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대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 발표
2021.12.02 공정거래위원회
2021년 「공시대상 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 공개
- 2021년은 소수주주권의 대폭적인 신장이 돋보인 한 해 -
- 총수일가 임원의 과다겸직 등 책임경영 측면에서 우려스러운 대목도 존재 -
■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2021년 공시대상 기업집단의 지배구조 현황을 분석 ‧ 발표했다.
|
◆ 62개 공시대상 기업집단* 소속 2,218개(상장사 274개) 회사의 2020.5.1.∼2021.4.30. 기간 중 ①총수일가 경영참여 현황, ②이사회 구성 및 작동 현황, ③소수주주권 작동 현황 공개
* ’21.5.1. 지정된 71개 공시대상 기업집단 中 신규 지정집단(8개, 쿠팡, 반도홀딩스, 대방건설, 현대해상화재보험, 한국항공우주산업, 엠디엠, 아이에스지주, 중앙) 및 동일인이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집단(농협)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함.
ㅇ 올해에는 ①총수일가의 미등기임원 재직 현황, ②감사위원 분리선출 현황, ③이사회 내 ESG위원회의 구성 및 작동 현황 등 새로운 항목을 공개
|
< 주요 분석·공개 내용 >
□ 사외이사·감사위원·내부 위원회 등 지배주주나 경영진을 견제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은 지속적으로 완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사외이사) 공시대상 기업집단 소속 상장사(274개)는 대부분 관련 법(상법, 금융회사지배구조법)상 최소 선임 기준을 충족하여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법상 최소 선임 기준 보다 총 120명 초과하여 선임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에스케이」 소속회사인 ㈜나노엔텍은 올해 주총에서 1명(법상 최소 기준)의 사외이사 선임 → 단, 해당 사외이사의 자진사임(’21.4월)으로 현재 일시적으로 사외이사 공백 상태
- 한편, 올 한 해 사외이사의 이사회 참석률은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수치인 97.9%를 기록하였다.
* 94.8%(’17년)→ 96.0%(’18년)→ 95.0%(’19년)→ 96.5%(’20년)→ 97.9%(’21년)
ㅇ (감사위원 분리선출) 공시대상 기업집단 소속 상장사(274개) 중 올해 감사위원 선출 수요가 발생한 153개사(49개 집단)는 모두 감사위원 분리선출 제도*에 부합하게 감사위원을 선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 대주주로부터 감사위원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감사위원이 되는 이사(1인 이상)를 이사 선출 단계에서부터 다른 이사들과 분리 선임하도록 하는 제도로, 상법 상 감사위원 분리선출 제도는 공정경제3법 개정으로 ’20.12.29.부터 시행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상 동 제도는 ’16.8.1.부터 시행)
- 특히 현대에버다임(3인), 케이씨씨(2인), DB금융투자(3인), 유진투자증권(2인) 등 4개사는 법상 최소요건을 상회하여 각 2명 이상의 감사위원을 분리선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내부 위원회) 공시대상 기업집단 소속 상장사(274개)들은 관련 법상 최소 기준*을 크게 상회하여 이사회 내 위원회를 설치하였을 뿐 아니라, 위원회 유형별로 볼 때도 전년 대비 설치회사 수가 모두 증가**하였다.
* 상법, 금융회사지배구조법(금융회사): 자산총액 2조 원 이상 상장회사는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이하 ‘추천위원회)·감사위원회 도입 의무화 / 보상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ESG위원회는 도입 여부 자율
** 추천위원회(167→175개), 감사위원회(202→210개), 보상위원회(90→99개), 내부거래위원회(107→111개), ESG위원회(47개, 올해 신규분석)
ㅇ (투표제) 공시대상 기업집단 상장사(274개) 중 집중·서면·전자투표제를 하나라도 도입한 회사는 216개사(78.8%)로 전년 대비 대폭 증가*하였다.
* 51개사(’17년)→ 85개사(’18년)→ 100개사(’19년)→ 147개사(’20년)→ 216개사(’21년)
- 특히, 전자투표제의 경우 도입 회사 비율이나 실시 회사 비율 모두 전년 대비 상당한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 도입: 49.6%→ 75.2%(25.6%p↑), 실시: 48.1%→ 73.4%(25.3%p↑)
- 전자투표제를 통한 소수주주의 의결권 행사 주식수는 전년(약 6천7백만 주) 대비 두 배 가까운 수준(약 1억2천7백만 주)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 이와 같이 제도적 장치는 보다 완결적으로 구비되고 있는 반면, 실질적 운영 측면에서는 여전히 지배주주나 경영진을 견제하기에 미흡한 부분이 상당하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ㅇ (총수일가 이사 등재) 총수일가는 대기업집단의 사익편취 규제대상 및 사각지대 회사에 집중적으로 등재되어 있다.
* 총수일가는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의 56.3%, 사각지대 회사의 20.9%에 각각 이사로 등재되어 있음 (반면, 비규제대상 회사의 8.1%에서 이사로 등재)
- 한편, 총수 본인은 1인당 평균 3개 회사에 이사로 등재되어 있으며, 그 중 5개 집단(SM(12개), 하림(7개), 롯데(5개), 영풍(5개), 아모레퍼시픽(5개))의 경우 총수 1명이 5개 이상의 계열사에 등재되는 등 책임 있는 경영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지배구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ㅇ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재직) 총수일가가 이사회 활동을 하지 않는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한 경우는 총 176건으로 나타났으며, 사익편취 규제대상 및 사각지대 회사에서 집중적으로 재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총수일가는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의 15.5%, 사각지대 회사의 8.9%에서 각각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고 있음 (반면, 비규제대상 회사의 3.6%에서 미등기임원으로 재직)
- 한편, 총수 본인은 1인당 평균 2.6개 회사에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4개 집단(중흥건설(11개), 유진(6개), 씨제이(5개), 하이트진로(5개))의 경우 총수 1명이 5개 이상의 계열사에 재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기업집단 「중흥건설」의 경우, 총수 본인과 총수2세는 각 11개 계열사에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한 것으로 나타남
ㅇ (이사회) 이사회 구성 측면에서는 계열사 퇴직 임직원 출신 사외이사를 선임한 경우가 46건(38개 회사, 20개 집단)있었으며, 이 중 36.9%(17건)는 사익 편취 규제 및 사각지대 회사에서 선임된 것으로 나타났다.
