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으로 대마 성분 마약류 광고.판매 적발
식품의약품안전처 2021.07.21
온라인으로 대마 성분 마약류 광고.판매 적발
"이 자료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첨부파일
7.21 사이버조사단.hwp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온라인으로 대마 성분 마약류 광고·판매 적발 CBD 오일 등 광고·판매 80건 적발… 위반자 수사 의뢰 등 조치 |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온라인 누리집의 칸나비디올(CBD) 오일 제품류 판매·광고 1,042건을 점검(6.14~6.25)해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을 위반한 판매·광고 80건을 적발하고 위반자 수사 의뢰, 해당 누리집 접속차단, 해당 제품 정보제공(관세청) 등 조치했습니다.
○ CBD는 대마에 함유된 성분으로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대마에 해당하며, 수출입·매매·매매알선 행위가 금지됩니다.
※ 마약류: 마약, 향정신성의약품, 대마
○ 이번 점검은 대마 성분인 ‘CBD오일’, ‘햄프오일’ 등을 표시했거나 CBD가 함유되었다고 표시·광고하는 제품을 대상으로 점검했으며, 주요 적발 사례는 제품명과 내용에 ▲대마 성분인 CBD 함유 ▲대마 추출물 오일의 표시·광고 등입니다.
□ 식약처는 온라인에서 ‘CBD오일’, ‘햄프오일’ 등으로 표시한 제품과 ‘CBD 성분이 있다고 광고’하는 제품은 국내에서 취급이 허용되지 않았고 안전성·효과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온라인에서 구매하지 말 것을 당부했습니다.
○ 아울러 온라인을 통한 마약류 광고·판매 근절을 위해 점검을 강화하고 국내 반입을 차단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협조하는 등 국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붙임 1 | 플랫폼별 적발 사례 |
(단위 : URL 건수) | |||||
플랫폼별 | 적발 유형 | ||||
상호명 | 유형 | 해외직구 | 구매대행 | 합계 | |
1 | 네이버 | 오픈마켓 | 6 | 13 | 19 |
2 | 쿠팡 | 오픈마켓 | 5 | 13 | 18 |
3 | 11번가 | 오픈마켓 | 3 | 12 | 15 |
4 | 해외쇼핑몰 (Qoo10 등) |
해외쇼핑몰 | 7 | - | 7 |
5 | 옥션 | 오픈마켓 | 2 | 4 | 6 |
6 | 지마켓 | 오픈마켓 | 2 | 4 | 6 |
7 | 롯데ON | 일반쇼핑몰 | - | 5 | 5 |
8 | 위메프 | 오픈마켓 | - | 4 | 4 |
합계 | 25 | 55 | 80 |
* (해외직구) 해외 소재지 판매자가 해외에서 판매 광고하는 형태
(구매대행) 국내 소재지 판매자가 판매 광고하는 형태
붙임 2 | 제품별 주요 위반 사례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 정보기술(IT) 상품 통합플랫폼’ 구축한다 (0) | 2021.07.31 |
---|---|
신축 아닌 기존 아파트도 전기차 충전기 설치 의무화 (0) | 2021.07.31 |
아시아개발은행, 한국 성장률 전망 3.5%→4.0% 상향 (0) | 2021.07.31 |
[중소벤처기업부] 소셜벤처 법적근거 본격 시행, 판별기준 정비 등 지원 박차(소셜벤처기업 지원제도 운영요령 제정) (0) | 2021.07.31 |
생산자책임재활용 품목 확대…파렛트 등 17개 품목 추가 (0) | 2021.07.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