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5급공채팀) 5급·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경쟁률 34.6대 1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5. 1. 26.
반응형

(5급공채팀) 5급·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경쟁률 34.6대 1

- 총 347명 선발에 1만 2,005명 지원, 3월 8일 제1차시험 실시 -

2025.01.25 인사혁신처

 

2025년도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의 평균 경쟁률34.6대 1로 집계됐다.

인사혁신처(처장 연원정)는 지난 20~24일 5급 공채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응시원서접수한 결과, 선발 예정 인원 347명에 총 1만 2,005명이 지원해 평균 34.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고 25일 밝혔다.

모집직군별 경쟁률은 5급 과학기술직군 26.0대 1, 5급 행정직군 37.9대 1, 외교관후보자 36.2대 1로 각각 나타났다.

【 2025년도 5급 공채 등 원서접수 결과 】
구 분
선발예정인원
출원인원(경쟁률)
증감(명)
’25년
’24년
’25년
’24년
347
348
12,005 (34.6)
12,198 (35.1)
↓193
5급
공채
과학기술
90
90
2,337 (26.0)
2,226 (24.7)
↑111
행정
215
215
8,148 (37.9)
8,446 (39.3)
↓298
외교관후보자
42
43
1,520 (36.2)
1,526 (35.5)
↓6

세부 모집단위별 경쟁률은 과학기술직군에서 방재안전직 62.0대 1, 행정직군에서는 검찰직130.5대 1로 각각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 모집단위 중 최고 경쟁률 】
과학기술
행 정
방재안전
62.0
검찰
130.5

선발 예정 규모가 큰 모집 단위로는 과학기술직군의 일반토목직이 15명 선발 예정에 224명이 지원해 14.9대 1의 경쟁률을, 일반기계직이 10명 선발 예정에 208명이 지원해 20.8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행정직군에서는 일반행정직이 98명 선발 예정에 4,108명이 지원해 41.9대 1의 경쟁률을, 재경직이 58명 선발 예정에 1,169명이 지원해 20.2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 선발 예정 규모가 큰 모집단위의 출원인원 및 경쟁률 】
과학기술
행 정
직류
선발예정인원
출원인원
경쟁률
직류
선발예정인원
출원인원
경쟁률
일반토목(전국*)
15
224
14.9
일반행정(전국*)
98
4,108
41.9
일반기계
10
208
20.8
재경
58
1,169
20.2
 

* 해당 직류는 전국단위와 지역별 구분 모집으로 구분해 선발

 

한편, 올해 처음 선발하는 과학기술직군의 전자직은 3명 선발 예정에 89명이 지원해 29.7대 1의 경쟁률을 보여 과학기술직군 평균 경쟁률 26.0대 1보다 높았다.

출원자의 평균 연령은 29.3세로 지난해(29.1세)보다 약간 높아졌다.

연령별로는 20~29세 7,632명(63.6%), 30~39세 3,390명(28.2%), 40~49세 844명(7.0%), 50세 이상은 126명(1.1%), 20세 미만 13명(0.1%) 순이다.

여성 비율은 45.8% 지난해(46.2%)에 비해 약간 낮아졌다.

손무조 인재채용국장은 “올해부터 원서접수 기간 동안 매일 모집단위별 원서접수 현황을 공개하여 수험생들의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했으며, 앞으로도 투명하고 공정한 시험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제1차시험은 3월 8일에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전국 5개 지역에서 실시되며, 제1차시험 합격자는 4월 11일 사이버국가고시센터(www.gosi.kr)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 (붙임) 2025년도 5급 공채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원서접수 현황

 

붙임

2025년도 5급 공채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원서접수 현황

 

출원인원

(단위: 명)

구 분
선발예정인원
출원인원(경쟁률)
2025년
2024년
2025년
2024년
총계
347
348
12,005 (34.6)
12,198 (35.1)
5급
공채
과학기술
90
90
2,337 (26.0)
2,226 (24.7)
행정
215
215
8,148 (37.9)
8,446 (39.3)
외교관후보자
42
43
1,520 (36.2)
1,526 (35.5)

