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월 접종계획에 따라 예방접종 실시(8.9., 정례브리핑)
2021.08.09 질병관리청
8~9월 접종계획에 따라 예방접종 실시
18~49세 10부제 사전예약 이후 연령대별 사전예약 실시, 본인인증 후 예약 진행 -
◆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 모더나사, 8월 계획된 공급 물량(850만 회분)보다 절반 이하인 백신 물량 공급 예정 - 백신 공급 문제는 전 세계적인 것이며, 공급 차질에 대해 사과, 한국에 약속된 물량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 ○ 정부는 백신 공급의 안정성 확보 및 다양한 방안 모색 노력 ◆ 8-9월 접종계획 관련 안내 ○ 8월 16일(월) 이후 mRNA 백신 2차접종이 예정되어 있는 대상의 경우 1차접종일로부터 접종간격을 6주까지 연장하여 시행 * 단, 고3학생·고교 교직원·기타 대입수험생은 기존 접종간격 유지, 교육·보육 종사자는 5주 간격으로 조정 ○ ①50대 연령층 1차접종, ②18~49세 우선접종 대상 1차접종 및 ③18∼49세 연령층 사전예약 및 접종은 일정대로 추진 ◆ 고3 및 교직원, 고교 재학생 외 대입수험생 ○ 고3 재학생 및 고교 교직원 8.9(월)~8.20(금)까지 2차 접종 실시 ○ 고교 재학생 외 대입수험생 8.10(화)~8.14(토) 전국 위탁의료기관에서 화이자 백신 접종 실시 |
1.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
□ 정부는 안정적인 코로나19 백신 확보를 위해 올해 1억 9,200만 회분의 백신 구매를 계약하였으며
○ 현재까지 3,509만 회분의 백신을 도입하여 접종계획을 수립해왔다.
□ 그러나, 최근 모더나사 측에서 백신 생산 관련 실험실 문제의 여파로 8월 계획된 공급 물량인 850만 회분보다 절반 이하인 백신 물량이 공급될 예정임을 알려왔다.
○ 모더나사는 백신 공급 문제가 전 세계적인 것이라고 설명하면서 공급 차질에 대해 사과하고 한국에 약속된 물량을 공급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하였다.
○ 우리 측은 모더나사에 즉각 항의하고, 강도태 보건복지부 2차관을 대표로 하는 한국 공식 대표단을 파견하여 이번 공급 지연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하고 백신의 조속한 공급 방안을 촉구할 예정이다.
□ 정부는 백신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국제적인 백신 협력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총동원하고 있으며
○ 모더나 백신 및 그 외 백신별 세부적인 공급 일정을 구체화하고 제약사와 협의해 공개 가능한 범위에서 안내할 예정이다.
【 ’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21.8.9. 기준, 단위: 회분) 】
백신 종류 | 도입 확정 | 도입 완료 | 도입 예정 | |||||
계 | 상반기 | 7.1~8.9 | 8.10~8.31 | 9월 | 4분기 | |||
계 | 1억 9,300만 | 3,509만 | 1,862만 | 1,647만 | 약 2,120만 (일부 협의중) |
약 4,200만 | 약 9천만 | |
아스트라제네카 | 2,000만 | 1,355.7만 | 881.4만 | 474.3만 | 약 1,120만 | |||
화이자 | 6,600만 | 1,628.5만 | 700.2만 | 928.3만 | ||||
모더나 | 4,000만 | 245.5만 | 11.2만 | 234.3만 | 915.8만 (협의중) |
|||
얀센 | 700만 | 111.4만 | 101.3만 | 10.1만 | (협의중) | |||
노바백스 | 4,000만 | - | - | - | - | |||
코백스 | 아스트라 제네카 |
2,000만 | 126.7만 | 126.7만 | - | 83.5만 | ||
화이자 | 41.4만 | 41.4만 | - | - |
2. 8-9월 접종계획 관련 안내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이하 “추진단”)은 모더나 백신 공급 상황의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mRNA 백신 접종간격을 불가피하게 한시적으로 6주까지 연장하여 적용할 예정이다.
