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024년 3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4. 4. 30.
반응형

2024년 3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2024.04.30 고용노동부


2024년 3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고용부문 (잠정결과)

 

1. 종사자(’24.3월 말)

(총괄) ’24.3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19,934천명으로 전년동월(19,727천명)대비 207천명(+1.0%) 증가

주요 특성별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전년동월대비 110천명(+0.7%) 증가, 임시일용근로자76천명(+3.9%) 증가, 기타종사자21천명(+1.8%) 증가

< 종사상지위별 종사자 수 동향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23.3월
’24.2월
3월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전 체
19,727
415
2.2
19,831
232
1.2
19,934
207
1.0
[계절조정지수, ’20.12=100]
[108.9]


[110.1]


[110.0]
 
 

상용
16,625
293
1.8
16,724
117
0.7
16,736
110
0.7

임시일용
1,924
126
7.0
1,920
90
4.9
2,000
76
3.9

기타종사자*
1,178
-4
-0.4
1,188
25
2.2
1,198
21
1.8

* 기타종사자: 일정한 급여 없이 봉사료 또는 판매실적에 따라 판매수수료만을 받는 자와 업무를 습득하기 위하여 급여 없이 일하는 자 및 그 밖의 종사자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16,592천명으로 174천명(+1.1%) 증가, 300인 이상3,342천명으로 33천명(+1.0%) 증가

< 사업체 규모별 종사자 수 동향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23.3월
’24.2월
3월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전 체
19,727
415
2.2
19,831
232
1.2
19,934
207
1.0

300인 미만
16,418
346
2.2
16,507
197
1.2
16,592
174
1.1

300인 이상
3,310
69
2.1
3,325
35
1.1
3,342
33
1.0

 

(산업별) 증가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00천명, +4.5%),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32천명, +2.5%),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15천명, +1.7%)

- 감소한 산업은 교육서비스업(-19천명, -1.2%), 숙박 및 음식점업(-12천명, -1.0%),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1천명, -0.9%)

- 전 산업 중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약 19%)은 11천명 증가

* 제조업 증감(천명, 전년동월대비): (‘23.12월) +17→ (‘24.1월) +17→ (2월) +14→ (3월) +11

< 산업별 종사자 수 동향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23.3월
’24.2월
3월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전 체
19,727
415
2.2
19,831
232
1.2
19,934
207
1.0

광업
13
0
3.7
12
0
-1.6
12
0
-3.3

제조업
3,733
41
1.1
3,747
14
0.4
3,744
11
0.3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67
0
-0.1
66
-1
-0.8
66
-1
-0.9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128
3
2.5
129
2
1.5
130
2
1.9

건설업
1,458
4
0.3
1,443
11
0.8
1,470
13
0.9

도매 및 소매업
2,300
33
1.4
2,304
16
0.7
2,305
6
0.2

운수 및 창고업
740
15
2.0
752
11
1.5
755
15
2.0

숙박 및 음식점업
1,171
101
9.4
1,154
-6
-0.5
1,159
-12
-1.0

정보통신업
776
27
3.6
785
9
1.1
783
7
0.8

금융 및 보험업
805
-4
-0.4
816
12
1.5
819
15
1.8

부동산업
451
16
3.7
460
11
2.4
460
9
2.0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1,278
48
3.9
1,306
30
2.3
1,310
32
2.5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1,230
36
3.0
1,235
8
0.7
1,240
10
0.8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902
-2
-0.2
908
13
1.4
917
15
1.7

교육서비스업
1,613
2
0.1
1,555
2
0.1
1,594
-19
-1.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2,251
75
3.4
2,348
97
4.3
2,351
100
4.5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306
14
4.8
302
1
0.4
309
4
1.2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507
6
1.2
508
2
0.4
508
2
0.3

 


< 참 고 >



산업중분류별 종사자 수 증감 현황(’24.3월)
(제조업) 제조업 산업중분류(25개) 중 종사자 수가 증가한 산업은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13천명),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5천명), 전기장비 제조업(+4천명)
- 감소한 산업은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7천명), 의복,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7천명), 섬유제품 제조업(-5천명)
< 제조업 중분류별 종사자 수 및 증감(’24.3월) >

