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 및 고교 교직원 예방접종 시행(7.19., 정례브리핑)
질병관리청 2021.07.19
고3 및 고교 교직원 예방접종 시행
- 7.19.(월)부터 7.30.(금)까지 전국 280여개 예방접종센터에서 접종 -
◆ 고3, 고교 교직원 화이자 백신 예방접종 시행 ○ 7.19.(월)~7.30.(금)까지 학생 46만 명, 교직원 19만 명에 대해 접종 실시 ○ 280여개 예방접종센터에서 화이자 백신 접종 ○ 접종 후 심근염 및 심낭염 등 의심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 진료 ◆ 50-54세 연령층 예방접종 사전예약 실시 ○ 50-54세는 7.19.(월) 20시부터 7.24.(토) 18시까지 6일간 순차적으로 예약 가능, 개통 직후 시간대를 피해 예약 당부 ○ 백신 도입 상황과 안정적인 예방접종을 위해 50대 연령층 접종 시 모더나 백신 외 화이자 백신 추가하여 시행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은 2.6명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환자수 증가 ○ 주요 전파요인은 밀폐밀집 환경에서의 불충분한 환기, 장시간 체류 등 ○ 거리두기 및 방역수칙 준수, 마스크 착용, 적극적인 진단검사 등 당부 |
1. 예방접종 현황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7월 19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1회 이상 실시한 사람이 16,133,084명으로 전 국민의 31.4%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 이 중 접종완료자(얀센 백신 1회 접종자 포함)는 6,565,472명으로, 전 국민의 11.4%이다.
○ 연령대별 인구 대비 접종률은 60대 이상 연령층 우선접종 결과, 60대 85.3%, 70대 88.7%, 80세 이상 80.0%(1차 접종기준)이다.
구분 | 1차 접종 | 접종 완료 | |||
1차접종자(명) | 접종률(%)* | 접종완료자(명) | 접종률(%)* | ||
계 | 16,133,084 | 31.4 | 6,565,472 | 11.4 | |
연 령 |
80세 이상 | 1,805,666 | 80.0 | 1,716,454 | 76.1 |
70∼79 | 3,334,358 | 88.7 | 1,509,595 | 40.2 | |
60∼69 | 6,089,614 | 85.3 | 412,978 | 5.8 | |
50∼59 | 1,176,560 | 13.7 | 546,540 | 6.4 | |
40∼49 | 1,299,114 | 16.0 | 562,643 | 6.9 | |
30∼39 | 1,476,719 | 22.1 | 1,075,256 | 16.1 | |
18∼29 | 951,053 | 12.5 | 742,006 | 9.7 | |
*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 인구 대비 접종률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 아울러 추진단은, 7월 19일 0시 기준으로 7월 접종대상자 중 81.4%(3,767,401명)가 예약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 이 중 55~59세 연령층은 79.1%가 예약하였으며, 지난주 예약이 종료된 교육·보육 종사자 및 돌봄인력 등은 95.3%가 예약을 완료했다.
ㆍ
(명, %) | ||||||
구분 (예약기간) | 접종대상자(A) | 접종예약자(B) | ||||
예약률(B/A) | ||||||
계 | 4,627,098 | 3,767,401 | 81.4 | |||
55-59세 (7.12.∼7.24.) | 3,563,207 | 2,818,886 | 79.1 | |||
60-74세 예약자 중 미접종자 (7.12.∼7.24.) | 169,563 | 96,578 | 57.0 | |||
교육·보육 종사자(어린이집, 유치원, 초·중등 교사) 및 돌봄인력 등 (7.8.∼7.10., 7.14.~7.17.) | 894,328 | 851,937 | 95.3 |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2. 고3 및 고교 교직원 예방접종 시행 |
□ 2학기 전면등교 및 수험생의 안전한 대입준비를 지원하기 위해, 오늘부터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및 고등학교 교직원(약 65만 명)에 대한 접종이 개시된다.
○ 총 3,184개의 고등학교가 이번 접종에 참여하여, 접종대상 학생 (46만 명) 및 교직원(19만 명)은 7월 19일부터 30일까지 280여개 예방접종센터에서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을 받게 된다.
