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회계연도 총세입·총세출 마감 결과
2022.02.11 기획재정부
2021회계연도 총세입․총세출 마감 결과
|
□ 2021회계연도 총세입·총세출 마감 결과 총세입은 524.2조 원, 총세출은 496.9조 원, 총세계잉여금(일반ㆍ특별회계)은 23.3조 원
|
□ 기획재정부(재정관리관 김윤상)와 감사원(감사위원 손창동)은
2.10(목)일 2021회계연도의 총세입부와 총세출부를 마감하였다.
* 최근 오미크론 확산 추세 등을 감안하여 비대면 온라인으로 2.10일 18시에 총세입․총세출을 마감
ㅇ 마감 결과 확정된 총세입은 524.2조 원, 총세출은 496.9조 원, 차액인 결산상잉여금은 27.3조 원이며, 이월액 4.0조 원을 차감한 총세계잉여금은 23.3조 원(일반회계 18.0, 특별회계 5.3)을 기록하였다.
< 2021회계연도 마감 결과 (단위 : 조 원)>
구 분
|
예산
(2차 추경기준)
|
총세입
(A)
|
총세출
(B)
|
결산잉여금
(C=A-B)
|
이월
(D)
|
세계잉여금
(E=C-D)
|
불용
|
||
합계
|
2021(a)
|
506.7
|
524.2
|
496.9
|
27.3
|
4.0
|
23.3
|
8.4
|
|
2020(b)
|
460.0
|
465.5
|
453.8
|
11.7
|
2.3
|
9.4
|
6.6
|
||
(a-b)
|
46.7
|
58.7
|
43.1
|
15.6
|
1.7
|
13.9
|
1.8
|
||
|
일반
회계
|
2021(a)
|
424.4
|
438.4
|
417.7
|
20.6
|
2.6
|
18.0
|
5.5
|
2020(b)
|
389.1
|
392.4
|
385.2
|
7.1
|
1.4
|
5.7
|
3.8
|
||
(a-b)
|
35.3
|
46.0
|
32.5
|
13.5
|
1.2
|
12.3
|
1.7
|
||
|
특별
회계
|
2021(a)
|
82.3
|
85.8
|
79.1
|
6.7
|
1.3
|
5.3
|
2.9
|
2020(b)
|
70.8
|
73.1
|
68.6
|
4.5
|
0.9
|
3.6
|
2.9
|
||
(a-b)
|
11.5
|
12.7
|
10.5
|
2.2
|
0.4
|
1.7
|
0
|
* 구성항목별 계산금액은 단수 조정으로 상이할 수 있음(이하 표 동일)
□ 정부는 마감 실적을 기초로 국가결산보고서*를 작성하여 감사원 결산검사 후 5월말까지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 세입세출 이외 재정수지ㆍ국가채무ㆍ재무제표 등을 추가로 산출
【 2021회계연도 총세입ㆍ총세출 마감 주요내용 】
< 총세입 >
□ 총세입은 524.2조 원을 징수하여(전년 대비 58.7조 원 증가), 예산대비 총 17.5조 원* 증가
* 국세수입(+29.8조 원): 소득세 14.6, 법인세 4.8, 증권거래세 2.0 등
세외수입(△12.3조 원): 예수금 △15.8, 경상이전수입 0.6 등
ㅇ 국세수입은 예상보다 빠르고 강한 경제회복세와 부동산 시장 요인에 기인하여 예산대비 29.8조 원이 증가
ㅇ 세외수입 감소(△12.3조 원)는 소상공인·취약계층 등 민생경제 지원*, 국채시장 안정과 재정건전성을 위한 국채발행 축소 등에 따른 공자기금 예수금 감소(△15.8조원) 등에 기인
*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21.11월)
< 2021회계연도 총세입 현황(조 원) >
|
① 국세수입
|
② 세외수입
|
총 세 입
(①+②)증감
|
|||||||||
20년
결산
|
21년
|
증 감
|
20년
결산
|
21년
|
증 감
|
|||||||
예산
(2차
추경기준)
|
결산
|
전년
대비
|
예산
대비
|
예산
(2차
추경기준)
|
결산
|
전년
대비
|
예산
대비
|
전년
대비
|
예산
대비
|
|||
계
|
285.5
|
314.3
|
344.1
|
58.5
|
29.8
|
180.0
|
192.4
|
180.1
|
0.1
|
△12.3
|
58.7
|
17.5
|
일반회계
|
276.3
|
304.6
|
332.5
|
56.2
|
27.9
|
116.1
|
119.8
|
105.9
|
△10.2
|
△13.9
|
46.0
|
14.0
|
특별회계
|
9.3
|
9.6
|
11.6
|
2.3
|
1.9