(비제조업) 비제조업 산업중분류(46개) 중 종사자 수가 증가한 산업은 사회복지 서비스업(+73천명), 보건업(+27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15천명)
- 감소한 산업은 교육서비스업(-19천명), 음식점 및 주점업(-12천명), 소매업(-6천명)
< 비제조업 중분류별 종사자 수 및 증감(’24.3월) >

* 비제조업(46개 중분류) 중 전년동월대비 증가, 감소 순위 각 12개 중분류를 선정

 

2. 입‧이직자(’24.3월 중)

* 입‧이직자는 사업체 종사자 중 기타종사자를 제외하고 조사함

(총괄) ’24.3월 중 입직자 1,186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86천명(-6.8%) 감소, 이직자 1,094천명으로 65천명(-5.6%) 감소

< 입직자 및 이직자 동향 >

 

(입·이직률) ’24.3월 입직률 6.3% 전년동월대비 0.5%p 하락, 이직률 5.9%로 전년동월대비 0.4%p 하락

< 입직자(률) 및 이직자(률) 동향 >

(단위: 천명, %, %p, 전년동월대비)


’23.3월
’24.2월
3월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입직자
1,272
56
4.6
897
-54
-5.7
1,186
-86
-6.8

입직률1)
6.9
0.1
 
4.8
-0.3
 
6.3
-0.5
 
이직자
1,160
90
8.4
884
-36
-3.9
1,094
-65
-5.6

이직률2)
6.3
0.3
 
4.7
-0.2
 
5.9
-0.4
 

주: 1)입직률 = 입직자/[{조사기준월 근로자(상용+임시일용) + 조사기준전월 근로자(상용+임시일용)}/2]×100

2)이직률 = 이직자/[{조사기준월 근로자(상용+임시일용) + 조사기준전월 근로자(상용+임시일용)}/2]×100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 입직자 1,039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83천명(-7.4%) 감소, 이직자 973천명으로 65천명(-6.3%) 감소

- 상용 300인 이상 사업체 입직자 147천명으로 3천명(-2.2%) 감소, 이직자 121천명으로 전년동월과 유사한 수준

< 사업체 규모별 입직자 및 이직자 동향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23.3월
’24.2월
3월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300인 미만
입직자
1,122
57
5.4
774
-53
-6.4
1,039
-83
-7.4

이직자
1,038
85
9.0
775
-40
-5.0
973
-65
-6.3
300인 이상
입직자
150
-1
-0.6
123
-1
-1.1
147
-3
-2.2

이직자
122
4
3.6
109
5
4.5
121
0
-0.4

(입‧이직 사유별) 입직 중 채용은 1,061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68천명(-6.0%) 감소, 기타 입직은 125천명으로 18천명(-12.8%) 감소

이직 중 자발적 이직은 36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7천명(-7.0%) 감소, 비자발적 이직은 591천명으로 16천명(-2.7%) 감소,

기타 이직은 141천명으로 22천명(-13.4%) 감소

< 입‧이직 사유별 입직자 및 이직자 동향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23.3월
’24.2월
3월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상용+임시일용근로자
18,549
419
2.3
18,644
207
1.1
18,736
186
1.0
입직자
1,272
56
4.6
897
-54
-5.7
1,186
-86
-6.8

채용
1,129
61
5.7
801
-53
-6.2
1,061
-68
-6.0

기타
143
-5
-3.5
96
-1
-0.8
125
-18
-12.8
이직자
1,160
90
8.4
884
-36
-3.9
1,094
-65
-5.6

자발적
389
57
17.0
299
-45
-13.1
362
-27
-7.0

비자발적
608
38
6.7
480
13
2.7
591
-16
-2.7

기타
162
-5
-3.0
105
-4
-3.3
141
-22
-13.4

주) 「기타 입직」은 본‧지사간 전입, 복직 등

「자발적 이직」은 근로자 스스로 퇴직한 경우 등

「비자발적 이직」은 고용계약종료, 구조조정, 합병 및 해고 등에 따른 면직 등

「기타 이직」은 본‧지사간 전출, 정년퇴직‧사망, 병가‧육아휴직, 무급휴직 등

 

(채용) 채용(1,061천명)상용직은 487천명으로 51천명(-9.4%) 감소, 임시일용직은 574천명으로 17천명(-2.9%) 감소

- 증가한 산업은 운수 및 창고업(+5천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2천명) 순, 감소한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14천명), 교육서비스업(-14천명)

