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지원 사업

과기정통부, 맞춤형 해외시장 진출 지원으로 디지털작품(디지털콘텐츠) 기업 육성 박차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5. 3. 31.
반응형

과기정통부, 맞춤형 해외시장 진출 지원으로 디지털작품(디지털콘텐츠) 기업 육성 박차

2025.03.3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원장 박윤규)은 디지털 분야의 해외 진출 및 수출 활성화를 위해 올해 총 60억 원을 투입하여, 해외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약 74개 디지털작품(콘텐츠) 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지원 사업을 실시하며, 이들 기업을 4월 1일(화)부터 모집한다고 밝혔다.

 

증강현실/가상현실, 3차원 작품(3D 콘텐츠), 인공지능 기반의 디지털 작품(디지털콘텐츠)은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디지털 건강돌봄(헬스케어) 등 새로운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시장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이번 맞춤형 해외 시장 진출 지원 사업은 선정된 디지털 작품(디지털콘텐츠) 및 융합형 제품·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해외 수요처 발굴, 현지 기술·사업 설명회, 판촉 지원, 수주 활동 지원 등을 제공한다. 이 사업은 ① 수출 유망 디지털작품(디지털콘텐츠) 강소기업 육성, ② 유망 디지털 작품(디지털콘텐츠) 융합형 제품·서비스 해외 홍보·판촉, ③ 디지털 작품(디지털콘텐츠) 융합 기업의 세계 시장 참가, ④ 디지털 작품(디지털콘텐츠) 융합형 사업(프로젝트) 수출 등 기업 맞춤형으로 추진된다.

 

① 해외 진출 가능성이 높은 디지털작품(디지털콘텐츠) 강소기업을 육성한다. 해외 진출 초기 단계에 있는 20개사를 대상으로 수출 역량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목표 시장에 적합한 자문을 제공한다. 또한, 북미·아시아 등 주요 시장에서 수요처를 사전 발굴하고, 현지 사업상 만남(테크·비즈니스 밋업 등)을 지원하여 기업 간 교류 및 사업 성사를 돕는다.

 

 

② 디지털작품(디지털콘텐츠)을 융합한 제품·서비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의료, 제조, 교육, 매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작품(디지털콘텐츠)을 접목한 약 18개 기업을 선정하여 해외 진출 전략 자문을 제공한다. 또한, 목표 시장에 맞춘 홍보(온라인 거래터<플랫폼> 입점, 대중투자<크라우드 펀딩> 등), 구매자·벤처캐피탈(VC) 발굴 및 연결 등을 통해 판로 개척을 적극 지원한다.

 

③ 북미, 중동, 아시아 등에서 개최되는 주요 디지털작품(디지털콘텐츠) 전시회 참가도 지원한다. 선정된 32개 기업은 해외 전시회에 참가하여 최신 기술 및 산업 동향을 파악하고, 세계적 기업과 협업할 기회를 얻게 된다. 또한, 현지 사업상 만남 및 언론 인터뷰 등의 프로그램도 마련될 예정이다. 올해 참가 예정인 전시회에는 증강현실·가상현실·혼합현실 분야 세계 최대 규모의 미국 증강세계박람회 (AWE, Augmented World Expo) USA(6월중), 방콕 정보통신전시회 GITEX Bangkok (의료 분야<Medical Fair>, 9월중), 두바이 정보통신전시회(GITEX Dubai, 10월중) 등이 포함되고 참가기업은 전시회 개최 약 3개월전에 모집한다.

 

④ 디지털작품(디지털콘텐츠) 융합형 과제의 해외 수출도 지원한다. 제조·에너지·의료·방산 등 주력 산업 분야 기업과 디지털작품(디지털콘텐츠) 기업이 협력하여 추진하는 4개 해외 과제를 선정하고, 해외 수요처 발굴부터 현지 맞춤형 제작 등 수주 활동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누리집(www.nipa.kr)에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번 공모 신청은 4월 1일(화)부터 4월 30일(수) 14시까지 온라인(https://nxt.nipa.kr)으로 접수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 황규철 소프트웨어정책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과 융합하여 더욱 혁신하고 있는 국내 디지털작품(디지털콘텐츠) 기업들이 국내를 넘어 해외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을 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해외 판촉 등 다양한 지원을 통해 우리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동 보도자료는 과기정통부 2025년 업무계획 디지털 분야 구호
인공지능(AI)으로 디지털 대전환
기치 하에 추진되는 해외진출 지원 정책을 설명하는 자료입니다.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국민, 기업 등 정책 고객적극적으로 소통하면서 정책을 추진하겠습니다.