□ 추진단은 안전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위해 교육부를 통해 각 학교가 학생들과 보호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안내자료*를 배포하고 이상반응 대응 방법을 다음과 같이 안내했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심근염‧심낭염 등) 안내문, 예방접종 안내 동영상 등
○ 접종을 받은 학생은 예방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 접종 기관에서 최소 15분 간 관찰하되, 이전에 다른 원인(약, 음식, 주사행위 등)으로 중증 알레르기(예: 아나필락시스) 경험이 있는 경우는 30분 간 관찰
○ 접종을 받은 학생은 접종 후 일주일 정도는 고강도의 운동 및 활동을 피하고, 학생과 보호자들은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건강상태를 관찰하여야 하며,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학교 및 교사는 예방접종 관련 불안반응 예방 및 대처요령을 숙지하여 학생들이 안전하게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아울러, 예방접종센터는 접종대상자들이 불안으로 인해 실신 등이 발생할 때를 대비하여 부상 방지 등을 위한 대처를 하도록 하고,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의심 시 신속한 진단 및 치료, 신고를 하도록 당부하였다.
3. 50~54세 연령층 예방접종 사전예약 실시 |
□ 50~54세(‘67.1.1.~’71.12.31. 출생) 연령층에 대한 사전예약이 7월 19일(월) 20시부터 7월 24일(토) 18시까지 6일간 순차적으로 실시된다.
○ 원활한 예약을 위하여 예약일정을 분산하여 시행하며,
- 53~54세(1967.1.1.~1968.12.31. 출생)는 7월 19일(월) 20시부터 7월 20일(화) 18시까지, 50~52세(1969. 1.1.~1971.12.31. 출생)는 7월 20일(화) 20시부터 7월 21일(수) 18시까지 예약을 진행하고,
- 7월 21일(수) 20시부터 7월 24일(토) 18시까지는 50-54세 연령층 전체가 예약이 가능하다.
○ 접종대상자는 6일간(7.19~7.24) 사전예약기간 중에는 조기 마감없이 예약을 하실 수 있으며, 사전예약 개통 직후 시간대에는 많은 사람들이 일시에 접속하여 사전예약 누리집의 접속 지연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개통 직후 시간대를 피해 예약해주실 것을 당부 드린다.
【50∼54세 예약 및 접종일정】
대상자 | 예약일정 | 접종일정 | ||
50-54세 | 53-54세 | 67-68년생 | 7.19일 20시∼7.20일 18시 | 8.16.-8.28. |
50-52세 | 69-71년생 | 7.20일 20시∼7.21일 18시 | ||
50-54세 | 67-71년생 | 7.21일 20시∼7.24일 18시 |
□ 추진단은 백신 공급 일정이 유동적인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예방접종을 시행하기 위해, 7월 26일(월)부터 시작하는 50대 연령층의 접종에 모더나 백신 외에 화이자 백신도 추가하여 접종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7월과 8월에 도입되는 모더나 백신 총량은 당초 계획 대비 변동이 없으나, 모더나사에서 결정 통보한 7월 배정 물량이 7월말에 집중되어 있어,
- 백신 수급상황 등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50대 접종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같은 mRNA 백신인 화이자 백신을 추가로 활용하기로 하였다.
○ 또한, 보다 안정적인 접종을 위하여 50대 접종 시기를 8월 25일(수)에서 8월 28일(토)까지 연장하며, 사전예약을 완료하신 분들께는 접종일 전에 백신종류 등을 문자로 개별 안내할 예정이다.
○ 1차접종 예약시 자동 통보되는 2차접종 일정은 위탁의료기관의 기존 예약상황을 반영한 예정일로, 1차접종 시행 후 2차접종일을 확정하여 대상자에게 개별 문자 통보된다.
□ 추진단은 “50~54세를 포함한 50대 전 연령층의 접종에 필요한 모더나, 화이자 백신의 3분기 도입물량은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조기 마감없이 예약기간 중에는 예약을 하실 수 있다”며, “백신 상황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mRNA 백신인 모더나 백신과 화이자 백신을 통해 안정적으로 접종을 받으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4. 이상반응 신고현황 주간 분석결과 (20주차) |
□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20주차, 7.18. 0시 기준)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 전체 예방접종 21,564,856건 중 이상반응은 105,937건(20주 신규 신고건수 4,761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49%으로,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접종일 기준)은 접종 초기에 비해 점차 낮아지는 추세이다.
