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5년 5월 1일 ~ 5월 10일 수출입 현황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5. 5. 12.
반응형

'25년 5월 1일 ~ 5월 10일 수출입 현황

2025.05.12 관세청

’25년 5월 1일 ~ 5월 10일 수출입 현황

< 요 약 >



관세청은 12일, 5월 1일~10일 기간의 수출입 현황을 발표했다.
수출은 128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3.8% 감소, 수입은 14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5.9% 감소했으며, 무역수지는 17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1 총 괄

 

(5.1.∼5.10.) 수출 128억 달러, 수입 14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수출 △23.8%(40.1억 달러↓) 감소, 수입 △15.9%(27.6억 달러↓) 감소

 

< 5월(1일∼10일) 수출입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2024년
2025년
당 월
(5.1.-10.)
연간누계
(1.1.-5.10.)
전 월
(4.1.-10.)
당 월
(5.1.-10.)
연간누계
(1.1.-5.10.)
수 출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16,844
236,297
18,539
12,831
230,757
(16.7)
(9.9)
(13.4)
(△23.8)
(△2.3)
수 입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17,334
226,965
19,659
14,571
220,475
(△6.8)
(△7.2)
(6.4)
(△15.9)
(△2.9)
무역수지
-490
9,332
-1,120
-1,740
10,282

조업일수 [(’24) 6.5 일, (’25) 5.0 일] 고려 시 일평균수출액 [(’24.5.) 25.9, (’25.5.) 25.7 억 달러] △1.0% 감소

 

 

2 수출현황

 

 

 

 

(주요품목) 전년동기대비 반도체(14.0%) 등 증가, 승용차(△23.2%), 석유제품(△36.2%), 선박(△8.7%) 등 감소

 

- 반도체 수출 비중은 26.6%로 8.8%p 증가

 

(주요국가) 대만(14.2%) 등 증가, 중국(△20.1%), 미국(△30.4%), 베트남(△14.5%), 유럽연합(△38.1%) 등 감소

 

- 상위 3국(중국, 미국, 베트남) 수출 비중은 48.7% 기록

 

3 수입현황

 

 

(주요품목) 전년동기대비 반도체 제조장비(10.6%), 승용차(22.1%) 등 증가, 원유(△6.1%), 반도체(△8.2%) 등 감소

 

- 에너지(원유, 가스, 석탄) 수입액 △13.7% 감소

 

(주요국가) 베트남(14.5%) 등 증가, 중국(△16.8%), 미국(△20.0%), 유럽연합(△21.1%), 대만(△12.7%) 등 감소

붙임

5.1~10일 수출입 통계(주요 품목 및 국가)

 

주요품목

(단위 : 백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

수출(5.1.~10.)
수입(5.1.~10.)
주요품목
금액
증감률
주요품목
금액
증감률
반도체
3,419
14.0
원유
2,589
△6.1
승용차
1,122
△23.2
반도체
1,813
△8.2
석유제품
1,002
△36.2
가스
625
△29.1
철강제품
763
△41.2
기계류
616
△23.0
선박
627
△8.7
반도체제조장비
550
10.6
무선통신기기
397
△23.0
석유제품
435
△48.5
자동차부품
305
△42.6
정밀기기
356
△14.0
컴퓨터주변기기
237
△34.6
승용차
343
22.1
정밀기기
198
△39.1
석탄
229
△34.9
가전제품
120
△47.2
무선통신기기
153
△27.4

 

주요국가

(단위 : 백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

수출(5.1.~10.)
수입(5.1.~10.)
주요국가
금액
증감률
주요국가
금액
증감률
중국
2,802
△20.1
중국
3,208
△16.8
미국
1,992
△30.4
미국
1,798
△20.0
베트남
1,459
△14.5
유럽연합
1,362
△21.1
유럽연합
1,143
△38.1
대만
825
△12.7
대만
697
14.2
일본
812
△19.0
일본
593
△30.0
사우디아라비아
741
△24.8
홍콩
434
△29.7
베트남
718
14.5
인도
387
△27.0
호주
594
△18.4
싱가포르
288
△38.8
말레이시아
366
△19.1
말레이시아
244
13.0
러시아
175
22.0

 

※ 본 통계는 단기성 통계로 조업일수 변화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요품목은 관세청 성질별 분류체계 기준으로 집계되며, 신고수리일 기준으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6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