- 운영 측면에서도 이사회 상정 안건의 대부분이 원안 가결(99.62%)된 가운데, 계열사 간 대규모 내부거래(상품·용역거래 한정) 안건(341건)의 경우 모든 안건이 원안대로 가결되었고,
- 특히, 대규모 내부거래 대부분이 수의계약으로 이루어지는 가운데(341건 중 340건), 안건에 수의계약 사유조차 기재하지 않은 경우가 72.4%에 달하는 등 실질적인 심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공익법인) 대기업집단 소속 공익법인(164개) 중 계열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공익법인(52개)에의 총수일가 이사등재 비율 또한 전년(62.5%) 대비 증가(69.2%)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ㅇ (기관투자자) 국내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비율(74.5%) 및 반대 비율(6.4%)이 전년(각 72.3%, 5.9%) 대비 증가하는 등 기관투자자의 영향력이 소폭 확대되었으나,
- 국내․해외 기관투자자 반대로 부결된 안건(25건) 중 국내 기관투자자 반대로 부결된 안건(7건)은 28%에 불과하는 점 등 국내 기관투자자에 의한 실질적인 견제 정도는 비교적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종합 평가 및 향후 계획 >
□ 올 한 해 전자투표제를 도입․실시한 회사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전자투표제를 통한 소수주주의 의결권 행사 주식수가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하는 등 소수주주 권리가 대폭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이는 코로나-19 상황 하에서 비대면 방식의 주주총회 개최가 활발해진 점, 개인 주식투자자의 비율이 높아진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인 것으로 판단된다.
ㅇ 소수주주 권리 신장 효과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되기 위해서는 비대면 방식의 주주총회 개최, 전자투표제 실시 등 제도적 기반이 위드 코로나 시대에도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아야 할 것이다.
□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반면, 등기임원으로서의 책임을 부담하지 않는 미등기임원으로 다수 재직하고 있다는 사실은 책임경영 측면에서 우려스러운 대목으로 지적된다.
* 17.3%(’17년)→ 15.8%(’18년)→ 14.3%(’19년)→ 13.3%(’20년)→ 11.0%(’21년), 5년 연속 분석대상 집단 기준
ㅇ 특히 총수일가 미등기임원은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 또는 사각지대 회사에 집중적으로 재직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ㅇ 이는 총수일가가 지분율이 높은 회사에 재직하면서 권한과 이로 인한 이익은 향유하면서도, 그에 수반되는 책임은 회피하려 한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나타낸다.
□ 총수일가는 계열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공익법인에 집중적으로 이사로 등재되어 있으며, 이에 총수일가가 공익법인을 사회적 공헌활동 보다 편법적 지배력 유지·확대에 사용할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ㅇ ’21.12.30.부터는 개정 공정거래법 시행으로 계열사 보유주식에 대한 공익법인의 의결권 행사가 일정 범위 내에서 제한되며, 그 준수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내년도에는 실태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요구가 확산되면서 ESG 경영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공시대상 기업집단 소속 상장사(274개) 중 47개사가 이사회 내 ESG위원회를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다만 현재는 대부분의 상장사가 ESG위원회를 새롭게 구성하고 있는 단계이므로, 위원회 구성에서 사외이사 비율*이 높지 않고 위원회 안건 내용 또한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는데, 앞으로는 보다 내실 있는 운영을 기대한다.
* 위원회 별 사외이사 비율: 감사위원회(99.4%), 내부거래위원회(87.4%), ESG위원회(76.0%), 추천위원회(75.4%), 보상위원회(71.3%)
** 71개 안건 중 19개 안건(26.8%)이 ‘ESG위원장 선임’ 관련 안건에 해당
□ 앞으로도 공정위는 대기업집단의 지배구조․채무보증․주식소유․내부거래 현황 등 정보를 지속적으로 분석·공개함으로써 시장의 자율적 감시를 활성화하고 자발적인 소유․지배구조 개선을 유도해나갈 계획이다.
|
Ⅰ
|
|
총수일가의 경영참여 현황
|
1
|
총수일가의 이사 등재 현황
|
54개 총수 있는 공시대상기업집단, 2,100개 계열회사(상장·비상장) / `21.5.1. 기준
|
1. 현황
□ 총수 있는 54개 공시대상기업집단의 소속회사 2,100개 중 총수일가가 1명 이상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은 15.2%(319개 사)이다.
ㅇ 분석대상 회사 전체 등기이사 7,665명 중 총수일가는 5.6%인 427명이다.
< 총수일가 이사등재 현황 >
(단위: 개 사, 명)
구 분
|
회사수
|
이사수
|
||||
상장
|
비상장
|
계
|
상장
|
비상장
|
계
|
|
분석대상 회사 전체
|
252
|
1,848
|
2,100
|
1,587
|
6,078
|
7,665
|
총수일가
등재회사
|
98
(38.9%)
|
221
(12.0%)
|
319
(15.2%)
|
121
(7.6%)
|
306
(5.0%)
|
427
(5.6%)
|
□ 작년·올해 연속으로 분석대상에 포함된 51개 집단*의 소속회사 2,002개 사(상장 247개 사, 비상장 1,755개 사) 중 총수일가가 1명 이상 이사로 등재된 회사는 306개 사로 전년 대비 1.1%p 감소**했다.
* 총수있는 집단으로서 올해 분석대상인 54개 집단 중 작년 신규 지정된 3개 집단(IMM인베스트먼트, 장금상선, 삼양)을 제외한 총수 있는 51개 집단
** (2020년) 1,905개사 중 313개사(16.4%) → (2021년) 2,002개사 중 306개사(15.3%)
□ 올해 「부영」(△17개사), 「셀트리온」(△5개사), 「호반건설」(△2개사)에서 총수 본인의 이사 등재회사 수가 감소했다.
□ 개별 집단별로는 총수일가 이사등재 비율에 큰 차이가 있었으며,
ㅇ 전체 계열사 중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중은 「셀트리온」(100.0%), 「케이씨씨」(66.7%), 「SM」(62.8%), 「오씨아이」(61.1%), 「금호석유화학」(53.3%) 순으로 높고, 「삼천리」(0.0%), 「코오롱」(0.0%), 「미래에셋」(0.0%), 「엘지」(1.4%), 「삼성」(1.7%) 순으로 낮았다.
2. 특징
최근 5년간('17~'21년) 연속 분석대상 집단의 총수일가 이사등재 현황을 살펴보면, 총수일가의 이사 등재회사 비율 및 총수 본인이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은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이다.
< (최근 5년간 연속 분석대상 21개 집단) 총수일가 이사 등재회사 비율 >
구 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총수일가
|
17.3%
|
15.8%
|
14.3%
|
13.3%
|
11.0%
|
총수 본인
|
5.1%
|
5.4%
|
4.7%
|
3.9%
|
2.8%
|
ㅇ 한편, 총수 있는 54개 분석대상 집단 중 총수 본인이 이사로 등재된 회사가 없는 집단은 21개 집단*이며, 그 중 10개 집단은 총수 2·3세**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도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삼성, 한화, 현대중공업, 신세계, 씨제이, 부영, DL, 미래에셋, 금호아시아나, 셀트리온, 네이버, DB, 코오롱, 한국타이어, 이랜드, 태광, 동원, 삼천리, 동국제강, 유진, 하이트진로
(밑줄은 총수 본인 및 2·3세 모두 이사 등재회사가 없는 집단)
** 총수 3세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는 없음 (분석대상 총수있는 51개 집단 전체)
총수일가는 기업집단의 주력회사, 지주회사,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 및 규제 사각지대 회사에 집중적으로 이사로 등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주력회사*에서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은 42.9%(119개 사 중 51개 사)로, 기타 회사(2조 원 미만 상장사, 비상장사)에서의 이사 등재회사 비율(13.5%) 및 전체 회사 비율(15.2%) 보다 월등히 높다.