○ 그 외 현재 사전예약에 따라 접종이 진행 중인 50대 연령층 접종과 지자체 자율접종(3회차) 등은 당초 일정대로 차질없이 추진하고, 18-49세 연령층 예약도 오늘(8월 9일) 20시부터 계획대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mRNA백신 2차접종 6주 이내 시행] 8월 16일(월) 이후 mRNA 백신 2차접종이 예정되어 있는 분들은 1차접종일로부터 접종간격을 6주까지 연장하여 시행한다.
○ 추진단은 지난 7월 22일, 백신 공급상황이나 의료기관 접종여건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mRNA 백신 접종간격을 최대 6주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도록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를 받은 바 있다.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결과(7.22.)> ㅇ mRNA 백신의 접종 간격은 화이자 백신 3주·모더나 백신 4주이나, 백신 공급 상황, 의료기관 접종여건, 피접종자의 개인 사정 등에 따라 필요한 경우는 최대 6주 범위 내에서 적용 가능 |
○ 최근 모더나 백신 공급상황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8월 16일(월)부터 2차접종을 받으시는 분들은 6주 간격으로 접종간격이 조정되며, 이는 한시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 단, 고3학생 및 고교 교직원과, 기타 대입수험생(n수생, 학교밖청소년 중 수험생 등)의 경우에는 기존 접종간격을 유지하여 수능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하고,
* 입영장병의 경우에도 입대일자 등을 고려하여 기존 간격 유지
- 교육·보육 종사자*는 2학기 개학을 앞두고 최대한 빨리 접종받으실 수 있도록 5주 간격으로 조정할 계획이다.
* (교육·보육 종사자) 어린이집, 유치원, 초·중등 교직원
○ 일괄 변경된 2차 접종일정은 이번 주 중 대상자에게 개별 안내할 예정이다.
□ [50대 연령층 접종] 현재 진행 중인 50대 연령층(1962.1.1.~ 1971.12.31. 출생)의 1차 접종은 예약하신 일정에 따라 8월 28일까지 차질 없이 추진한다.
○ 8월 셋째 주(8.16.~22.)에 시행되는 접종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 위탁의료기관에서는 화이자 백신으로, 그 밖의 비수도권 지역 위탁의료기관은 모더나 백신으로 시행한다.
* 단, 수도권 지역 중 모더나 백신만 접종하는 위탁의료기관(189개소)은 모더나 백신, 그 외 지역 중 화이자 백신만 접종하는 위탁의료기관(278개소)은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
- 또한, 예방접종센터의 경우는 지역에 관계없이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이 실시된다.
- 8월 셋째 주에 예방접종 일정이 예정되어 있는 분들께는 접종일 전에 백신 종류 등을 문자로 개별 안내할 예정이다.
□ [지자체 자율접종(18-49세 우선접종)] 8.3(화)~8.6(금)일까지 사전예약을 진행한 지자체 자율접종(3회차)도 당초 접종일정(8.17~9.11일)대로 차질 없이 추진한다.
○ 총 133.5만 명이 사전예약을 완료하였으며, 8월 17일(화)부터 전국의 예방접종센터에서 화이자 백신으로 시행된다.
□ [18-49세 연령층 사전예약] 오늘(8월 9일) 20시부터 18-49세 연령층 대상 사전예약이 시작된다.
○ 10부제로 나누어 진행하는 사전예약은, 8월 9일(월) 20시부터 8월 19일(목) 18시까지 진행되며, 날짜별 예약 가능한 대상은 주민등록번호 생년월일 끝자리를 기준으로 정해진다.
○ 오늘 20시부터 내일(8월 10일) 18시까지는 18-49세 연령층 중 생년월일 끝자리가 9인 분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18~49세 10부제 사전예약 일정】
예약기간 | 예약대상* (주민번호 생년월일 끝자리) | 예약기간 | 예약대상* (주민번호 생년월일 끝자리) |
8월 9일 20시~8월 10일 18시 | 9 | 8월 14일 20시~8월 15일 18시 | 4 |
8월 10일 20시~8월 11일 18시 | 0 | 8월 15일 20시~8월 16일 18시 | 5 |
8월 11일 20시~8월 12일 18시 | 1 | 8월 16일 20시~8월 17일 18시 | 6 |
8월 12일 20시~8월 13일 18시 | 2 | 8월 17일 20시~8월 18일 18시 | 7 |
8월 13일 20시~8월 14일 18시 | 3 | 8월 18일 20시~8월 19일 18시 | 8 |
* 예) 81년 7월 12일생인 사람 : 생년월일 끝자리가 2이므로, 8월 12일 20시부터 8월 13일 18시까지 예약 가능
- 8월 19일(목) 20시에는 36-49세, 8월 20일(금) 20시에는 18-35세가 예약 가능하며, 8월 21일(토) 20시부터 9월 18일(토) 18시까지는 18-49세 전체가 언제든지 추가로 예약이 가능하다.
