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복합사업 2주 만에 2/3동의 구역 3곳 추가… 6차 후보지 선정
본지구 지정 요건 충족구역 8곳(7.22) → 11곳(8.4)으로 증가
서울 3곳, 울산 1곳 추가 선정, 약 4.5천호 공급 규모
2021.08.03 국토교통부
도심복합사업 2주 만에 2/3동의 구역 3곳 추가… 6차 후보지 선정 |
- 본지구 지정 요건 충족구역 8곳(7.22) → 11곳(8.4)으로 증가 - - 서울 3곳, 울산 1곳 추가 선정, 약 4.5천호 공급 규모 - |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방안(‘21.2.4.)」 관련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의 6차 선도사업 후보지로 4.5천호 공급이 가능한 규모의 4곳 후보지를 추가 선정하였다.
ㅇ 정부는 그간 위클리브리핑을 통해 5차례에 걸쳐 52곳, 약 7.1만호공급이 가능한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후보지를 발표해왔으며, 이번 발표를 포함하면 후보지는 총 56곳, 약 7.57만호 규모가 된다.
□기존 발표 후보지들에서는 주민들의 높은 호응으로 31곳(약 4만호, 발표물량의 56.3%)이 후보지 발표 후 10%를 상회하는 주민동의를 확보하는 등 도심 내 주택공급 사업이 순항하고 있다고 밝혔다.
ㅇ 특히, 본지구 지정 요건인 주민 2/3 동의를 초과하는 구역이 총 11곳(3곳 증)으로 늘었으며,
*(10% 초과동의) 3곳(4.14)→6곳(5.12)→12곳(5.26)→21곳(6.23)→30곳(7.22)→31곳(8.4)
** (30% 초과동의) 21곳(7.22)→26곳(8.4) / (50% 초과동의) : 13곳(7.22)→19곳(8.4)
***(2/3 초과동의) 1곳(5.12) →2곳(5.26)→4곳(6.23)→8곳(7.22)→11곳(8.4)
ㅇ 이들 구역에 대해서는 ‘22년 사업계획 승인 및 ’23년 착공을 목표로 조속한 지구지정(11월 전망)을 위한 준비를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다.
⟪주민동의 확보구역 현황(누계)⟫ | |||||
지구지정요건 2/3 이상 |
11곳 (1.70만호) |
증산4, 수색14, 불광1 근린공원, 쌍문역 동측, 방학역, 쌍문역 서측, 쌍문1동 덕성여대, 연신내역, 녹번동 근린공원, 고은산 서측, 신길2 |
|||
50% 이상 | 19곳 (2.58만호) |
창동674 인근, 불광329-32 인근, 녹번역, 미아16, 방학초교 인근, 신길15구역, 수유12구역, 용마터널 인근 |
|||
30% 이상 | 26곳 (3.52만호) |
송중동 주민센터, 삼양역 북측, 캠프조지인근(대구), 재물포역(인천), 창2동 주민센터, 신길4, 미아역 동측 |
|||
10% 이상 | 31곳 (4.01만호) |
새절역 동측, 영등포역, 수유역 남측1, 수유역 남측2, 상봉터미널 | |||
* : 7.22일 대비 동의 추가 확보구역 |
□ 이번에 선정된 후보지 4곳은 약 4.5천호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로, 이번 후보지를 포함한 2.4대책 관련 후보지는 모두 약 25.4만호의 신축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가 된다.
⟪ 3080+ 주택공급방안 사업별 후보지 현황 ⟫
(단위 : 만 호)
총계 | 정비사업 |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 소규모· 도시재생 |
공공 택지 |
신축 매입 |
||||||
역세권 | 준공업 | 저층주거 | |||||||||
공급호수 | 25.4 | 3.4 | 2.89 | 0.27 | 4.41 | 2.1 | 11.9 | 0.43 | |||
발표시점 | - | 1.15,3.29,4.7 ,7.16 | 3.31, 4.14, 5.12, 5.26, 6.23 8.4 | 4.29 | 2.24,4.29 | 5.6 |
ㅇ 이 중 공공택지를 제외한 도심사업 후보지는 약 13.5만호 공급이 가능한 규모로, 이는 3080+ 주택공급방안에서 계획한 ‘21년 공급목표*(택지 제외 4.84만호)의 2.8배에 달하는 규모이다.