* 자산 규모 2조 원 이상 상장사
< 주력회사 - 기타회사 총수일가 이사등재 현황 >
(단위: 개 사)
구 분
|
전체
회사 수
(a)
|
총수일가 이사
등재회사 수 (비율)
(b)
|
비중
(b/a)
|
총수본인 이사
등재회사 수 (비율)
(c)
|
비중
(c/a)
|
||
주력회사
|
119
|
51
|
(16.0%)
|
42.9%
|
29
|
(29.6%)
|
24.4%
|
기타회사
|
1,981
|
268
|
(84.0%)
|
13.5%
|
69
|
(70.4%)
|
3.5%
|
전체
|
2,100
|
319
|
(100.0%)
|
15.2%
|
98
|
(100.0%)
|
4.7%
|
ㅇ 지주회사체제 전환집단에서 지주회사의 경우 총수일가(82.1%) 및 총수(46.4%)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지주전환집단 - 일반집단 총수일가 이사등재 현황 >
(단위: 개 사, %)
구 분
|
회사수
|
총수일가
이사 등재회사 수(비중)
|
총수 본인
이사 등재회사 수(비중)
|
||||
지주전환집단*
|
전체
|
969
|
161
|
(16.6)
|
44
|
(4.5)
|
|
|
지주회사**
|
28
|
23
|
(82.1)
|
13
|
(46.4)
|
|
일반집단
|
전체
|
1,131
|
158
|
(14.0)
|
54
|
(4.8)
|
|
|
대표회사
|
31
|
19
|
(61.3)
|
14
|
(45.2)
|
|
전체
|
2,100
|
319
|
(15.2)
|
98
|
(4.7)
|
* 지주전환집단 : 지주회사 및 자·손자·증손회사의 자산총액 합계액이 기업집단 전체 소속회사의 자산총액 합계액의 100분의 50이상인 기업집단, 총수 없는 기업집단 제외
** 분석대상 지주회사에서 중간지주회사는 제외됨, ’21.5.1. 기준 23개 기업집단, 28개 지주회사(에스케이, 엘에스, 셀트리온, 효성, 세아는 지주회사 2개 보유)
ㅇ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 중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은 56.3%(213개 사 중 120개 사), 사익편취 규제 사각지대 회사** 중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은 20.9%(359개 사 중 75개 사)로서, 비규제대상 회사에서의 총수일가 이사등재 비율(8.1%)이나 전체 비율(15.2%) 보다 높다.
* 총수일가의 지분율이 30% 이상인 상장회사(비상장회사는 20%)
** ①총수일가 지분율 20%~30% 구간 상장사, ②사익편취 규제대상회사의 자회사, ③총수일가 지분율 20%~30% 구간 상장사의 자회사
- 특히, 총수 2‧3세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71개 사) 중 사익편취 규제대상(37개 사) 및 사각지대 회사(13개 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70.4%로 전년도에 이어 올해도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67.8%(’19년: 40개사/59개사), 67.6%(’20년: 46개사/68개사), 70.4%(’21년: 49개사/71개사)
< 사익편취 규제대상 – 비규제대상 회사 총수 2·3세 이사등재 현황 >
(단위: 개 사)
구 분
|
전체
회사 수 (a)
|
총수 2‧3세 이사등재
회사 수 (비율) (b)
|
비중 (b/a)
|
|
규제대상
|
213
|
37
|
(52.1%)
|
17.4%
|
사각지대
|
359
|
13
|
(18.3%)
|
3.6%
|
비규제대상
|
1,528
|
21
|
(29.6%)
|
1.4%
|
전체
|
2,100
|
71
|
(100.0%)
|
3.4%
|
ㅇ 공익법인의 경우 총수일가는 계열사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공익법인(52개)에 집중적으로 이사로 등재(69.2%)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익법인 총수일가 이사등재 현황 >
(단위: 개, %)
구분
|
공익법인 수
|
총수일가
이사등재(비중)
|
총수 본인
이사등재(비중)
|
총수 2세
이사등재(비중)
|
|||
계열사주식보유
|
52
|
36
|
(69.2)
|
18
|
(34.6)
|
4
|
(7.7)
|
계열사주식미보유
|
112
|
39
|
(34.8)
|
10
|
(8.9)
|
5
|
(4.5)
|
전체*
|
164
|
75
|
(45.7)
|
28
|
(17.1)
|
9
|
(5.5)
|
* 48개 기업집단(총수 있는 기업집단 중 공익법인 소유 기업집단) 소속 상증세법상 공익법인
2
|
총수일가의 이사 겸직 현황
|
54개 총수 있는 공시대상기업집단, 2,100개 계열회사(상장·비상장) / `21.5.1. 기준
|
1. 현황
□ 공시대상기업집단(54개) 소속 계열회사에서 이사로 재직하는 총수일가 1인당 평균 1.9개의 이사직함을, 이사로 재직하는 총수 본인의 경우 평균 3.0개의 이사직함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공시대상기업집단 중 총수일가가 이사로 재직하고 있는 기업집단은 51개이며, 221명의 총수일가가 427개의 이사직함을 보유하고 있다.
- 이 중 총수 본인이 이사로 재직하고 있는 기업집단은 33개이며, 33명의 총수 본인이 98개의 이사직함을 보유하고 있다.
- 또한, 총수를 제외한 일가가 이사로 재직하고 있는 기업집단은 46개이며, 188명의 총수 제외 일가가 329개의 이사직함을 보유하고 있다.
< 총수일가의 이사 겸직 현황 >
(단위: 개, 명)
총수일가(51개 집단)
|
총수(33개 집단)
|
총수 제외 일가(46개 집단)
|
||||||
이사
직함 수
|
이사 수
|
평균 이사
겸직 수
|
이사
직함 수
|
이사 수
|
평균 이사
겸직 수
|
이사
직함 수
|
이사 수
|
평균 이사
겸직 수
|
427
|
221
|
1.9
|
98
|
33
|
3.0
|
329
|
188
|
1.8
|
□ 총수 본인의 이사 겸직 수는 「SM」(12개), 「하림」(7개), 「롯데」(5개), 「영풍」(5개), 「아모레퍼시픽」(5개)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ㅇ 총수일가의 평균 이사 겸직 수(1인당)는 「아모레퍼시픽」(5개), 「SM」(3.91개), 「한라」(3.5개), 「한국타이어」(3개) 순으로 많고, 총수를 제외한 일가의 평균 이사 겸직 수(1인당)는 「태영」(3.5개), 「SM」(3.1개), 「한국타이어」(3개), 「현대백화점」(3개), 「한라」(3개), 「장금상선」(3개)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작년·올해 연속으로 분석대상에 포함된 51개 집단*의 소속회사 2,002개 사(상장 247개 사, 비상장 1,755개 사)에서 이사로 재직하는 총수일가 1인당 이사직함은 전년 대비 0.1개 감소(2.1→2.0)하였고, 총수 1인당 이사직함은 전년 대비 0.4개 감소(3.5→3.1)하였다.