【10부제 이후 연령대별 사전예약 일정】
예약기간 | 예약대상 |
8월 19일 20시~8월 20일 18시 | 36-49세(’72.1.1.~’85.12.31. 출생) |
8월 20일 20시~8월 21일 18시 | 18-35세(’86.1.1.~’03.12.31. 출생) |
8월 21일 20시~9월 18일 18시 | 18-49세(’72.1.1.~’03.12.31. 출생) |
○ 원활한 서비스를 위해 이번 예약부터는 본인인증을 먼저 한 후 예약 대기를 거쳐 예약하게 되며, 네이버, 카카오, PASS 등을 통해 적어도 예약 하루 전 간편인증서를 미리 발급받아 두면 예약 당일 별도의 지체 없이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 원활한 예약을 위해 가급적 예약이 집중되는 저녁 8시를 피하고, 9시 이후부터 이용하면 빠르게 예약 가능하다.
○ 다만, 백신 공급상황이 유동적이어서 추후 백신 수급일정에 변동이 있는 경우 예약하신 날짜의 접종일정 또는 백신종류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는 신속하게 안내해 드릴 예정이다.
□ [잔여백신 예약 대상 확대] 백신 접종을 이미 예약한 사람도 8월 16일(월)부터는 SNS 당일신속 예약서비스를 활용하여 잔여백신으로 접종받을 수 있게 된다. 당일 잔여 백신 접종을 예약할 경우, 기존의 백신 예약은 자동적으로 취소된다.
○ 이는 SNS 예약 신청 대상 기준을 넓혀 국민의 백신 접종 기회를 확대하고, 잔여 백신 폐기 최소화를 위한 조치이다.
* SNS 잔여백신 예약자 7.2만 명 중 7만 명(97%)이 18~49세(7월 잔여백신 접종 현황)
○ 또한, 위탁의료기관 예비명단은 해당 위탁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고 있는 만성질환자, 50세 이상 연령층을 우선 접종하도록 권고한다.
□ 추진단은 “백신 공급상황을 고려하여, 50대 이하 연령층의 일반 국민 접종을 안정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mRNA 백신의 2차접종 간격을 조정한 것에 대해 국민 여러분의 양해와 협조를 부탁드리며, 백신 수급과 접종관리 등 세부사항을 세심하게 준비하겠다”고 전했다.
○ 또한, “이번 주부터 18~49세 청장년층의 사전예약이 시작되고, 50~54세 연령층의 접종이 시작되는 만큼, 대상자별 예방접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자체, 의료계 등과 협의를 통해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3. 고3 및 고교교직원 2차 접종 및 재학생 외 대입수험생 접종 |
□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및 고등학교 교직원에 대한 2차 접종이 8월 9일(월)부터 20일(금)까지 실시된다.
○ 지난 7월 19일(월)부터 30일(금)까지 예방접종센터에서 화이자 백신으로 1차 접종을 실시하였으며, 현재까지 약 3,200개 학교(기관) 64.9만 명의 대상자 중 62.8만 명(고등학교 3학년 44.4만 명)이 1차 접종에 참여(96.8%)했다.
○ 각 학교에서는 1차 접종과 마찬가지로 학생들이 안전하게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주시기 바라며, 접종 대상자들 중 1차 접종 후 심근염/심낭염 발생이 확인된 경우는 별도 안내 시까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연기할 것을 당부했다.
