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함께돌봄센터 아침·저녁(7~9시) 운영 연장 실시
2022.03.01 보건복지부
다함께돌봄센터 아침·저녁(7~9시) 운영 연장 실시
- 아침·저녁 틈새 돌봄 제공을 위한 시범사업 실시 -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다함께돌봄센터의 서비스 제공 시간을 아침·저녁으로 확대하는 “운영시간 연장 시범사업”을 2022년 3월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
※ 다함께돌봄센터(「아동복지법」제44조의2)
지역 내 공공시설 등을 활용하여 돌봄이 필요한 초등학생들에게 초등학교 정규교육 이외의 시간 동안 보호, 급·간식 제공, 체험·여가활동 등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전국 694개소 운영 중(’21.12월 현재)
○ 올해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다함께돌봄센터는 총 30개소로, 돌봄 수요, 센터 규모, 연장 가능 여부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었다.
□ “운영시간 연장 시범사업”은 맞벌이 가구의 출퇴근 시간 초등돌봄 지원을 위해 다함께돌봄센터 표준 운영시간* 외 아침·저녁 각각 2시간씩 연장** 운영하는 사업이다.
* (학기 중) 14:00∼19:00, (방학 중) 09:00∼18:00
** (아침) 07:00∼09:00, (저녁) 19:00∼21:00(방학 중 18:00∼20:00)
○ 연장 시간 동안 다함께돌봄센터는 아동 출결 관리, 급·간식 지원 등의 돌봄서비스 중심으로 운영*된다.
* 세부 프로그램·이용료 등은 센터별 여건에 따라 구성·상이
○ “운영시간 연장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센터는 다함께돌봄사업 누리집(www.dadol.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용을 희망하는 경우 해당 센터에 전화로 문의한 후 신청이 가능하다.
*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다함께돌봄센터 현황은 [붙임1] 참조
○ 참고로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센터에는 연장 돌봄서비스 제공을 위한 돌봄 인력 확충 인건비·운영비 예산을 추가로 지원한다.
□ 그간 초등학생 부모의 양육 부담 증가, 특히 맞벌이 가구의 틈새 돌봄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 ‘2022년도 범정부 온종일돌봄 수요조사’ 결과 틈새 돌봄 수요오전 7시~수업 전 8.22%, 오후 6~7시 7.48%, 오후 7~9시 1.76%
○ 하지만 기존 다함께돌봄센터의 표준 운영시간만으로는 부모의 출퇴근 시간대 아동 돌봄 수요를 충족시키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 따라서 “운영시간 연장 시범사업”을 통해 보다 촘촘한 돌봄서비스를 제공하여, 출퇴근 시간대 초등학생을 돌봐 줄 곳을 찾던 부모들의 부담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한편, 다함께돌봄사업은 안전하고 접근성 높은 지역 내 공공시설 등을 활용하여 돌봄이 필요한 초등학생들에게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지난 2017년부터 시작되었다.
○ 2021년 12월 말 기준 전국 694개소에서 약 1만 7,000여 명의 아동들이 다함께돌봄센터를 이용하고 있으며,
- 지난해 자체적으로 실시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결과에서 91.6점으로 높은 점수를 달성하는 등 양질의 돌봄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 다함께돌봄센터는 소득과 무관하게 정부24 온종일 돌봄 원스톱 서비스(www.gov.kr)를 통해 신청 가능하며, 센터별 맞벌이 가구 등 이용 우선순위를 정하고 있음
- 특히, 코로나19 유행 상황 속 센터가 휴원하더라도 돌봄이 필요한 아동들에게 긴급돌봄을 제공하며 초등돌봄 공백 방지에 기여하고 있다.
○ 보건복지는 올해 다함께돌봄센터를 추가로 450개소 설치해 초등아동 돌봄서비스 제공기반을 강화할 예정이다.
