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
2025.01.24 통계청
2024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
|
2024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요약)
|
(전국) 이동자 수 628만 3천 명, 전년대비 2.5%(15만 5천 명) 증가
|
□ 인구이동률(인구 백 명당 이동자 수)은 12.3%, 전년대비 0.3%p 증가
□ 시도내 이동률은 8.1%, 시도간 이동률은 4.3%로 전년대비 각각 0.3%p, 0.1%p 증가
□ 연령별 이동률은 20대(23.9%)와 30대(21.0%)가 높고, 60대 이상 연령대는 낮음
○ 전년대비 20대, 30대, 10세 미만 순으로 이동률이 증가, 70대 이상 이동률은 감소
<연령별 이동률, 2023~2024>
|
|
|
(시도) 순유입률은 인천과 세종, 순유출률은 광주와 제주가 높음
|
□ 인천(0.9%), 세종(0.7%) 등 5개 시도는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인구가 순유입
□ 광주(-0.6%), 제주(-0.5%) 등 12개 시도는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인구가 순유출
□ 인천은 모든 연령대에서 순유입
<시도별 순이동률, 2024>
|
|
|
(권역) 수도권과 중부권은 순유입, 영남권과 호남권은 순유출
|
□ 수도권은 4만 5천 명 순유입,
영남권은 4만 명 순유출
□ 수도권은 20대의 순유입이 가장 많고, 40대 이상은 순유출인 반면, 중부권은 20대는 순유출, 다른연령대는 순유입
□ 영남권은 50대는 순유입, 다른 연령대는 순유출, 호남권은 30대 이하는 순유출, 40대 이상은 순유입을 보임
|
<권역별 순이동자 수 추이, 2014~2024>
|
|
(시군구) 순유입률이 높은 시군구는 대구 중구(9.2%), 경기 양주시(7.6%) 등
|
□ 전국 228개 시군구 중 80개 시군구는 순유입, 148개 시군구는 순유출
□ 순유입률이 높은 시군구는 대구 중구, 경기 양주시, 경기 오산시 등
□ 순유출률이 높은 시군구는 서울 용산구, 경기 의왕시, 경북 칠곡군 등
|
<시군구별 순이동률 5순위, 2024>
|
|
(전입사유) 주된 전입사유는 주택(34.5%), 가족(24.7%), 직업(21.7%) 순
|
□ 전년대비 주택·가족 사유로 인한 이동자 수는 증가한 반면, 직업사유로는 감소
□ 인천·경기·충북의 주된 순유입 사유는 주택, 충남은 직업, 세종은 가족
□ 부산ㆍ대구 등 7개 시도의 주된 순유출 사유는 직업, 서울과 대전은 주택
|
<전입사유별 이동자 수, 2023~2024>
|
|
2024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
|
1.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이동자 수 628만 3천 명, 전년대비 2.5%(15만 5천 명) 증가
|
□ 2024년 국내인구이동자 수는 총 628만 3천 명, 전년대비 2.5%(15만 5천 명) 증가함.
□ 인구이동률(인구 1백 명당 이동자 수)은 12.3%로 전년대비 0.3%p 증가함.
□ 전체 이동자 중 시도내 이동은 65.4%(410만 9천 명), 시도간 이동은 34.6% (217만 5천 명)를 차지함.
○ 전년대비 시도내 이동은 3.1%(12만 3천 명), 시도간 이동은 1.5%(3만 2천 명) 증가함.
□ 시도내 이동률은 8.1%, 시도간 이동률은 4.3%로 전년대비 각각 0.3%p, 0.1%p 증가함.