*(’21 목표) 정비사업 1.3만, 도심복합 1.84만, 소규모정비·도시재생 1.5만 등
□ 지금과 같이 빠른 속도의 주민동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기존 개발사업의 좌초 등으로 低이용·노후화중인 지역 내 주민의 높은 사업의지와 3080+사업의 사업성 개선효과, 획기적 절차 간소화, 시공브랜드 주민선정 등* 다양한 강점들이 시너지효과를 낸 것으로 분석된다.
*➀사업성:과감한 도시·건축 인센티브를 통해 사업성 개선→주민분담금 감소
➁신속성:절차 간소화, 공기업 사업관리로 신속한 사업추진 지원→5년 이상 단축
➂주민선택:사업추진여부, 시공브랜드, 입주권 등 다양한 주민선택권 보장
ㅇ 특히, 주요 후보구역들의 대다수가 10여 년간의 사업정체를 겪었고, 정비사업 해제 이후에도 주거환경 개선 없이 7~8여 년간 방치되어왔던 점을 감안하면,
- 이번 도심복합사업 추진은 지역에 활력을 부여하는 동시에 新지역거점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차 선도사업 후보지 선정 세부사항 |
□이번에 선정된 도심 공공복합사업 후보지는 서울특별시 3곳, 울산광역시 1곳 등 총 4곳*(역세권 1, 저층주거 3)으로, 이들 구역에서 사업이 추진된다면 약 4.5천호의 주택이 공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 역세권 1곳(서울 서대문구 1), 저층주거 3곳(서울 성북구 1, 서울 중구 1, 울산 중구 1)
⟪ 도심복합사업 6차 선도사업 후보지 현황 ⟫
(단위 : 곳/만호)
구분 | 합계 | 서울시 | 울산시 | |||||||||
소계 | 서대문구 | 성북구 | 중구 | 중구 | ||||||||
총계 | 구역 | 공급 | 구역 | 공급 | 구역 | 공급 | 구역 | 공급 | 구역 | 공급 | 구역 | 공급 |
4 | 0.45 | 3 | 0.3 | 1 | 0.05 | 1 | 0.12 | 1 | 0.13 | 1 | 0.15 | |
역세권 | 1 | 0.05 | 1 | 0.05 | 1 | 0.05 | - | - | - | - | - | - |
저층주거 | 3 | 0.4 | 2 | 0.25 | - | - | 1 | 0.12 | 1 | 0.13 | 1 | 0.15 |
□ 6차 후보지선정 관련 서울 소재지는 1~5차 발표와 동일한 입지요건을, 경기·울산지역은 지역여건 등을 감안하여 20년 초과 노후건축물 수가 50% 이상인 주거지*를 대상지로 검토하였으며,
* (서울) 20년 경과 건축물 수 60%이상, (울산) 20년 경과 건축물 수 50%이상
ㅇ 이번에 선정되지 않은 후보지들도 입지요건, 사업성 등을 추가 분석하여 사업추진 여부를 지속 검토해나가기로 협의하였다.
□ 이번에 선정된 후보지 4곳에 대한 사업효과 분석결과 용도지역 상향 등 도시계획 인센티브를 통해 재개발 등 기존 자력개발 추진 대비 ①용적률이 평균 61%p 상향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ㅇ 공급세대도 도시규제완화 및 기반시설 기부채납 완화(15% 이내) 등을 통해 자력개발 대비 ②구역별 평균 약 256세대(29.7%)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ㅇ 또한, 토지주 수익은 공급물량 증가에 따른 사업성 개선을 통해 ③우선분양가액이 시세대비 평균 60% 수준으로 예측되었으며,
ㅇ 이에 따라 토지주 수익률*도 평균 20%p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3080+ 사업을 통해 사업성 개선의 효과가 토지주에게 실질적인 이익으로 돌아갈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 토지주 수익률 = 시세차익(시세–우선분양가액) / 종전자산가액
< 6차 발표 선도사업 후보지 4개 구역 평균 사업효과 >
구 분 | 현 행 | 민간재개발 | 3080+사업 | 비 고 |
용적률 | 124% | 298% | 359% | 현행 比 235%p 기존사업 比 61%p 상향 |
세대수 | 526 | 864 | 1,120 | 현행 比 2.1배 기존사업 比 1.3배 증가 |
우선공급액/시세 | - | 68% | 60% | 8%p 감소 |
수익률 | - | 94% | 114% | 20%p 증가 |
※ 세부개발계획은 확정 前으로 향후 주민협의, 도시계획심의 과정에서 변동 가능