○ 또한, 심근염/심낭염은 1차보다 2차 접종 후에, 여자보다 남자 청소년에서 더 많이 발생하여, 2차 접종 후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신속히 의사의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 미국 18-24세 대상 mRNA 코로나19 백신접종 후 심근염·심낭염 의심 신고는 1차 접종 후 4.8명(남8.7명, 여1.5명)/백만 명 접종, 2차 접종 후 28.4명(남56.3명, 여5.5명)/백만 명 접종 (미 예방접종전문위 자료, 6.23)
【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 ◈ 예방접종 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①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②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③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④ 실신 |
□ 고등학교 재학생 외의 대입수험생(졸업생, 학교밖청소년 등) 등에 대한 예방접종도 8월 10일(화)부터 8월 14일(토) 사이 전국 위탁의료기관에서 화이자 백신으로 실시된다.
○ 접종 대상은 9월 모의평가 응시자 중 접종 신청자,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를 통해 접종을 신청한 대입수험생 및 대입전형 관계자 등으로, 기간 내 사전예약에 참여한 9.5만 명이다.
○ 2차 접종일은 1차 접종 4주 뒤로 자동 예약되며, 수험생은 접종 후 최소 3일간 건강상태를 유의 깊게 살필 수 있도록 대학별 평가일정 등을 고려하여 접종받은 위탁의료기관을 통해 2차 접종 일정을 조정할 수 있다.
* 고3 및 고등학교 재학생 외의 대입수험생의 경우 2022학년도 대입전형의 안정성을 위하여 현재의 접종간격 유지
4. 모더나 백신 신속 국내 유통 추진 |
□ 질병청은 모더나 백신의 신속한 유통과 안정적인 접종을 위하여, 국가출하승인 절차와 동시에 모더나 백신의 국내 배송을 진행하기로 식약처 및 유통업체(녹십자)와 논의하였다.
○ 일반적으로는 국가출하승인 완료 후 국내 배송이 시작되지만, 모더나 백신의 도입 일정과 예방접종 일정을 고려하여
- 이번 주부터 배송되는 모더나 백신은 9월까지 한시적으로 국가출하승인 절차와 동시에 국내 배송하기로 결정하였다.
□ 모더나 백신 신속 국내 유통방안은 국내 유통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배송절차를 개선한 것으로, 국가출하승인 완료 전에는 백신 소분상자를 개봉하거나 사용할 수 없다.
○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위탁의료기관 계약 해지 등의 조치를 할 예정으로 접종기관의 주의를 당부 드린다.
5. 이상반응 신고현황 주간 분석 결과 (23주차) |
□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23주차, 8.8. 0시 기준)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 전체 예방접종 27,497,278건 중 이상반응은 128,214건(23주 신규 신고건수 10,869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47%(1차 0.51%, 2차 0.31%)으로,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접종일 기준)은 접종 초기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이다.
[누적 예방접종건수 대비 이상반응 의심사례 신고율]
- 신고 사례 중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은 95.2%(122,108건), 중대한 이상반응은 4.8%(6,106건)이었으며, 백신별 신고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0.68%, 화이자 백신 0.27%, 얀센 백신 0.67%, 모더나 백신 0.49%이였다.
○ 7월 19일부터 실시된 고등학생(3학년)의 화이자 백신 1차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은 0.26%(1,141건)로 전체 연령대의 화이자 백신 1차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0.25%)과 유사했다.
