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025년 1월 수출입 동향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5. 2. 1.
반응형

2025년 1월 수출입 동향

2025.02.01 산업통상자원부

2025년 1월 수출입 동향

- 장기 설 연휴(1.25~30일)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로 수출 일시적 둔화

- 반도체 15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컴퓨터 수출 두 자릿수 증가

* ‘25.1월 수출 491.2억 달러(△10.3%), 수입 510.0억 달러(△6.4%), 수지 △18.9억 달러 적자

 

총괄】‘25.1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0.3% 감소한 491.2억 달러, 수입은 △6.4% 감소한 510.0억 달러, 무역수지는 △18.9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였다.

 

수출】1월 수출은 △10.3% 감소한 491.2억 달러를 기록, 장기 설 연휴(1.25~30일)에 따라 조업일수(20일)가 ’24.1월(24일) 대비 △4일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되었다. 조업일수 영향을 고려한 일평균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한 24.6억 달러로, ‘22년(25.2억 달러)에 이어 역대 1월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 월평균 수출액 및 증감률 (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 :

’24.1Q544.5(+8.0)2Q571.7(+10.1)3Q578.9(+10.5)4Q583.9(+4.2)‘25.1월491(△10.3)

 

* 역대 1월 중 일평균 수출액(억 달러) : 1위25.2(’22)2위24.6(‘25)3위22.8(’24)4위21.6(‘23)

 

※ ’25.1월 조업일수 20.0일은 ‘00년 이후 1월 조업일수 중 최저치에 해당

 

품목】1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반도체·컴퓨터SSD 등 IT 분야 2개 품목 수출이 증가하였다.

 

우리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101억 달러(+8.1%)로 역대 1월 중 2위 실적(1위 : ’22년 108억 달러)을 기록하면서, 15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및 9개월 연속 수출 100억 달러 이상의 흐름을 이어갔다. 컴퓨터SSD 수출도 두 자릿수(+14.8%) 증가한 8억 달러로 13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 월평균 반도체 수출액 및 증감률(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 :

’24.1Q103(+50.7)2Q116(+53.5)3Q122(+41.4)4Q132(+34.0)‘25.1월101(+8.1)

 

* 역대 1월 중 반도체 수출액(억 달러) : 1위108(’22)2위101(‘25)3위97(’18)4위94(‘24)

 

한편, 1월에는 조업일수 감소 영향으로 대다수 품목의 수출이 마이너스를 기록하였으나, 일평균 수출은 자동차·부품, 일반기계, 석유제품, 가전 등을 제외한 10개 품목이 증가하였다.

 

 

특히, 자동차(50억 달러, △19.6%)·차부품(16억 달러, △17.2%) 수출은 완성차 및 부품 업계가 1.31일에도 추가적인 휴무를 시행하면서 타 품목대비 조업일수 감소 영향을 크게 받았다. 다만, 자동차 수출은 1월 중 역대 2위 실적을 기록하였다. 석유제품 수출은 국제제품가격이 ’24.1월 대비 하락한 가운데, ’24.12월 말 주요 업체의 생산시설 화재로 수출물량 생산에도 일부 차질이 발생하면서 크게 감소(34억 달러, △29.8%)하였다.

 

* 국제 석유제품가격($/b, ‘24.1→’25.1) : (휘발유)91.2 → 84.5(△7.4%), (경유)102.8 → 95.4(△7.2%)

 

지역】1월에는 9대 주요시장 전체에서 수출이 감소하였다.

 

(對)중국 수출은 춘절 연휴(1.28~2.4일) 영향으로 △14.1% 감소한 92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대미국 수출도 주요 수출품목인 자동차·일반기계 수출이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9.4% 감소한 93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3대 수출시장인 대아세안 수출은 소폭 감소(86억 달러, △2.1%)하였으나, 대아세안 수출의 50% 이상을 담당하는 대베트남 수출(44억 달러, +4.0%)은 반도체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13개월 연속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한편 주요시장으로의 일평균 수출은 중동을 제외한 8개 지역에서 플러스를 기록하였다.

 

수입】1월 수입은 △6.4% 감소한 510.0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에너지 수입은 △14.0% 감소한 113.6억 달러로 원유(△5.5%), 가스(△20.0%), 석탄(△35.0%) 수입 모두 감소하였다. 다만, 반도체 등 원·부자재가 포함된 에너지 외 수입은 설 연휴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으면서 △3.9% 감소한 396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무역수지】1월 수지는 수출(△10.3%) 대비 수입(△6.4%)이 낮은 감소세를 보이면서 △18.9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였다.

 

* 월평균 무역수지(억 달러) : ‘24.1월+3 → 2월+39 → 3월+41 → 2Q+48 → 3Q+45 → 4Q+51 → ’25.1월△19

 

평가】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월에는 장기 설 연휴로 인해 조업일수가 작년 1월에 비해 크게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되었다”고 하면서, “다만, 조업일수 영향을 고려한 일평균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하였으며, 대다수 품목과 시장에서도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만큼, 우리 수출 모멘텀은 여전히 살아있다”고 평가하였다.

 

 

이어서 “작년 한 해 동안 글로벌 고금리, 러-우 전쟁, 중동사태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GDP 성장의 90%를 담당하면서 우리 경제를 이끌었다”고 강조하고, “올해에도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수출이 우리 경제에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민관 원팀으로 가용한 모든 자원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24년 GDP 성장률 및 기여도(한은, %p) : (GDP)+2.0 / (소비)+0.9, (총자본형성)△0.7, (순수출)+1.8

 

정책 방향】이를 위해 안 장관은 “‘24년에 이어 올해에도 수출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수출 애로 해소 및 수출확대에 총력 지원하는 한편, 주요 업종의 글로벌 공급과잉 심화, 메모리 가격 하락세 등 최근 우리 수출을 둘러싼 여건이 녹록지 않은 만큼 2월 중 ‘수출전략회의’를 개최하고, 금융·물류·인증·마케팅 등 수출 전 분야에 걸친 즉각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모두 담은 ‘범정부 비상수출대책’을 발표하여 수출의 우상향 모멘텀을 유지하겠다”고 하였다.