□국토교통부 김수상 주택토지실장은 “도심 내 주택공급 사업들의 후보지가 지속적으로 발굴되고, 후속조치도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며,
ㅇ “그간 대책에서 발표한 주택공급 계획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는 한편, 사전청약 확대개편 등을 통해 국민이 조기에 주택공급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참고1 | 6차 발표 선도사업 구역도(4곳) |
참고2 | 6차 발표 대표구역 조감도 |
참고3 | 1~6차 발표 선도사업 후보지 |
※ 주택공급 규모는 세부계획 수립 및 인허가 과정 등에서 변경될 수 있음
□ 역세권(주거상업고밀지구)
연번 | 지역 | 위치 | 면적(㎡) | 노후도 (%) |
現용도지역 | 공급 규모 |
비 고 |
1 | 금천 | 가산디지털역 인근 | 51,497 | 74.0% | 2종 | 1,253 | 1차 선정 (3.31) |
2 | 도봉 | 방학역 인근 | 8,194 | 67.5% | 2종 | 364 | |
3 | 도봉 | 쌍문역 동측 | 15,272 | 82.1% | 2종, 상업 | 447 | |
4 | 도봉 | 쌍문역 서측 | 41,276 | 78.0% | 2종 | 1,151 | |
5 | 영등포 | 영등포역 인근 | 95,000 | 77.8% | 2종 | 2,580 | |
6 | 은평 | 연신내역 인근 | 8,160 | 83.3% | 2종, 준주거 | 478 | |
7 | 은평 | 녹번역 인근 | 5,306 | 84.6% | 3종 | 193 | |
8 | 은평 | 새절역 서측 | 5,138 | 91.3% | 3종 | 266 | |
9 | 은평 | 새절역 동측 | 6,798 | 77.5% | 3종 | 331 | |
10 | 강북 | 미아역 동측 | 23,037 | 70% | 2종 | 623 | 2차 선정 (4.14) |
11 | 강북 | 미아역 서측 | 17,760 | 86% | 2종 | 472 | |
12 | 강북 | 미아사거리역 동측 | 39,498 | 84% | 2종 | 1,082 | |
13 | 강북 | 미아사거리역 북측 | 6,414 | 78% | 2종 | 172 | |
14 | 강북 | 삼양사거리역 인근 | 7,866 | 100% | 준주거 | 341 | |
15 | 강북 | 수유역 남측1 | 11,458 | 86% | 준주거 | 510 | |
16 | 강북 | 수유역 남측2 | 7,212 | 85% | 준주거 | 311 | |
17 | 동대문 | 용두역·청량리역 인근 | 111,949 | 76% | 2종, 3종 | 3,200 | |
18 | 중랑 | 중랑역 인근 | 49,967 | 87% | 2종 | 1,161 | 4차 선정 (5.26) |
19 | 중랑 | 사가정역 인근 | 28,099 | 81% | 2종, 3종 | 922 | |
20 | 중랑 | 용마산역 인근 | 21,681 | 76% | 2종 | 507 | |
21 | 인천미추홀 | 제물포 인근 | 98,961 | 91% | 2종 | 3,104 | |
22 | 인천부평 | 동암역 남측 인근 | 51,622 | 83% | 2종, 준주거 | 1,731 | |
23 | 인천부평 | 굴포천역 인근 | 59,827 | 88% | 1·2·3종, 준주거 | 2,531 | |
24 | 경기부천 | 소사역 북측 | 41,378 | 92% | 2종, 3종 | 1,282 | 5차 선정 (6.23) |
25 | 경기부천 | 중동역 동측 | 51,263 | 89% | 2종, 3종 | 1,680 | |
26 | 경기부천 | 중동역 서측 | 53,901 | 88% | 2종, 3종 | 1,766 | |
27 | 서대문 | 서대문역 남측 | 12,117 | 99% | 3종, 준주거, 일반상업 | 484 | 6차 선정 (8.4) |
합계 | 28,942 |
□ 준공업(주거산업융합지구)
연번 | 지역 | 위치 | 면적(㎡) | 노후도(%) | 現용도지역 | 공급 규모 |
비 고 |
1 | 도봉 | 창동 674 일대 | 9,787 | 63% | 준공업 | 213 | 1차 선정 (3.31) |
2 | 도봉 | 창2동 주민센터 인근 | 15,456 | 71% | 준공업 | 334 | |
3 | 경기부천 | 송내역 남측 | 55,590 | 84% | 준공업 | 2,173 | 5차 선정 (6.23) |