 

성별

(단위: 명, %)

구분
총계
2025년
12,005
6,501 (54.2)
5,504 (45.8)
2024년
12,198
6,558 (53.8)
5,640 (46.2)

 

연령별

(단위: 명, %)

구분
총계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
2025년
12,005
13
(0.1)
7,632
(63.6)
3,390
(28.2)
844
(7.0)
126
(1.1)
2024년
12,198
15
(0.1)
7,887
(64.6)
3,375
(27.7)
817
(6.7)
104
(0.9)

 

모집단위별

 
구분
모집단위
선발예정
인원 (명)
출원인원 (명)
경쟁률
전년도
경쟁률
총 계
347
12,005
34.6
35.1
과학기술
소 계
90
2,337
26.0
24.7
공업직(일반기계)
10
208
20.8
25.4
공업직(전기)
8
166
20.8
20.0
공업직(전자)
3
89
29.7
미실시
공업직(화공)
8
144
18.0
20.6
농업직(일반농업)
3
114
38.0
56.0
임업직(산림자원)
2
76
38.0
39.5
해양수산직(일반수산)
1
57
57.0
64.0
기상직(기상)
1
48
48.0
18.3
환경직(일반환경)
5
131
26.2
31.0
시설직(일반토목:전국)
15
224
14.9
14.6
시설직(일반토목:지역)
5
65
13.0
13.0
시설직(건축:전국)
5
149
29.8
19.7
시설직(건축:지역)
1
18
18.0
15.7
시설직(시설조경)
1
39
39.0
40.0
방재안전직(방재안전)
1
62
62.0
30.0
전산직(전산개발)
5
249
49.8
45.3
전산직(데이터)
5
232
46.4
40.8
전산직(정보보호)
2
101
50.5
17.3
방송통신직(통신기술)
9
165
18.3
21.1
행 정
소 계
215
8,148
37.9
39.3
행정직(일반행정:전국)
98
4,108
41.9
44.1
행정직(일반행정:지역)
24
700
29.2
27.6
행정직(법무행정)
7
572
81.7
73.3
행정직(재경)
58
1,169
20.2
22.1
행정직(국제통상)
11
393
35.7
36.5
행정직(교육행정)
6
234
39.0
34.0
사회복지직(사회복지)
1
40
40.0
55.0
교정직(교정)
3
294
98.0
95.0
보호직(보호)
2
146
73.0
120.5
검찰직(검찰)
2
261
130.5
130.5
출입국관리직(출입국관리)
3
231
77.0
60.7
외교관
후보자
소 계
42
1,520
36.2
35.5
일반외교
42
1,520
36.2
35.5

 

□ 지역구분모집

모집단위
선발예정
인원 (명)
출원인원 (명)
경쟁률
전년도
경쟁률
직렬(직류)
지역
총 계
30
783
26.1
24.3
시설직(일반토목:지역)
소 계
5
65
13.0
13.0
서울
1
18
18.0
13.5
울산
1
10
10.0
미실시
경기
1
14
14.0
12.0
충남
1
11
11.0
미실시
전북
1
12
12.0
미실시
시설직(건축:지역)
소 계
1
18
18.0
15.7
경기
1
18
18.0
미실시
행정직(일반행정:지역)
소 계
24
700
29.2
27.6
서울
6
202
33.7
30.0
부산
2
58
29.0
27.3
대구
1
35
35.0
33.0
인천
1
31
31.0
미실시
광주
1
30
30.0
미실시
대전
1
31
31.0
미실시
세종
1
28
28.0
미실시
경기
1
31
31.0
38.0
강원
1
25
25.0
25.0
충북
1
21
21.0
24.0
충남
1
40
40.0
30.0
전북
2
44
22.0
32.0
전남
2
42
21.0
23.0
경북
1
29
29.0
18.0
경남
1
35
35.0
26.0
제주
1
18
18.0
17.0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