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
2022.11.02 통계청
![](https://blog.kakaocdn.net/dn/cuKKWZ/btrQdAwaP2U/5FCaU9KufsnBcpGbU8yUl1/img.png)
(%)
|
연도별 동향(전년비)
|
최근 월별 동향(전년동월비)
|
||||||
2019
|
2020
|
2021
|
‘22.7월
|
8월
|
9월
|
10월
|
||
◦ 소비자물가지수
|
0.4
|
0.5
|
2.5
|
6.3
|
5.7
|
5.6
|
5.7
|
|
◦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
|
0.9
|
0.7
|
1.8
|
4.5
|
4.4
|
4.5
|
4.8
|
|
◦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
|
0.7
|
0.4
|
1.4
|
3.9
|
4.0
|
4.1
|
4.2
|
|
◦ 생활물가지수
|
0.2
|
0.4
|
3.2
|
7.9
|
6.8
|
6.5
|
6.5
|
|
◦ 신선식품지수
|
-5.1
|
9.0
|
6.2
|
13.0
|
14.9
|
12.8
|
11.4
|
|
품
목
성
질
별
|
농축수산물
|
-1.7
|
6.7
|
8.7
|
7.1
|
7.0
|
6.2
|
5.2
|
공업제품
|
-0.2
|
-0.2
|
2.3
|
8.9
|
7.0
|
6.7
|
6.3
|
|
전기․가스․수도
|
1.5
|
-1.4
|
-2.1
|
15.7
|
15.7
|
14.6
|
23.1
|
|
서 비 스
|
0.9
|
0.3
|
2.0
|
4.0
|
4.1
|
4.2
|
4.2
|
2022년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요약)
|
□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5.7% 각각 상승
◦ 전월비는 농축수산물은 하락하였으나, 전기·가스·수도, 공업제품, 서비스가 상승하여 전체 0.3% 상승
◦ 전년동월비는 서비스, 공업제품, 전기·가스·수도, 농축수산물이 모두 상승하여 전체 5.7% 상승
□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6%, 전년동월대비 4.8% 각각 상승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4.2% 각각 상승
□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6.5% 각각 상승
◦ 전년동월대비 식품은 8.3%, 식품이외는 5.3% 각각 상승
□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6.1% 하락, 전년동월대비 11.4% 상승
◦ 전년동월대비 신선채소 21.7%, 신선과실 4.2%, 신선어개 6.6% 각각 상승
< 주요부문 소비자물가지수 전년동월비 >
(%)
|
|||||||||||||
|
‘21.10월
|
11월
|
12월
|
‘22.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총지수
|
3.2
|
3.8
|
3.7
|
3.6
|
3.7
|
4.1
|
4.8
|
5.4
|
6.0
|
6.3
|
5.7
|
5.6
|
5.7
|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
|
2.8
|
2.4
|
2.7
|
3.0
|
3.2
|
3.3
|
3.6
|
4.1
|
4.4
|
4.5
|
4.4
|
4.5
|
4.8
|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
|
2.3
|
1.9
|
2.2
|
2.6
|
2.9
|
2.9
|
3.1
|
3.4
|
3.9
|
3.9
|
4.0
|
4.1
|
4.2
|
생활물가지수
|
4.6
|
5.2
|
4.6
|
4.1
|
4.1
|
5.0
|
5.7
|
6.7
|
7.4
|
7.9
|
6.8
|
6.5
|
6.5
|
신선식품지수
|
-7.8
|
5.6
|
6.7
|
6.0
|
-0.9
|
-2.2
|
1.0
|
2.5
|
5.4
|
13.0
|
14.9
|
12.8
|
11.4
|
< 소비자물가지수 등락률 추이 >
|
|||||||||||||
|
|||||||||||||
|
2022년 10월 소비자물가 동향
|
1. 소비자물가지수 동향
□ 2022년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9.21(2020=100)로 전월대비 0.3% 상승