|
63.9
|
72.6
|
74.2
|
10.4
|
1.6
|
12.7
|
3.5
|
< 총세출 >
□ 총세출은 예산현액* 509.2조 원 중 496.9조 원을 집행하여 전년 대비 43.1조 원 증가(집행률 97.6%)
* 예산현액(509.2조 원)= 예산액(506.7조 원) + 전년도 이월액 등(2.5조 원)
ㅇ 민생안정을 위한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 지원, 코로나19 백신 구입 등 방역체계 구축사업, 일자리 창출 지원 및 한국판 뉴딜 사업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적극적으로 재정 집행
< ‘21회계연도 총세출 현황(단위 : 조 원, %) >
구 분
|
예산액
(A)
|
전년도
이월액
(B)
|
초과지출
승인액 등
(C)
|
예산현액
(D=A+B+C)
|
지출액
(E)
|
집행률
(E/D)
|
합 계
|
506.7
|
2.3
|
0.2
|
509.2
|
496.9
|
97.6
|
일반회계
|
424.4
|
1.4
|
0.0
|
425.9
|
417.7
|
98.1
|
특별회계
|
82.3
|
0.9
|
0.2
|
83.3
|
79.1
|
95.0
|
< 이 월 >
□ 이월은 4.0조 원으로 전년 대비 1.7조 원 증가
ㅇ 동절기 공사 중지, 미지급금 이월 등의 사유로 국방부 1.0조 원, 질병관리청 0.7조 원,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 0.4조 원, 교통시설특별회계 0.3조 원, 환경개선특별회계 0.2조 원 등 발생
< ‘21회계연도 이월 현황(단위 : 조 원) >
구 분
|
2021년(A)
|
2020년(B)
|
증감(A-B)
|
합 계
|
4.0
|
2.3
|
1.7
|
일반회계
|
2.6
|
1.4
|
1.2
|
특별회계
|
1.3
|
0.9
|
0.4
|
< 세계잉여금 >
□ 일반회계 세계잉여금 18.0조 원과 특별회계 세계잉여금 5.3조 원을 합한 총세계잉여금은 23.3조 원
* 총세계잉여금 = 결산상 잉여금(총세입액–총세출액) - 다음연도 이월액
ㅇ 일반회계 세계잉여금(18.0조 원)은 국가재정법 제90조에 따라 4월 중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처리하고,
* ①지방교부세(금) 정산, ②공적자금상환기금 출연, ③채무상환, ④추경재원 또는 세입이입
ㅇ 특별회계 세계잉여금(5.3조 원)은 각 근거법령에 따라 자체세입조치 예정
< 불 용 >
□ 불용*은 8.4조 원이며 불용률은 1.6% 수준
* 불용(조 원) = 예산현액(509.2) - 총세출(496.9) - 이월(4.0)
< 연도별 불용규모(조 원, %) >
|
’07∼’15년
평균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총계기준
|
8.7
|
11.0
|
7.1
|
8.6
|
7.9
|
6.6
|
8.4
|
(불용률)
|
(3.1)
|
(3.2)
|
(2.0)
|
(2.3)
|
(1.9)
|
(1.4)
|
(1.6*)
|
* 불용률 = 세출예산현액(509.2조 원) 대비 불용액
참고 : 1. 2021회계연도 국세수입 실적
2. 2021회계연도 세계잉여금 규모 및 처리계획
참고 1
|
|
2021회계연도 국세수입 실적
|
1
|
2021년 국세수입
|
□ 2021년 국세수입 실적은 344조 782억 원으로,
전년(285조 5,462억 원)대비 58조 5,320억 원(20.5%) 증가
➊ 일반회계 국세수입 실적은 332조 5,048억 원으로,
전년(276조 2,782억 원)대비 56조 2,266억 원(20.4%) 증가
➋ 특별회계 국세수입 실적은 11조 5,734억 원으로,
전년(9조 2,680억 원)대비 2조 3,054억 원(24.9%) 증가
(단위 : 억 원, %)
구 분
|
’20년
실적(A)
|
'21년
예산(B)
|
'21년
결산(C)
|
전년대비
(C-A)
|
|
예산대비
(C-B)
|
|
|
비율
|
비율
|
|||||||
총 국 세
|
2,855,462
|
3,142,816
|
3,440,782
|
585,320
|
(20.5)
|
297,966
|
(9.5)
|
|
|
일반회계
|
2,762,782
|
3,046,421
|
3,325,048
|
562,266
|
(20.4)
