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자동차 산업 동향
2025.02.18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는(이하 산업부)는 `25년 1월 자동차 수출액이 1월 수출액 중 역대 2위인 49.9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특히 하이브리드차(HEV) 수출대수는 최고실적을 연이어 경신*하며 강세를 이어나갔다. 다만, 수출액은 전년 동월 수출 19.6% 감소하였는데, 이는 설연휴로 인해 조업일수가 `24년 1월 대비 4일 감소(△16.7%)한 20일에 불과했다는 점과, 전년도 1월 수출 실적이 역대 최고를 달성한 역기저 효과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 1월 HEV 수출(만대) : (`22년)2.3 → (`23년)2.4 → (`24년)2.6만대 → (`25년)3.6만대(+35.5%)
'25년 1월 생산량은 `24년 1월 대비 18.9% 감소한 29.1만 대를 기록하였다. 이는 르노 코리아에서 전기차 생산설비 구축을 위해 부산공장을 1월 한달동안 가동을 일시중단한 것과, 수출과 마찬가지로 조업일수 감소 및 역기저 효과로 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25년 1월 내수 판매는 `24년 1월 대비 9.0% 감소한 10.6만 대를 기록하였다. 차종별로 살펴보면, SUV 차량이 강세를 보였던 전년과 달리 승용차(아반떼, 그랜져 등)의 판매량이 전년 동월 대비 상승하였다.
* `24.1월 승용차 판매량 상위 5개 모델 : ➊쏘렌토, ➋스포티지, ➌카니발, ➍그랜져, ➎아반떼
한편, 산업부는 미국 신정부 출범으로 인한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 속에서 우리 업계가 기회를 창출할 수 있도록, 민관 통상 합동 소통체계를 가동하고, 미래차 경쟁력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 밝혔다.
('25년 1월) 자동차산업 동향, 잠정실적 수치
|
표 1) '25년 1월 자동차산업 수출액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
'25.1월
|
|
|
|
전년동월(‘24.1월)
대비 증감률
|
전월(‘24.12월)
대비 증감률
|
|||
자동차
|
4,993
|
△19.6
|
△17.4
|
|
|
친환경차
|
1,722
|
△17.1
|
△1.3
|
자동차부품
|
1,574
|
△17.2
|
△16.0
|
표 2) '25년 1월 자동차 지역별 수출액
[단위 : 백만달러, %]
구분
|
'25.1월
|
|
|
전년동월(‘24.1월)
대비 증감률
|
전월(‘24.12월)
대비 증감률
|
||
북미
|
2,618
|
△28.7
|
△16.9
|
EU
|
648
|
△6.4
|
△6.6
|
기타유럽
|
380
|
△16.9
|
△7.7
|
아시아
|
469
|
8.5
|
△14.1
|
중동
|
419
|
10.3
|
△25.6
|
중남미
|
176
|
△27.6
|
△44.5
|
오세아니아
|
247
|
△17.8
|
△21.4
|
아프리카
|
27
|
△8.9
|
△25.3
|
표 3) '25년 1월 자동차 생산, 내수, 수출량
[단위 : 대, %]
구분
|
'25.1월
|
|
|
|
전년동월(‘24.1월)
대비 증감률
|
전월(‘24.12월)
대비 증감률
|
|||
생산량
|
290,590
|
△18.9
|
△22.2
|
|
내수 판매량
|
105,928
|
△9.0
|
△25.8
|
|
|
국산차
|
89,446
|
△13.5
|
△23.8
|
|
수입차
|
16,482
|
25.9
|
△35.3
|
수출량
|
199,663
|
△17.9
|
△20.7
|
그림 1) 승용차 모델별 내수 판매량 순위

그림 2) 승용차 모델별 수출량 순위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참고 1
|
|
'25년 1월 업체별 자동차 생산·내수·수출 동향
|
□ '25년 1월 실적: (생산) 29.1만대, (내수) 10.6만대, (수출) 20.0만대
[단위 : 대, %]
구분
|
'25.1월
|
|
|
|
전년동월(‘24.1월)
대비 증감률
|
전월(‘24.12월)
대비 증감률
|
|||
생 산
|
290,590
|
△18.9
|
△22.2
|
|
|
현대
|
132,954
|
△13.2
|
△18.2
|
|
기아
|
116,132
|
△18.9
|
△13.7
|
|
한국지엠
|
33,992
|
△28.0
|
△32.4
|
|
KG모빌리티
|
6,960
|
△32.5
|
△32.7
|
|
르노코리아
|
267
|
△93.3
|
△98.2
|
|
타타대우
|
285
|
△61.4
|
△55.8
|
내 수
|
105,928
|
△9.0
|
△25.8
|
|
|
현대
|
46,054
|
△8.1
|
△24.9
|
|
기아
|
38,412
|
△14.0
|
△17.1
|
|
한국지엠
|
1,229
|
△57.5
|
△31.8
|
|
KG모빌리티
|
2,300
|
△38.9
|
△9.4
|
|
르노코리아
|
2,601
|
58.1
|
△63.3
|
|
타타대우
|
251
|
△44.2
|
△24.2
|
|
수입차
|
16,482
|
25.9
|
△35.3
|
수 출
|
199,663
|
△17.9
|
△20.7
|
|
|
현대
|
85,241
