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담배 끊기 힘들다고요?
2022.04.06 정책브리핑
‘금연두드림’은 보건복지부 지정 국가금연지원센터의 금연서비스통합정보시스템으로 금연클리닉, 금연캠프, 흡연 예방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금연서비스 & 교육]
① 보건소 금연클리닉
-금연교육 및 금연상담 서비스, CO 또는 금연홍보물품 제공 (6개월)
② 금연캠프
<전문치료형>
4박 5일간 지역금연지원센터 병원 등에서 의료인이 제공하는 전문 금연 프로그램 제공 및 6개월간 사후관리
<입원 환자 대상 금연지원 서비스>
지역금연지원센터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건강 상태에 따른 금연 동기 강화, 맞춤형 금연 프로그램 제공 및 6개월간 사후관리
③ 찾아가는 금연지원서비스
-보건소 등 기존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렵거나, 흡연율이 높고 금연하기 어려운 환경에 있는 흡연자가 있는 곳에 찾아가 금연상담(대면, 전화) 등 6개월간 금연 프로그램 제공
④ 금연상담전화
-성공적으로 금연할 수 있도록 30일 동안 정해진 수순에 따라 상담 제공
⑤ 병·의원 금연치료
-금연치료 중 8~12주 동안 6회 이내 의사의 진료 상담과 금연치료 의약품, 니코틴 보조제 구입 비용 등 지원
⑥ 군의경 금연서비스
-금연 및 흡연예방 교육 전문 금연상담 및 금연 보조제 제공
⑦ 유아 흡연위해예방사업
-아이들에게 담배의 위해성에 관한 올바른 교육 제공
⑧ 전국 지역금연지원센터 및 보건소 금연클리닉 찾기
-금연 의지가 있으나 혼자서 금연하기 어려운 흡연자에게 프로그램 및 서비스 제공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친화기업 ESG 사업 지원…2400명에 직무역량 향상 기회 (0) | 2022.04.07 |
---|---|
재해에 취약한 저소득층에 풍수해보험료 전액 지원_행정안전부 (0) | 2022.04.06 |
정부, 대통령 집무실 이전비 360억원 의결…“추가소요 추후 협의”_기획재정부 (0) | 2022.04.06 |
동물학대 제재 강화·맹견 사육허가제 도입(‘동물보호법’ 전부 개정안 국회 통과…반려동물행동지도사 국가자격도 신설) (0) | 2022.04.06 |
5월부터 국제선 하늘길 활짝…연말까지 코로나 이전의 50% 회복_국토교통부 (0) | 2022.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