[그림 1]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1970~2024
[그림 2] 시도내․시도간 이동률 추이, 2014~2024
[표 1]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1970~2024
(단위: 천 명, %, %p)
연 도
|
이동자 수
|
이동률
|
|||||||
총이동
|
시도내
|
|
시도간
|
|
총이동
|
시도내
|
시도간
|
||
구성비
|
구성비
|
||||||||
1970
|
4,047
|
2,780
|
68.7
|
1,266
|
31.3
|
12.6
|
8.6
|
3.9
|
|
1980
|
8,259
|
5,653
|
68.4
|
2,606
|
31.6
|
21.7
|
14.8
|
6.8
|
|
1990
|
9,459
|
6,228
|
65.8
|
3,231
|
34.2
|
22.1
|
14.5
|
7.5
|
|
1995
|
9,073
|
6,208
|
68.4
|
2,865
|
31.6
|
19.9
|
13.6
|
6.3
|
|
2000
|
9,009
|
6,164
|
68.4
|
2,846
|
31.6
|
19.0
|
13.0
|
6.0
|
|
2005
|
8,795
|
5,980
|
68.0
|
2,815
|
32.0
|
18.1
|
12.3
|
5.8
|
|
2010
|
8,227
|
5,564
|
67.6
|
2,662
|
32.4
|
16.5
|
11.2
|
5.3
|
|
2015
|
7,755
|
5,204
|
67.1
|
2,551
|
32.9
|
15.2
|
10.2
|
5.0
|
|
2016
|
7,378
|
4,925
|
66.7
|
2,453
|
33.3
|
14.4
|
9.6
|
4.8
|
|
2017
|
7,154
|
4,743
|
66.3
|
2,411
|
33.7
|
14.0
|
9.3
|
4.7
|
|
2018
|
7,297
|
4,868
|
66.7
|
2,429
|
33.3
|
14.2
|
9.5
|
4.7
|
|
2019
|
7,104
|
4,719
|
66.4
|
2,385
|
33.6
|
13.8
|
9.2
|
4.6
|
|
2020
|
7,735
|
5,201
|
67.2
|
2,534
|
32.8
|
15.1
|
10.1
|
4.9
|
|
2021
|
7,213
|
4,766
|
66.1
|
2,447
|
33.9
|
14.1
|
9.3
|
4.8
|
|
2022
|
6,152
|
3,979
|
64.7
|
2,174
|
35.3
|
12.0
|
7.8
|
4.2
|
|
2023
|
6,129
|
3,986
|
65.0
|
2,143
|
35.0
|
12.0
|
7.8
|
4.2
|
|
2024
|
6,283
|
4,109
|
65.4
|
2,175
|
34.6
|
12.3
|
8.1
|
4.3
|
|
전년
대비
|
증 감
|
155
|
123
|
0.4
|
32
|
-0.4
|
0.3
|
0.3
|
0.1
|
증감률
|
2.5
|
3.1
|
-
|
1.5
|
-
|
-
|
-
|
-
|
[참고] 한국․미국․일본 국내인구이동 추이 비교, 2014~2024
(단위: %)
이동
경계
연도
|
한 국
|
미 국
|
일 본
|
|||||
총이동주)
|
시군구
|
시도
|
총이동주)
|
카운티
|
주
|
총이동주)
|
도도부현
|
|
2014
|
15.0
|
9.2
|
4.9
|
11.2
|
3.6
|
1.5
|
3.9
|
1.8
|
2015
|
15.2
|
9.3
|
5.0
|
11.1
|
3.8
|
1.6
|
4.0
|
1.9
|
2016
|
14.4
|
8.9
|
4.8
|
10.7
|
3.9
|
1.5
|
3.9
|
1.8
|
2017
|
14.0
|
8.7
|
4.7
|
10.6
|
3.8
|
1.7
|
3.9
|
1.8
|
2018
|
14.2
|
8.8
|
4.7
|
9.8
|
3.6
|
1.5
|
3.9
|
1.9
|
2019
|
13.8
|
8.7
|
4.6
|
9.4
|
3.6
|
1.5
|
4.0
|
1.9
|
2020
|
15.1
|
9.4
|
4.9
|
9.0
|
3.5
|
1.3
|
3.9
|
1.8
|
2021
|
14.1
|
8.9
|
4.8
|
8.2
|
3.3
|
1.4
|
3.9
|
1.8
|
2022
|
12.0
|
7.8
|
4.2
|
8.2
|
3.6
|
1.5
|
3.9
|
1.8
|
2023
|
12.0
|
7.8
|
4.2
|
7.4
|
3.2
|
1.4
|
3.9
|
1.8
|
2024
|
12.3
|
7.9
|
4.3
|
-
|
-
|
-
|
-
|
-
|
주) 1. 총이동은 한국은 읍면동, 미국은 거주지, 일본은 시구정촌 경계임.