|
278,627
|
(9.1)
|
|
특별회계
|
92,680
|
96,395
|
115,734
|
23,054
|
(24.9)
|
19,339
|
(20.1)
|
□ 전년실적(285.5조 원) 대비 세수 증가(+58.5조 원) 원인
➊ (경제회복) 법인세, 증권거래세, 부가가치세 등 +38.3조 원(65.5%)
- 수출·입 사상 최대치, 소비·고용 등 경제 전분야 빠르게 회복
➋ (부동산 관련) 양도소득세, 증여세, 종부세 +17.2조 원(29.3%)
➌ (우발세수) 상속세 +3.0조 원(5.2%)
□ 예산(314.3조 원) 대비 초과세수(+29.8조 원) 원인
➊ (경제회복) 법인세, 부가가치세 등 +14.5조 원(48.5%)
➋ (부동산 관련) 양도소득세, 증여세, 종부세 +14.0조 원(47.1%)
- 상승세는 둔화, 다만 추경 이후 시장안정화 전망과는 차이
➌ (우발세수) 상속세 +1.3조 원(4.4%)
2
|
세목별 국세수입 실적
|
(단위 : 억 원, %)
구 분
|
’20년
실적
|
’21년
예산
|
’21년
결산
|
’20년 실적대비
|
’21년 예산대비
|
||
증감액
|
증감률
|
증감액
|
증감률
|
||||
총 국 세
|
2,855,462
|
3,142,816
|
3,440,782
|
585,320
|
(20.5)
|
297,966
|
(9.5)
|
소 득 세
|
931,087
|
994,743
|
1,141,123
|
210,036
|
(22.6)
|
146,380
|
(14.7)
|
ㆍ종합소득세
|
160,730
|
164,776
|
159,902
|
△828
|
(△0.5)
|
△4,874
|
(△3.0)
|
ㆍ양도소득세
|
236,558
|
254,648
|
367,072
|
130,514
|
(55.2)
|
112,424
|
(44.1)
|
ㆍ근로소득세
|
409,051
|
435,228
|
472,312
|
63,261
|
(15.5)
|
37,084
|
(8.5)
|
법 인 세
|
555,132
|
655,465
|
703,963
|
148,831
|
(26.8)
|
48,498
|
(7.4)
|
상속증여세
|
103,753
|
119,298
|
150,062
|
46,309
|
(44.6)
|
30,764
|
(25.8)
|
부가가치세
|
648,829
|
693,474
|
712,046
|
63,217
|
(9.7)
|
18,572
|
(2.7)
|
개별소비세
|
92,181
|
100,655
|
93,638
|
1,457
|
(1.6)
|
△7,017
|
(△7.0)
|
증권거래세
|
87,587
|
82,820
|
102,556
|
14,969
|
(17.1)
|
19,736
|
(23.8)
|
인 지 세
|
9,652
|
9,467
|
9,598
|
△54
|
(△0.6)
|
131
|
(1.4)
|
과년도수입
|
41,651
|
45,920
|
51,465
|
9,814
|
(23.6)
|
5,545
|
(12.1)
|
교통에너지환경세
|
139,379
|
156,903
|
165,984
|
26,605
|
(19.1)
|
9,081
|
(5.8)
|
관 세
|
70,585
|
83,472
|
82,270
|
11,685
|
(16.6)
|
△1,202
|
(△1.4)
|
교 육 세
|
46,937
|
53,066
|
51,039
|
4,102
|
(8.7)
|
△2,027
|
(△3.8)
|
종합부동산세
|
36,006
|
51,138
|
61,302
|
25,296
|
(70.3)
|
10,164
|
(19.9)
|
주 세
|
30,084
|
32,492
|
26,734
|
△3,350
|
(△11.1)
|
△5,758
|
(△17.7)
|
농 특 세
|
62,596
|
63,903
|
89,000
|
26,404
|
(42.2)
|
25,097
|
(39.3)
|
3
|
국세수입 증가요인(전년실적 대비)
|
1. 빠르고 강한 경제 회복세(+38.3조 원)
□ (법인세: +14.9조 원) 글로벌 경기 및 반도체 업황 개선 등이 반영되어 수출* 역대 최대치 달성, 법인 영업이익** 급증
* 수출(억 불): (’20)5,125 → (’21)6,444 <+25.7%>
** 영업이익(KOSPI상장, 조 원): (’19)56.3 → (’20)67.5 → (’21.1~3분기)81.2
□ (부가가치세: +6.3조 원, 교통·에너지·환경세: +2.7조 원) 코로나 확산에 대응한 적극적 재정운용 등에 힘입은 경기회복으로 소비* 및 수입** 증가