- 신고 사례 중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은 94.9%(100,576건)이었으며, 중대한 이상반응은 5.1%(5,361건)이었다.
○ 이 중 의료기관을 방문할 정도의 이상반응으로 피해보상 신청한 건수는 1,011건(심의기준)으로 전체 이상반응 신고 대비 1.0%수준이었으며, 신청건수 중 727건(71.9%)은 보상 결정되었다(7.13일 기준).
○ 또한, 2차 접종이 교차접종(1차접종: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 화이자 백신)인 경우 이상반응 신고율은 0.18%(1,198건)이었다.
< 2차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 현황(단위: 건) >
1차-2차 접종백신* | 예방접종 | 전체 이상반응a (신고율, %) |
일반 이상반응b |
중대한 이상반응c | |||
소계 | 사망① | 아나필락시스 의심② |
주요 이상반응③ | ||||
소계 | 5,433,940 | 14,317 (0.26) | 13,441 | 876 | 118 | 53 | 705 |
AZ-AZ | 1,060,724 | 2,231 (0.21) | 2,092 | 139 | 11 | 16 | 112 |
PF-PF | 3,707,745 | 10,888 (0.29) | 10,170 | 718 | 107 | 29 | 582 |
AZ-PF | 665,471 | 1,198 (0.18) | 1,179 | 19 | 0 | 8 | 11 |
* (AZ-AZ) 1차 및 2차 접종 모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접종, (PF-PF) 1차 및 2차 접종 모두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 (AZ-PF) 1차 접종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차 접종은 화이자 백신으로 접종(교차접종)
a.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건으로 의료기관에서 신고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하였으며, 백신과 이상반응 간 인과성을 제시하는 것은 아님. 신고 현황 분류는 새로운 정보 추가시 변경 될 수 있음
b. 일반 이상반응은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 발적, 통증, 부기, 근육통, 발열, 두통, 오한 등 흔하게 발생하는 증상을 포함
c. 중대한 이상반응은 다음의 사례를 포함
① 사망, ② 아나필락시스 의심(아나필락시스양 반응 포함)
③ 주요 이상반응 : 특별관심 이상반응(Adverse Event Special Interest, AESI), 중환자실 입원, 생명위중, 영구장애/후유증 등
□ 한편, 추진단은 최근 세계보건기구, 유럽 의약품청 등에서 mRNA 코로나19 백신(화이자, 모더나) 접종 후 매우 드물지만 심근염/심낭염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발표함에 따라 주의사항을 당부했다.
* (심근염) 심장 근육에 생긴 염증, (심낭염) 심장 주변막의 염증
○ 유럽, 미국에서 보고된 사례는 주로 젊은 연령층의 남자, 2차 접종 후, 접종 후 14일 이내에 발생하였으며, 대다수는 치료와 휴식 후 빠르게 호전되었다.
* (미국) 심근염/심낭염: 30세 이하에서 1,047건 보고, 이 중 633건 확진(7.13.발표 기준)
* (유럽) 심근염: 화이자백신 접종 후 145건, 모더나 백신 접종 후 19건
심낭염: 화이자 백신 접종 후 138건, 모더나 백신 접종 후 19건(7.9.발표 기준)
○ 이에,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후 다음과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경우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고, 해당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이상반응 신고할 것을 요청했다.
【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 ◈ 예방접종 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경우 ①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②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③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④ 실신 |
5.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사례평가 결과 분석 (7.11.~7.17.) |
□ 예방접종피해조사반(반장 김중곤 교수)은 예방접종 후 발생한 사망, 중증 및 아나필락시스 이상반응 신고사례에 대한 인과성 평가 결과를 안내하였다.
○ 현재까지 총 22회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회의를 개최하여 사망 및 중증 사례 877건(사망 388건, 중증 489건),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385건을 평가하였고, 총 135건(사망 1건*, 중증 3건**, 아나필락시스 131건)에 대해 예방접종과 인과성을 인정하였다.