* 총수있는 집단으로서 올해 분석대상인 54개 집단 중 작년 신규 지정된 3개 집단(IMM인베스트먼트, 장금상선, 삼양)을 제외한 총수 있는 51개 집단
2. 특징
□ 총수일가는 상무에 종사하지 않는 ‘기타비상무이사’*(13.3%) 보다는 기업의 운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대표이사 또는 사내이사’(85.3%)로 재직하는 비율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기타비상무이사’는 상법 제317조 제2항 제8호의 ‘그 밖에 상무에 종사하지 아니하는 이사’로, 사내이사와 사외이사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이사를 말함 → 즉, 기업의 운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대표이사 및 사내이사, 지배주주나 임원진을 견제하는 사외이사와 구별됨
ㅇ 공시대상기업집단 기준 총수 본인(33명)이 보유한 이사 직함은 총 98개이며, 이 중 대표이사 또는 사내이사로 재직하는 비율이 87.8%(86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ㅇ 또한, 총수를 제외한 일가(188명)가 보유한 이사 직함은 총 329개이며, 이 중 대표이사 또는 사내이사로 재직하는 비율이 84.5%(278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 총수일가의 이사 재직 현황 >
(단위: 개)
총수 본인
|
총수 제외 일가
|
||||||
대표이사 ·
사내이사
|
기타비상무
이사
|
그 외
이사 등
|
계
(이사수)
|
대표이사 ·
사내이사
|
기타비상무
이사
|
그 외
이사 등
|
계
(이사수)
|
86
(87.8%)
|
11
(11.2%)
|
1
(1.0%)
|
98
(33명)
|
278
(84.5%)
|
46
(14.0%)
|
5
(1.5%)
|
329
(188명)
|
* 그 외 이사 등 : 사외이사, 무한책임사원, 유한책임사원
3
|
총수일가의 미등기임원 재직 현황
|
54개 총수 있는 공시대상기업집단, 2,100개 계열회사(상장·비상장)
ㅇ ’21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회사를 대상으로 ‘20.12.31. 기준(‘20년 사업보고서 기준) 미등기임원 재직 현황을 분석
(등기임원) 법인 등기부등본에 등록되어 이사회 활동을 하는 임원으로서,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선임 필요
(미등기임원) 법인 등기부등본에 등록되어있지 않고 이사회 활동을 하지 않는 임원으로서, 명예회장ㆍ회장ㆍ부회장ㆍ사장ㆍ부사장ㆍ대표ㆍ부대표ㆍ전무ㆍ상무ㆍ이사 등 기타 회사의 업무를 집행할 권한이 있는 것으로 인정될 만한 명칭을 사용하여 업무를 집행하는 자
|
1. 현황
□ 총수 있는 54개 공시대상기업집단의 소속회사 2,100개 중 총수일가가 1명 이상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한 회사의 비율은 5.7%(120개 사)이다.
□ 전체 계열사 중 총수일가가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한 회사 비율은 집단 간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하이트진로」가 38.9%(18개사 중 7개사)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두산」, 「중흥건설」, 「장금상선」, 「케이씨씨」 순으로 그 뒤를 잇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재직 비율 상위 5개 집단 >
(단위: 개 사)
구 분
|
하이트진로
|
두산
|
중흥건설
|
장금상선
|
케이씨씨
|
전체 집단
|
|
계열회사 수
|
18
|
22
|
37
|
19
|
15
|
2,100
|
|
총수 미등기임원 재직 회사 수
|
7
|
8
|
12
|
4
|
3
|
120
|
|
비율
|
(38.9%)
|
(36.4%)
|
(32.4%)
|
(21.1%)
|
(20.0%)
|
(5.7%)
|
2. 특징
□ 총수일가 미등기임원은 상장회사,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 또는 사각지대 회사에 집중적으로 재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상장회사 중 총수일가 재직 회사 비율(20.6%)이 비상장회사 중 총수일가 재직 회사 비율(3.7%)보다 약 5.6배 높다.
< 상장회사 - 비상장회사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재직 현황 >
(단위: 개 사, %, 명)
구 분
|
상장회사
|
비상장회사
|
계
|
|
분석대상 회사 수(a)
|
252
|
1,848
|
2,100
|
|
|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재직 회사 수(b)
|
52
|
68
|
120
|
|
비율(b/a * 100)
|
20.6
|
3.7
|
5.7
|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재직 수
|
84
|
92
|
176
|
ㅇ 총수 있는 54개 공시대상기업집단의 소속회사 2,100개에 총수일가가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한 경우는 총 176건*이며, 그 중 96건(54.5%)이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 또는 사각지대 회사에 재직한 경우로 나타났다.
* 임원이 여러 회사에 재직하는 경우 중복하여 집계하였음 (예를 들어, 임원 한명이 세 개 회사에 재직하는 경우 3명으로 집계)
ㅇ 또한 전체 분석대상 회사 중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재직 회사 비율은 5.7%에 불과하나,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 중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재직 회사 비율은 15.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익편취 – 비규제대상 회사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재직 현황 >
(단위: 개 사, %)
구 분
|
|
|
|
비규제대상 회사
|
계
|
|
사익편취+
사각지대 회사
|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
|
사각지대 회사
|
||||
전체 분석대상 회사 수(a)
|
572
|
213
|
359
|
1,528
|
2,100
|
|
(27.2)
|
(10.1)
|
(17.1)
|
(72.8)
|
(100.0)
|
||
|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재직 회사 수(b)
|
65
|
33
|
32
|
55
|
120
|
|
비율
(b/a * 100)
|
11.4
|
15.5
|
8.9
|
3.6
|
5.7
|
총수일가
미등기임원 재직 수
|
96
|
47
|
49
|
80
|
176
|
|
(54.5)
|
(26.7)
|
(27.8)
|
(45.5)
|
(100.0)
|
||
|
총수 본인
|
28
|
14
|
14
|
26
|
-
|
|
총수 2‧3세
|
31
|
14
|
17
|
16
|
-
|
□ 공시대상기업집단(54개) 소속 계열회사에서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는 총수일가 1인당 평균 1.7개의 회사에 재직하고 있으며,
ㅇ 이 중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는 총수는 1인당 평균 2.6개의 회사에, 총수 2‧3세는 1인당 평균 1.7개의 회사에 재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총수일가의 미등기임원 겸직 현황 >
(단위: 개, 명)
총수일가(42개 집단)
|
총수(21개 집단)
|
총수 2‧3세(19개 집단)
|
||||||
미등기임원 재직 수
|
미등기임원 수
|
평균
겸직 수
|
미등기임원 재직 수
|
미등기임원 수
|
평균
겸직 수
|
미등기임원 재직 수
|
미등기임원 수
|
평균
겸직 수
|
176
|
101
|
1.7
|
54
|
21
|
2.6
|
47
|
28
|
1.7
|
□ 총수 본인의 미등기임원 겸직 수는 「중흥건설」(11개), 「유진」(6개) ,「씨제이」(5개), 「하이트진로」(5개), 「장금상선」(4개)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ㅇ 총수일가의 미등기임원 평균 겸직 수는 「중흥건설」(6개), 「유진」(4개), 「장금상선」(4개), 「씨제이」(3.2개) 순으로 많고, 총수 2ㆍ3세의 미등기임원 평균 겸직 수는 「중흥건설」(6개), 「유진」(4개), 「하이트진로」(2.5개)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특히, 「중흥건설」의 경우 총수 1명, 총수 2세 1명이 각 11개 계열사에 미등기임원으로 겸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Ⅱ
|
|
이사회 구성 및 작동 현황
|
1
|
사외이사 현황
|
62개 공시대상기업집단, 274개 상장회사 / `21.5.1. 현재
- ‘부영’, ‘호반건설’, ‘중흥건설’, ’한국지엠‘, ’장금상선‘의 경우 상장 계열회사가 없어 사실상 57개 집단 분석
(사외이사 비중은 비상장사도 분석)
|
1. 현황
□ 분석대상인 62개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 274개 상장사의 이사회 내 사외이사는 890명으로, 전체 이사(1,745명) 중 51.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ㅇ 관련 법*에 따라 선임해야하는 사외이사는 770명인데, 120명을 초과하여 선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상법, 금융회사지배구조법(금융회사) : 2조 원 이상 상장사(주력회사)는 3명 이상, 이사총수의 과반수 / 기타 회사는 1/4 이상. 상세내역은 [붙임 9] 참조
* 단, 「에스케이」 소속 ㈜나노엔텍은 상법상 1명 이상의 사외이사를 선임하여야 하나, 올해 주주총회에서 선임한 사외이사가 올해 4월 중 자진사임 함으로써 현재 사외이사가 0명
ㅇ 회사 당 평균 3.25명의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있으며,
- 사외이사 비중은 「한국투자금융」(75.0%), 「금호석유화학」(70.0%), 「케이티앤지」(69.2%), 「한진」(68.9%) 순으로 높고, 「이랜드」(16.7%), 「넥슨」(25.0%), 「동원」(30.8%), 「IMM인베스트먼트」(33.3%) 순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전년·올해 연속 분석대상 기업집단*(58개) 소속 상장사의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중(51.2%)은 전년(50.9%) 대비 0.3%p 증가했다.