합계 | 2,720 |
□ 저층주거지(주택공급활성화지구)
연번 | 지역 | 위치 | 면적(㎡) | 노후도(%) | 現용도지역 | 공급 규모 |
비 고 |
1 | 도봉 | 쌍문1동 덕성여대 인근 | 39,233 | 76.0% | 1종, 2종 | 1,008 | 1차 선정 (3.31) |
2 | 도봉 | 방학2동 방학초교 인근 | 34,919 | 87.0% | 1종, 2종 | 889 | |
3 | 영등포 | 舊신길2구역 | 60,710 | 92.0% | 2종 | 1,366 | |
4 | 영등포 | 舊신길4구역 | 51,901 | 94.9% | 2종 | 1,199 | |
5 | 영등포 | 舊신길15구역 | 106,094 | 89.5% | 2종 | 2,380 | |
6 | 은평 | 녹번동 근린공원 인근 | 79,482 | 77.8% | 2종, 3종 | 2,436 | |
7 | 은평 | 불광근린공원 인근 | 67,335 | 75.2% | 1종, 2종 | 1,651 | |
8 | 은평 | 舊수색14구역 | 42,188 | 87.0% | 1종, 2종 | 944 | |
9 | 은평 | 불광동 329-32 인근 | 56,284 | 79.0% | 1종, 2종, 3종 | 1,483 | |
10 | 은평 | 舊증산4구역 | 166,022 | 89.0% | 1종, 2종, 3종 | 4,139 | |
11 | 강북 | 舊 수유12구역 | 101,048 | 72% | 2종, 3종 | 2,696 | 2차 선정 (4.14) |
12 | 강북 | 송중동 주민센터 인근 | 36,313 | 83% | 2종 | 922 | |
13 | 강북 | 舊 미아16구역 | 20,520 | 88% | 2종, 3종 | 544 | |
14 | 강북 | 삼양역 북측 | 21,019 | 89% | 2종, 3종 | 588 | |
15 | 동대문 | 청량리동 주민센터 인근 | 53,275 | 86% | 2종,3종 | 1,390 | |
16 | 대구남구 | 미군부대 캠프조지 인근 | 102,268 | 77% | 2종 | 2,605 | 3차 선정 (5.12) |
17 | 대구달서구 | 대구 신청사 인근 | 159,413 | 83% | 2종, 3종, 상업 | 4,172 | |
18 | 부산진구 | 舊 당감4구역 | 48,686 | 92% | 2종 | 1,241 | |
19 | 부산진구 | 舊 전포3구역 | 95,140 | 90% | 2종, 3종 | 2,525 | |
20 | 중랑 | 용마터널 인근 | 18,904 | 93% | 1종, 2종, 3종 | 455 | 4차 선정 (5.26) |
21 | 중랑 | 상봉터미널 인근 | 43,202 | 72% | 2종, 3종 | 1,132 | |
22 | 서대문구 | 고은산 서측 | 114,770 | 80% | 1종, 2종, 3종 | 2,975 | 5차 선정 (6.23) |
23 | 경기부천 | 원미사거리 북측 | 58,767 | 78% | 1종, 2종 | 1,330 | |
24 | 성북 | 장위12구역 | 48,423 | 80% | 1종,2종,3종 | 1,188 | 6차 선정 (8.4) |
25 | 중 | 약수역 인근 | 55,071 | 79% | 1종,2종,3종 | 1,324 | |
26 | 울산중구 | 울산혁신도시 남측 | 59,422 | 97% | 2종 | 1,485 | |
합계 | 44,067 |
첨부파일
210804_제6차_도심공공복합사업_후보지_선정(도심주택총괄과).hwp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학생 창업유망팀 300 축제(페스티벌) 우수 창업 종목(아이템) 선정에 직접 참여하세요 (0) | 2021.08.03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부장 연구개발(R&D) 연구단/연구실 12개 신규 선정 (0) | 2021.08.03 |
[산업통상자원부] 일반주택 등에 대한 전기 안전점검 제도를 전면 개편한다. (0) | 2021.08.03 |
18~49세 일반 연령층 8월 9일부터 10부제 사전예약, 8월 26일부터 화이자·모더나 접종 시작 (0) | 2021.08.03 |
광복절 등 '4개 국경일' 대체공휴일 적용(3·1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확대 적용, 올해는 3일 더 쉰다) (0) | 2021.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