* (사망)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1건
** (중증) 뇌정맥동혈전증 1건, 발열 후 경련으로 인한 혈압저하 1건,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1건
<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조사반 평가현황 총괄(1차~22차) > 7.19. 0시 기준
구 분 | 사망/중증1) | 아나필락시스2) (중증) |
||||||
누계 | 사망 | 중증 | 누계 | 22차 | ||||
누계 | 22차 | 누계 | 22차 | |||||
계 | 877 | 388 | 35 | 489 | 69 | 385(14) | 18(0) | |
심의 결과 |
인과성 인정 | 4 | 1 | 0 | 3 | 0 | 131(11) | 8(0) |
명확히 인과성 없거나 인정되기 어려움 | 856 | 372 | 32 | 484 | 68 | 254(3) | 10(0) | |
판정 보류 | 17 | 153) | 3 | 23) | 1 | 0(0) | 0(0) |
1) 피해조사반 평가 시점을 기준으로 분류함, 재평가 건수 제외
2) 일반 및 중대한 이상반응 포함
3) 재평가 결과 사망1건, 중증1건의 사례가 인과성 없음으로 판정
□ 7월 16일(금) 제22차 피해조사반 회의에서는 신규 사망 및 중증 사례 104건(사망 35건, 중증 69건)과 재평가 사례 3건(사망 2건, 중증 1건),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18건을 평가하였다.
○ 신규 사망 및 중증 사례의 추정사인·진단명에 대해 기저질환과 예방접종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100건(사망 32건, 중증 68건)은 예방접종과 사망과의 인과성을 인정하기 어려운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4건(사망 3건, 중증 1건)은 최종 부검결과 등의 관련 기록이 보완된 후 재논의하기로 하였다.
- 신규 사망사례 35건의 평균 연령은 75.6세(범위 21~99세)였고, 이 중 32명(91.4%)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받은 백신은 화이자 20명, 아스트라제네카 15명이었다.
* 고혈압, 당뇨, 심근경색, 폐혈증, 치매 등
- 신규 중증 사례 69건의 평균 연령은 70.7세(범위 30-88세)였고, 이 중 62명(89.8%)에서 기저질환*이 있었으며, 접종 후 증상 발생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4.9일(범위 3시간∼36일), 접종 받은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36명, 화이자 30명, 얀센 3명이었다.
*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만성신장질환 등
- 추정사인 및 진단명의 상당수를 차지한 뇌졸중, 급성심근경색, 급성심장사 등은 백신접종 보다는 기저질환(고혈압, 당뇨, 협심증 등) 및 고령에 의해 유발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인과성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설명하였다.
- 다만, 이 중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19 백신 접종 9일 후 길랑-바레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중증사례 1건에 대해서는 인과성 근거가 불충분한 경우(Unlikely-indeterminate)로 평가하였다.
○ 또한, 지난 회의(19・20차)에서 평가를 보류하였던 사망 사례 1건과 중증사례 1건에 대해 최종부검결과 등 보완된 기록을 토대로 재평가한 결과 모두 예방접종과 인과성을 인정하기 어려운 것으로 평가하였다.
○ 이번 회의에서 신규 아나필락시스 의심사례 18건 중 8건에 대해 인과성을 인정하였다.
6. 코로나19 주간발생 동향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최근 1주간(’21.7.11.∼7.17.) 코로나19 국내 발생 확진자가 일평균 1,348.7명으로 직전 1주간 일 평균 992.4명 대비 35.9% 증가하였고, 수도권 대비 비수도권에서 확산세가 증가하였다.
○ 수도권의 직전 1주간 환자 발생은 일평균 799.0명(전체 대비 80.5%)에서 최근 1주간 990.4명(전체 대비 73.4%)으로 증가하였으며
○ 비수도권의 직전 1주간 환자 발생은 일평균 193.4명(전체 대비 19.5%)에서 최근 1주간 358.3명(전체 대비 26.6%)으로 증가하였다.
○ 해외유입 사례는 1일 평균 48.1명(총 337명)으로 직전 1주 대비 28%(62명→48.1명) 감소하였다.
○ 주간 위중증 환자 규모는 159명, 사망자는 17명으로, 치명률은 계속 감소*하는 추세이다.