 

아울러 “미 신정부 출범 이후 새로운 무역·통상 정책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는 만큼, 미국의 정책 동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업계와 함께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면밀히 점검하여 우리 수출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총력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2025년 1월 수출입 동향
수출 491.2억 달러(△10.3%), 수입 510.0억 달러(△6.4%)

 

1

1월 수출입 개요

 

(수출) 1월 수출은 전년 동월(547억 달러) 대비 △10.3% 감소 491.2억 달러

 

 

(수입) 1월 수입은 전년 동월(545억 달러) 대비 △6.4% 감소한 510.0억 달러

 

 

(무역수지) 1월 무역수지 △18.9억 달러 적자

 

 

(품목) 15대 주력 품목 중 반도체·컴퓨터 등 2개 품목 수출증가, 일평균 수출은 자동차·차부품, 일반기계, 석유제품, 가전 외 10개 품목 증가

 

(증가품목) 반도체 수출은 15개월 연속, 컴퓨터 13개월 연속 증가

 

(감소품목) 자동차·차부품 수출은 1.31일 업계 추가 휴무 시행 영향으로 둔화, 석유제품 수출은 국제제품가격 하락 등 영향으로 큰 폭으로 감소

 

【 1월 15대 주요 품목별 수출액(억 달러) 및 증감률(%)
구 분
반도체
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
컴퓨터
자동차
자동차부품
일반기계
선박
수출액
101.3
10.9
12.1
8.2
49.9
15.7
34.1
24.6
증감률
+8.1
△16.0
△9.4
+14.8
△19.6
△17.2
△21.7
△2.1
역대순위
2위
-
-
-
2위
-
-
-
구 분
석유제품
석유화학
바이오헬스
가전
섬유
철강
이차전지
전체
수출액
33.7
35.1
11.5
5.6
7.3
26.3
5.3
491.2
증감률
△29.8
△12.8
△0.4
△17.2
△15.5
△4.9
△11.6
△10.3
역대순위
-
-
-
-
-
-
-
-

 

(지역) 9대 주요 수출시장 전 지역 수출감소, 일평균 수출중동을

제외한 8개 지역에서 플러스

 

(對)중국 수출은 춘절 연휴(1.28~2.4일) 영향으로 △14.1% 감소,

대미국 수출 자동차·일반기계 수출이 감소하면서 △9.4% 감소

 

대아세안 수출은 소폭 감소(△2.1%), 대베트남 수출(대아세안 수출 50% 이상)반도체 수출 호조세에 힘입어 13개월 연속 증가(44억 달러, +4.0%)

 

【 1월 9대 주요 지역별 수출액(억 달러) 및 증감률(%)
구 분
미국
중국
아세안
EU
일본
중남미
인도
중동
CIS
전 체
수출액
92.9
91.9
86.0
50.4
23.5
20.6
14.7
13.3
7.3
491.2
증감률
△9.4
△14.1
△2.1
△11.7
△7.8
△6.3
△4.3
△19.9
△12.5
△10.3
역대순위
2위
-
-
-
-
-
2위
-
-
-

 

2

1월 수출입 주요 특징

 

1 (개괄) 장기 설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로 수출 일시적 둔화

일평균 수출은 +7.7% 증가, 역대 1월 중 2위 실적 기록

반도체 수출 15개월 연속 증가, 역대 1월 중 2위 실적 기록

 

ㅇ 1월 수출은 △10.3% 감소491.2억 달러, ’24.1월 대비 조업일수가 4일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

 

- 일평균 수출은 24.6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

1월 중 역대 2위 실적 기록

 

* 역대 1월 중 일평균 수출액(억 달러) : 1위 25.2(’22)2위 24.6(‘25)3위 22.8(’24)

 

ㅇ 1월 수입은 △6.4% 감소510.0억 달러, 에너지는 원유·가스·석탄 수입 감소△14.0% 감소, 비에너지 상대적으로 소폭 감소(△3.9%)

 

* 에너지원별 수입액(억 달러, %) : 원유 70(△5.5), 가스 31(△20.0), 석탄 12(△35.0)

 

무역수지 수출 대비 수입 낮은 감소세△18.9억 달러 적자

 

* 무역수지(억 달러) : ‘24.1월 +3 → 2월 +39 → 3월 +41 → ’25.1월 △19(△21)

 

2 (품목별 수출) 15대 품목 중 2개 수출증가, 일평균 수출은 10개 증가

 

반도체 수출은 15개월 연속 플러스, 컴퓨터SSD 수출은 두 자릿수 증가

 

일평균 수출은 자동차·차부품, 일반기계, 석유제품, 가전 등 5개 품목을 제외한 10개 품목에서 증가

 

【 1월 15대 주요 품목별 수출액(억 달러) 및 증감률(%)
구 분
반도체
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
컴퓨터
자동차
자동차부품
일반기계
선박
수출액
101.3
10.9
12.1
8.2
49.9
15.7
34.1
24.6
증감률
+8.1
△16.0
△9.4
+14.8
△19.6
△17.2
△21.7
△2.1
역대순위
2위
-
-
-
2위
-
-
-
구 분
석유제품
석유화학
바이오헬스
가전
섬유
철강
이차전지
전체
수출액
33.7
35.1
11.5
5.6
7.3
26.3
5.3
491.2
증감률
△29.8
△12.8
△0.4
△17.2
△15.5
△4.9
△11.6
△10.3
역대순위
-
-
-
-
-
-
-
-

 


IT 품목·바이오헬스

(반도체) 1분기 계절 요인에 따른 IT제품 수요감소에도 HBM·DDR5 등 고부가 메모리의 견조한 수요9개월 연속 100억 달러 이상 달성

* 월평균 반도체 수출액 및 증감률(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 :
’24.1Q103(+50.7)2Q116(+53.5)3Q122(+41.4)4Q132(+34.0)‘25.1월101(+8.1)

ㅇ (가격) 범용 메모리 반도체(DDR4, NAND 등)를 중심으로 반도체 고정가격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 지속

* 메모리 반도체 고정가격 증감률(전년 동월 대비, %) : DDR4 8Gb△25.0, NAND 128Gb△53.8

ㅇ (수요) 글로벌 데이터센터 투자확대에 따라 AI 등 서버에 사용되는 고용량・고부가 메모리 반도체 견조한 수출 증가세 지속

* 세부품목별 수출 증감률(억 달러, %) * '25.1월 기준 비중 : (메모리) 61.0%, (시스템) 34.4%
- 메모리 : '24.1Q188(+83)2Q215(+94)3Q228(+72)4Q252(+50)’25.1월62(+17)
- 시스템 : '24.1Q109(+18)2Q119(+13)3Q124(+7)4Q127(+10)’25.1월35(△4.3)

범용 메모리 가격 하락세에도 우리 기업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고부가·고용량 메모리를 중심으로 수출 호조세 지속

- ‘24.1월 대비 +8.1% 증가한 101억 달러로 15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기록, 1월 중 역대 2위 수출실적

* 역대 1월 중 순위(억 달러)
: 1위108(’22)2위101(‘25)3위97(’18)

【 반도체 수출액(억 달러) 및 증감률(%)


(컴퓨터SSD) AI 서버를 중심으로 기업용 SSD 수요 증가세가 지속, ‘24.1월부터 13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 지속

* 월평균 수출액・증감률(%) : '24.1Q7(+26) 2Q10(+59) 3Q14(+119) 4Q13(+99) ’25.1월8(+15)

(바이오) 글로벌 경쟁 심화에 따른 단가 하락세에도 불구 바이오시밀러 및 위탁생산(CMO) 등 수요 증가에 따라 전년 동월 대비 보합세

* 월평균 수출액・증감률(%) : '24.1Q12(+8) 2Q13(+10) 3Q13(+25) 4Q13(+11) ’25.1월11(△0.4)

 

 

자동차·선박

(자동차·부품) 주요 자동차·부품 업계가 1.31일 휴무 시행 → 타 품목 대비 조업일이 실질적으로 △1일 추가 감소

→ 1월 자동차 수출 △19.6%, 차부품 수출 △17.2% 감소

【 자동차 수출액(억 달러) 및 증감률(%)