< 전체연령 및 고등학생(3학년) 화이자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현황(단위: 건) >
구 분 | 예방접종 | 전체 이상반응a (신고율, %) |
일반 이상반응b |
중대한 이상반응c | ||||||
소계 | 사망① | 아나필락시스 의심② |
주요 이상반응③ | |||||||
화이자 백신 | 전체 연령 |
전체 | 13,839,194 | 37,813 | (0.27) | 35,665 | 2,148 | 258 | 234 | 1,656 |
1차 | 8,433,582 | 20,795 | (0.25) | 19,524 | 1,271 | 138 | 189 | 944 | ||
2차 | 5,405,612 | 17,018 | (0.31) | 16,141 | 877 | 120 | 45 | 712 | ||
고등학생 (3학년)d |
1차 | 443,688 | 1,141 | (0.26) | 1,111 | 30 | 0 | 10 | 20 |
a.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건으로 의료기관에서 신고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하였으며, 백신과 이상반응 간 인과성을 제시하는 것은 아님. 신고 현황 분류는 새로운 정보 추가 시 변경 될 수 있음
b. 일반 이상반응은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 발적, 통증, 부기, 근육통, 발열, 두통, 오한 등 흔하게 발생하는 증상을 포함
c. 중대한 이상반응은 다음의 사례를 포함
① 사망, ② 아나필락시스 의심(아나필락시스양 반응 포함)
③ 주요 이상반응 : 특별관심 이상반응(Adverse Event Special Interest, AESI), 중환자실 입원, 생명위중, 영구장애/후유증 등
d. ‘고등학생(3학년) 및 고교 직원’ 대상자 중 만20세 미만인 경우로 잠정통계 산출
6.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사례평가 결과 분석 (8.1.~8.7.) |
<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평가현황 총괄(1차~25차) >
구 분 | 사망/중증1) | 아나필락시스2) (중증) |
||||||
누계 | 사망 | 중증 | 누계 | 24차 | ||||
누계 | 25차 | 누계 | 25차 | |||||
계 | 1,152 | 490 | 273) | 662 | 56 | 475(14) | 44(0) | |
평 가 결과 |
인과성 인정 | 7 | 2 | 0 | 5 | 0 | 166(11) | 20(0) |
인과성 근거 불명확 | 16 | 2 | 0 | 14 | 2 | - | - | |
명확히 인과성 없거나 인정되기 어려움 | 1,116 | 478 | 27 | 638 | 49 | 309(3) | 24(0) | |
판정 보류 | 13 | 8 | 0 | 5 | 5 | 0(0) | 0(0) |
1) 피해조사반 평가 시점 기준으로 분류
2) 일반 및 중대한 이상반응 포함
3) 사망 재평가 사례 1건 포함
□ 예방접종피해조사반(반장 김중곤 교수)은 예방접종 후 발생한 사망, 중증 및 아나필락시스 이상반응 신고사례에 대한 인과성 평가 결과를 안내하였다.
○ 현재까지 총 25회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회의를 개최하여 사망 및 중증 사례 1,152건(사망 490건, 중증 662건),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475건을 평가하여,
- 총 173건(사망 2건, 중증 5건, 아나필락시스 166건(신규 20건))에 대해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였고, 16건(사망 2건, 중증 14건(신규 2건))에 대해서는 인과성의 근거가 불명확한 사례*로 평가하였다.
*중증 이상반응 의료비 지원대상(1천만 원 이내)임
< 인과성 인정사례(누적) 현황 7건 >
접종백신 | 추정진단(사인) | |
아스트라제네카 | 사망 |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1 |
중증 |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2, 뇌정맥동혈전증 1,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 |
|
화이자 | 사망 | 심근염 1 |
중증 | 심낭염 1 |
□ 8월 6일(금) 제25차 피해조사반 회의에서는 신규 사망·중증 사례 82건(사망 26건, 중증 56건)과 재평가 사례 1건(사망 1건),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44건을 평가하여,
○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는 신규 20건을 백신과의 인과성이 인정된다고 평가하였으며,
- 길랑-바레 증후군으로 추정된 중증 2건에 대해서는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의 근거가 불명확한 경우*(Unlikely-indeterminate, 현재까지 총 16건)로 평가하였다.
*중증 이상반응 의료비 지원대상(1천만원 이내)임
-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의 근거가 불명확한 경우로 평가된 사례에 대해서는 향후 인과성의 근거가 축적되는 시점에 재평가하기로 하였다.
< 인과성 근거 불명확 사례(누적) 현황 16건 >
접종백신 | 추정진단(사인) | |
아스트라제네카 | 사망 | 급성심근염 1 |
중증 | 길랑-바레증후군 5(신규 2), 전신염증증후군 1, 폐색전증 1 급성파종성뇌척수염 1, 염증성근육병증 1, 천식발작 1 혈소판감소증 2 | |
얀센 | 사망 | 모세혈관누출증후군 1 |
중증 | 길랑-바레증후군 1 | |
화이자 | 중증 | 척수염 1 |
○ 그 외 사망·중증사례 78건 및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24건은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을 인정하기가 어렵다고 평가되었고, 중증 5건은 의무기록 등 자료보완 후 재평가하기로 결정하였다.
○ 신규 사망사례 26건의 평균 연령은 75.9세(범위 40~95세)였고, 이 중 25명(96.2%)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받은 백신은 화이자 17명, 아스트라제네카 8명, 얀센 1명이었다.