< 산업별 채용 동향(’24.3월 중)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채용


상용
임시일용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전 체
1,061
-68
-6.0
487
-51
-9.4
574
-17
-2.9

광업
0
0
-33.9
0
0
-10.2
0
0
-54.8

제조업
104
-11
-9.3
68
-13
-15.7
36
2
5.8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0
0
-47.9
0
0
-53.5
0
0
-35.4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4
0
-10.6
2
0
-14.5
2
0
-6.8

건설업
261
-9
-3.4
19
-3
-12.5
242
-7
-2.6

도매 및 소매업
72
-14
-15.9
42
-9
-18.1
30
-4
-12.7

운수 및 창고업
29
5
21.7
14
0
-2.3
15
6
57.5

숙박 및 음식점업
126
-10
-7.1
37
-10
-20.5
89
0
-0.1

정보통신업
17
-3
-15.1
14
-3
-18.0
3
0
-1.0

금융 및 보험업
4
-1
-12.2
3
0
-10.8
1
0
-16.5

부동산업
12
-1
-5.1
11
-1
-6.9
1
0
13.0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35
2
5.4
26
-1
-3.8
10
3
39.8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78
-6
-6.7
43
-1
-1.6
35
-5
-12.3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27
0
-0.8
2
0
7.7
25
0
-1.5

교육서비스업
129
-14
-9.5
84
-3
-3.2
46
-11
-19.0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25
-7
-5.0
108
-6
-4.9
17
-1
-5.6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18
-1
-6.3
5
-1
-23.1
13
0
1.8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17
1
5.7
9
0
-1.7
8
1
16.7

 

(자발적 이직) 자발적 이직(362천명)상용직은 309천명으로 29천명(-8.5%) 감소, 임시일용직은 53천명으로 2천명(+3.2%) 증가

- 증가한 산업은 부동산업(+1천명),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1천명) 순, 감소한 산업은 도매 및 소매업(-6천명), 제조업(-5천명)

< 산업별 자발적 이직 동향(’24.3월 중)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자발적 이직


상용


임시일용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전 체
362
-27
-7.0
309
-29
-8.5
53
2
3.2

광업
0
0
15.8
0
0
18.2
0
0
-40.0

제조업
60
-5
-7.3
57
-5
-8.5
3
1
18.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0
0
-17.6
0
0
-35.2
0
0
140.0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2
0
-5.5
1
0
-14.6
0
0
186.1

건설업
16
-2
-8.6
14
-2
-12.3
2
0
21.7

도매 및 소매업
41
-6
-13.0
35
-6
-14.1
6
0
-6.2

운수 및 창고업
10
-1
-9.6
10
-1
-10.3
0
0
10.2

숙박 및 음식점업
50
-4
-7.2
30
-2
-6.8
20
-2
-7.7

정보통신업
13
-1
-4.4
12
0
-2.7
1
0
-18.9

금융 및 보험업
3
0
-11.5
3
0
-12.7
0
0
-2.1

부동산업
8
1
12.4
8
1
11.4
0
0
33.1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18
-2
-10.9
17
-2
-12.1
1
0
12.6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31
-4
-12.7
27
-3
-11.0
3
-1
-23.7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2
0
8.3
1
0
4.4
1
0
12.9

교육서비스업
21
1
3.0
19
0
-1.4
2
1
54.7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71
-5
-6.0
65
-7
-9.1
5
2
60.2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7
1
13.2
4
0
-4.8
4
1
36.8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8
0
-2.4
7
0
3.4
1
0
-41.3

 

(비자발적 이직) 비자발적 이직(591천명)상용직은 157천명으로 13천명(-7.7%) 감소, 임시일용직은 435천명으로 3천명(-0.8%) 감소

- 증가한 산업은 운수 및 창고업(+5천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2천명) 순, 감소한 산업은 건설업(-7천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6천명)

< 산업별 비자발적 이직 동향(’24.3월 중)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비자발적 이직




상용


임시일용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전 체
591
-16
-2.7
157
-13
-7.7
435
-3
-0.8

광업
0
0
-7.1
0
0
206.5
0
0
-57.8

제조업
42
-2
-4.0
11
-2
-16.0
31
0
1.0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0
0
-75.5
0
0
-60.9
0
0
-78.3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1
-1
-44.1
0
0
-26.2
1
-1
-47.1