* (치명률) (4.17일) 1.58% →(5.17일) 1.44% →(6.17일) 1.33% →(7.17일) 1.16%
구 분 | 6월 4주(6.20.~6.26.) | 6월 5주(6.27.~7.3.) | 7월 1주(7.4.~7.10.) | 7월 2주(7.11.~7.17.) | ||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명) |
국내발생 | 491.6 | 655.0 | 992.4 | 1,348.7 | |
수도권 | 363.4 | 531.3 | 799.0 | 990.4 | ||
비수도권 | 128.2 | 123.8 | 193.4 | 358.2 | ||
해외유입 | 42.3 | 42.7 | 62.0 | 48.1 | ||
전 체 | 533.9 | 697.7 | 1,054.4 | 1,396.9 | ||
감염경로 조사중 분율(%)(건) | 국내발생 | 26.0 (894/3,441) |
29.1 (1,333/4,585) |
32.5 (2,256/6,947) |
32.5 (3,072/9,441) |
|
방역망 내 관리 분율(%) | 국내발생 | 42.3 | 37.8 | 33.8 | 36.5 | |
감염재생산지수(Rt) | 0.99 | 1.20 | 1.24 | 1.32 | ||
신규 집단발생 건수(건) | 53 | 44 | 67 | 34 | ||
주간 평균 위중증 환자(명) | 142 | 146 | 147 | 159 | ||
주간 사망 환자 수(명) | 15 | 13 | 13 | 17 | ||
즉시 가용 중환자실(개) | 592 | 578 | 588 | 546 |
*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 최근 4주간 감염 경로를 살펴보면, 가족·지인·직장 등 소규모 접촉감염이 증가하면서 ‘확진자 접촉’ 비중은 계속 증가세*이며, 병원·요양시설 등에서도 지속 발생 중이다.(0명 → 45명 → 19명)
* 확진자 접촉 비중 :(6월4주) 39.7%(1,485명) → (6월5주) 41.3%(2,017명) → (7월1주) 42.3%(3,124명) → (7월2주) 48.1%(4,706명)
< 최근 4주간 감염경로* (’21.6.20~7.17.)>
구 분 | 6월 4주 (6.20.~6.26.) |
6월 5주 (6.27.~7.3.) |
7월 1주 (7.4.~7.10.) |
7월 2주 (7.11.~7.17.) |
||||
전체 | 3,737명 | (100%) | 4,884명 | (100%) | 7,381명 | (100%) | 9,778명 | (100%) |
확진자 접촉 | 1,485명 | (39.7%) | 2,017명 | (41.3%) | 3,124명 | (42.3%) | 4,706명 | (48.1%) |
지역 집단발생 | 1,033명 | (27.6%) | 1,233명 | (25.2%) | 1,514명 | (20.5%) | 1,642명 | (16.8%) |
병원 및 요양시설 등 | 24명 | (0.6%) | 0명 | (0.0%) | 45명 | (0.6%) | 19명 | (0.2%) |
해외유입 | 296명 | (7.9%) | 299명 | (6.1%) | 434명 | (5.9%) | 337명 | (3.4%) |
해외유입 관련 | 5명 | (0.1%) | 2명 | (0.0%) | 8명 | (0.1%) | 2명 | (0.0%) |
조사중(미분류) | 894명 | (23.9%) | 1,333명 | (27.3%) | 2,256명 | (30.6%) | 3,072명 | (31.4%) |
수도권 지역 조사중(미분류) |
724명 | (19.4%) | 1,149명 | (23.5%) | 1,937명 | (26.2%) | 2,518명 | (25.8%) |
* 역학조사 진행에 따라 감염경로는 재분류 될 수 있음
○ 집단발생 상황을 보면, 일반음식점·주점 등 유흥시설, 학교‧학원 등 교육시설, 군 훈련소 관련에서의 발생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의료기관 및 공장 등 사업장에서 신규 감염이 발생하였다.
- 주요 전파요인은 대부분 밀폐‧밀집 환경에서의 불충분한 환기, 장시간 체류 등 이었다.
* 신규 집단감염(34건): 다중이용시설(음식점, 주점, 실내체육시설 등) 9건, 사업장(직장 등) 10건, 교육시설(학교, 학원, 어린이집 등) 9건, 사회복지시설 1건, 의료기관·가족지인모임·종교시설 각 1건, 군 훈련소 1건, 미군부대 1건
○ 또한, 전주(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1.9명) 대비 8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환자 수가 증가하여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은 2.6명이었으며,
- 연령별 발생률은 20대 5.0명(▴37.6%), 30대 3.4명(▴40.2%),, 40대 2.9명(▴28.4%), 50대 2.6명(▴30.9%), 60대 1.1명(▴39.2%)으로 지속 증가 중이고, 10대도 2.8명(▴32.2%)으로 전주 대비 증가하였다.