* 고혈압, 당뇨, 신부전, 치매 등
- 신규 중증 사례 56건의 평균 연령은 64.3세(범위 18-89세)였고, 이 중 43명(76.7%)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후 증상 발생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12.9일(범위 2시간∼31일), 접종 받은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31명, 화이자 20명, 교차접종(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 1명, 얀센 4명이었다.
- 추정 진단명의 상당수를 차지한 뇌졸중, 급성심근경색, 폐렴, 심부전 등은 백신접종 보다는 기저질환(고혈압, 당뇨 등) 및 고령에 의해 유발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인과성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설명하였다.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드물게 발생할 수 있는 중증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모든 백신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나필락시스 대비를 위해 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 또한, 세계보건기구(WHO)등 국외 안전성 평가에서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 접종 후 길랑-바레증후군 발생 위험 증가를 제안함에 따라 길랑-바레 증후군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길랑-바레 증후군은 접종후 ①사물이 두 개로 보이거나 눈동자를 움직이기 어려운 경우, ②삼키기, 말하기, 씹기 어렵거나, 걷기 등 몸의 움직임을 조정하기 어려운 경우, ③손과 발의 저린 감각 및 팔다리, 몸통, 얼굴의 약화, ④방광조절 및 장기능 장애 등 의심증상이 생길 경우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 아울러,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길랑-바레증후군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7. 코로나19 주간발생 동향 및 대응방안 |
□최근 1주간(’21.8.1∼8.7.)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1,495.4명(국내발생 10,468명)으로 전주(일평균 1,506명) 대비 0.7% 감소하였다.
○ 수도권은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로 유지, 방역 강화대책 이행으로 최근 1주간 일평균 936.6명(전체 환자 수 6,556명)으로 전주(일평균 959.7명) 대비 2.4% 감소하였다.
○ 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558.9명(전체 환자 수 3,912명)으로 전주(일평균 546.1명) 대비 2.3%가 증가하여 7월 이후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경남권, 경북권, 충청권에서 환자가 다수 발생하였다.
○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국 0.99로 전주(1.04) 대비 감소하였고, 수도권은 0.99, 비수도권은 0.99이었다.
* 전국 Rt : 1.32(7월2주) → 1.09(7월3주) → 1.04(7월4주) → 0.99(8월1주)
○ (위중증·사망) 주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는 347명, 사망자는 21명으로 환자 수가 늘어남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 : (7월3주) 213명→(7월4주) 280명→(8월1주) 347명
* 주간 사망 환자 수 :(7월3주)13명 → (7월4주) 27명→(8월1주) 21명
* 즉시가용 중환자실 :(7월3주) 450개 → (7월4주) 360개→(8월1주) 312개
○ (해외유입)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60명(총 419명)으로 전주 대비 5.6%(64명→60명) 감소하였다.
구 분 | 7월 2주(7.11.~7.17.) | 7월 3주(7.18.~7.24.) | 7월 4주(7.25.~7.31.) | 8월 1주 (8.1.~8.7.) |
||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명) |
국내발생 | 1,347.9 | 1,465.0 | 1,505.9 | 1,495.4(-0.7%) | |
수도권 | 989.7 | 966.3 | 959.7 | 936.6(-2.4%) | ||
비수도권 | 358.1 | 498.7 | 546.1 | 558.9(+2.3%) | ||