□ 배금주 보건복지부 인구아동정책관은 “시범사업 이용 아동 만족도 조사 및 현장과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시범사업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며,
○ 아울러 “다함께돌봄센터 운영시간 연장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초등학생 부모의 다양한 돌봄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맞춤형 돌봄 정책 마련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운영시간 연장 시범사업 참여 센터 현황2. 2021년 다함께돌봄센터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
붙임1
|
|
운영시간 연장 시범사업 참여 센터 현황
|
연번
|
시도
|
시군구
|
센터명
|
주소
|
1
|
서울
|
동작구
|
사당5동 우리동네키움센터
|
서울시 동작구 사당로 154, 2층
|
2
|
서울
|
동작구
|
사당2동 우리동네키움센터
|
서울시 동작구 동작대로 29가길 30, 2층
|
3
|
부산
|
북구
|
만덕아이꿈자람터
|
부산시 북구 만덕3로 14, 2층
|
4
|
부산
|
사하구
|
장림꿈꾸는아이자람터
|
부산시 사하구 하신중앙로 8, 3층
|
5
|
대전
|
동구
|
다함께돌봄센터 무지개
|
대전시 동구 계족로 457번길 38-9, 3층
|
6
|
경기
|
성남시
|
성남시다함께돌봄센터
(수자인금광어린이식당)
|
성남시 중원구 광명로 411
|
7
|
경기
|
성남시
|
성남시다함께돌봄센터
(구미동어린이식당)
|
성남시 분당구 무지개로 144
|
8
|
경기
|
성남시
|
성남시다함께돌봄센터
(은행1동어린이식당)
|
성남시 중원구 자혜로57번길 1, 2~3층
|
9
|
경기
|
파주시
|
탄현면다함께돌봄센터
|
파주시 방촌로 685
|
10
|
경기
|
오산시
|
오산시 함께자람센터 2호점
|
오산시 경기대로 99-15, 관리사무소 지하 1층
|
11
|
경기
|
의왕시
|
부곡동 다함께돌봄센터
|
의왕시 부곡시장실 75, 부곡동주민센터3층
|
12
|
경기
|
성남시
|
성남시다함께돌봄센터
(백현마을3단지어린이식당)
|
성남시 분당구 동판교로 92
|
13
|
경기
|
성남시
|
성남시다함께돌봄센터
(고등마을어린이식당)
|
성남시 수정구 고등로 57
|
14
|
경기
|
연천군
|
연천군 다함께돌봄센터 1호점
|
전곡읍 전곡역로 48번길13, 1층
|
15
|
경기
|
안성시
|
안성시다함께돌봄센터1호점
|
안성시 내리7길 16
|
16
|
경기
|
수원시
|
다함께돌봄센터9호점
|
수원시 권선구 서수원로 99, 수원권선꿈에그린아파트
|
17
|
경기
|
파주시
|
교하노을빛마을
다함께돌봄센터
|
파주시 숲속노을로 297, 주공2단지 관리동 2층
|
18
|
경기
|
파주시
|
문산선유3단지
다함께돌봄센터
|
파주시 독서울1길 39, 관리동 2층 0003호
|
19
|
경기
|
파주시
|
교하책향기마을13단지
다함께돌봄센터
|
경기 파주시 책향기로 210, 관리동1층
|
20
|
강원
|
원주시
|
원주시 다함께돌봄센터 아이행복마을
|
강원도 원주시 북원로 2704번길 13
|
21
|
강원
|
정선군
|
가온누리돌봄센터
|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새골길27
|
22
|
충북
|
진천군
|
천년나무4단지 다함께돌봄센터
|
충북 진천군 덕산읍 연미로 87
|
23
|
충북
|
청주시
|
청주시오창다함께돌봄센터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2산단4로 55, 오창2산단대원칸타빌아파트
|
24
|
충남
|
아산시
|
행복이다함께돌봄센터
|
아산시 온중로 33-2
|
25
|
전북
|
전주시
|
야호하가오투다함께돌봄센터
|
전주시 완산구 경동로 19
|
26
|
전북
|
군산시
|
군산시다함께돌봄센터
(밝은마음키움터)
|
군산시 미룡로 12, 미룡주공 1단지 관리사무소 2층
|
27
|
전남
|
장흥군
|
장흥공존다함께돌봄센터
|
장흥읍 건산리 395-3
|
28
|
전남
|
장흥군
|
장흥아오로다함께돌봄센터
|
장흥읍 동부로 40
|
29
|
경북
|
의성군
|
의성군다함께돌봄센터
(의성키움마을돌봄터)
|
경북 의성군 의성읍 동서1길 73, 의성키움센터2층
|
30
|
경남
|
창원시
|
창원시 다함께돌봄센터
(내서우아한클럽)
|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광려로 28, 대동이미지아파트 1단지 관리동 2층
|
붙임2
|
|
2021년 다함께돌봄센터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
|
□ 조사개요
○ (대상·방법) 다함께돌봄센터를 1개월 이상 이용한 아동 보호자 1,097명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21.10.29.~12.10.)
