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11. 집중호우 농업분야 피해대응 추진상황
2022.08.11 농림축산식품부
8.8.~11. 집중호우 농업분야 피해대응 추진상황
|
- 현재까지 피해로는 농축산물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듯 -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 이하 농식품부)는 8월 8일부터 현재까지 수도권, 강원, 충청권 등에 100~600mm의 비가 내려, 현재까지 농업 분야에서 농작물 551ha, 가축 폐사 86,552마리, 꿀벌 660군, 비닐하우스 0.1ha, 농경지 유실·매몰 8.2ha 피해가 집계(8.11일 14시 기준)되었다고 밝혔다.
< 농작물 피해 >
구분
|
합계
|
침수
|
낙과, 유실 등
|
|||||
소계
|
벼
|
밭작물
|
채소
|
과수
|
기타
|
|||
계
|
551.1
|
548.3
|
356.2
|
42.5
|
83.3
|
3.1
|
63.2
|
2.8
|
경기
|
125.2
|
123.7
|
80.2
|
0.2
|
42.5
|
-
|
0.8
|
1.5
|
강원
|
217.1
|
215.8
|
79.0
|
36.8
|
37.5
|
3.1
|
59.4
|
1.3
|
충북
|
3.6
|
3.6
|
-
|
2.2
|
1.4
|
-
|
-
|
-
|
충남
|
160.2
|
160.2
|
152.8
|
2.5
|
1.9
|
-
|
3.0
|
-
|
인천
|
45.0
|
45.0
|
44.2
|
0.8
|
-
|
-
|
-
|
-
|
* 벼: 보령 120, 평택 72.0, 인천(옹진) 44.2, 원주 32.9, 횡성 31.9, 청양 30, 파주 8.0 등
< 축산 피해 >
구분
|
가축(마리)
|
꿀벌(군)
|
|||
합계
|
한우
|
산란계
|
육계
|
||
계
|
86,552
|
2
|
250
|
86,300
|
660
|
경기
|
46,303
|
2
|
-
|
46,300
|
350
|
강원
|
250
|
-
|
250
|
|
310
|
충남
|
40,000
|
-
|
-
|
40,000
|
-
|
벼(356ha)의 경우, 장기간(약 3일) 침수 시 생육에 영향이 있을 수 있으나 현재 강원, 인천은 퇴수가 완료되었고, 경기권은 내일 중 퇴수 완료 예정이며, 충청권은 금일부터 내일 오전까지 비가 내릴 전망으로 적기 퇴수시 피해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추석 성수품 중 주요 품목인 여름배추는 아직 피해가 접수되지 않고 있어 배추밭의 침수나 유실 피해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배추가격 동향(도매): (7월중순) 4,923원/포기 → (7월하순) 5,777 → (8월상순) 4,645
농식품부는 본부 및 산하·유관 기관이 비상 대응체계를 유지하면서, 특보 지역 농가를 대상으로 호우피해 예방요령을 문자로 발송하고, 방송 자막 뉴스를 통해 지속 홍보 중이다. 또한 호우로 인한 피해를 신속히 복구하고 정확한 피해 현황을 파악하여 복구비 및 보험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집중호우가 발생한 강원, 경기, 충북 등 중부권의 주요 품목(배추, 무, 감자, 사과, 배 등) 중심으로 수급 관리 비상 대응체계를 유지하고, 사전·사후 관리를 통해 성수기 수급 영향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관계기관 합동 「작황관리팀*」을 7월 1일부터 운영하여 지역별 피해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병해가 발생한 밭에 대해서는 농가 기술지도와 영양제 할인공급(25~50%)을 지원하고 있다. 배추가 유실된 경우 사전에 준비된 예비묘 150만 주를 농가에 공급하여 공급이 안정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배추 작황관리팀: 농식품부(총괄)·농촌진흥청·강원도청·농협·한국농촌경제연구원 담당자 34명
붙임 집중호우 피해 세부현황(8.11일 14시 기준)
붙임
|
|
집중호우 피해 세부현황(8.11일 14시 기준)
|
농작물 : 551.1ha(침수 548.3ha, 낙과‧유실 등 2.8)
(단위 : ha)
구분
|
합계
|
침수
|
낙과, 유실 등
|
|||||
소계
|
벼
|
밭작물
|
채소
|
과수
|
기타
(특작, 화훼 등
|
|||
계
|
551.1
|
548.3
|
356.2
|
42.5
|
83.3
|
3.1
|
63.2
|
2.8
|
경기
|
125.2
|
123.7
|
80.2
|
0.2
(콩)
|
42.5
(토마토 29.4, 시금치 7.0)
|
-
|
0.8
(화훼)
|
1.5
(체리 1.4, 포도 0.1)
|
강원
|
217.1
|
215.8
|
79.0
|
36.8
(감자 6.9, 고구마 4.0, 옥수수 7.7)
|
37.5
(고추 13.5, 토마토 4.4, 양상추 5.9, 배추 0.6)
|
3.1
(사과 1.4, 포도 0.3)
|
59.4
(인삼 42.1, 들깨 14.3)
|
1.3
(복숭아)
|
충북
|
3.6
|
3.6
|
-
|
2.2
(콩 1.0, 율무 1.2)
|
1.4
(수박 1.0, 고추 0.3)
|
-
|
-
|
-
|
충남
|
160.2
|
160.2
|
152.8
|
2.5
(콩)
|
1.9
(수박 1.6, 딸기 0.3)
|
-
|
3.0
(참깨 1.7, 인삼 1.3)
|
-
|
인천
|
45.0
|
45.0
|
44.2
|
0.8
(고구마)
|
-
|
-
|
-
|
-
|
* 벼: 보령 120, 평택 72.0, 인천(옹진) 44.2, 원주 32.9, 횡성 31.9, 청양 30, 파주 8.0 등
축 산 : 가축폐사 86,552마리(소 2, 육계 86,300, 산란계 250), 꿀벌피해 660군
구분
|
가축(마리)
|
꿀벌(군)
|
|||
합계
|
한우
|
산란계
|
육계
|
||
계
|
86,552
|
2
|
250
|
86,300
|
660
|
경기
|
46,303
|
2*
(양평)
|
-
|
46,300
(연천 26,000, 평택 20,000)
|
350
(광주)
|
강원
|
250
|
-
|
250
(영월)
|
|
310
(원주 250, 횡성 60))
|
충남
|
40,000
|
-
|
-
|
40,000
(보령)
|
-
|
* 당초 실종 3마리 중 1마리 구조
수리시설 : 저수지 둑 유실 1개소* , 용‧배수로 파손‧매몰 18개소**
* 성덕저수지(양평/ 저수 용량 18천톤(소규모))
** 경기 18(연천 6, 포천 5, 양평 3, 고양 2, 여주 1, 김포 1)
농업시설 파손: 비닐하우스 0.1ha(춘천)
농경지 유실‧매몰 : 8.2ha(횡성 3.4, 홍천 3.0, 철원 1.2, 평창 0.6)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 입법예고 (0) | 2022.08.14 |
---|---|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시장확대형)(2022년 원전 분야 중소기업 기술개발지원 통합 공고) (0) | 2022.08.14 |
중기부, 추석 명절 소상공인·중소기업 지원방안 마련 (0) | 2022.08.13 |
민간 주도로 자율주행차 국제표준화 활동 강화_산업통상자원부 (0) | 2022.08.13 |
식약처, ‘식의약 규제혁신 100대 과제’ 발표 (0) | 2022.08.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