건설업
218
-7
-3.0
4
0
-9.8
214
-6
-2.8

도매 및 소매업
30
1
2.0
8
1
9.2
22
0
-0.4

운수 및 창고업
17
5
47.0
2
0
-7.9
15
6
58.4

숙박 및 음식점업
70
1
1.1
9
-1
-11.1
62
2
3.1

정보통신업
7
0
2.2
4
0
13.5
3
0
-11.6

금융 및 보험업
2
0
5.0
1
0
-13.3
1
0
22.8

부동산업
3
0
-1.8
3
0
9.5
1
0
-33.4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13
1
12.2
6
0
-1.1
7
2
26.5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43
-6
-13.0
12
-3
-21.6
31
-3
-8.9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7
-2
-23.5
1
0
-8.8
6
-2
-24.8

교육서비스업
75
-2
-2.4
51
-6
-9.8
24
4
18.4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50
-4
-7.6
41
-3
-6.8
8
-1
-11.6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5
-2
-34.2
1
0
20.0
4
-3
-42.0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8
2
23.7
3
1
113.8
6
0
3.7

 

3. 시도별 고용부문

종사자(’24.3월 말)

’24.3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전년동월대비 경기(+94천명), 경남(+24천명) 등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

ㅇ 종사자 수 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세종(+4.6%), 전남(+2.8%), 충남(+2.3%) 순, 감소율이 높은 지역은 부산(-0.9%), 경북(-0.1%), 서울(-0.0%)

< ’24.3월 기준 시도별 종사자 수 및 증감률 >

< 시도별 종사자 수 동향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23.3월
’24.2월
3월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전국
19,727
415
2.2
19,831
232
1.2
19,934
207
1.0

서울
4,858
106
2.2
4,820
0
0.0
4,856
-1
-0.0

부산
1,210
38
3.2
1,196
-3
-0.2
1,199
-11
-0.9

대구
746
9
1.2
755
11
1.4
755
9
1.3

인천
961
29
3.1
970
16
1.7
972
11
1.1

광주
536
16
3.0
541
8
1.5
540
5
0.9

대전
542
13
2.4
544
6
1.1
548
5
1.0

울산
429
1
0.2
431
4
1.0
436
7
1.6

세종
129
5
3.9
135
7
5.9
135
6
4.6

경기
4,832
126
2.7
4,904
101
2.1
4,926
94
1.9

강원
525
8
1.5
518
-3
-0.5
525
0
0.1

충북
637
2
0.3
645
11
1.7
650
13
2.0

충남
858
23
2.7
873
22
2.6
878
20
2.3

전북
580
7
1.3
587
8
1.4
588
8
1.4

전남
650
15
2.4
666
19
2.9
668
18
2.8

경북
899
2
0.3
893
-3
-0.3
898
-1
-0.1

경남
1,110
8
0.7
1,127
26
2.4
1,134
24
2.2

제주
227
8
3.9
226
0
0.2
227
0
0.1

 

입‧이직자(’24.3월 중)

(입‧이직자) ’24.3월 중 입‧이직자경기(입직 287천명, 이직 272천명), 서울(입직 246천명, 이직 211천명), 부산(입직 67천명, 이직 67천명) 순으로 많음

- 입직자는 전년동월대비 광주(+2천명), 부산(+2천명) 등에서 증가, 서울(-24천명), 경기(-20천명) 등에서 감소

- 이직자는 부산(+9천명), 광주(+5천명) 등에서 증가, 서울(-19천명), 경기(-16천명)에서 감소

< ’24.3월 기준 시도별 입·이직자 수 및 증감 >

(입‧이직률) ’24.3월 중 입‧이직률전남(입직률 8.8%, 이직률 8.4%), 전북(입직률 8.4%, 이직률 8.2%), 대구(입직률 8.3%, 이직률 8.1%) 순으로 높음

< 시도별 입직자 및 이직자 동향(’24.3월 중) >

(단위: 천명, %, %p, 전년동월대비)


입직자
이직자
입직률
이직률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
전국
1,186
-86
-6.8
1,094
-65
-5.6
6.3
-0.5
5.9
-0.4