2. 시군구 : 모든 시군구간의 이동(시도간이동+시도내_시군구간 이동)
3. 국가별 행정구역 단위의 규모 차이로 이동률의 직접적인 비교는 주의를 요함.
4. 자료출처: U.S. Census Bureau, Current Population Survey, 1948-2023
일본 총무성 통계국, 주민기본대장인구이동보고, 2023
2. 성 및 연령별 인구이동
20대(23.9%)와 30대(21.0%) 이동률은 높고, 6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낮음
|
□ 연령별 이동률은 20대(23.9%)와 30대(21.0%)에서 높고, 6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낮음.
○ 전년대비 20대(1.1%p), 30대(0.9%p), 10세미만(0.6%p) 순으로 이동률이 증가, 7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감소함.
□ 성별 이동률은 남자 12.7%, 여자 12.0%로 남자의 이동률이 여자보다 0.7%p 높음.
○ 이동률 성비(여자 1백명당)는 105.7명으로 전년대비 0.9명 감소함.
○ 연령별 이동률 성비는 40대가 109.5명으로 가장 높고, 80세 이상이 74.0명으로 가장 낮음.
[그림 3] 연령별 이동률, 2023~2024
[그림 4] 총이동자 수 및 20~30대 이동자 수 추이, 2014~2024
[표 2] 성․연령별 이동자 수 및 이동률, 2014~2024
(단위: 천 명, 여자 1백 명당 남자, %, %p)
연 령
|
이동자 수(천 명)
|
이동률(%)
|
||||||||||||||
2014
|
2023
|
2024
|
|
전년대비
|
2014
|
2023
|
2024
|
|
전년
대비
증감
(%p)
|
|||||||
남자
|
여자
|
성비
|
증감
|
증감률
(%)
|
남자
|
여자
|
성비
|
|||||||||
계
|
7,629
|
6,129
|
6,283
|
3,214
|
3,070
|
104.7
|
155
|
2.5
|
15.0
|
12.0
|
12.3
|
12.7
|
12.0
|
105.7
|
0.3
|
|
10세미만
|
819
|
459
|
453
|
232
|
221
|
104.9
|
-6
|
-1.4
|
17.8
|
13.4
|
14.0
|
14.0
|
14.0
|
99.8
|
0.6
|
|
10대
|
754
|
449
|
467
|
238
|
229
|
103.8
|
18
|
4.0
|
12.4
|
9.6
|
10.1
|
10.0
|
10.2
|
98.0
|
0.5
|
|
20대
|
1,402
|
1,433
|
1,449
|
730
|
719
|
101.4
|
17
|
1.2
|
21.3
|
22.8
|
23.9
|
23.1
|
24.8
|
93.1
|
1.1
|
|
20-24세
|
605
|
578
|
589
|
282
|
308
|
91.5
|
11
|
1.9
|
17.6
|
20.2
|
21.7
|
20.0
|
23.6
|
84.6
|
1.5
|
|
25-29세
|
796
|
854
|
860
|
448
|
412
|
108.9
|
6
|
0.7
|
25.3
|
24.9
|
25.7
|
25.6
|
25.8
|
99.3
|
0.8
|
|
30대
|
1,740
|
1,319
|
1,377
|
736
|
641
|
114.9
|
58
|
4.4
|
22.2
|
20.1
|
21.0
|
21.5
|
20.4
|
105.7
|
0.9
|
|
30-34세