* 차부품 월평균 수출액・증감률(%) : '24.1Q19(△0) 2Q19(△5) 3Q19(△3) 4Q18(+1) ’25.1월16(△17)

ㅇ 차종별로는 전기차·내연기관 감소, 하이브리드는 큰 폭의 증가세 지속

* 1월 세부품목별 수출증감률(%) : 하이브리드+37.1, 내연기관△20.8, 순수전기△50.3

(선박) ‘22~’23년 선가 상승분 반영에도 불구, 1월에는 고가의 LNG운반선 대비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탱커가 주로 수출되면서 소폭 감소

* 클락슨 선가지수 : ‘22.6월 161.5 → 12월 161.8 → ’23.6월 170.9 → 12월 178.4
↳ ’88.1월의 선박 가격을 기준(100)으로, 비교 시점의 선박 가격을 상대적으로 산출

* 월평균 수출액・증감률(%) : '24.1Q21(+57) 2Q18(+5) 3Q21(+35) 4Q25(△4) ’25.1월25(△2)

석유제품·석유화학

(석유제품) 국제 석유제품 가격 감소 + ‘24.12월 말 주요 업체 시설 화재로 인한 수출물량 일부 생산 차질 등 영향으로 큰 폭의 감소세 기록

* 국제 제품가($/b, ‘24.1→’25.1) : (휘발유)91.2 → 84.5(△7.4%), (경유)102.8 → 95.4(△7.2%)

【 석유제품 수출액(억 달러) 및 증감률(%)

【 油化 수출액(억 달러) 및 증감률(%)



(油化) 작년 12월 유가 하락* 및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인한 제품 단가 하락 영향으로 수출 감소

* 유가(두바이유, $/b) : ‘23.11월 83.6 → 12월 77.3 → ’24.11월 72.6(△13.1)12월 73.2(△5.3)
↳석유화학 수출단가는 1~2개월 전 유가와 연동(제품 생산기간에 따른 시차)

 

3 (지역별 수출) 9대 주요시장 수출 감소, 일평균 수출은 8개 지역 증가

 

대중국 수출춘절 연휴(1.28~2.4일) 영향으로 △14.1% 감소, 대미국 수출도 주요 품목인 자동차·일반기계 수출 둔화로 △9.4% 감소

 

대아세안 수출전년 대비 소폭 감소하였으나, 대아세안 수출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대배트남 수출은 +4% 증가한 44억 달러 기록

 

일평균 수출은 중동을 제외한 나머지 9개 시장에서 모두 플러스 기록

【 1월 9대 주요 지역별 수출액(억 달러) 및 증감률(%)
구 분
미국
중국
아세안
EU
일본
중남미
인도
중동
CIS
전 체
수출액
92.9
91.9
86.0
50.4
23.5
20.6
14.7
13.3
7.3
491.2
증감률
△9.4
△14.1
△2.1
△11.7
△7.8
△6.3
△4.3
△19.9
△12.5
△10.3
역대순위
2위
-
-
-
-
-
2위
-
-
-

 


(중국) 양대 품목인 반도체·석유화학 수출은 양호한 흐름이나, 일반기계·석유제품·디스플레이 등 수출은 감소하면서, 전체 수출액은 감소

* 주요품목 수출 증가율(1.1~25일, %) : (반도체)+5.5, (油化)+8.9, (기계)△6.4, (석유제품)△23.3, (DP)△12.9

ㅇ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14개월 연속 증가흐름

* 일평균 증가율(%) : ('24.1Q) +5 → (2Q) +7 → (3Q) +9 → (4Q) +5 → (‘25.1) +3

(미국) 반도체·컴퓨터 등 IT 품목 수출증가했으나, 양대 수출 품목인 자동차・일반기계 수출 둔화로 전체 수출액은 감소세

* 주요품목 수출 증감률(1.1~25일, %) : (반도체)+98.4, (컴퓨터)+78.7, (자동차)△14.1, (일반기계)△20.6

역대 1월 중 2위 실적인 92.9억 달러 기록, 일평균 수출도 +8.7% 증가

* 對美 역대 1월 수출순위(억 달러) : (1위)103('24년)(2위)93(‘25년)(3위)86(‘22년)

【 對中 수출액(억 달러)·증감률(전년비, %)

【 對美 수출액(억 달러)·증감률(전년비, %)


 

 


(아세안) 최대 수출품목반도체 수출은 증가하였으나, 디스플레이·무선통신기기 등 수출 감소로 전체수출은 소폭 감소

* 주요품목 수출 증가율(1.1~25일, %) : (반도체)+58.9, (디스플레이) △4.4, (무선통신기기) △15.4

(對EU) 주요 품목인 선박·바이오헬스 수출은 증가하였으나, 자동차부품·무선통신·디스플레이수출 둔화로 전체 수출액은 감소

* 주요품목 수출 증가율(1.1~25일, %) : (선박) +21.2, (바이오헬스)+39.4, (무선통신) △37.7,
(차부품)△25.4, (DP)△15.9

 

4 (수입) 에너지 수입(원유·석탄 등)·에너지 감소 전체 수입 감소

 

1월 수입 에너지 수입 감소 영향으로 △6.4% 감소한 510.0억 달러

 

* 수입증감률(%) : ‘24.1Q△10.9 → 2Q△1.4 → 3Q+6.2 → 4Q△0.9 → 25.1월△6.4

 

원유(△5.5%), 가스(△20.0%), 석탄(△35.0%) 등 에너지 전 품목 수입이 감소하면서 전체 에너지 수입△14.0% 감소

【 최근 에너지 수입액 (억 달러)


 

* 에너지 수입액・증감률(억 달러) : (원유)70.3(△5.5%), (가스)31.0(△20.0%), (석탄)12.3(△35.0%)

 

비에너지 수입은 전년 동월(413억 달러) 대비 △3.9% 감소한 396억 달러

 

- 전체 중간재 수입(LNG·LPG 등 가스 수입 제외)감소(△4.0%)하였으나,

반도체 수입은 +9.5% 증가

 

- 전화기(△32.0%)·자동차(△3.8%)소비재(△10.3%) 수입도 감소

 

5 (수지) 1월 무역수지는 18.9억 달러 적자 기록

 

1월 무역수지△18.9억 달러 적자로 전년 동기 대비 △21.4억 달러 감소

 

장기 설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은 수출은 △10.3% 감소, 수입수출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감소세(△6.4%)

 

 

 

3

수출 총력지원 강화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월에는 장기 설 연휴로 인해 조업일수가 작년 1월에 비해 크게 감소하면서, 수출이 일시적으로 둔화되었다”고 하고,

 

ㅇ “다만, 조업일수 영향을 고려한 일평균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하였으며, 대다수 품목과 시장에서도 플러스 성장을

기록한 만큼, 우리 수출 모멘텀은 여전히 살아있다”고 평가

 

ㅇ 또한 작년 글로벌 고금리, 러-우 전쟁, 중동사태 등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GDP 성장의 90%를 담당하면서 우리 경제를 이끌었다강조하고,

 

ㅇ 올해에도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수출이 우리 경제에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민관 원팀으로 가용한 모든 자원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힘