|
△15.3
|
△14.0
|
|
기아
|
76,864
|
△17.9
|
△11.8
|
|
한국지엠
|
30,392
|
△29.3
|
△38.8
|
|
KG모빌리티
|
5,680
|
5.0
|
△30.3
|
|
르노코리아
|
1,216
|
438.1
|
△83.9
|
|
타타대우
|
270
|
28.0
|
12.5
|
* 출처: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4
※ 현대, 한국지엠, 르노코리아 내수는 OEM 수입차(쏘나타DT23, 이쿼녹스, 타호, 마스터 등)를 포함
참고 2
|
|
'25년 1월 친환경차 내수·수출 동향
|
□ (내수) '25년 1월 친환경차 내수 판매량은 38,796대(전년동월비 +2.4%)
《 ’25년 1월 친환경차 차종별 내수 판매 현황 》
[단위 : 대, %]
구분
|
'25.1월
|
|
|
|
전년동월(‘24.1월)
대비 증감률
|
전월(‘24.12월)
대비 증감률
|
|||
친환경차 내수
|
38,796
|
2.4
|
△36.5
|
|
|
하이브리드
|
36,055
|
1.1
|
△33.0
|
|
전기차
|
1,625
|
△1.7
|
△72.5
|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1,092
|
85.7
|
△11.3
|
|
수소차
|
24
|
500.0
|
△83.7
|
* 출처 :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수입차는 MHEV 포함)
□ (수출) '25년 1월 친환경차(승용 기준) 수출 대수는 58,091대(전년동월비 △4.4%), 수출 금액은 17.2억 달러(전년동월비 △17.1%)
* 차종별 수출액(전년동월比): 전기차, 수소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7.9억 달러(△44.3%),
하이브리드 9.3억 달러(+41.9%)
《 ’25년 1월 친환경차 차종별 수출 현황 》
[단위 : 대, %]
구분
|
'25.1월
|
|
|
|
전년동월(‘24.1월)
대비 증감률
|
전월(‘24.12월)
대비 증감률
|
|||
친환경차 수출
|
58,091
|
△4.4
|
3.2
|
|
|
하이브리드
|
35,701
|
35.5
|
2.8
|
|
전기차
|
17,654
|
△41.8
|
△0.4
|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4,733
|
16.7
|
23.3
|
|
수소차
|
3
|
△40
|
0.0
|
* 출처: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참고 3
|
|
'25년 1월 업체별 자동차 국내 판매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
’25.1월
|
|
|||
점유율
|
전년동월(‘24.1월)
대비 증감률
|
전월(‘24.12월)
대비 증감률
|
|||
합 계
|
105,928
|
100.0
|
△9.0
|
△25.8
|
|
|
현 대
|
46,054
|
43.5
|
△8.1
|
△24.9
|
|
기 아
|
38,412
|
36.3
|
△14.0
|
△17.1
|
|
BMW
|
5,960
|
5.6
|
37.6
|
△8.4
|
|
Mercedes-Benz
|
3,790
|
3.6
|
29.3
|
△44.6
|
|
르노코리아
|
2,601
|
2.5
|
58.1
|
△63.3
|
|
KG 모빌리티
|
2,300
|
2.2
|
△38.9
|
△9.4
|
|
한국지엠
|
1,229
|
1.2
|
△57.5
|
△31.8
|
|
Lexus
|
1,126
|
1.1
|
12.8
|
0.5
|
|
Volvo
|
1,033
|
1.0
|
7.0
|
△28.7
|
|
Porsche
|
644
|
0.6
|
△4.9
|
△16.1
|
|
Toyota
|
430
|
0.4
|
△45.3
|
△60.9
|
|
Ford
|
366
|
0.3
|
59.8
|
△0.8
|
|
Land Rover
|
325
|
0.3
|
△4.4
|
△32.2
|
|
Audi
|
320
|
0.3
|
78.8
|
△65.1
|
|
타타대우
|
251
|
0.2
|
△44.2
|
△24.2
|
|
MINI
|
234
|
0.2
|
△56.9
|
△69.2
|
|
Honda
|
177
|
0.2
|
0.0
|
△51.1
|
|
Lincoln
|
134
|
0.1
|
△53.0
|
22.9
|
|
Volkswagen
|
129
|
0.1
|
143.4
|
△76.1
|
|
Jeep
|
120
|
0.1
|
△43.7
|
△50.6
|
|
Polestar
|
103
|
0.1
|
-
|
△67.8
|
|
Lamborghini
|
58
|
0.1
|
728.6
|
7.4
|
|
Peugeot
|
38
|
0.0
|
△62.4
|
△60.0
|
|
Ferrari
|
32
|
0.0
|
-
|
-
|
|
Cadillac
|
26
|
0.0
|
△54.4
|
△33.3
|
|
Maserati
|
14
|
0.0
|
△12.5
|
△33.3
|
|
Bentley
|
10
|
0.0
|
△23.1
|
△83.3
|
|
Rolls-Royce
|
7
|
0.0
|
△22.2
|
△61.1
|
|
Tesla
|
5
|
0.0
|
400.0
|
△99.6
|
* 출처: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 Ferrari는 2025년부터 공식 집계되어 2024년 수치는 제공하지 않음.