|
1,008
|
778
|
826
|
438
|
388
|
112.8
|
48
|
6.2
|
25.4
|
23.2
|
24.1
|
24.3
|
23.9
|
101.6
|
0.9
|
|
35-39세
|
733
|
542
|
551
|
298
|
253
|
118.1
|
9
|
1.7
|
18.9
|
16.8
|
17.5
|
18.4
|
16.6
|
111.2
|
0.7
|
|
40대
|
1,226
|
875
|
886
|
470
|
416
|
113.0
|
11
|
1.2
|
13.9
|
11.0
|
11.4
|
11.9
|
10.9
|
109.5
|
0.4
|
|
50대
|
908
|
743
|
771
|
399
|
372
|
107.3
|
28
|
3.8
|
11.4
|
8.7
|
8.9
|
9.2
|
8.7
|
105.8
|
0.3
|
|
60대
|
427
|
526
|
545
|
277
|
268
|
103.5
|
19
|
3.6
|
9.4
|
7.0
|
7.1
|
7.3
|
6.9
|
106.9
|
0.1
|
|
70대
|
239
|
196
|
204
|
94
|
110
|
85.8
|
8
|
4.1
|
7.8
|
5.0
|
5.0
|
5.0
|
5.0
|
100.7
|
-0.0
|
|
80세이상
|
115
|
130
|
132
|
37
|
94
|
39.7
|
2
|
1.7
|
9.5
|
5.6
|
5.5
|
4.5
|
6.1
|
74.0
|
-0.1
|
|
연령계층
|
0-14세
|
1,146
|
655
|
659
|
339
|
320
|
105.9
|
4
|
0.6
|
15.6
|
11.3
|
11.8
|
11.9
|
11.8
|
100.6
|
0.5
|
15-64세
|
5,952
|
4,939
|
5,064
|
2,631
|
2,433
|
108.1
|
125
|
2.5
|
16.0
|
13.8
|
14.3
|
14.5
|
14.0
|
103.6
|
0.5
|
|
65세이상
|
531
|
535
|
561
|
244
|
317
|
77.1
|
26
|
4.9
|
8.4
|
5.7
|
5.6
|
5.5
|
5.7
|
97.0
|
-0.0
|
3. 시도별 전입, 전출 및 순이동
순유입률은 인천(0.9%)과 세종(0.7%), 순유출률은 광주(-0.6%)와 제주(-0.5%)가 높음
|
□ 시도별 전입률은 세종(15.7%), 대전(13.7%), 인천(13.3%) 순으로 높고, 전출률은 세종(15.0%), 대전(13.8%), 서울(13.6%) 순으로 높음.
□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6만 4천 명), 인천(2만 6천 명), 충남(1만 5천 명) 등 5개 시도임.
○ 경기, 세종은 전년대비 순유입 규모가 증가하였고, 인천, 충남, 충북은 감소함.
□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4만 5천 명), 부산(-1만 4천 명), 경남(-9천 명) 등 12개 시도임.
○ 서울, 부산 등은 전년대비 순유출 규모가 증가하였고, 경남, 울산 등은 감소함.
□ 지역 인구대비 순이동자 수 비율을 보면, 순유입률은 인천(0.9%), 세종(0.7%), 충남(0.7%) 순으로 높고, 순유출률은 광주(-0.6%), 제주(-0.5%), 서울(-0.5%) 순으로 높음.
○ 전년대비 순유입률이 증가한 시도는 세종(0.3%p), 경기(0.1%p)이고, 순유출률이 증가한 시도는 제주(-0.3%p), 서울(-0.1%p), 전남(-0.1%p) 등임.