 

* ’24년 GDP 성장률 및 기여도(한은, %p) : (GDP)+2.0 / (소비)+0.9, (총자본형성)△0.7, (순수출)+1.8

 

□ 이를 위해 안 장관은 ‘24년에 이어 올해에도 수출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수출 애로 해소 및 수출확대에 총력 지원하는 한편,

 

ㅇ 주요 업종의 글로벌 공급과잉 심화, 메모리 가격 하락세 등 최근 우리 수출을 둘러싼 여건이 녹록지 않은 만큼 2월 중 ‘수출전략회의’를 개최,

 

- 우리 수출의 우상향 모멘텀을 유지하기 위한 금융·물류·인증·마케팅수출 전 분야에 걸친 즉각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모두 담은 ‘범정부 비상수출대책’을 발표 예정

 

ㅇ 아울러 ‘25.1월 미 신정부 출범 이후 새로운 무역·통상 정책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는 만큼,

 

- 미국의 정책 동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업계와 함께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면밀히 점검하여 우리 수출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총력 지원 추진

 

 

참 고

15대 주요 수출 품목 규모 및 증감률

 

(단위: 백만 달러, %)
순 번
품 목
’24.1.
‘24.11.
‘24.12.
‘25.1.
금 액
증감률
금 액
증감률
금 액
증감률
금 액
증감률
1
반도체
9,374
(56.2)
12,453
(30.8)
14,504
(31.5)
10,131
(8.1)
2
석유제품
4,798
(13.7)
3,655
(△18.6)
3,939
(△12.2)
3,366
(△29.8)
3
석유화학
4,023
(4.6)
3,565
(△5.8)
3,861
(1.6)
3,506
(△12.8)
4
자동차
6,210
(24.7)
5,639
(△13.6)
6,047
(△5.3)
4,993
(△19.6)

전기차*
1,423
(15.9)
808
(△47.9)
824
(△45.2)
792
(△44.3)
5
일반기계
4,359
(13.0)
3,985
(△19.0)
4,341
(△7.0)
3,413
(△21.7)
6
철강제품
2,766
(1.9)
2,683
(1.1)
2,774
(2.9)
2,630
(△4.9)
7
자동차부품
1,901
(10.2)
1,768
(△8.0)
1,875
(5.8)
1,574
(△17.2)
8
디스플레이
1,302
(2.1)
1,486
(△22.0)
1,477
(△3.3)
1,093
(△16.0)

OLED
826
(△14.9)
1,109
(△23.4)
1,161
(6.8)
778
(△5.9)
9
선박
2,511
(76.1)
2,521
(71.0)
3,088
(△15.8)
2,459
(△2.1)
10
무선통신기기
1,340
(△14.2)
1,701
(△3.5)
1,352
(16.1)
1,215
(△9.4)
11
바이오헬스
1,151
(3.4)
1,438
(19.2)
1,267
(△2.5)
1,147
(△0.4)
12
컴퓨터
715
(37.5)
1,352
(122.3)
1,496
(118.0)
821
(14.8)
13
섬유
864
(7.9)
917
(△4.0)
903
(△3.2)
730
(△15.5)
14
이차전지
595
(△25.7)
658
(△26.3)
822
(△13.5)
526
(△11.6)
15
가전
673
(14.1)
574
(△13.9)
613
(3.8)
557
(△17.2)
전체
54,727
(18.1)
56,303
(1.3)
61,369
(6.6)
49,117
(△10.3)

 

* 순수전기차(BEV), 수소전기차(FC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 3개 차종 모두 포함

 

품목·지역별 상세 수출 동향 (1월)

 

1

품목별 상세 수출 동향

 

(반도체: 8.1%) 고부가 메모리반도체(HBM, DDR5 등)의 견조한 수요가 이어지며 15개월 연속 수출 증가9개월 연속 100억 달러 이상 기록

(역대 1월 중에서는 ‘22년 108억불에 이어 2위 기록)

* 반도체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93.7(+56.2%) → (’25.1.) 101.3(+8.1%)
* 메모리반도체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52.7(+90.5%) → (’25.1.) 61.8(+17.2%)

 

(컴퓨터: 14.8%) 전년비 낸드 가격 하락전자기기 수요 회복 부진에도 불구, 글로벌 AI서버 시장向 SSD의 견조한 수요를 바탕으로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13개월 연속 수출 증가

* 컴퓨터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7.1(+37.5%) → (’25.1.) 8.2(+14.8%)
* SSD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5.0(+57.5%) → (’25.1.) 6.4(+27.1%)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美) 3.4(+78.7%), (EU) 0.8(△27.7%), (亞) 0.4(△23.0%)

 

(바이오헬스: △0.4%) 美·유럽 內 바이오시밀러 신규 품목허가 지속, 위탁생산(CMO) 대규모 수주 영향에도 불구, 글로벌 경쟁 심화수출단가 하락 우려 등 복합 영향으로 보합세

* 바이오헬스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11.5(+3.4%) → (’25.1.) 11.5(△0.4%)
* 의약품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7.2(+6.5%) → (’25.1.) 8.0(+10.8%)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EU) 3.4(+39.4%), (美) 2.3(+57.9%), (亞) 0.7(△22.5%)

 

(자동차: △19.6%) 설연휴와 더불어 주요 생산업체에서 자체 임시휴일(1.31.)추가로 운영하며 전년대비로는 수출이 감소하였으나, 역대 1월 중에서지난해에 이어 2위 실적 기록

* 자동차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62.1(+24.7%) → (’25.1.) 49.9(△19.6%)
↳ 하이브리드/순수전기/내연차 수출액: 7.9→10.8(+37.1%) / 12.9→6.4(△50.3%) / 41.1→32.5(△20.8%)

 

 

(석유제품: △29.8%) 전년비 국제 제품가격 하락, 지난해 말 생산시설 화재, 정비 등 여파로 수출 물량 감소에 따라 수출 감소

* 석유제품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48.0(+13.7%) → (’25.1.) 33.7(△29.8%)
* 국제 휘발유/경유($/B) : ('24.1.) 91.2 → ('24.4.) 102.1 → ('24.9.) 78.5 → ('25.1.) 84.5 /
('24.1.) 102.8 → ('24.4.) 104.7 → ('24.9.) 84.3 → ('25.1.) 95.4

 

(석유화학: △12.8%) 최근 유가 하락(’24.12월) 영향으로 인한 수출단가 하락, 장기 설연휴(1.25~30일)로 인한 조업일수 부족 등으로 수출 감소

* 석유화학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40.2(+4.6%) → (’25.1.) 35.1(△12.8%)
* 석유화학 수출단가($/톤) : (’24.1.) 1,213(△2.5%) → (‘25.1.e) 1,163(△4.1%)

 

(일반기계: △21.7%) 글로벌 건설ㆍ제조업 경기 둔화, 특히, 최대 수출국인 미국정책 불확실성 등에 따른 투자 둔화 여파로 수출 감소

* 일반기계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43.6(+13.0%) → (’25.1.) 34.1(△21.7%)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美) 10.0(△20.6%), (EU) 4.3(+0.0%), (亞) 3.8(+5.2%)