 

담당 부서
소프트웨어정책관
책임자
과 장
설재진
(044-202-6350)
디지털콘텐츠과
담당자
연구관
장영호
(044-202-6354)
유관 기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책임자
팀 장
홍태준
(043-931-5630)
메타버스확산팀
담당자
책 임
강현태
(043-931-5617)

 

붙임1

‘25년 디지털콘텐츠기업경쟁력강화사업 기업지원 개요

 

1 수출 유망 디지털콘텐츠 강소기업 육성
2 유망 디지털콘텐츠 융합형 제품·서비스 글로벌 홍보·마케팅 지원
3 디지털콘텐츠 융합기업 글로벌 마켓 참가
4 디지털콘텐츠 융합형 프로젝트 수출 지원
 
구분
과제 및 주요 지원내용
지원
규모
디지털콘텐츠 글로벌 역량 강화
수출 유망 디지털콘텐츠 강소기업 육성

- (맞춤형 수출 지원) 초기 수출기업 역량 진단 및 전략 수립, 목표시장 진출 컨설팅

- (현지 프로그램 지원) 북미, 아시아 등 현지에서 비즈니스 밋업 및 네트워킹 지원

※ 지원대상 : 국내 중소기업(디지털콘텐츠 융합형 제품 서비스 보유기업)
20개사 내외
유망 디지털콘텐츠 융합형 제품·서비스 글로벌 홍보·마케팅 지원

- (융합형 역량 강화 지원) 디지털콘텐츠+이종분야(의료/제조/교육/미디어 등) 해외 진출 전문 컨설팅 및 전략수립 지원 등 이종분야 융합형 수출

- (홍보․마케팅 특화 프로그램 지원) 타겟 국가 바이어․VC 발굴 및 매칭, 해외 플랫폼 입점, 크라우드 펀딩 등 신규 시장 판로 확대

※ 지원대상 : 국내 중소기업(디지털콘텐츠 융합형 제품 서비스 보유기업)
18개사 내외
디지털콘텐츠 융합기업 글로벌 마켓 참가

- (해외 마켓 참가 지원) 북미, 중동, 아시아 마켓별*(4개) 기업 공동관 운영
*AWE USA, GITEX Dubai/Bangkok(Medical Fair) 등 순차적으로 모집 예정

- (현지 비즈니스 지원) 사전 기업역량 및 특화된 현지 진출 강화 프로그램 운영

※ 지원대상 : 국내 중소기업(디지털콘텐츠 융합형 제품 서비스 보유기업)
32개사 내외
디지털콘텐츠 글로벌 수출 활성화
디지털콘텐츠 융합형 프로젝트 수출 지원

- (현지화 지원) 제품·서비스의 UI/UX, 기능요구 등 현지 수요 맞춤
커스터 마이징 및 추가 개발 등 융합형 프로젝트* 수출과제 현지화 지원
*디지털콘텐츠기업+주요산업분야기업(제조·교육·의료·방산 등)

- (수주활동 지원) 현지 수요 적합 제품·서비스에 대한 신규 수요처 발굴·네트워킹 및 수출계약 컨설팅 등 수주 제반 활동 지원

※ 지원대상 : 국내 중소․중견기업(해외 디지털콘텐츠 융합 프로젝트 수주 레퍼런스 보유기업)
4개사
내외

 

※ 지원규모는 과업 내용·범위 등을 고려하여 일부 변경될 수 있음

붙임2

‘24년 디지털콘텐츠기업경쟁력강화사업 기업 주요성과

 

 

□ 과제별 기업 주요성과

과제명
주요성과
수출 유망 디지털콘텐츠 강소기업 육성

(스튜디오 이온) 하이퍼 리얼리스틱 3D 콘텐츠 제작
▸(주요성과) 미국 MGA 엔터테인먼트와 ‘아머드 사우르스’ 북미판 제작 계약 체결(‘24.6월, 120만 달러)
※ 전체 91분 분량의 3D 애니메이션 제작 및 공간 디자인, 소품 및 차량 등 주요 에셋 디자인 개발 및 제작
② 유망 디지털콘텐츠 융합형 제품·서비스 해외 홍보·마케팅

(비햅틱스) 웨어러블 햅틱 디바이스(TactSuit)
▸(주요성과) 햅틱 디바이스 부분 최초 Meta ‘Made for Meta’ 파트너십 취득(‘24.4월), 유통 플랫폼(아마존 등)을 통한 판매(B2C) 81만 달러, GLOSTATION CORE USA 등 글로벌 판매(B2B) 70만 달러,
* 아주IB(주), 미래에셋증권 등 국내 투자유치(100억원)
③ 디지털콘텐츠 융합 기업의 글로벌 마켓 참가

(데브즈유나이티드게임즈) 초실사 VR배경 낚시 게임 콘텐츠 제작
▸(주요성과) Meta Platforms(구.페이스북)사에 판매 계약 체결(167.5만 달러)
* Meta Quest 최다 판매 카테고리 글로벌 11위 기록
④ 디지털콘텐츠 융합형 사업(프로젝트) 수출

(이퀄라이저) 몰입형 전시 공간 가상화·현지화 시뮬레이션
▸(주요성과) 태국 PMA THAI사와 파타야 몰입형 체험관 운영 관리 계약(‘24.11월, 총 350만 달러/5년)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