[그림 5] 시도별 순이동률 및 순이동자 수, 2024
[표 3] 시도별 전입, 전출 및 순이동, 2014~2024
(단위: 천 명, %, %p)
이동자 수(천 명)
|
|||||||||||||||
|
총전입
|
총전출
|
순이동
|
전년대비
|
|||||||||||
증감률(%)
|
증감
|
||||||||||||||
2014
|
2019
|
2023
|
2024
|
2014
|
2019
|
2023
|
2024
|
2014
|
2019
|
2023
|
2024
|
총전입
|
총전출
|
순이동
|
|
전 국
|
7,629
|
7,104
|
6,129
|
6,283
|
7,629
|
7,104
|
6,129
|
6,283
|
0
|
0
|
0
|
0
|
2.5
|
2.5
|
0
|
서 울
|
1,574
|
1,426
|
1,207
|
1,221
|
1,661
|
1,476
|
1,238
|
1,266
|
-88
|
-50
|
-31
|
-45
|
1.2
|
2.2
|
-13
|
부 산
|
486
|
412
|
364
|
379
|
501
|
435
|
376
|
392
|
-15
|
-23
|
-11
|
-14
|
3.9
|
4.4
|
-2
|
대 구
|
350
|
312
|
296
|
304
|
366
|
336
|
302
|
308
|
-16
|
-24
|
-5
|
-5
|
2.4
|
2.2
|
1
|
인 천
|
452
|
420
|
424
|
398
|
443
|
422
|
391
|
372
|
9
|
-2
|
34
|
26
|
-6.2
|
-4.7
|
-8
|
광 주
|
243
|
217
|
163
|
172
|
246
|
221
|
172
|
180
|
-3
|
-4
|
-9
|
-8
|
5.8
|
4.9
|
1
|
대 전
|
240
|
212
|
186
|
196
|
248
|
229
|
189
|
198
|
-9
|
-16
|
-2
|
-2
|
5.3
|
4.8
|
1
|
울 산
|
176
|
142
|
117
|
113
|
173
|
152
|
123
|
118
|
3
|
-10
|
-6
|
-5
|
-2.8
|
-3.8
|
1
|
세 종
|
57
|
82
|
56
|
61
|
23
|
59
|
54
|
58
|
33
|
24
|
2
|
3
|
8.9
|
7.1
|
1
|
경 기
|
1,892
|
1,941
|
1,681
|
1,726
|
1,834
|
1,806
|
1,637
|
1,662
|
57
|
135
|
45
|
64
|
2.7
|
1.6
|
20
|
강 원
|
228
|
218
|
173
|
184
|
226
|
216
|
175
|
187
|
2
|
2
|
-1
|
-3
|
6.3
|
6.9
|
-1
|
충 북
|
216
|
211
|
186
|
190
|
214
|
209
|
182
|
187
|
2
|
3
|
4
|
3
|
1.8
|
2.2
|
-1
|
충 남
|
290
|
259
|
266
|
267
|
280
|
260
|
250
|
252
|
10
|
-1
|
16
|
15
|
0.3
|
0.8
|
-1
|
전 북
|
274
|
229
|
189
|
199
|
277
|
242
|
193
|
205
|
-3
|
-13
|
-4
|
-6
|
5.3
|
6.0
|
-2
|
전 남
|
260
|
224
|
184
|
184
|
261
|
233
|
185
|
188
|
-1
|
-9
|
-2
|
-4
|
0.2
|
1.3
|
-2
|
경 북
|
337
|
307
|
254
|
278
|
338
|
311
|
262
|
286
|
-1
|
-5
|
-8
|
-8
|
9.4
|
9.1
|