 

(철강: △4.9%) 전년比 물량 증가세에도 불구, 글로벌 공급과잉 및 단가 하락 여파, 조업일수 부족 등의 복합적 영향으로 수출 감소

* 철강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27.7(+1.9%) → (’25.1.) 26.3(△4.9%)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亞) 3.7(+15.6%), (美) 3.1(+20.5%), (EU) 3.0(+1.3%)

 

(차부품: △17.2%) 장기 설연휴(1.25~30일)주요업체 자체휴일(1.31.)로 조업일수 감소, 지속되는 전기차 수요둔화, 해외 현지생산 확대 등의 복합 영향으로 수출 감소

* 차부품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24.1.) 19.0(+10.2%) → (’25.1.) 15.7(△17.2%)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美) 6.0(+10.9%), (EU) 2.2(△25.4%), (중남미) 2.1(+10.5%)

 

(디스플레이: △16.0%) 글로벌 전자제품 수요부진 등의 여파로 주요국 향 중간재 수출 감소와, 현지에서 저가 물품 조달 증가 영향으로 수출 감소

* 디스플레이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24.1.) 13.0(+2.1%) → (’25.1.) 10.9(△16.0%)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亞) 5.4(△4.4%), (中) 2.9(△12.9%), (중남미) 0.8(+28.4%)

 

 

(선박: △2.1%) 전년 동월 대비 인도 물량은 비슷하나, 비교적 선가가 낮은 선종 비중이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수출 소폭 감소

* 선박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25.1(+76.1%) → (’25.1.) 24.6(△2.1%)
* 클락슨 선가지수(1월) : ('20)130 → ('21)127 → ('22)154 → ('23)163 → ('24)181

 

(무선통신: △9.4%) AIㆍ폴더블 스마트폰 향 고부가 제품 수요 확대에도 불구, 장기 설연휴(1.25~30일)조업일수 감소에 따라 수출 감소

* 무선통신기기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13.4(△14.2%) → (’25.1.) 12.1(△9.4%)
↳ 휴대폰 완제품/부품 수출액: 2.9 → 1.7(△41.4%) / 9.80 → 9.85(+0.5%)

 

(섬유: △15.5%) 국내ㆍ외 설연휴(우리나라 설1.25~30일, 중국 춘절1.28~2.4일)로 수출입 업계 조업일수 감소, 경쟁국 대비 가격경쟁력 불리 영향 등으로 수출 감소

* 섬유류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8.6(+7.9%) → (’25.1.) 7.3(△15.5%)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亞) 2.4(+11.4%), (美) 1.0(+6.7%), (中) 0.9(△21.0%)

 

(이차전지 : △11.6%) 장기 설연휴(1.25~30일)조업일수 감소, 지속되는 전방 시장 수요 둔화광물가격 하락세, 주요국 정책리스크 상존 영향 등으로 수출 감소

* 이차전지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24.1.) 5.9(△25.7%) → (’25.1.) 5.3(△11.6%)
↳ ESS용/EV용 리튬이온배터리 수출액: 1.3 → 1.9(+43.6%) / 1.6 → 0.6(△63.2%)
* 탄산리튬 가격 추이(RMB/KG): (‘24.1.) 86.5 → (‘24.6.) 93.7 → (’25.1.) 72.8
니켈 가격 추이($/Ton): (‘24.1.) 16,091 → (’24.6.) 17,508 → (‘25.1.) 15,395

 

(가전: △17.2%) 주력시장인 북미 시장에서 주택경기 회복 지연 등으로 대형가전 수요 감소, 유럽 지역 내 경기불확실성 및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 등의 여파로 수출 감소

* 가전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24.1.) 6.7(+14.1%) → (’25.1.) 5.6(△17.2%)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美) 2.5(△8.9%), (亞) 0.5(+13.2%), (EU) 0.5(△17.6%)

 

 

 

2

지역별 상세 수출 동향
 

※ 지역별 세부품목 수출은 1.1~25일 누계실적 기준으로 분석

 

(중국: △14.1%) 반도체·석유화학 주요 품목 수출 증가에도 일반기계·디스플레이(현지 조달 증가 및 해외제품 의존도 하락) 등이 감소하면서 수출 감소

* 중국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107.0(+16.2%) → (’25.1.) 91.9(△14.1%)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반도체) 29.0(+5.5%), (석유화학) 13.4(+8.9%),
(일반기계) 3.9(△6.4%), (디스플레이) 2.9(△12.9%)

 

(미국: △9.4%) 반도체(데이터 센터 向 반도체 수요 지속), 바이오헬스(개인 위생용품 수출 호조) 수출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자동차 등 주요품목 수출이 전년 호실적 대비 감소하면서 수출 감소

(다만, 지난해 1월102.5억불에 이어 역대 1월 중 2위 실적 기록)

* 미국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102.5(+27.2%) → (’25.1.) 92.9(△9.4%)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반도체) 6.4(+98.4%), (바이오헬스) 2.3(+57.9%),
(자동차) 21.5(△14.1%), (일반기계) 10.0(△20.6%)

 

(아세안: △2.1%) 반도체(역내 IT기기 생산 확대 등에 따른 반도체 수요 지속) 석유제품(현지 인프라 개발 확대, 설 명절 통행량 증가 등 영향) 수출 확대에도, 무선통신기기(신제품 출시 지연, 중국·동남아 제품 점유율 확대) 감소수출 소폭 감소

* 아세안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87.8(+6.0%) → (’25.1.) 86.0(△2.1%)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반도체) 24.1(+58.9%), (석유제품) 11.2(+20.9%)
(디스플레이) 5.4(△4.4%), (무선통신기기) 2.0(△15.4%)

 

(EU: △11.7%) 선박(旣수주 선박 인도, 글로벌 해운시장 호황), 자동차(전년도 홍해 물류사태 및 전기차 보조금 중단 등에 대한 기저효과) 수출 확대, 다만 자동차 부품(경기 부진 및 완성차 구입수요 감소 등 영향), 컴퓨터(연말 프로모션 등으로 1월 구매수요 旣소진)수출 감소로 전체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감소

 

* EU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57.0(+5.2%) → (’25.1.) 50.4(△11.7%)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선박) 8.6(+21.2%), (자동차) 5.9(+42.1%)
(자동차부품) 2.2(△25.4%), (컴퓨터) 0.8(△27.7%)

 

(일본: △7.8%) 석유화학(일본 내 생산 감소세 지속, 수입 단가 상승) 등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석유제품(일본 정부 휘발유 지원금 축소, 등유소비 감소세),③바이오헬스(의약품용 원료의약품 수입 감소) 등이 감소하면서 수출 감소

* 일본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25.4(+10.8%) → (’25.1.) 23.5(△7.8%)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철강) 2.8(+11.5%), (석유화학) 1.2(+15.0%),
(석유제품) 4.5(△16.7%), (바이오헬스) 0.6(△20.7%)

 