* 민간소비(조 원): (’20)849.1 → (’21)879.8 <+3.6%>
** 수입(억 불): (’20)4,676 → (’21)6,150 <+31.5%>
ㅇ 하반기 환율* 상승도 부가세(수입분), 교통세 증가에 영향
* 환율(월평균, ₩/$): (’21.6)1,121 → (9)1,170 → (12)1,184
□ (근로소득세: +6.3조 원) 임금* 상승, 상용근로자 중심으로 취업자** 증가
* 명목임금(전년비, %): (’20)1.1 → (’21e)4.5
** 취업자(만 명): (’19)2,712 → (’20)2,690 → (’21)2,727 <+37만 명>
□ (증권거래세: +1.5조 원, 농어촌특별세: +2.6조 원) 주식시장* 호조
* 코스피지수(연평균, pt): (’20)2,220 → (’21)3,111 <+40.1%>
증권거래대금(코스피, 조 원): (’20)3,026 → (’21)3,825 <+26.4%>
2. 부동산 시장 요인(+17.2조 원)
□ (양도소득세: +13.1조 원, 증여세: +1.6조 원) 부동산* 등 자산가격 상승
* 주택가격(전년비, %): (전국)9.9 (수도권)12.8 (지방)7.4
□ (종합부동산세: +2.5조 원) 공시가격* 상승 및 공정시장가액 비율** 인상
* 공동주택 공시가격(전년비, %): (’20)5.98 → (’21)19.05
** 공정시장가액 비율(%): (’20)90 → (’21)95
3. 우발요인(+3.0조 원)
□ (상속세: +3.0조 원) 자산가 사망 등에 따른 세수 증가
참고 2
|
|
2021회계연도 세계잉여금 규모 및 처리계획
|
□ (규모) 2021회계연도 총세계잉여금은 23.3조 원
ㅇ 일반회계 세계잉여금 18.0조 원, 특별회계 세계잉여금 5.3조 원
< 세계잉여금 연도별 추이 >
(단위: 조 원)
구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일반회계
|
6.1
|
10.0
|
10.7
|
0.06
|
5.7
|
18.0
|
특별회계
|
1.9
|
1.3
|
2.5
|
2.1
|
3.6
|
5.3
|
계
|
8.0
|
11.3
|
13.2
|
2.1
|
9.4
|
23.3
|
□ (발생원인) 예산 대비 총세입 증가(+17.5조 원) 등에 기인
※ 총세계잉여금 = 결산상 잉여금(총세입 – 총세출) - 이월액
|
ㅇ 총세입(일반ㆍ특별회계)은 524.2조 원으로 예산 506.7조 원 대비 +17.5조 원 증가(일반회계 +14.0, 특별회계 +3.5)
* 초과징수액(일반ㆍ특별회계): (‘20년) 5.5조 원 → (’21년) 17.5조 원
- 일반회계(+14.0조 원) : 국세수입 +27.9조 원, 세외수입 △13.9조 원
- 특별회계(+3.5조 원) : 국세수입 +1.9조 원, 세외수입 +1.6조 원
ㅇ 이월액은 4.0조 원(일반회계 2.6, 특별회계 1.3)으로 전년대비 +1.7조 원 증가
* 이월액(일반ㆍ특별회계): (‘20년) 2.3조 원 → (’21년) 4.0조 원
□ (처리계획) 일반회계는 국가재정법 제90조에 따라 처리*하고, 특별회계는 각 근거법률에 따라 자체 세입 조치 예정
* ①지방교부세(금) 정산, ②공적자금상환기금 출연, ③채무상환, ④추경재원 또는 세입이입
⇒ 4월 중 법정 절차(국무회의 의결, 대통령 승인)를 거쳐 처리
첨부파일
2021회계연도 총세입·총세출 마감결과 보도자료_최종.hwpx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망기술 보유 중소기업 사업화 지원한다_중소벤처기업부 (0) | 2022.02.11 |
---|---|
보호자·간병인 PCR 검사비용 낮춘다…최대 10만원→4000원_정책브리핑 (0) | 2022.02.11 |
반려묘 등록, 전국 어디서나 가능해요_농림축산식품부 (0) | 2022.02.11 |
식약처,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2개 품목(젠바디, 수젠텍) 추가 허가_식품의약품안전처 (0) | 2022.02.11 |
2021년 개정세법 후속 시행규칙 개정안_기획재정부 (0) | 2022.0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