* 올해 분석대상 62개 집단 중 작년 신규 지정된 4개 집단(에이치엠엠, IMM인베스트먼트, 장금상선, 삼양)을 제외한 58개 집단
□ 분석대상 기업집단의 사외이사의 이사회 참석률은 97.9%이며, 최근 1년 간(’20.5.1.~’21.4.30.) 이사회 안건 6,898건 중 사외이사 반대 등으로 원안대로 통과되지 않은 안건은 26건(0.38%)에 불과했다.
< 이사회 안건 처리 현황 >
(단위: 건)
안건
|
원안가결
(비중)
|
원안대로 통과되지 않은 건(비중)
|
||||
부결
|
조건부가결
|
보류
|
수정의결
|
소계
|
||
6,898
|
6,872
|
6
|
1
|
11
|
8
|
26
|
(99.62%)
|
(0.09%)
|
(0.01%)
|
(0.16%)
|
(0.12%)
|
(0.38%)
|
2. 특징
□ 분석대상 기업집단 전체 소속 회사 중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96.7%)에서의 이사회 사외이사 참석률은 비규제대상 회사(97.9%) 보다 낮았으며, 사외이사 비중은 사각지대 회사에서 높게 나타났다.
ㅇ 사익편취 사각지대 회사(8건)나 비규제대상 회사(18건)와 달리 규제대상 회사에서는 이사회 안건 중 원안대로 통과되지 않은 안건이 1건도 없었다.
< 사익편취 규제대상 및 사각지대회사 – 비규제대상 회사의 사외이사 현황 >
(단위: 명)
구분
|
전체 이사 수
|
사외이사수
|
비중
|
이사회 참석률
|
원안 가결률
|
규제대상*(29개 사)
|
179
|
88
|
49.2%
|
96.7%
|
100.0%
|
사각지대**(53개 사)
|
337
|
183
|
54.3%
|
98.4%
|
99.4%
|
비규제대상(192개 사)
|
1,229
|
619
|
50.4%
|
97.9%
|
99.6%
|
전체(274개 사)
|
1,745
|
890
|
51.0%
|
97.9%
|
99.6%
|
* 총수 일가의 지분율이 30% 이상인 상장사
** ①총수일가 지분율 20%~30% 구간 상장사, ②사익편취 규제대상회사의 자회사 중 상장사, ③총수일가 지분율 20%~30% 구간 상장사의 자회사 중 상장사
2
|
계열회사 퇴직임직원 출신 사외이사 현황
|
62개 공시대상기업집단, 2,218개 계열회사(상장·비상장) / `21.5.1. 현재
※ ‘사외이사’는 이사회 등에서 회사 업무 집행에 관한 의사 결정, 대표이사 선출, 대표이사 업무 집행에 대한 감독 등의 기능을 수행함
|
1. 현황
□ 공시대상기업집단(62개) 중 20개 기업집단*의 38개 회사에서 계열회사 퇴직임직원 출신(5년 이내, ’21. 5. 1.기준) 사외이사 46명을 선임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개 기업집단) 현대자동차, 에스케이, 롯데, 한화, 지에스, 신세계, 케이티, 두산, 미래에셋, 교보생명보험, 에이치디씨, 효성, 영풍, 호반건설, DB, 태광, 삼천리, 다우키움, 장금상선, 애경
|
ㅇ 기업집단별로 살펴보면, 계열회사 퇴직임직원 출신 사외이사를 선임한 수는 「두산」(6명), 「다우키움」(6명), 「영풍」(4명), 「태광」(4명), 「롯데」(3명), 「미래에셋」(3명)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특징
□ 계열회사 퇴직임직원 출신 사외이사 46명 중 44명(95.7%)이 총수 있는 집단 소속인 것으로 나타났다.
< 총수있는 집단 – 총수없는 집단, 계열회사 출신 사외이사 현황 >
(단위: 명)
구 분
|
계
|
총수 있는 기업집단(17개)
|
총수 없는 기업집단(3개)
|
|
계열회사 출신 사외이사 수
|
46
|
44 (95.7%)
|
2 (4.3%)
|
□ 한편, 계열회사 퇴직임직원 출신 사외이사 46명 중 17명(36.9%)이 사익편취 규제대상 및 사각지대 회사(13개사) 소속인 것으로 나타났다.
< 규제 및 사각지대 – 비규제 대상회사, 계열회사 출신 사외이사 현황 >
(단위: 명)
구 분
|
계
|
사익편취 규제대상
|
사각지대
|
비규제대상
|
|
계열회사 출신 사외이사 수
|
46
|
6 (13.0%)
|
11 (23.9%)
|
29 (63.1%)
|
3
|
이사회 내 위원회 현황
|
62개 공시대상기업집단, 274개 상장회사 / `21.5.1. 현재
- ‘부영’, ‘호반건설’, ‘중흥건설’, ’한국지엠‘, ’장금상선‘의 경우 상장 계열회사가 없어 사실상 57개 집단 분석
자산총액 2조 원 이상 상장사 등에 도입이 의무화된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감사위원회, 도입여부가 기업자율인 보상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ESG위원회에 대해 분석
|
1. 현황
□ 62개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 274개 상장회사에서 법상 최소 기준을 상회하여 이사회 내 위원회를 설치하였다.