(중남미: △6.3%) 선박(편의치적 제도에 따른 파나마 등 수출 증가) 수출 증가에도, 일반기계(경쟁국 수입 증가)수출 감소전년동기 대비 감소

* 중남미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21.9(+28.2%) → (’25.1.) 20.6(△6.3%)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철강) 2.6(+18.7%), (자동차부품) 2.1(+10.5%)
(선박) 1.8(+286.1%), (일반기계) 2.4(△14.6%)

 

(중동: △19.9%) 자동차(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수요 확대) 등 일부 품목의 증가에도 불구, 석유화학(역내 내수육성정책 등으로 인한 수출물량 감소),

가전(현지생산 및 경쟁국 진출 확대 등 영향) 등 품목의 수출 하락에 따른 감소

* 중동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16.7(+13.7%) → (’25.1.) 13.3(△19.9%)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자동차) 4.1(+55.7%), (철강) 1.1(+21.3%),
(석유화학) 0.6(△22.1%), (가전) 0.2(△15.1%)

 

(인도: △4.3%) 반도체(현지 스마트폰 생산량 증가에 따른 반도체 수요 증가) 등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나, 석유화학(현지 및 중국 기업과의 경쟁 심화),

석유제품(해외 수입 의존도 감소) 등이 감소하면서 수출 감소

(다만, 지난해 1월15.4억불에 이어 역대 1월 중 2위 실적 기록)

* 인도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 (’24.1.) 15.4(+5.9%) → (’25.1.) 14.7(△4.3%)
* 1.1∼25일 수출액/증감률(억 달러): (반도체) 2.6(+55.2%), (일반기계) 1.3(+10.3%),
(석유화학) 2.1(△14.4%), (석유제품) 0.6(△15.6%)
I. 수출 동향 (잠정치)


 

가. 수출추이



 

① 월별 수출실적

(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24.1
2
3
4
5
6
7
8
9
10
11
12
‘25.1
수출액
547
521
565
562
580
573
575
576
586
575
563
614
491
증감률
18.1
4.2
3.0
13.6
11.5
5.6
13.9
10.9
7.1
4.6
1.3
6.6
△10.3
일평균
22.8
25.4
25.1
24.4
26.4
26.7
23.0
24.5
29.3
26.1
24.0
26.7
24.6

 

② 수출액 및 수출증감률 추이

 

 

③ 수출물량 추이

(억 달러, 만 톤, 전년동기대비%)
구 분
‘24.1
2
3
4
5
6
7
8
9
10
11
12
‘25.1
물 량
1,711
1,568
1,681
1,649
1,679
1,464
1,670
1,707
1,645
1,600
1,590
1,762
1,499
증감률
14.6
△3.4
7.0
9.6
4.7
△6.4
10.0
8.8
6.2
△2.1
1.7
5.3
△12.4
금액지수
126.8
122.7
132.8
131.8
136.3
134.5
136.4
132.7
136.2
133.9
131.1
141.4
-
물량지수
113.7
109.1
117.2
114.3
118.8
117.3
118.2
116.0
120.4
119.0
116.8
126.8
-

 

* 수출 물량은 관세청 세관 신고상의 중량(톤) 기준이며,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수출금액지수 및 수출물량지수는 ‘20년(100) 기준

 

④ 원화표시 수출 동향

 

구분
‘24.1
2
3
4
5
6
7
8
9
10
11
12
‘25.1
환율
(₩/$)
1,323.6
1,331.7
1,330.7
1,367.8
1,365.4
1,380.1
1,383.4
1,354.2
1,334.8
1,361.0
1,393.4
1,434.4
1,455.8
수출액
(억 달러)
547.3
521.0
565.2
561.5
580.2
573.4
574.6
576.4
585.5
575.1
563.0
613.7
491.2
증감률
(%)
18.1
4.2
3.0
13.6
11.5
5.6
13.9
10.9
7.1
4.6
1.3
6.6
△10.3
수출액
(조원)
72.4
69.4
75.2
76.8
79.2
79.1
79.5
78.1
78.2
78.3
78.5
88.0
71.5
증감률
(%)
25.3
9.2
4.9
17.7
14.6
12.4
22.5
13.9
7.6
5.4
7.8
17.3
△1.3

* 원화표시 수출액은 달러 표시 수출액을 원/달러 기준 환율로 환산한 수치임

 

나. 품목별 1월 수출 추이



 

① 15대 품목별 1월 수출증감률(%)

 

 

