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디지털 기반 시설물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방향 제시
2022.05.10 행정안전부
행안부, 디지털 기반 시설물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방향 제시
|
- 노후․위험시설 사물인터넷 감지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설명회 개최(5.11.) -
|
□ 행정안전부는 디지털 기반 시설물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이하, ‘시설물 안전관리시스템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지침서(메뉴얼)을 마련하고, 5월 11일(수) 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시설물 안전관리시스템 사업은 지자체 노후․위험시설 증가에 따른 안전관리 강화 필요에 따라 사물인터넷(IoT) 감지기를 시설물 안전관리에 접목하여 균열, 기울기, 침수 등 위험요인을 선제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재난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사업이다.
○ 지난해에는 인천시, 제주도, 경기 고양시 등 6개 지자체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하였고, 올해는 1월에 공모를 통해 선정된 서울 동대문구, 충북 청주시 등 7개 지자체에서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 시설물 안전관리시스템 사업 지침서는 행정절차, 위험시설 감지기 설치 시 알아두어야 하는 전문용어 및 계측 관리 방안 등 업무담당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 보다 구체적으로, 사물인터넷(IoT) 감지기를 통해 계측된 자료가 상황전파시스템에서 잘 호환되고 확장성을 가질 수 있도록 두 기기 간 요구되는 성능과 계측자료 저장에 대한 표준규격을 제시하였다.
○ 관측된 정보는 지자체별 행정안전부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 통합상황관리시스템과 연계되어 향후에는 이를 활용한 대국민 서비스도 추진할 계획이다.
□ 이번 설명회에서는 관련 전문가를 초빙하여 시설물 위험 요소별 계측기 종류 및 기능에 대해 특강을 실시한다.
○ 아울러, 이미 시스템을 구축․운영 중인 지자체의 모범 사례 등을 소개하여 올해 신규로 선정된 지자체의 공무원들이 관련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고광완 행정안전부 재난협력정책관은 “시설물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선도적인 디지털 기술 활용을 통해 위험정보를 제공하고, 사전에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참고
|
|
『IoT센서 등디지털 기반 노후․위험시설』
안전관리시스템 구축사업 설명회 계획
|
□ 개요
(일시) ‘22.5.11.(수), 10:00~12:00 (2시간)
(장소) 행정안전부 본관 2층 소강당(17동)
(참석대상) ’21~22년 사업 팀장 및 담당자, 관심있는 지자체 희망자
(주요내용) 시스템 구축사업에 대한 사업추진절차, DB 표준규격, 센서 및 상황전파 요구 성능에 대한 안내 및 기 사업추진 지자체의 시스템 운영 사례 소개 등
□ 설명회 일정
시 간
|
주 요 내 용
|
비 고
|
|
10:00~10:05
|
5‘
|
‣인사말
|
재난협력정책관
|
10:05~10:50
|
45‘
|
시설물 위험 요소별 계측기 종류 및 기능
|
첨단기술안전점검협회
|
10:50~11:00
|
10‘
|
휴 식
|
|
11:00~11:30
|
30‘
|
‣ 사업 추진 절차 등 업무처리지침 안내
- DB 표준규격, 센서 및 상황전파 요구 성능
|
행안부 재난안전점검과
|
11:30~11:50
|
20‘
|
‣ 시스템 운영 사례 등 소개
|
경기도 고양시
|
11:50~12:00
|
10‘
|
‣ 질의 및 응답
|
기관 담당자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1/4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_통계청 (0) | 2022.05.11 |
---|---|
용인 서천 공공하수처리시설, 생태수로 사업대상지로 선정_환경부 (0) | 2022.05.11 |
1인 방송 전업 창작자 육성 사업 공고_과학기술정보통신부 (0) | 2022.05.11 |
코로나19와 함께 살아가기 위한 새로운 일상을 준비합니다 (0) | 2022.05.11 |
가려졌던 청와대 지도, 이제 네이버·카카오맵에서 본다 (0) | 2022.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