서울
246
-24
-8.8
211
-19
-8.3
5.3
-0.5
4.6
-0.4

부산
67
2
3.1
67
9
15.2
6.2
0.2
6.1
0.8

대구
58
-1
-1.6
57
-1
-1.2
8.3
-0.2
8.1
-0.1

인천
59
-5
-8.1
56
0
0.8
6.4
-0.7
6.1
0.0

광주
37
2
6.1
37
5
16.4
7.4
0.4
7.4
1.0

대전
35
-11
-24.3
33
-12
-26.3
6.9
-2.3
6.4
-2.4

울산
26
0
1.7
22
-2
-9.1
6.4
0.0
5.3
-0.6

세종
10
-1
-8.4
10
0
-0.7
7.6
-1.0
7.8
-0.4

경기
287
-20
-6.4
272
-16
-5.5
6.3
-0.5
6.0
-0.5

강원
38
0
0.4
31
-3
-7.7
7.8
0.1
6.4
-0.5

충북
36
-1
-1.5
31
-3
-8.2
5.9
-0.2
5.1
-0.5

충남
54
-5
-7.8
49
-2
-4.7
6.5
-0.7
5.9
-0.5

전북
46
-1
-2.5
45
-1
-2.1
8.4
-0.3
8.2
-0.3

전남
54
-8
-12.3
52
-8
-12.8
8.8
-1.6
8.4
-1.5

경북
63
-7
-9.4
59
-7
-10.3
7.3
-0.8
6.8
-0.8

경남
59
-7
-10.8
53
-6
-10.4
5.4
-0.8
4.9
-0.7

제주
11
-2
-12.8
10
-1
-10.0
4.9
-0.7
4.6
-0.5

 

 

< 참 고 >



시도별 제조업 중분류 동향(’24.3월)
(종사자) ’24.3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제조업 종사자는 전년동월대비 경남(+13.0천명), 충남(+6.5천명) 순으로 증가, 서울(-8.3천명), 부산(-2.1천명) 순으로 감소
- 경남은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8.7천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3.2천명), 충남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2.4천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6천명) 등에서 증가
(입직자) ’24.3월 중 입직자 전북(+1.2천명), 충남(+1.1천명) 순으로 증가, 경기(-6.0천명), 경남(-1.8천명) 순으로 감소
- 전북은 가구 제조업(+0.6천명), 기타 제품 제조업(+0.6천명), 충남은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0.8천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0.8천명) 등에서 증가
(이직자) ’24.3월 중 이직자전남(+0.9천명), 경기(+0.5천명) 순으로 증가, 대전(-2.5천명), 인천(-2.1천명) 순으로 감소
- 전남은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0.5천명), 전기장비 제조업(+0.5천명), 경기는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1천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0천명) 등에서 증가
< 시도별 제조업 종사자 및 입‧이직자 동향 >
(단위: 천명, %)

종사자
입직자
이직자
’23.3월
’24.3월


’23.3월
’24.3월


’23.3월
’24.3월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증감
증감률
전국
3,733
3,744
11.1
0.3
123
112
-11.2
-9.1
122
115
-7.8
-6.3

서울
184
175
-8.3
-4.5
7
6
-0.8
-12.5
7
7
-0.4
-5.5

부산
174
172
-2.1
-1.2
5
5
-0.6
-12.3
6
5
-0.7
-12.9

대구
136
137
1.1
0.8
4
3
-0.5
-12.0
4
4
0.2
5.0

인천
225
224
-0.6
-0.3
6
5
-0.1
-2.7
7
5
-2.1
-29.8

광주
76
74
-1.9
-2.4
2
2
0.0
2.4
2
2
0.3
13.9

대전
56
55
-1.2
-2.2
3
2
-1.2
-43.3
4
2
-2.5
-60.3

울산
164
166
2.3
1.4
5
5
-0.2
-4.5
5
4
-0.4
-8.7

세종
20
22
1.8
9.1
1
1
0.1
8.8
1
1
0.0
2.9

경기
1,253
1,255
1.6
0.1
42
36
-6.0
-14.4
39
40
0.5
1.4

강원
55
54
-0.8
-1.5
2
2
-0.5
-23.4
2
2
-0.2
-9.2

충북
212
211
-0.7
-0.3
6
5
-1.2
-18.7
6
5
-1.3
-21.7

충남
301
308
6.5
2.2
9
10
1.1
12.4
9
8
-0.6
-6.8

전북
106
107
1.1
1.0
5
6
1.2
23.2
6
6
0.3
4.9

전남
114
112
-1.9
-1.7
5
5
-0.1
-2.4
5
6
0.9
16.2

경북
278
279
1.2
0.4
8
8
-0.4
-4.9
9
8
-0.7
-7.6

경남
370
383
13.0
3.5
13
11
-1.8
-13.8
12
11
-1.0
-9.0

제주
10
10
-0.1
-0.8
0
0
0.0
-3.9
0
0
0.0
-2.1
 

 