② 15대 품목별 수출 추이

(백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비중%)
품목명
’24년 전체
‘24년
‘25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선박
25,631
2,511
1,738
2,105
1,712
2,139
1,529
1,079
2,809
2,372
2,029
2,521
3,088
2,459
(17.6)
(76.1)
(12.0)
(98.9)
(5.7)
(116.3)
(△39.8)
(△36.5)
(78.3)
(75.2)
(△28.5)
(71.0)
(△15.8)
(△2.1)
3.7
4.6
3.3
3.7
3.0
3.7
2.7
1.9
4.9
4.1
3.5
4.5
5.0
5.0
무선
통신
기기
17,187
1,340
1,033
1,115
1,147
1,247
1,058
1,459
1,810
1,875
2,049
1,701
1,352
1,215
(11.1)
(△14.2)
(△16.9)
(5.1)
(11.3)
(9.3)
(3.8)
(53.3)
(50.1)
(16.5)
(19.7)
(△3.5)
(16.1)
(△9.4)
2.5
2.4
2.0
2.0
2.0
2.1
1.8
2.5
3.1
3.2
3.6
3.0
2.2
2.5
일반
기계
51,223
4,359
4,450
4,295
4,605
4,293
4,098
5,172
3,856
3,804
3,967
3,985
4,341
3,413
(△4.1)
(13.0)
(0.2)
(△10.5)
(△0.1)
(△3.9)
(△8.3)
(17.7)
(△6.0)
(△13.4)
(△8.1)
(△19.0)
(△7.0)
(△21.7)
7.5
8.0
8.5
7.6
8.2
7.4
7.1
9.0
6.7
6.5
6.9
7.1
7.1
6.9
석유
화학
47,980
4,023
3,959
4,053
4,315
4,096
3,974
4,175
4,155
3,816
3,987
3,565
3,861
3,506
(5.0)
(4.6)
(△2.6)
(△1.6)
(13.0)
(7.6)
(11.9)
(18.2)
(6.4)
(△1.2)
(10.3)
(△5.8)
(1.6)
(△12.8)
7.0
7.4
7.6
7.2
7.7
7.1
6.9
7.3
7.2
6.5
6.9
6.3
6.3
7.1
철강
제품
33,290
2,766
2,672
2,883
2,819
2,920
2,560
2,800
2,801
2,745
2,867
2,683
2,774
2,630
(△5.4)
(1.9)
(△10.1)
(△7.9)
(△5.8)
(△12.0)
(△24.3)
(△5.2)
(△2.0)
(△4.8)
(8.6)
(1.1)
(2.9)
(△4.9)
4.9
5.1
5.1
5.1
5.0
5.0
4.5
4.9
4.9
4.7
5.0
4.8
4.5
5.4
반도체
141,920
9,374
9,943
11,670
9,955
11,378
13,420
11,180
11,878
13,620
12,544
12,453
14,504
10,131
(43.9)
(56.2)
(66.7)
(35.7)
(56.1)
(54.4)
(50.9)
(50.2)
(38.8)
(37.1)
(40.3)
(30.8)
(31.5)
(8.1)
20.8
17.1
19.1
20.6
17.7
19.6
23.4
19.5
20.6
23.3
21.8
22.1
23.6
20.6
자동차
70,786
6,210
5,152
6,169
6,783
6,487
6,200
5,360
5,059
5,482
6,198
5,639
6,047
4,993
(△0.1)
(24.7)
(△7.9)
(△5.0)
(10.2)
(4.7)
(△0.4)
(△9.2)
(△4.4)
(4.9)
(5.4)
(△13.6)
(△5.3)
(△19.6)
10.4
11.3
9.9
10.9
12.1
11.2
10.8
9.3
8.8
9.4
10.8
10.0
9.9
10.2
석유
제품
50,301
4,798
4,431
4,654
4,339
4,524
3,695
4,490
4,377
4,006
3,395
3,655
3,939
3,366
(△3.3)
(13.7)
(△3.7)
(3.7)
(18.2)
(6.5)
(10.5)
(15.6)
(△2.0)
(△18.5)
(△34.5)
(△18.6)
(△12.2)
(△29.8)
7.4
8.8
8.5
8.2
7.7
7.8
6.4
7.8
7.6
6.8
5.9
6.5
6.4
6.9
디스
플레이
18,747
1,302
1,345
1,420
1,430
1,634
1,760
1,728
1,816
1,731
1,617
1,486
1,477
1,093
(0.9)
(2.1)
(20.2)
(16.1)
(16.3)
(15.8)
(26.0)
(2.4)
(△4.9)
(△4.3)
(△22.7)
(△22.0)
(△3.3)
(△16.0)
2.7
2.4
2.6
2.5
2.5
2.8
3.1
3.0
3.2
3.0
2.8
2.6
2.4
2.2
섬유
10,478
864
817
869
943
960
876
876
787
808
858
917
903
730
(△4.0)
(7.9)
(△12.0)
(△14.4)
(1.0)
(1.4)
(△11.2)
(1.2)
(△5.0)
(△8.5)
(2.3)
(△4.0)
(△3.2)
(△15.5)
1.5
1.6
1.6
1.5
1.7
1.7
1.5
1.5
1.4
1.4
1.5
1.6
1.5
1.5
가전
7,975
673
662
692
740
719
656
724
616
613
690
574
613
557
(0.4)
(14.1)
(△4.5)
(△2.7)
(9.3)
(6.9)
(△0.3)
(9.0)
(△5.0)
(△14.0)
(5.0)
(△13.9)
(3.8)
(△17.2)
1.2
1.2
1.3
1.2
1.3
1.2
1.1
1.3
1.1
1.0
1.2
1.0
1.0
1.1
자동차
부품
22,547
1,901
1,952
1,911
1,960
1,836
1,756
2,069
1,835
1,812
1,872
1,768
1,875
1,574
(△1.8)
(10.2)
(△3.1)
(△6.8)
(2.8)
(△5.3)
(△11.6)
(2.3)
(△3.6)
(△6.6)
(5.8)
(△8.0)
(5.8)
(△17.2)
3.3
3.5
3.7
3.4
3.5
3.2
3.1
3.6
3.2
3.1
3.3
3.1
3.1
3.2
컴퓨터
13,163
715
620
888
783
1,045
1,152
1,166
1,469
1,512
965
1,352
1,496
821
(76.7)
(37.5)
(17.8)
(24.5)
(75.5)
(48.5)
(58.9)
(61.7)
(181.6)
(132.0)
(54.1)
(122.3)
(118.0)
(14.8)
1.9
1.3
1.2
1.6
1.4
1.8
2.0
2.0
2.5
2.6
1.7
2.4
2.4
1.7
바이오
헬스
15,081
1,151
1,166
1,317
1,241
1,293
1,217
1,240
1,279
1,236
1,236
1,438
1,267
1,147
(13.0)
(3.4)
(9.3)
(9.9)
(21.1)
(18.7)
(△6.1)
(28.9)
(38.8)
(9.9)
(18.5)
(19.2)
(△2.5)
(△0.4)
2.2
2.1
2.2
2.3
2.2
2.2
2.1
2.2
2.2
2.1
2.1
2.6
2.1
2.3
이차전지
8,207
595
700
668
618
643
739
739
706
696
623
658
822
526
(△16.5)
(△25.7)
(△18.8)
(△23.1)
(△20.1)
(△19.5)
(△20.6)
(△0.3)
(△4.5)
(△11.8)
(△9.0)
(△26.3)
(△13.5)
(△11.6)
1.2
1.1
1.3
1.2
1.1
1.1
1.3
1.3
1.2
1.2
1.1
1.2
1.3
1.1

 

③ 신규 유망 품목별 수출 추이

(백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품목명
’24년 전체
‘24년
‘25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OLED
13,902
826
913
989
988
1,193
1,350
1,308
1,433
1,401
1,230
1,109
1,161
778
(△1.4)
(△14.9)
(12.7)
(7.0)
(6.4)
(11.5)
(30.8)
(3.4)
(△3.2)
(△1.1)
(△26.4)
(△23.4)
(6.8)
(△5.9)
SSD
10,632
502
448
698
601
849
964
969
1,246
1,244
710
1,148
1,253
639
(103.7)
(57.5)
(21.6)
(29.6)
(107.0)
(60.6)
(81.3)
(82.5)
(249.8)
(168.8)
(67.9)
(194.2)
(160.4)
(27.1)
MCP
37,130
1,960
2,308
2,730
2,159
2,699
3,742
2,980
3,347
3,803
3,483
3,588
4,331
2,236
(88.1)
(76.4)
(117.1)
(69.0)
(119.6)
(112.1)
(74.7)
(108.9)
(100.4)
(83.3)
(88.7)
(78.0)
(71.6)
(14.1)

 

④ 5대 유망 소비재 수출 추이

(백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품목명
’24년 전체
‘24년
‘25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농수산
식품
11,666
877
853
932
1,034
975
957
1,037
934
962
1,033
1,005
1,067
861
(7.6)
(16.9)
(△3.9)
(△4.3)
(14.4)
(8.5)
(1.6)
(24.2)
(5.2)
(7.0)
(10.3)
(0.8)
(14.5)
(△1.8)
화장품
10,190
794
717
777
853
879
778
832
824
915
1,034
910
875
750
(20.4)
(70.0)
(11.1)
(0.5)
(25.9)
(14.4)
(5.6)
(29.5)
(17.9)
(11.0)
(36.0)
(18.1)
(25.6)
(△5.5)
패션 의류
2,292
199
166
181
187
203
195
187
163
174
198
221
219
156
(△8.4)
(25.5)
(△17.8)
(△23.0)
(△15.1)
(△5.1)
(△13.4)
(△4.4)
(△12.0)
(△14.1)
(△0.7)
(△4.7)
(△6.6)
(△21.5)
생활 유아용품
9,021
692
669
822
900
760
692
770
844
715
730
718
709
611
(14.3)
(23.9)
(1.6)
(16.9)
(45.0)
(16.7)
(6.0)
(20.9)
(23.1)
(△0.7)
(12.3)
(1.3)
(9.6)
(△11.8)
의약품
9,593
719
733
826
794
821
743
794
864
805
786
960
747
797
(21.9)
(6.5)
(21.6)
(13.0)
(29.6)
(34.2)
(△5.4)
(41.7)
(73.9)
(19.7)
(25.4)
(35.6)
(△4.9)
(10.8)

