유동부채 비율로 자치단체 유동성 위험을 판단
※ 지방공사·공단, 출자·출연기관 포함
|
|
공기업부채비율
(공기업회계)
|
부채총액
자기자본
|
▪자기자본 대비 부채액 비율로 공기업의 부채수준 측정
|
|
Ⅱ. 재정
효율성
|
자체수입비율
(일반회계)
|
(지방세+세외수입)실제수납액
세입결산액
|
▪세입 총액에서 자체수입(지방세, 세외수입)이 차지하는 비율
▪자체수입 조달능력 및 재정의 안정적 성장상태 측정
|
지방징수율
(일반회계)
|
지방세 실제수납액
지방세 징수결정액
|
▪당해연도 지방세 징수결정액 대비 실제로 징수한 지방세의 비율
▪지방자치단체의 자체 재원 징수 노력 측정
|
|
체납액관리비율
(일반회계)
|
(지방세+세외수입)체납누계액
세입결산액
|
▪전체 세입대비 지방세와 세외수입을 포함한 체납누계액의 비율
▪지방자치단체의 체납액 감축 노력 측정
|
|
지방보조금비율
(일반회계 + 기타특별회계 )
|
지방보조금 결산액
세출결산액
|
▪전체 세출 중 지방보조금이 차지하는 비율
▪지방보조금으로 인한 재정부담 정도 측정
※ 지방보조금이란 민간이 행하는 사업 또는 행사를 권장하기 위해 교부하는 경비
|
|
출자출연전출금비율
(통합회계)
|
출자출연전출금 결산액
세출결산액
|
▪전체 세출 중 출자출연전출금이 차지하는 비율
▪출자출연전출금으로 인한 재정부담 정도 측정
※ 출자출연전출금이란 출자출연기관의 운영에 필요한 자본 또는 경비
|
|
자체경비비율
(일반회계)
|
자체경비 결산액
자체세입 결산액
|
▪자체 세입결산규모 대비 자체경비(일반운영비, 여비, 재료비, 의회경비, 업무추진비)의 비율
|
|
Ⅲ. 재정
계획성
|
중기재정계획반영비율
(일반회계 + 기타특별회계 +공기업특별회계)
|
당초예산 상 정책사업비
중기지방재정계획 상 정책사업비
|
▪중기지방재정계획 상 정책사업비가 당초 사업예산에 반영된 비율
|
세수오차비율
(일반회계)
|
지방세 당초예산액
×50%
+
지방세 최종예산액
×50%
지방세 세입결산액
지방세 세입결산액
|
▪지방세 세입결산액 대비 지방세 당초예산 규모와 지방세 세입결산액 대비 지방세 최종예산 비율
|
|
이월‧불용액비율
(일반회계 + 기타특별회계 + 공기업특별회계)
|
사고이월액+불용액
세입결산액
|
▪당해연도 예산 총규모 대비 집행결과 사고이월액과 불용액의 비율
|
※ 통합회계(일반회계, 기타특별회계, 공기업특별회계, 기금회계)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월은 종합소득세 중간예납세액을 납부하는 달입니다 (0) | 2022.11.08 |
---|---|
제4회 청년정책 공작소 <지역 청년> 개최(11.10.)_국무조정실 (0) | 2022.11.08 |
전북 순창군 산란계 농장 조류인플루엔자(H5형) 항원 검출 및 일시이동중지 명령 추가 발령 (0) | 2022.11.07 |
2022 차세대 미디어 주간 마무리 (0) | 2022.11.07 |
방위사업청 대전 이전, ‘23년부터 착수 (0) | 2022.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