< 전국 연령별 발생률(7.17. 0시 기준) >
구분 | 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이상 | |
7월 1주 (7.4.~7.10.) |
환자수 | 6,947 | 297 | 705 | 1,726 | 1,180 | 1,291 | 1,201 | 383 | 104 | 60 |
발생률 | 1.9 | 1.1 | 2.1 | 3.6 | 2.5 | 2.2 | 2.0 | 0.8 | 0.4 | 0.4 | |
7월 2주 (7.11.~7.17.) |
환자수 | 9,441 | 528 | 932 | 2,376 | 1,654 | 1,658 | 1,572 | 533 | 134 | 54 |
발생률 | 2.6 | 1.9 | 2.8 | 5.0 | 3.4 | 2.9 | 2.6 | 1.1 | 0.5 | 0.4 |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0.12월 기준) × 100,000(명)
○ 국내 주요변이바이러스 검출률은 47.1%로 전주대비 10.2%p 증가하였으며, 그 중 델타형 검출률이 33.9%p로 전주 대비 10.6%p 증가하였다.
구분 | 분석주차 | 분석률 (%) |
주요 변이 | 알파형 | 베타형 | 감마형 | 델타형 |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
국내발생 | 최근 5주 계 | 19.2 | 2,022 | 40.1 | 963 | 19.1 | - | - | - | - | 1,059 | 21.0 |
6월3주 | 22.0 | 225 | 32.9 | 208 | 30.4 | - | - | - | - | 17 | 2.5 | |
6월4주 | 18.7 | 196 | 30.5 | 175 | 27.3 | - | - | - | - | 21 | 3.3 | |
6월5주 | 11.5 | 205 | 39.0 | 153 | 29.1 | - | - | - | - | 52 | 9.9 | |
7월1주 | 15.4 | 395 | 36.9 | 145 | 13.5 | - | - | - | - | 250 | 23.3 | |
7월2주 | 23.3 | 1,001 | 47.1 | 282 | 13.3 | - | - | - | - | 719 | 33.9 |
* (분석률) = (변이분석건수) ÷ (확진자수) × 100(%) ** (검출률) = (주요변이검출건수) ÷ (변이분석건수) × 100(%)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수도권은 거리두기 강화조치로 급증세는 정체되었으나, 여전히 1천명대가 지속 발생되고, 비수도권도 뚜렷한 증가세로 전환되는 등 4차 유행이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으로,
○ 정부는 ▲수도권 방역강화대책 지속 추진, ▲비수도권 사적모임 제한(5인 미만), ▲비수도권 유행지역 거리두기 상향을 시행하였다.
○ 이와 동시에, 국민들께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거리두기 및 방역 수칙 이행, ▲마스크 착용, ▲적극적인 진단검사 등 방역당국의 조치사항과 방역수칙을 충실히 따라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아울러, 방학 및 휴가철을 맞아 지역 간 이동, 모임, 외출 등을 최대한 자제하고 집에서 안전하게 머물러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첨부파일
[7.19.보도참고자료] 고3 및 고교 교직원 예방접종 시행(정례브리핑).hwp
(별첨) 코로나19 관련 홍보자료 17종(6.24.기준).hwp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 19일 비수도권의 사적모임은 4인까지 가능 (0) | 2021.07.20 |
---|---|
식약처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만 12~15세도 접종 가능”(안전성 양호·효과성 충분 판단…접종 연령 확대·변경 허가승인) (0) | 2021.07.20 |
[고용노동부] 구직급여 반복수급 등고용보험 제도개선 방안 고용보험위원회 의결 (0) | 2021.07.19 |
[특허청] 상반기 지식재산 출원 12.3% 증가, 올해 60만건 최초 돌파 전망 (0) | 2021.07.19 |
[국방부] 코로나19 상황 고려 '21년도 예비군 소집훈련 미실시 (0) | 2021.07.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