◦ 전년동월대비 5.7% 상승하여 전월 5.6%보다 0.1%p 확대
< 월별 소비자물가지수 동향 >
(2020=100, %)
|
‘21.10월
|
11월
|
12월
|
‘22.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지 수
|
103.35
|
103.87
|
104.04
|
104.69
|
105.30
|
106.06
|
106.85
|
107.56
|
108.22
|
108.74
|
108.62
|
108.93
|
109.21
|
전 월 비
|
0.2
|
0.5
|
0.2
|
0.6
|
0.6
|
0.7
|
0.7
|
0.7
|
0.6
|
0.5
|
-0.1
|
0.3
|
0.3
|
전년동월비
|
3.2
|
3.8
|
3.7
|
3.6
|
3.7
|
4.1
|
4.8
|
5.4
|
6.0
|
6.3
|
5.7
|
5.6
|
5.7
|
전년누계비
|
2.3
|
2.4
|
2.5
|
3.6
|
3.6
|
3.8
|
4.1
|
4.3
|
4.6
|
4.9
|
5.0
|
5.0
|
5.1
|
□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6%, 전년동월대비 4.8% 각각 상승
< 월별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 동향 >
(2020=100, %)
|
‘21.10월
|
11월
|
12월
|
‘22.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지 수
|
102.58
|
102.81
|
103.25
|
103.77
|
104.22
|
104.40
|
104.98
|
105.73
|
106.15
|
106.28
|
106.53
|
106.88
|
107.47
|
전 월 비
|
0.3
|
0.2
|
0.4
|
0.5
|
0.4
|
0.2
|
0.6
|
0.7
|
0.4
|
0.1
|
0.2
|
0.3
|
0.6
|
전년동월비
|
2.8
|
2.4
|
2.7
|
3.0
|
3.2
|
3.3
|
3.6
|
4.1
|
4.4
|
4.5
|
4.4
|
4.5
|
4.8
|
전년누계비
|
1.7
|
1.8
|
1.8
|
3.0
|
3.1
|
3.2
|
3.3
|
3.4
|
3.6
|
3.7
|
3.8
|
3.9
|
4.0
|
* 계절적인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의한 물가변동분을 제외한 기조적인 물가상승률로 전체 458개 품목 중 곡물 외의 농산물과 석유류 관련 품목을 제외한 401개 품목으로 작성
□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4.2% 각각 상승
< 월별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 동향 >
(2020=100, %)
|
‘21.10월
|
11월
|
12월
|
‘22.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지 수
|
101.83
|
102.06
|
102.51
|
103.16
|
103.59
|
103.72
|
104.11
|
104.60
|
105.04
|
105.43
|
105.76
|
105.71
|
106.09
|
전 월 비
|
0.2
|
0.2
|
0.4
|
0.6
|
0.4
|
0.1
|
0.4
|
0.5
|
0.4
|
0.4
|
0.3
|
0.0
|
0.4
|
전년동월비
|
2.3
|
1.9
|
2.2
|
2.6
|
2.9
|
2.9
|
3.1
|
3.4
|
3.9
|
3.9
|
4.0
|
4.1
|
4.2
|
전년누계비
|
1.2
|
1.3
|
1.4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 기조적인 물가상승률의 범위를 OECD 기준의 식료품과 에너지 관련 품목을 제외한 309개 품목으로 작성
□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6.5% 각각 상승
◦ 식품은 전월대비 0.8% 하락, 전년동월대비 8.3% 상승
◦ 식품이외는 전월대비 0.7%, 전년동월대비 5.3% 각각 상승
◦ 전월세포함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5.7% 각각 상승
< 생활물가지수 동향 >
(2020=100, %)
|
품목수
|
가중치
|
2021년 10월
|
2022년 9월
|
2022년 10월