0
|
경 남
|
462
|
396
|
300
|
329
|
456
|
406
|
317
|
338
|
6
|
-9
|
-16
|
-9
|
9.7
|
6.9
|
7
|
제 주
|
93
|
95
|
82
|
82
|
81
|
92
|
83
|
85
|
11
|
3
|
-2
|
-3
|
0.2
|
2.2
|
-2
|
이동률(%)
|
|||||||||||||||
|
총전입
|
총전출
|
순이동
|
전년대비 증감(%p)
|
|||||||||||
2014
|
2019
|
2023
|
2024
|
2014
|
2019
|
2023
|
2024
|
2014
|
2019
|
2023
|
2024
|
총전입
|
총전출
|
순이동
|
|
전 국
|
15.0
|
13.8
|
12.0
|
12.3
|
15.0
|
13.8
|
12.0
|
12.3
|
0.0
|
0.0
|
0.0
|
0.0
|
0.3
|
0.3
|
0.0
|
서 울
|
15.8
|
14.9
|
12.9
|
13.1
|
16.7
|
15.4
|
13.3
|
13.6
|
-0.9
|
-0.5
|
-0.3
|
-0.5
|
0.2
|
0.4
|
-0.1
|
부 산
|
13.9
|
12.1
|
11.1
|
11.6
|
14.4
|
12.8
|
11.4
|
12.0
|
-0.4
|
-0.7
|
-0.3
|
-0.4
|
0.5
|
0.6
|
-0.1
|
대 구
|
14.1
|
12.9
|
12.5
|
12.9
|
14.8
|
13.8
|
12.7
|
13.1
|
-0.6
|
-1.0
|
-0.2
|
-0.2
|
0.4
|
0.3
|
0.0
|
인 천
|
15.8
|
14.3
|
14.3
|
13.3
|
15.5
|
14.4
|
13.2
|
12.4
|
0.3
|
-0.1
|
1.1
|
0.9
|
-1.0
|
-0.7
|
-0.3
|
광 주
|
16.6
|
15.0
|
11.5
|
12.2
|
16.8
|
15.3
|
12.1
|
12.8
|
-0.2
|
-0.3
|
-0.6
|
-0.6
|
0.8
|
0.7
|
0.1
|
대 전
|
15.7
|
14.4
|
12.9
|
13.7
|
16.3
|
15.5
|
13.1
|
13.8
|
-0.6
|
-1.1
|
-0.2
|
-0.1
|
0.7
|
0.7
|
0.1
|
울 산
|
15.2
|
12.4
|
10.6
|
10.3
|
15.0
|
13.3
|
11.1
|
10.8
|
0.2
|
-0.9
|
-0.6
|
-0.4
|
-0.2
|
-0.4
|
0.1
|
세 종
|
40.9
|
25.3
|
14.6
|
15.7
|
16.7
|
18.0
|
14.1
|
15.0
|
24.2
|
7.3
|
0.4
|
0.7
|
1.2
|
0.9
|
0.3
|
경 기
|
15.5
|
14.9
|
12.4
|
12.7
|
15.0
|
13.8
|
12.1
|
12.2
|
0.5
|
1.0
|
0.3
|
0.5
|
0.3
|
0.1
|
0.1
|
강 원
|
14.9
|
14.2
|
11.4
|
12.1
|
14.8
|
14.1
|
11.4
|
12.3
|
0.1
|
0.1
|
-0.1
|
-0.2
|
0.8
|
0.9
|
-0.1
|
충 북
|
13.8
|
13.3
|
11.7
|
12.0
|
13.6
|
13.1
|
11.5
|
11.7
|
0.2
|
0.2
|
0.2
|
0.2
|
0.2
|
0.3
|
-0.0
|
충 남
|
14.2
|
12.3
|
12.6
|
12.5
|
13.7
|
12.3
|
11.8
|
11.9
|
0.5
|
-0.0
|
0.7
|
0.7
|
-0.0
|
0.1
|
-0.1
|
전 북
|
14.7
|
12.6
|
10.7
|
11.4