 

다. 주요 지역별 1월 수출 추이



 

① 주요 지역별 1월 수출 증감률(%)

 

 

 

 

 

② 주요 지역별 수출 추이

(백만 달러, 전년동기대비%)
지역
’24년
전체
‘24년
‘25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중국
133,036
10,697
9,645
10,520
10,476
11,378
10,706
11,389
11,341
11,627
12,174
11,290
11,794
9,190
(6.6)
(16.2)
(△2.4)
(0.4)
(10.0)
(7.5)
(1.9)
(14.7)
(7.9)
(5.7)
(10.7)
(△0.5)
(8.6)
(△14.1)
미국
127,786
10,252
9,809
10,881
11,402
10,931
11,296
10,184
9,938
10,416
10,396
10,377
11,904
9,287
(10.4)
(27.2)
(9.1)
(11.3)
(24.2)
(15.5)
(17.7)
(9.4)
(10.9)
(3.4)
(3.3)
(△5.2)
(5.5)
(△9.4)
일본
29,607
2,543
2,374
2,127
2,439
2,606
2,382
2,598
2,500
2,480
2,428
2,492
2,637
2,345
(2.1)
(10.8)
(1.2)
(△11.8)
(18.0)
(1.6)
(△6.8)
(9.9)
(5.8)
(△1.3)
(△2.6)
(△2.0)
(6.1)
(△7.8)
아세안
113,994
8,777
8,508
9,459
9,031
10,134
9,564
9,909
9,737
9,391
10,048
9,802
9,635
8,596.6
(4.5)
(6.0)
(0.8)
(△1.2)
(9.5)
(21.2)
(11.8)
(11.7)
(0.8)
(△0.2)
(△4.5)
(0.2)
(2.1)
(△2.1)
EU(27)
68,080
5,700
5,663
5,705
5,649
5,816
5,057
5,546
6,405
6,002
5,298
5,441
5,798
5,035.3
(△0.2)
(5.2)
(△8.4)
(△6.8)
(△7.1)
(△0.6)
(△18.2)
(△1.5)
(15.6)
(4.7)
(5.7)
(0.8)
(15.2)
(△11.7)
중동
19,693
1,667
1,438
1,559
1,667
1,502
1,676
2,310
1,383
1,588
1,523
1,635
1,746
1,334.7
(4.8)
(13.7)
(△13.3)
(△15.1)
(0.6)
(△4.0)
(1.9)
(55.8)
(△3.1)
(14.9)
(△0.7)
(17.5)
(△0.4)
(△19.9)
중남미
29,020
2,193
2,340
2,697
2,497
2,502
2,351
2,570
2,544
2,258
2,369
2,332
2,368
2,055.5
(17.8)
(28.2)
(24.6)
(14.2)
(38.1)
(25.4)
(△9.0)
(29.9)
(28.5)
(△5.9)
(21.2)
(20.0)
(16.0)
(△6.3)
CIS
11,572
838
1,240
822
848
864
927
1,008
1,028
984
995
1,042
976
733.8
(△9.2)
(△8.9)
(17.9)
(△34.7)
(△34.9)
(△28.1)
(△33.7)
(3.6)
(11.0)
(8.1)
(4.6)
(9.6)
(9.3)
(△12.5)
베트남
58,321
4,189
4,208
4,831
4,552
5,116
5,124
4,969
5,049
4,981
5,232
5,142
4,929
4,357
(9.1)
(11.2)
(4.1)
(4.4)
(19.8)
(19.8)
(18.8)
(12.5)
(2.1)
(1.3)
(8.3)
(4.7)
(6.5)
(4.0)
인도
18,696
1,538
1,475
1,513
1,568
1,678
1,554
1,617
1,636
1,469
1,512
1,452
1,684
1,472
(4.2)
(5.9)
(△1.7)
(△4.0)
(17.9)
(24.5)
(8.9)
(13.0)
(2.1)
(△10.3)
(△1.3)
(△4.7)
(6.0)
(△4.3)

 

II. 수입 동향 (잠정치)


 

가. 수입추이



 

① 월별 수입실적

(억 달러, 전년동기대비%)
구분
‘24.1
2
3
4
5
6
7
8
9
10
11
12
‘25.1
수입액
545
482
524
548
531
491
539
541
521
543
507
549
510
증감률
△7.7
△12.9
△12.1
5.5
△2.0
△7.5
10.5
6.0
2.3
1.7
△2.5
3.3
△6.4
일평균
22.7
23.5
23.3
23.8
24.2
22.8
21.5
23.0
26.1
24.7
21.6
23.9
25.5

 

② 연간 수입액 및 수입증감률 추이

 

 

③ 수입물량 추이

(억 달러, 만 톤, 전년동기대비%)
구 분
‘24.1
2
3
4
5
6
7
8
9
10
11
12
‘25.1
물 량
5,138
4,569
4,432
4,762
4,588
4,270
4,526
4,967
4,415
4,745
4,410
4,808
4,805
증감률
6.5
△1.0
△12.1
15.0
0.1
△5.6
2.5
5.7
△5.0
5.1
△4.7
△1.8
△6.5
금액지수
140.6
123.5
134.2
140.7
137.1
126.0
135.9
137.9
134.2
140.1
129.8
138.6
-
물량지수
114.6
100.3
108.7
113.1
109.1
101.2
109.6
110.7
109.5
115.7
107.4
116.1
-

* 수입 물량은 관세청 세관 신고상의 중량(톤) 기준이며,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수입금액지수 및 수입물량지수는 ‘20년(100) 기준임

 

 

나. 주요 원자재 동향



 

① 주요 에너지자원 수입 추이

 

(백만 달러, %)
구분
‘23
‘24
‘24.1
‘24.12
‘25.1
증감률 (%)
전년동월비
전월비
원 유
86,158
85,380
7,434
6,043
7,028
△5.5
16.3
석유제품
22,926
24,781
2,437
2,138
2,359
△3.2
10.3
가 스
41,178
34,695
3,873
3,156
3,098
△20.0
△1.8
석 탄
20,072
16,408
1,897
1,367
1,234
△35.0
△9.8
합 계
170,335
161,264
15,641
12,705
13,719
△12.3
8.0

 

② 원유 도입단가 및 도입물량

 

구 분
‘23
‘24
‘24.1
‘24.12
‘25.1
증감률 (%)
전년동월비
전월비
국제유가(Dubai, $/B)
82.1
79.6
78.9
73.2
80.4
2.0
9.8
도입단가($/B)
85.7
84.1
83.1
76.9
77.7
△6.5
1.1
도입물량(백만B)
1,005.8
1,014.8
89.4
78.6
90.4
1.1
15.1
수입액(백만$)
86,158
85,380
7,434
6,043
7,028
△5.5
16.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