|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
생활물가지수
|
144
|
529.4
|
104.42
|
0.2
|
4.6
|
111.01
|
0.6
|
6.5
|
111.16
|
0.1
|
6.5
|
- 식품
|
84
|
203.7
|
105.88
|
-0.5
|
2.6
|
115.58
|
1.0
|
8.6
|
114.68
|
-0.8
|
8.3
|
- 식품이외
|
60
|
325.7
|
103.50
|
0.6
|
6.0
|
108.15
|
0.4
|
5.1
|
108.96
|
0.7
|
5.3
|
전월세포함
생활물가지수
|
146
|
627.7
|
104.03
|
0.2
|
4.2
|
109.85
|
0.5
|
5.8
|
109.98
|
0.1
|
5.7
|
* 전체 458개 품목 중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작성
□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6.1% 하락, 전년동월대비 11.4% 상승
◦ 신선어개는 전월대비 2.1%, 전년동월대비 6.6% 각각 상승
◦ 신선채소는 전월대비 13.1% 하락, 전년동월대비 21.7% 상승
◦ 신선과실은 전월대비 2.0% 하락, 전년동월대비 4.2% 상승
< 신선식품지수 동향 >
(2020=100, %)
|
품목수
|
가중치
|
2021년 10월
|
2022년 9월
|
2022년 10월
|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
신선식품지수
|
55
|
42.2
|
103.75
|
-5.0
|
-7.8
|
123.12
|
2.8
|
12.8
|
115.60
|
-6.1
|
11.4
|
- 신선어개
|
11
|
10.6
|
100.34
|
-0.3
|
0.4
|
104.70
|
1.9
|
4.1
|
106.95
|
2.1
|
6.6
|
- 신선채소
|
26
|
16.8
|
99.06
|
-12.8
|
-16.8
|
138.77
|
9.4
|
22.2
|
120.56
|
-13.1
|
21.7
|
- 신선과실
|
18
|
14.8
|
111.53
|
1.2
|
-2.1
|
118.55
|
-4.4
|
7.5
|
116.18
|
-2.0
|
4.2
|
*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실 등 계절 및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
□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4.9% 각각 상승
(2020=100, %)
|
품목수
|
가중치
|
2021년 10월
|
2022년 9월
|
2022년 10월
|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지수
|
전월비
|
전년
동월비
|
|||
자가주거비포함지수
|
459
|
1248.3
|
103.07
|
0.2
|
2.9
|
107.87
|
0.3
|
4.8
|
108.10
|
0.2
|
4.9
|
- 자가주거비
|
1
|
248.3
|
101.93
|
0.2
|
1.7
|
103.58
|
0.1
|
1.8
|
103.65
|
0.1
|
1.7
|
* 자신의 소유주택을 주거 목적으로 사용하여 얻는 서비스에 대해 지불한 비용(자가주거비)을 포함하여 작성
2. 소비자물가지수 부문별 동향
□ 지출목적별 동향
◦ 전월대비 주택·수도·전기·연료(2.0%), 음식·숙박(0.3%), 보건(0.5%), 기타 상품·서비스(0.5%), 가정용품·가사서비스(0.5%), 통신(0.4%), 의류·신발(0.2%), 오락·문화(0.1%), 주류·담배(0.1%)는 상승, 교육은 변동 없으며, 교통(-0.5%), 식료품·비주류음료(-1.3%)는 하락
◦ 전년동월대비 주택·수도·전기·연료(7.6%), 식료품·비주류음료(7.5%), 음식·숙박(8.8%), 교통(5.4%), 기타 상품·서비스(7.8%), 가정용품·가사서비스(4.6%), 오락·문화(3.4%), 의류·신발(3.4%), 보건(1.5%), 통신(2.3%), 교육(1.5%), 주류·담배(2.4%)가 모두 상승
< 지출목적별 등락률 및 기여도 >
(2020=100, %, %p)
지출목적별 부문
|
품목수
|
가중치
|
지수
|
등락률
|
기여도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
< 총 지 수 >
|
458
|
1,000.0
|
109.21
|
0.3
|
5.7