○ (내용) 다함께돌봄센터 이용 만족도(프로그램, 종사자, 시설 및 환경, 전반적 만족도, 긴급돌봄 등), 센터 이용, 응답자 특성, 제안사항 등
□ 조사결과
○ (총괄) 전체적인 이용 만족도는 5점 만점 기준 4.58점(100점 환산 91.6점)
○ (전반적 만족도) ‘매우 그렇다’ 783명(71.4%), 그렇다 278명(25.3%)으로 전반적 만족도 평균 점수는 4.67점
- 특히, 계속 이용의사 1,061명(96.7%), 주변 이용 권유 1,063명(96.9%)가 높게 나타나, 실제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음을 확인
○ (영역별 만족도) 이용서비스 만족도는 4.56점, 종사자 만족도는 4.51점, 시설 및 환경 만족도는 4.61점
- 이용서비스 만족도 중 ‘안전한 귀가’ 항목이 4.69점으로 가장 높음
○ (긴급돌봄 만족도) 긴급돌봄서비스 만족도는 4.66점, 주변 권유 의향은 4.64점으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남
< 이용자 만족도 조사 항목 및 점수 >
구분
|
문항
|
만족도
(5점 만점)
|
구분
|
문항
|
만족도
(5점 만점)
|
|
전반적 만족도
(평균 4.67점)
|
①전반적 만족도
|
4.67
|
시설 및 환경 만족도
(평균 4.61점)
|
⑬쾌적함
|
4.61
|
|
②계속 이용 의향
|
4.67
|
⑭위생관리
|
4.63
|
|||
③주변인 권유 의향
|
4.67
|
⑮편안함
|
4.64
|
|||
이용서비스
만족도
(평균 4.56점)
|
④다양한 놀이, 경험 등
|
4.61
|
⑯안전성
|
4.60
|
||
⑤즐거움
|
4.66
|
⑰접근 및 이동 편리성
|
4.57
|
|||
⑥안전한 귀가
|
4.69
|
긴급돌봄
서비스 만족도
|
⑱이용
경험
|
있음
|
577(명)
|
|
⑦급, 간식
|
4.37
|
없음
|
520(명)
|
|||
⑧교우관계
|
4.48
|
⑲긴급돌봄 만족도
|
4.66
|
|||
종사자
만족도
(평균 4.51점)
|
⑨아동에 대한 이해도
|
4.57
|
⑳주변 권유 의향
|
4.64
|
||
⑩친절한 태도
|
4.65
|
㉑재난 상황 발생시,
이용 의향
|
3.79
|
|||
⑪아동생활 정보제공
|
4.47
|
|||||
⑫돌봄인력 수
|
4.34
|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부, 지역 환경보건 기반구축 위해 환경보건센터 7곳 지정 (0) | 2022.03.01 |
---|---|
기업부설연구소 연구개발 역량진단 서비스 개시_과학기술정보통신부 (0) | 2022.03.01 |
3월 1일부터 15일까지 근로장려금 신청하세요~국세청 (0) | 2022.02.28 |
국민 스스로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국민내일배움카드_기획재정부 (0) | 2022.02.28 |
2022년 1분기 추가 손실보상 선지급…2월 28일부터 신청 시작_중소벤처기업부 (0) | 2022.0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