해외유입 | 47.9 | 87.0 | 63.4 | 59.9 | ||
전 체 | 1,395.7 | 1,552.0 | 1,569.3 | 1,555.3 | ||
감염경로 조사중 분율(%)(건) | 국내발생 | 30.0 (2,835/9,435) |
28.5 (2,918/10,255) |
26.5 (2,790/10,541) |
28.8 (3,016/10,468) |
|
방역망 내 관리 분율(%) | 국내발생 | 37.9 | 40.1 | 41.6 | 38.1 | |
감염재생산지수(Rt) | 1.32 | 1.09 | 1.04 | 0.99 | ||
신규 집단발생 건수(건) | 115 | 95(▲19) | 80(▲50) | 30* | ||
주간 평균 위중증 환자(명) | 159 | 213 | 280 | 347 | ||
주간 사망 환자 수(명) | 17 | 13 | 27 | 21 | ||
즉시 가용 중환자실(개) | 546 | 450 | 360 | 312 |
*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 (연령군) 20대 연령군이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이 4.7명으로 계속 높고, 60대 이상 연령군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전국 연령별 발생률(8.7. 0시 기준) >
구분 | 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이상 | |
7월 2주 (7.11.~7.17.) |
환자수 | 9,435 | 527 | 931 | 2,375 | 1,654 | 1,656 | 1,572 | 533 | 133 | 54 |
일평균발생률 | 2.6 | 1.9 | 2.8 | 5.0 | 3.4 | 2.9 | 2.6 | 1.1 | 0.5 | 0.4 | |
7월 3주 (7.18.~7.24.) |
환자수 | 10,255 | 742 | 1,092 | 2,328 | 1,642 | 1,779 | 1,745 | 657 | 201 | 69 |
일평균발생률 | 2.8 | 2.7 | 3.3 | 4.9 | 3.4 | 3.1 | 2.9 | 1.4 | 0.8 | 0.5 | |
7월 4주 (7.25.~7.31.) |
환자수 | 10,541 | 695 | 1,234 | 2,275 | 1,660 | 1,828 | 1,742 | 787 | 231 | 89 |
일평균발생률 | 2.9 | 2.5 | 3.7 | 4.8 | 3.5 | 3.1 | 2.9 | 1.7 | 0.9 | 0.6 | |
8월 1주 (8.1.~8.7.) |
환자수 | 10,468 | 706 | 1,177 | 2,245 | 1,589 | 1,698 | 1,781 | 862 | 287 | 123 |
일평균발생률 | 2.9 | 2.5 | 3.5 | 4.7 | 3.3 | 2.9 | 2.9 | 1.8 | 1.1 | 0.9 |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0.12월 기준) × 100,000(명)
○ (감염경로) 가족·지인·직장 등 접촉감염으로 인한 ‘확진자 접촉’ 비중이 계속 증가*하여 8월 1주에는 51.8%(총 5,636명), ‘감염경로 조사중’ 27.7%(3,016명), ‘지역 집단발생’은 16.0%(1,746명)이었다.
* 확진자 접촉 비중 :(7월2주) 42.3%(4,131명) → (7월4주) 47.2%(5,186명)→ (8월1주) 51.8%(5,636명)
< 최근 4주간 감염경로*(’21.7.11.~8.7.)>
구 분 | 7월 2주 (7.11.~7.17.) |
7월 3주 (7.18.~7.24.) |
7월 4주 (7.25.~7.31.) |
8월 1주 (8.1.~8.7.) |
||||
전체 | 9,770명 | (100%) | 10,864명 | (100%) | 10,985명 | (100%) | 10,887명 | (100%) |
확진자 접촉 | 4,131명 | (42.3%) | 4,531명 | (41.7%) | 5,186명 | (47.2%) | 5,636명 | (51.8%) |
지역 집단발생 | 2,396명 | (24.5%) | 2,750명 | (25.3%) | 2,535명 | (23.1%) | 1,746명 | (16.0%) |
병원 및 요양시설 등 | 70명 | (0.7%) | 52명 | (0.5%) | 24명 | (0.2%) | 59명 | (0.5%) |
해외유입 | 335명 | (3.4%) | 609명 | (5.6%) | 444명 | (4.0%) | 419명 | (3.8%) |
해외유입 관련 | 3명 | (0.0%) | 4명 | (0.0%) | 6명 | (0.1%) | 11명 | (0.1%) |
조사중(미분류) | 2,835명 | (29.0%) | 2,918명 | (26.9%) | 2,790명 | (25.4%) | 3,016명 | (27.7%) |
수도권 지역 조사중(미분류) |
2,362명 | (34.1%) | 2,168명 | (32.1%) | 2,066명 | (30.8%) | 2,006명 | (30.6%) |
* 역학조사 진행에 따라 감염경로는 재분류 될 수 있음
○ (집단감염) 최근 들어 요양병원·요양시설에서 집단발생이 증가하였으며, 어린이집‧유치원 등 교육시설, 사업장, 교회, 음식점·실내체육시설(태권도장 등) 등 다중이용시설 발생이 지속되고 있다.