|
0.26
|
5.67
|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
|
140
|
154.5
|
114.77
|
-1.3
|
7.5
|
-0.22
|
1.20
|
주류 및 담배
|
7
|
16.5
|
103.08
|
0.1
|
2.4
|
0.00
|
0.04
|
의류 및 신발
|
25
|
48.6
|
103.93
|
0.2
|
3.4
|
0.01
|
0.16
|
주택, 수도, 전기 및 연료
|
15
|
171.6
|
110.71
|
2.0
|
7.6
|
0.35
|
1.30
|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
|
50
|
53.9
|
108.04
|
0.5
|
4.6
|
0.03
|
0.25
|
보 건
|
34
|
87.2
|
101.09
|
0.5
|
1.5
|
0.04
|
0.12
|
교 통
|
33
|
106.0
|
115.18
|
-0.5
|
5.4
|
-0.06
|
0.60
|
통 신
|
6
|
48.4
|
100.68
|
0.4
|
2.3
|
0.02
|
0.11
|
오락 및 문화
|
47
|
57.5
|
104.10
|
0.1
|
3.4
|
0.00
|
0.19
|
교 육
|
20
|
70.3
|
102.59
|
0.0
|
1.5
|
0.00
|
0.11
|
음식 및 숙박
|
44
|
131.3
|
112.98
|
0.3
|
8.8
|
0.05
|
1.16
|
기타상품 및 서비스
|
37
|
54.2
|
110.19
|
0.5
|
7.8
|
0.03
|
0.42
|
![](https://blog.kakaocdn.net/dn/PAU12/btrP9ZX3tUH/37ziQJEzzUVbhpnOSDOk6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RnwoK/btrQaK7fY24/mv7wuWctbYvGPFHxLPxwR0/img.png)
□ 품목성질별 동향
◦ 상품은 전월대비 0.3%, 전년동월대비 7.3% 각각 상승
- 농축수산물은 전월대비 3.6% 하락, 전년동월대비 5.2% 상승
- 공업제품은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6.3% 각각 상승
- 전기‧가스‧수도는 전월대비 8.8%, 전년동월대비 23.1% 각각 상승
◦ 서비스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4.2% 각각 상승
- 집세는 전월대비 0.1%, 전년동월대비 1.7% 각각 상승
- 공공서비스는 전월대비 변동 없으며, 전년동월대비 0.8% 상승
- 개인서비스는 전월대비 0.4%, 전년동월대비 6.4% 각각 상승
< 품목성질별 등락률 및 기여도 >
(2020=100, %, %p)
|
품목수
|
가중치
|
지수
|
등락률
|
기여도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
< 총 지 수 >
|
458
|
1000.0
|
109.21
|
0.3
|
5.7
|
0.26
|
5.67
|
- 상 품
|
310
|
466.6
|
111.98
|
0.3
|
7.3
|
0.13
|
3.43
|
․농축수산물
|
78
|
83.8
|
114.68
|
-3.6
|
5.2
|
-0.33
|
0.46
|
(농산물)1)
|
57
|
43.8
|
113.46
|
-6.3
|
7.3
|
-0.31
|
0.33
|
(채소류)
|
27
|
16.9
|
120.57
|
-13.1
|
21.6
|
-0.28
|
0.35
|
(축산물)
|
6
|
27.6
|
120.16
|
-1.5
|
1.8
|
-0.05
|
0.06
|
(수산물)
|
15
|
12.4
|
106.83
|
1.8
|
6.5
|
0.02
|
0.08
|
․공업제품1)
|
228
|
348.4
|
110.15
|
0.4
|
6.3
|
0.15
|
2.20
|
(가공식품)
|
73
|
86.8
|
113.18
|
1.6
|
9.5
|
0.14
|
0.83
|
(석유류)
|
6
|
39.4
|
135.37
|
-2.4
|
10.7
|
-0.12
|
0.50
|
․전기‧가스‧수도
|
4
|
34.4
|
123.94
|
8.8
|
23.1
|
0.32
|
0.77
|
- 서 비 스
|
148
|
533.4
|
106.78
|
0.2
|
4.2
|
0.12
|
2.23
|
․집세
|
2
|
98.3
|
103.65
|
0.1
|
1.7
|
0.01
|
0.16
|
․공공서비스
|
30
|
127.3
|
101.71
|
0.0
|
0.8
|
0.00