* 상법, 금융회사지배구조법(금융회사) :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회사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이하 ‘추천위원회) · 감사위원회 도입 의무화 / 보상위원회 · 내부거래위원회 · ESG위원회는 도입여부 자율
< 이사회 내 위원회 법상 최소기준 및 설치 현황 >
(단위: 개 사)
구분
|
추천위원회
|
감사위원회
|
보상위원회
|
내부거래위원회
|
ESG위원회
|
법상 최소기준
|
127
|
127
|
0
|
0
|
0
|
위원회 설치 회사수
(비중)
|
175
(63.9%)
|
210
(76.6%)
|
99
(36.1%)
|
111
(40.5%)
|
47
(17.2%)
|
□ 최근 1년 간(’20.5.1.~’21.4.30.) 상기 5개 위원회에 상정된 안건(2,411건) 중 원안대로 통과되지 않은 안건은 모두 14건*이다.
* 조건부가결이 2건, 수정의결이 6건, 보류가 3건, 부결이 3건
□ 분석대상 기업집단 소속 상장사의 이사회 내 위원회 설치 비율은 모든 위원회에 대해 전년 대비 각각 증가하였다.
* 추천위원회(167→175개), 감사위원회(202→210개), 보상위원회(90→99개), 내부거래위원회(107→111개), ESG위원회(47개, 올해 신규분석)
2. 특징
총수 있는 집단은 총수 없는 집단에 비해 추천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ESG위원회 설치비율이 높은 반면, 감사위원회 및 보상위원회 설치비율이 낮았다.
< 소속 상장사 중 이사회 내 위원회 설치 회사 비율 >
(단위: %)
구분
|
추천위원회
|
감사위원회
|
보상위원회
|
내부거래
위원회
|
ESG위원회
|
총수 있는 집단
|
65.9
|
76.2
|
33.7
|
42.9
|
17.9
|
총수 없는 집단
|
40.9
|
81.8
|
63.6
|
13.6
|
9.1
|
이사회 내 위원회 안건 중 부결 및 영향력 행사 안건은 총 14건 중 10건이 총수 있는 집단에서 발생하였고, 이사회 내 위원회의 원안가결률은 총수 없는 집단(97.7%) 보다 총수 있는 집단(99.6%)에서 1.9%p 높게 나타났다.
< 총수있는 집단 – 총수없는 집단의 안건 가결여부 현황 >
(단위 : 건)
구분
|
안건
|
원안가결
(비중)
|
부결
|
영향력 행사
|
소계
(비중)
|
||||
조건부가결
|
보류
|
수정의결
|
|||||||
총수있는집단
|
2,236
|
2,226
|
(99.6%)
|
3
|
1
|
2
|
4
|
10
|
(0.4%)
|
총수없는집단
|
175
|
171
|
(97.7%)
|
0
|
1
|
1
|
2
|
4
|
(2.3%)
|
계
|
2,411
|
2,397
|
(99.4%)
|
3
|
2
|
3
|
6
|
14
|
(0.6%)
|
사익편취 규제대상 및 사각지대 회사의 경우, 비규제대상 회사에 비해 보상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ESG위원회의 설치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사익편취 규제대상 - 비규제대상 회사의 위원회 설치 현황 >
(단위: 개 사)
구분
|
추천위원회
|
감사위원회
|
보상위원회
|
내부거래
위원회
|
ESG위원회
|
|||||
규제대상*(29개사)
|
16
|
(55.2%)
|
21
|
(72.4%)
|
5
|
(17.2%)
|
8
|
(27.6%)
|
5
|
(17.2%)
|
사각지대**(53개사)
|
37
|
(69.8%)
|
45
|
(84.9%)
|
11
|
(20.8%)
|
22
|
(41.5%)
|
8
|
(15.1%)
|
계(82개사)
|
53
|
(64.6%)
|
66
|
(80.5%)
|
16
|
(19.5%)
|
30
|
(36.6%)
|
13
|
(15.9%)
|
비규제대상(192개사)
|
122
|
(63.5%)
|
144
|
(75.0%)
|
83
|
(43.2%)
|
81
|
(42.2%)
|
34
|
(17.7%)
|
* 총수 일가의 지분율이 30% 이상인 상장사
** ①총수일가 지분율 20%~30% 구간 상장사, ②사익편취 규제대상회사의 자회사 중 상장사, ③총수일가 지분율 20%~30% 구간 상장사의 자회사 중 상장사
4
|
감사위원 분리선출 현황
|
62개 공시대상기업집단, 274개 상장회사 / `21.5.1. 현재
- ‘부영’, ‘호반건설’, ‘중흥건설’, ’한국지엠‘, ’장금상선‘의 경우 상장 계열회사가 없어 사실상 57개 집단 분석
|
1. 현황
□ 분석대상 기업집단 소속 상장사(274개 사) 중 감사위원회를 설치한 회사는 총 210개사(총수있는 집단 192개사, 총수없는 집단 18개사)이며,
ㅇ 감사위원회를 설치한 210개 상장사 중 기존 감사위원 임기 만료 등의 이유로 올해 주주총회*에서 감사위원을 선출한 회사는 총 49개 집단의 153개 회사로 나타났다.
* 개정 상법이 시행된 ’20.12.31.부터 ’21.4.30.까지의 기간 중 감사위원 선출 관련 안건은 1건을 제외하고 모두 ’21.3월 정기 주주총회에 상정되었음
ㅇ 153개사의 주주총회에 감사위원 선임 관련 총 280건의 안건이 상정되었으며, 이 중 주주총회 결의로 다른 이사들과 분리하여 선임(분리선출)된 감사위원은 총 159명이다.