- 주요 전파요인은 ▲모임·식사를 통한 접촉, ▲의심증상 발현 이후 다수 시설 이용, ▲공용시설·공간 동시 이용, ▲밀폐‧밀접 환경에서 신체 활동, ▲환기 불충분 등으로 판단하였다.
*신규 집단감염(30건): 다중이용시설(음식점, 목욕탕, 체육시설, 고시원 등) 13건, 사업장(직장 등) 6건, 가족지인모임 5건, 교육시설(학원, 어린이집) 2건, 요양원 1건, 공공기관 1건, 교회 1건, 신병교육대 1건
-요양병원·시설은 선제적인 백신 접종 시행 후 6월에는 집단감염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7월 이후 다시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있으며, 입소자‧종사자 가족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5월 4건 59명 → 6월 0건 → 7월 5건 83명 → 8월(∼8.7) 3건 65명
**7월 이후 신규 집단발생(총 8건): 요양원 4건, 요양병원 4건
○ (위중증·사망자 접종현황) ’21년 5월∼7월 확진자 총 68,154명 중 미접종자는 93.2%(63,548명), 1차 접종자는 5.3%(3,643명), 2차 접종완료자는 1.4%(963명)이었다.
- 위중증 및 사망자는 1,222명(1.8%)였으며, 접종현황은 미접종자가 91.4%(1,117명/1,222명), , 1차 접종자는 8.1%(99명), 2차 접종완료자는 0.5%(6명)이었다.
- 60세 미만에서는 미접종자가 98.7%(543명/550명), 1차 접종자는 0.9%(5명), 2차 접종완료자는 0.4%(2명)이였으며, 60세 이상에서는 미접종자 85.4%(574명/672명), 1차 접종자는 14.0%(94명), 2차 접종완료자는 0.6%(4명)이었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수도권은 거리두기 4단계 유지로 발생이 소폭 감소 추세이나, 비수도권은 이동량이 증가(7.26∼8.1, 7.2% 증가)하고 환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어 유행 억제에는 아직 불충분하다고 밝혔다.
○ 정부는 ▲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를 유지하여 이행력을 제고, ▲감염확산 가능성이 높은 지역은 선제적 거리두기 격상, ▲환자 급증으로 방역역량 초과 지역에 대한 역학조사관, 역학조사지원 인력 파견 등 지원 강화, ▲예방접종 지속 실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 또한 최근 제조업(자동차 부품‧식품 등) 사업장, 외국인 종사 사업장(집단거주)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에 대해,
- 주요 원인은 3밀 환경에서 에어컨 등 사용 시 환기 불충분 및 공동거주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 이에 따라, 사업장 방역관리자 및 종사자는 ▲사업장 방역관리 철저, ▲마스크 착용 등 개인 방역수칙 계도, ▲한 시간에 10분 이상 맞통풍 환기, ▲의심 증상 시 즉시 검사 등을 철저히 이행할 것을 요청하였다.
○ 아울러, 여름 휴가철을 맞아 지역 간 이동 및 사람 간 접촉이 증가함에 따라, 현재 유행을 조속히 통제하기 위해서는 국민 모두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 ▲지역 간 이동‧모임‧외출 등 최대한 자제, ▲불요불급한 약속 및 집단행사 취소, ▲마스크 착용 및 손 씻기 등 기본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주시고,
- 주말 또는 휴가 기간에 여행이나 모임을 다녀온 후에는 ▲증상 여부를 면밀히 관찰하시고, ▲조금이라도 의심 증상이 있으면 즉시 검사받아 주실 것을 거듭 강조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첨부파일
[8.9.보도참고자료] 8~9월 접종계획에 따라 예방접종 실시(정례브리핑).hwp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V] 18~49세 예약 시작···오늘은 생일 끝자리 '9' (0) | 2021.08.09 |
---|---|
[통계청] 2021년 2/4분기 시도 서비스업생산 및 소매판매 동향 (0) | 2021.08.09 |
[고용노동부]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제도를 활용하세요 (0) | 2021.08.09 |
[고용노동부] 고용행정 통계로 본 ’21.7월 노동시장 동향 (0) | 2021.08.09 |
[고용노동부] 국민취업지원제도,‘참여의 문턱’은 낮추고‘일을 배울 기회(일경험)’는 늘립니다. (0) | 2021.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