|
0.10
|
․개인서비스
|
116
|
307.8
|
109.88
|
0.4
|
6.4
|
0.12
|
1.97
|
(외식)
|
39
|
126.7
|
113.16
|
0.3
|
8.9
|
0.04
|
1.13
|
(외식외)
|
77
|
181.1
|
107.58
|
0.4
|
4.6
|
0.07
|
0.83
|
주1) 농산물은 하위 4개 분류 중 채소류만 수록하였고, 공업제품은 하위 8개 분류 중 가공식품, 석유류만 수록
![](https://blog.kakaocdn.net/dn/b6OiL8/btrP98N6ggs/f5RnmKtbnJAkxkpMrRHxc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y7z5N/btrQaJUPB2l/kSSOKo55JYLImTONmyDrr0/img.png)
< 주요 등락품목 >
(%)
|
전월대비
|
전년동월대비
|
|
농축
수산물
|
토마토(11.6), 오징어(6.2), 고춧가루(2.1), 고등어(2.0), 쌀(0.8), 갈치(2.6), 양파(3.1), 바나나(3.1), 무(2.0)
|
배추(72.3), 무(118.1), 토마토(29.5), 돼지고기(3.3), 수입쇠고기(6.3), 파(24.0), 양파(25.4)
|
|
배추(-31.2), 시금치(-50.2), 돼지고기(-3.3), 상추(-40.2), 호박(-32.3), 사과(-10.1), 풋고추(-21.7)
|
쌀(-15.0), 고구마(-14.9), 국산쇠고기(-1.8), 상추(-17.4), 배(-15.2), 사과(-3.9), 콩(-12.5)
|
||
공업제품
|
스낵과자(8.0), 수입승용차(2.8), 라면(8.9),
휴대전화기(2.0), 키친타월(16.8), 건강기능식품(2.9)
|
경유(23.1), 등유(64.8), 빵(15.3), 휴대전화기(9.4),
기능성화장품(17.6), 다목적승용차(5.5), 수입승용차(5.3)
|
|
휘발유(-4.2), 경유(-0.9), 장롱(-7.6), 식탁(-6.6),
소파(-2.6), 등유(-1.3), 싱크대(-2.0)
|
휘발유(-2.0), 컴퓨터(-6.0), 소형주방가전(-7.1),
조제약(-1.1), 마스크(-3.6), 병원약품(-1.6)
|
||
전기·가스·수도
|
도시가스(15.0), 전기료(5.5), 지역난방비(19.1)
|
도시가스(36.2), 전기료(18.6), 지역난방비(34.0)
|
|
상수도료(-0.3)
|
|
||
서비스
|
집세
|
전세(0.1), 월세(0.0)
|
전세(2.4), 월세(0.9)
|
공공
서비스
|
휴대전화료(0.0), 정화조청소료(0.1)
|
외래진료비(2.3), 국제항공료(20.0)
|
|
하수도료(-0.4), 시내버스료(-0.1)
|
유치원납입금(-19.1), 사립대학교납입금(-0.8)
|
||
개인
서비스
|
공동주택관리비(1.5), 승용차임차료(11.6),
구내식당식사비(0.8), 호텔숙박료(4.8)
|
보험서비스료(14.9), 공동주택관리비(5.4),
생선회(외식)(9.2), 치킨(10.3)
|
|
햄버거(-1.3), 휴양시설이용료(-2.6),
해외단체여행비(-0.9), 학교보충교육비(-1.3)
|
병원검사료(-19.6), 자동차보험료(-1.3),
취업학원비(-2.3),가전제품렌탈비(-1.3)
|
3. 소비자물가지수 지역별 동향
□ 지역별 소비자물가 동향
◦ 전월대비 인천, 울산, 세종은 0.4%, 서울, 부산, 광주, 대전, 경기, 경북은 0.3%, 대구, 전북, 전남, 경남은 0.2%, 강원, 충북, 충남은 0.1% 각각 상승, 제주는 변동 없음
◦ 전년동월대비 강원, 충북, 제주는 6.5%, 충남 경북은 6.4%, 세종, 전남은 6.1%, 전북은 6.0%, 경남은 5.9%, 대구, 광주, 울산은 5.8%, 인천은 5.7%, 대전, 경기는 5.5%, 부산은 5.4%, 서울은 5.1% 각각 상승
< 지역별 소비자물가 등락률 >
(2020=100, %)
|
지 수
|
등 락 률
|
|
지 수
|
등 락 률
|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전월비
|
전년동월비
|
||||
전 국
|
109.21
|
0.3
|
5.7
|
경 기
|
109.15
|
0.3
|
5.5
|
서 울
|
108.16
|
0.3
|
5.1
|
강 원
|
110.55
|
0.1
|
6.5
|
부 산
|
108.81
|
0.3
|
5.4
|
충 북
|
110.25
|
0.1
|
6.5
|
대 구
|
109.61
|
0.2
|
5.8
|
충 남
|
110.43
|
0.1
|
6.4
|
인 천
|
109.44
|
0.4
|