< 총수 있는 집단 - 총수 없는 집단의 감사위원 선출 현황 >
(단위: 개 사, 명)
구 분
|
상장사 수
|
감사위원회 설치회사
|
|
감사위원 선출회사
|
감사위원 선출 관련 안건수
|
분리선출 감사위원 수
|
집단수
|
||||||
총수 있는 집단
|
252
|
192
|
43
|
141
|
257
|
147
|
총수 없는 집단
|
22
|
18
|
6
|
12
|
23
|
12
|
전체 집단
|
274
|
210
|
49
|
153
|
280
|
159
|
2. 특징
□ 모든 상장사는 ’20.12.29.부터 시행된 상법상 감사위원 분리선출 제도에 부합하게 감사위원을 선출한 것으로 나타났고,
ㅇ 그 중에서도 현대에버다임(3인), 케이씨씨(2인), DB금융투자(3인), 유진투자증권(2인) 등 4개사는 법상 최소요건*을 상회하여 각 2명 이상의 감사위원을 분리선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 상법, 금융회사지배구조법(금융회사): 감사위원회 설치회사의 경우 1명 이상 분리선출 필요. 상세내역은 [붙임 9] 참조
5
|
이사회 내 위원회의 총수일가 등재 및 사외이사 현황
|
62개 공시대상기업집단, 274개 상장회사 / `21.5.1. 현재
- ‘부영’, ‘호반건설’, ‘중흥건설’, ’한국지엠‘, ’장금상선‘의 경우 상장 계열회사가 없어 사실상 57개 집단 분석
총수일가가 위원으로 선임되어 있는 추천위원회, 보상위원회, ESG위원회에 대해 분석
|
1. 추천위원회
□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 274개 상장사 중 175개 상장사에 추천위원회가 설치되어 있고, 이 중 65개 회사에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되어 있으며, 14개 회사에서는 총수일가가 추천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 상장사 추천위원회 현황 >
(단위: 개 사)
구 분
|
전체 상장사 수
|
추천위원회 설치 상장사수
|
총수일가
이사 등재회사
|
총수일가 추천위원회
참여 회사
|
|
공시대상기업 집단(62개)
|
총계
|
274
|
175
|
65
|
14
|
비율
|
100.0%
|
63.9%
|
23.7%
|
5.1%
|
□ 추천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은 전체 설치 상장사 평균 75.4%이며, 총수일가가 추천위원회에 참여하는 경우 사외이사 비중(63.1%)은 전체 평균(75.4%) 보다 12.3%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상장사 추천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 >
구 분
|
추천위원회 사외이사 비중(평균)
|
||
전체 설치 상장사
|
총수일가
이사 등재회사
|
총수일가 추천위원회 참여 회사
|
|
추천위원회 설치 상장사(175개 사)
|
75.4%
|
75.7%
|
63.1%
|
* 사외이사 비중 = 추천위원회 소속 사외이사 수 / 추천위원회 소속 전체 이사 수
□ 총수일가가 추천위원회에 참여하는 경우 사외이사 비중(63.1%)은 전년(64.2%) 보다 1.1%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보상위원회
□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 274개 상장사 중 99개 상장사에 보상위원회가 설치되어 있고, 이 중 28개 회사에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되어 있으며, 2개 회사에서는 총수일가가 보상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 상장사 보상위원회 현황 >
(단위: 개 사)
구 분
|
전체
상장사 수
|
보상위원회
설치 상장사수
|
총수일가
이사 등재회사
|
총수일가 보상위원회
참여 회사
|
|
공시대상기업 집단(62개)
|
총계
|
274
|
99
|
28
|
2
|
비율
|
100.0%
|
36.1%
|
10.2%
|
0.7%
|
□ 보상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은 전체 설치 상장사 평균 71.0%이며, 총수일가가 보상위원회에 참여하는 경우 사외이사 비중(57.1%)은 전체 평균(71.0%) 보다 13.9%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상장사 보상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 >
구 분
|
보상위원회 사외이사 비중(평균)
|
||
전체 설치 상장사
|
총수일가
이사 등재회사
|
총수일가 보상위원회 참여 회사
|
|
보상위원회 설치 상장사(99개 사)
|
71.0%
|
78.8%
|
57.1%
|
* 사외이사 비중 = 보상위원회 소속 사외이사 수 / 보상위원회 소속 전체 이사 수
□ 총수일가가 보상위원회에 참여하는 경우 사외이사 비중(57.1%)은 전년(56.3%) 보다 0.8%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ESG위원회
□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 274개 상장사 중 47개 상장사에 ESG위원회*가 설치되어 있고, 이 중 15개 회사에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되어 있으며, 2개 회사에서는 총수일가가 ESG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 상장사 ESG위원회 현황 >
(단위: 개 사)
구 분
|
전체
상장사 수
|
ESG위원회
설치 상장사수
|
총수일가
이사 등재회사
|
총수일가 ESG위원회
참여 회사
|
|
공시대상기업 집단(62개)
|
총계
|
274
|
47
|
15
|
2
|
비율
|
100.0%
|
17.2%
|
5.5%
|
0.7%
|
□ ESG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은 전체 설치 상장사 평균 76.0%이며, 총수일가가 ESG위원회에 참여하는 경우 사외이사 비중(57.1%)은 전체 평균(76.0%) 보다 18.9%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상장사 ESG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 >
구 분
|
ESG위원회 사외이사 비중(평균)
|
||
전체 설치 상장사
|
총수일가
이사 등재회사
|
총수일가 ESG위원회 참여 회사
|
|
ESG위원회 설치 상장사(47개 사)
|
76.0%
|
78.9%
|
57.1%
|
* 사외이사 비중 = ESG위원회 소속 사외이사 수 / ESG위원회 소속 전체 이사 수
6
|
안건작성 현황
|
□ 이사회 및 위원회 안건 중 대규모 내부거래(상품·용역거래 한정) 안건 341건의 작성현황을 살펴본 결과, 대규모 내부거래에 대한 심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수의계약으로 체결한 내부거래 안건(340건) 중 수의계약 사유를 기재하지 않은 안건이 246건으로 전체 안건의 72.4%에 달했고,
* ’20년의 경우 수의계약 안건(253건) 중 78.3%(198건)이 수의계약 사유를 기재하지 않음
ㅇ 시장가격 검토·대안비교 및 법적쟁점 등 거래 관련 검토사항이 별도로 기재되지 않은 안건도 248건으로 72.7%에 달했다.
* ’20년의 경우 256개 안건 중 184건(71.9%)가 검토사항이 별도 기재되지 않음
ㅇ 거래 상대방, 계약체결방식, 계약명, 계약기간 및 계약금액만 기재된 안건도 15건 존재하였다. (수의계약사유, 거래 관련 검토사항, 거래조건 등 거래의 실질을 심사하기 위한 사항 중 어떤 항목도 기재하지 않음)
Ⅲ
|
|
소수주주권 작동 현황
|
1
|
집중 ㆍ 서면 ㆍ 전자투표제
|
62개 공시대상기업집단, 274개 상장회사 / `21.5.1. 현재
- ‘부영’, ‘호반건설’, ‘중흥건설’, ’한국지엠‘, ’장금상선‘의 경우 상장 계열회사가 없어 사실상 57개 집단 분석
|
1. 현황
□ 기업집단 상장사(274개 사) 중 집중·서면·전자투표제 중 하나라도 도입한 회사는 78.8%(216개 사)로 전년 대비 대폭 증가(’20년 55.3% → ’21년 78.8%)하였다.
< 1개 이상 투표제 도입 회사 현황 >
(단위: 개 사)
구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21년
|
제도 도입 회사 수
|
51
|
85
|
100
|
147
|
216
|
전체 상장사 수
|
169
|
253
|
250
|
266
|
274
|
비율(%)
|
30.2
|
33.6
|
40.0
|
55.3
|
78.8
|
* ’18~’21년도는 자산총액 5조 원 이상 기업집단, ’17년도는 10조 원 이상 기업집단
□ (집중투표제) 전체 상장사(274개 사) 중 4.0%(11개 사)*가 도입하였으나, 전년과 마찬가지로 실제 집중투표제 방식으로 의결권이 행사된 경우는 없었다.
* (총수 있는 집단) 7개 사, (총수 없는 집단) 4개 사
ㅇ 집중투표제를 도입한 회사 비중은 전년(4.1%, 266개사 중 11개사)에 비해 0.1%p 감소(4.0%)하였다.