|
14.9
|
13.3
|
11.0
|
11.8
|
-0.1
|
-0.7
|
-0.3
|
-0.3
|
0.7
|
0.8
|
-0.1
|
전 남
|
13.7
|
12.0
|
10.2
|
10.3
|
13.8
|
12.5
|
10.3
|
10.5
|
-0.0
|
-0.5
|
-0.1
|
-0.2
|
0.1
|
0.2
|
-0.1
|
경 북
|
12.6
|
11.5
|
9.9
|
11.0
|
12.6
|
11.7
|
10.3
|
11.3
|
-0.0
|
-0.2
|
-0.3
|
-0.3
|
1.0
|
1.0
|
0.0
|
경 남
|
13.9
|
11.8
|
9.2
|
10.2
|
13.7
|
12.1
|
9.7
|
10.5
|
0.2
|
-0.3
|
-0.5
|
-0.3
|
1.0
|
0.8
|
0.2
|
제 주
|
15.5
|
14.3
|
12.1
|
12.2
|
13.7
|
13.9
|
12.4
|
12.7
|
1.9
|
0.4
|
-0.3
|
-0.5
|
0.1
|
0.4
|
-0.3
|
[그림 6] 시도별 순이동률 추이, 2014~2024
|
|
|||||||
|
|
|||||||
|
||||||||
순이동률(%)
|
||||||||
|
|
|
|
|
|
|
|
|
|
|
|
1.0이상 ∼
|
|
|
|
-0.5이상 ∼ 0.0미만
|
|
|
|
|
|
|
|
|
|
|
|
|
|
0.5이상 ∼ 1.0미만
|
|
|
|
-1.0이상 ∼ -0.5미만
|
|
|
|
|
|
|
|
|
|
|
|
|
|
0.0이상 ∼ 0.5미만
|
|
|
|
∼ -1.0미만
|
|
|
|
|
|
|
|
|
|
|
4. 시도 및 연령별 순이동
인천은 모든 연령대에서 인구가 순유입
|
□ 인천은 모든 연령대에서 인구가 순유입 됨.
○ 경기는 10대, 충북은 10대·20대·80세 이상, 세종은 70대, 충남은 80세 이상에서 순유출, 다른 연령대에서는 순유입 됨.
○ 서울은 10대·20대, 부산은 20대 미만, 울산은 80세 이상, 경북은 50대·60대에서 순유입, 다른 연령대에서는 순유출 됨.
□ 20대의 순유입률은 서울(2.8%), 인천(1.2%), 경기(0.8%) 순으로 높고, 순유출률은 전북(-3.7%), 전남(-3.7%), 경남(-3.6%) 순으로 높음.
□ 30대의 순유입률은 세종(2.5%), 인천(1.5%), 경기(1.2%) 순으로 높고, 순유출률은 서울(-1.8%), 광주(-1.1%), 부산(-1.0%) 순으로 높음.
□ 40~50대의 순유입률은 충남(1.0%), 인천(0.6%), 전남(0.6%) 순으로 높고, 순유출률은 서울(-1.0%), 광주(-0.4%), 대전(-0.4%) 순으로 높음.
□ 60세 이상의 순유입률은 충남(0.7%), 인천(0.6%), 경기(0.4%) 순으로 높고, 순유출률은 서울(-1.1%), 울산(-0.3%), 부산(-0.3%) 순으로 높음.
[그림 7] 시도 및 연령별 순이동률, 2024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혁신선도기업육성(R&D) 본격 추진 (0) | 2025.01.26 |
---|---|
설 연휴에도 궁금한 건 「국민콜 ☎110」 으로 (0) | 2025.01.26 |
2025년 달라지는 금융정책 (0) | 2025.01.26 |
"지난해 가장 크게 울린 국민의 소리는?"…2024년 민원키워드 '교통', '주거' (0) | 2025.01.26 |
새 학기 맞이 교육기관(초·중·고) 대상 개인정보 보호 사항 안내 (0) | 2025.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