5.7
|
전 북
|
109.62
|
0.2
|
6.0
|
광 주
|
109.23
|
0.3
|
5.8
|
전 남
|
109.95
|
0.2
|
6.1
|
대 전
|
108.89
|
0.3
|
5.5
|
경 북
|
110.34
|
0.3
|
6.4
|
울 산
|
109.17
|
0.4
|
5.8
|
경 남
|
109.37
|
0.2
|
5.9
|
세 종
|
109.82
|
0.4
|
6.1
|
제 주
|
110.43
|
0.0
|
6.5
|
![](https://blog.kakaocdn.net/dn/osAiA/btrQaLd00Ew/GmQhqek6sELOulpOBmJ2D0/img.png)
□ 지역별 공공 및 개인서비스 동향
◦ 공공서비스 부문을 전월대비로 보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등 15개 지역은 변동 없으며, 전남은 0.1%, 충북은 0.3% 각각 하락
- 전년동월대비로는 세종은 2.2%, 충북은 1.4%, 서울, 부산, 대구 등 13개 지역은 0.6~1.3%, 인천은 0.1% 각각 상승, 충남은 0.5% 하락
◦ 개인서비스 부문을 전월대비로 보면 대전, 전남, 경남은 0.5%, 서울, 부산 등 8개 지역은 0.4%, 전북은 0.3%, 광주, 세종, 강원, 충북은 0.2% 각각 상승, 충남은 변동 없음
- 전년동월대비로는 제주는 8.0%, 대전, 충북은 7.0%, 인천은 6.8%, 서울, 대구 등 8개 지역은 6.2~6.7%, 세종, 전북, 경남은 6.0%, 광주는 5.9%, 부산은 5.8% 각각 상승
< 지역별 공공 및 개인서비스 등락률 >
(%)
|
전월대비
|
전년동월대비
|
||||||
공 공
서비스
|
개 인
서비스
|
|
|
공 공
서비스
|
개 인
서비스
|
|
|
|
외식
|
외식제외 개인
|
외식
|
외식제외 개인
|
|||||
전 국
|
0.0
|
0.4
|
0.3
|
0.4
|
0.8
|
6.4
|
8.9
|
4.6
|
서 울
|
0.0
|
0.4
|
0.2
|
0.4
|
0.8
|
6.4
|
9.0
|
4.7
|
부 산
|
0.0
|
0.4
|
0.2
|
0.7
|
1.0
|
5.8
|
8.5
|
3.7
|
대 구
|
0.0
|
0.4
|
0.3
|
0.5
|
0.7
|
6.6
|
9.1
|
4.7
|
인 천
|
0.0
|
0.4
|
0.1
|
0.5
|
0.1
|
6.8
|
8.9
|
5.2
|
광 주
|
0.0
|
0.2
|
0.0
|
0.4
|
0.7
|
5.9
|
8.2
|
4.4
|
대 전
|
0.0
|
0.5
|
0.6
|
0.4
|
0.6
|
7.0
|
9.6
|
5.2
|
울 산
|
0.0
|
0.4
|
0.4
|
0.4
|
1.0
|
6.2
|
9.2
|
3.9
|
세 종
|
0.0
|
0.2
|
0.0
|
0.2
|
2.2
|
6.0
|
8.6
|
4.3
|
경 기
|
0.0
|
0.4
|
0.5
|
0.4
|
1.0
|
6.3
|
9.1
|
4.5
|
강 원
|
0.0
|
0.2
|
0.3
|
0.1
|
1.3
|
6.4
|
8.8
|
4.9
|
충 북
|
-0.3
|
0.2
|
0.2
|
0.2
|
1.4
|
7.0
|
8.8
|
5.6
|
충 남
|
0.0
|
0.0
|
0.0
|
0.0
|
-0.5
|
6.5
|
8.3
|
5.1
|
전 북
|
0.0
|
0.3
|
0.2
|
0.4
|
1.1
|
6.0
|
8.5
|
4.4
|
전 남
|
-0.1
|
0.5
|
0.4
|
0.6
|
0.7
|
6.7
|
9.8
|
4.5
|
경 북
|
0.0
|
0.4
|
0.4
|
0.5
|
0.6
|
6.5
|
8.9
|
4.8
|
경 남
|
0.0
|
0.5
|
0.5
|
0.4
|
1.0
|
6.0
|
8.5
|
4.1
|
제 주
|
0.0
|
0.4
|
0.7
|
0.3
|
1.3
|
8.0
|
9.4
|
6.8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격을 넘어 초격차를 만드는 12대 국가전략기술 육성 (0) | 2022.11.02 |
---|---|
제11차 비상경제민생회의 경제활성화 추진전략 - 부동산·금융 (0) | 2022.11.02 |
우수 바이오기업 투자유치 나선다 (0) | 2022.11.02 |
산업부, 민·관 합동 「이차전지 산업 혁신전략」 발표 (1) | 2022.11.02 |
탄소중립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0) | 2022.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