□ (서면투표제) 전체 상장사(274개 사) 중 8.0%(22개 사)*가 도입하였으며, 서면투표제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한 회사 수는 15개 사로 전체 상장사 중 5.5%에서 실시되었다.
* (총수 있는 집단) 20개 사, (총수 없는 집단) 2개 사
ㅇ 서면투표제를 도입한 회사 비중은 전년(9.0%, 266개사 중 24개사)에 비해 1.0%p 감소(8.0%)하였으며, 실시회사 비중도 0.5%p 감소하였다.
□ (전자투표제) 전체 상장사(274개 사) 중 75.2%(206개 사)*가 도입하였으며, 전자투표제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한 회사는 201개 사로 전체 상장사 중 73.4%에서 실시되었다.
* (총수 있는 집단) 186개 사, (총수 없는 집단) 20개 사
ㅇ 전자투표제를 도입한 회사 비중은 전년(49.6%, 266개사 중 132개 사) 보다 25.6%p 증가(75.2%)하였으며, 실시회사 비중도 25.3%p 증가하였다.
2. 특징
코로나-19 상황 하에서 비대면 방식의 주주총회 개최가 활발해지면서 전자투표제․서면투표제 등 소수주주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의 활용도가 크게 제고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전자투표제를 도입하거나 실시한 회사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 전자투표제를 도입한 회사 현황: (’20년)49.6%, 132개사 → (’21년)75.2%, 206개사
전자투표제를 실시한 회사 현황: (’20년)48.1%, 128개사 → (’21년)73.4%, 201개사
ㅇ 서면투표제ㆍ전자투표제를 통해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를 제외한 소수주주가 의결권을 행사한 비율이 각각 0.3%p, 0.2%p 증가하였고,
- 특히 전자투표제를 통한 소수주주의 의결권 행사 주식수는 전년(약 6천7백만 주) 대비 두 배 가까운 수준(약 1억2천7백만 주)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 서면·전자투표제를 통한 소수주주의 의결권 행사 현황 >
(단위: 주)
구 분
|
서면투표제를 통한 소수주주의 의결권 행사 주식수 (비율)
|
전자투표제를 통한 소수주주의 의결권 행사 주식수 (비율)
|
|||
행사
비율*
|
'20년
|
3,398,132
|
(0.3%)
|
67,016,106
|
(0.6%)
|
'21년
|
7,791,628
|
(0.6%)
|
127,787,646
|
(0.8%)
|
|
증감
|
4,393,496
|
(0.3%p)
|
60,771,540
|
(0.2%p)
|
* 소수주주가 전체 의결권 행사 주식 수 대비 투표제로 의결권을 행사한 주식 수
총수 있는 집단은 총수 없는 집단에 비해 3개 제도의 도입률이 낮았으며, 특히 전자투표제는 총수 없는 집단(90.9%)과 총수 있는 집단(73.8%)의 도입률 차이가 17.1%p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 총수 있는 집단 – 총수 없는 집단의 집중·서면·전자투표제 도입 현황 >
(단위: 개 사)
구 분
|
집중투표제(비중)
|
서면투표제(비중)
|
전자투표제(비중)
|
||||
총수 있는 집단
|
(252개 사)
|
7
|
(2.8%)
|
20
|
(7.9%)
|
186
|
(73.8%)
|
총수 없는 집단
|
(22개 사)
|
4
|
(18.2%)
|
2
|
(9.1%)
|
20
|
(90.9%)
|
전체(274개 사)
|
11
|
(4.0%)
|
22
|
(8.0%)
|
206
|
(75.2%)
|
2
|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현황
|
1. 현황
□ 최근 1년 간(’20.5.1.~’21.4.30.) 국내 기관투자자들은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 268개 상장사의 주주총회(안건 총 1,881건)에 참여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였다.
ㅇ 국내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있는 주식 대비 행사한 의결권의 비율은 74.5%이며, 행사한 의결권 지분을 찬반으로 나누어 보면, 찬성 93.6%, 반대 6.4%이다.
ㅇ 국내 기관투자자가 의결권을 행사한 안건 중 부결된 안건은 총 24건으로 작년(13건)에 비해 84.6% 증가하였다.
2. 특징
□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이후 국내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비율(74.5%) 및 반대 비율(6.4%)이 전년(각 72.3%, 5.9%) 대비 증가하는 등 기관투자자의 영향력이 소폭 확대되었다.
□ 해외 기관투자자들의 의결권 행사 현황을 살펴보면, 의결권 있는 주식 대비 행사한 의결권의 비율은 80.9%로 국내 기관투자자(74.5%) 보다 높은 수준이며,
ㅇ 행사한 의결권 지분을 찬반으로 나누어 보면, 찬성 88.0%, 반대 12.0%로서 국내 기관투자자 보다 반대 비율이 높다.
* ’20.5.1.~’21.4.30.기간 중 기업집단 233개 상장사의 주주총회(안건 총 1,588건)에 참여
□ 또한 국내ㆍ해외 기관투자자 반대로 부결된 안건(25건) 중 국내 기관투자자 반대로 부결된 안건(7건)은 28%에 불과하는 점 등 국내 기관투자자에 의한 실질적인 견제 정도는 비교적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
소수주주권 행사 현황
|
주주의 이익 보호를 위해 소수주주에게 인정된 특별한 권리. 주주 제안권, 임시총회 소집청구권, 이사해임 청구권, 주주대표 소송제기권, 회계장부 열람청구권 등
|
□ 최근 1년 간(’20.5.1.~’21.4.30.)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 상장사에서 소수주주권은 17차례 행사되었다.
* 주주 제안권 10건, 주주대표 소송제기권 2건, 유지청구권 1건, 임시총회 소집청구권 1건, 주주명부 열람권 1건, 검사인 선임청구권 1건, 의안상정 가처분 신청 1건이 행사됨
□ 최근 5년간 소수주주권 행사 건수는 62건이며, 주주 제안 35건(56.5%), 회계장부 열람청구 5건(8.1%), 주주명부 열람청구 5건(8.1%), 주주대표소송 4건(6.5%), 주주소집청구 4건(6.5%) 순으로 많이 행사되었다.
ㅇ 올해에는 소수주주권 행사 건수가 작년에 비해 대폭 증가하였으며, 유지청구권, 검사인 선임청구권 등도 행사되어 소수주주권 행사가 보다 활발해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첨부파일
211203(조간) 2021년 대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 발표.hwp
211203(조간) 2021년 대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 발표(별첨).zip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이스피싱 차단 신형 메시지 도입…통합신고시스템도 구축_기획재정부 (0) | 2021.12.03 |
---|---|
시설·장비 등 요건 갖춘 20개 택배사업자 등록·공고_국토교통부 (0) | 2021.12.03 |
충남지역 물부족 해결 위한 수도공급 디딤돌 마련_환경부 (0) | 2021.12.01 |
배출가스 5등급 차량, 12월부터 넉달간 수도권 운행 제한_국무조정실·환경부 (0) | 2021.12.01 |
추가접종 18세 이상 모든 성인으로 확대…5개월 후 접종_정책브리핑 (0) | 2021.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