참고 4
|
|
'25년 1월 업체별 승용차 국내 판매 현황
|
[단위 : 대, %]
구 분
|
’25.1월
|
|
|||
점유율
|
전년동월(‘24.1월)
대비 증감률
|
전월(‘24.12월)
대비 증감률
|
|||
합 계
|
95,554
|
100.0
|
△7.3
|
△25.8
|
|
|
현 대
|
38,466
|
40.3
|
△5.0
|
△23.8
|
|
기 아
|
35,883
|
37.6
|
△13.4
|
△17.4
|
|
한국지엠
|
1,229
|
1.3
|
△57.5
|
△31.8
|
|
KG 모빌리티
|
2,300
|
2.4
|
△38.9
|
△9.4
|
|
르노코리아
|
2,595
|
2.7
|
57.8
|
△63.2
|
|
BMW
|
5,960
|
6.2
|
37.6
|
△8.4
|
|
Mercedes△Benz
|
3,790
|
4.0
|
29.3
|
△44.6
|
|
Lexus
|
1,126
|
1.2
|
12.8
|
0.5
|
|
Volvo
|
1,033
|
1.1
|
7.0
|
△28.7
|
|
Porsche
|
644
|
0.7
|
△4.9
|
△16.1
|
|
Toyota
|
430
|
0.5
|
△45.3
|
△60.9
|
|
Ford
|
366
|
0.4
|
59.8
|
△0.8
|
|
Land Rover
|
325
|
0.3
|
△4.4
|
△32.2
|
|
Audi
|
320
|
0.3
|
78.8
|
△65.1
|
|
MINI
|
234
|
0.2
|
△56.9
|
△69.2
|
|
Honda
|
177
|
0.2
|
0.0
|
△51.1
|
|
Lincoln
|
134
|
0.1
|
△53.0
|
22.9
|
|
Volkswagen
|
129
|
0.1
|
143.4
|
△76.1
|
|
Jeep
|
120
|
0.1
|
△43.7
|
△50.6
|
|
Polestar
|
103
|
0.1
|
-
|
△67.8
|
|
Lamborghini
|
58
|
0.1
|
728.6
|
7.4
|
|
Peugeot
|
38
|
0.0
|
△62.4
|
△60.0
|
|
Ferrari
|
32
|
0.0
|
-
|
-
|
|
Cadillac
|
26
|
0.0
|
△54.4
|
△33.3
|
|
Maserati
|
14
|
0.0
|
△12.5
|
△33.3
|
|
Bentley
|
10
|
0.0
|
△23.1
|
△83.3
|
|
Rolls-Royce
|
7
|
0.0
|
△22.2
|
△61.1
|
|
Tesla
|
5
|
0.0
|
400.0
|
△99.6
|
* 출처 :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한국수입자동차협회
* Ferrari는 2025년부터 공식 집계되어 2024년 수치는 제공하지 않음.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부지방산림청, 2025년 임업직불금 신청 미리 준비하세요 (0) | 2025.02.19 |
---|---|
"첨단산업 인재·지방 소멸·돌봄 공백… '인구위기' 어디서 길 찾나" 제7차 인구전략 공동포럼서 현장 제언 수렴 (0) | 2025.02.18 |
12월 결산법인 115만 곳, 다음 달 법인세 신고・납부 (0) | 2025.02.18 |
2025년 임업 산림직불금 신청, 미리 준비하세요 (0) | 2025.02.18 |
2025년 상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발표 (0) | 2025.02.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