< ’24.3월 시도별 제조업 중분류 상위 5순위 종사자 수(단위: 천명) >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 상단 계열은 전년동월대비 증감
** 시도별 종사자 규모가 달라 축 범위에 차이가 있어 비교시 유의

 


근로실태부문

 

1. 임금(’24.2월 기준)

(총괄) ’24.2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전체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 4,351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1.5%(+450천원) 증가*

* 임금총액 증가는 전년에 1월이었던 설 명절이 금년에는 2월에 포함되어 설 상여금 등 특별급여가 증가한 영향

<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단위: 천원, %) >


’23.2월
’23.11월
12월
’24.1월
2월
전체근로자
3,901
(5.6)
3,714
(3.6)
4,433
(0.0)
4,289
(-8.6)
4,351
(11.5)
[계절조정지수, ’20.12=100]
[111.0]

[112.7]

[110.2]

[111.1]

[111.5]

주: 임금은 세금공제 전 임금,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주요 특성별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4,632천원으로 11.8%(+490천원) 증가, 임시일용근로자 1,751천원으로 6.1%(+100천원) 증가

- 상용근로자 임금을 내역별로 보면, 정액급여 3,497천원으로 3.5%(+120천원) 증가, 초과급여 227천원으로 7.7%(+16천원) 증가, 특별급여 908천원으로 63.8%(+354천원) 증가

* 종사상지위별 임금 특징:

(상용근로자) 정액급여, 초과급여증가하고, 특히 전년에 1월이었던 설 명절이 금년에는 2월에 포함되어 설 상여금 등 특별급여 증가하여 임금 증가

(임시일용근로자)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높은 건설업 임시일용근로자 증가 등으로 임금 증가

< 종사상지위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내역별 임금(단위: 천원, %) >


’23.2월
’23.11월
12월
’24.1월
2월
상용근로자
4,142
(6.1)
3,930
(3.8)
4,722
(0.1)
4,559
(-9.0)
4,632
(11.8)

정액급여
3,377
(4.4)
3,432
(3.5)
3,636
(3.2)
3,602
(3.4)
3,497
(3.5)

초과급여
211
(-0.2)
232
(4.4)
234
(5.4)
224
(9.2)
227
(7.7)

특별급여
554
(20.9)
267
(7.8)
853
(-12.4)
732
(-44.5)
908
(63.8)
임시일용근로자
1,651
(1.9)
1,860
(5.4)
1,868
(3.8)
1,824
(2.8)
1,751
(6.1)

주: 1) 임금은 세금공제 전 임금,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2) 임시일용근로자 임금은 내역별로 구분하여 조사하지 않음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3,809천원으로 12.0%(+409천원) 증가, 300인 이상7,013천원으로 10.1%(+644천원) 증가

< 사업체 규모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단위: 천원, %) >


’23.2월
’23.11월
12월
’24.1월
2월
300인 미만
3,399
(2.9)
3,387
(2.8)
3,938
(0.2)
3,682
(-4.8)
3,809
(12.0)
300인 이상
6,369
(12.2)
5,319
(5.7)
6,860
(-1.1)
7,259
(-17.2)
7,013
(10.1)

주: 임금은 세금공제 전 임금,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산업별) 임금총액이 많은 산업은 금융 및 보험업(9,029천원),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8,433천원) 순,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2,213천원),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2,850천원)

< 산업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단위: 천원, %) >


’23.2월
’24.1월
2월
전 체
3,901
(5.6)
4,289
(-8.6)
4,351
(11.5)

광업
4,136
(0.3)
5,416
(2.5)
4,698
(13.6)

제조업
4,542
(8.5)
5,262
(-15.9)
5,003
(10.2)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8,742
(59.7)
7,559
(19.0)
8,433
(-3.5)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3,914
(1.5)
4,376
(-4.4)
4,488
(14.7)

건설업
3,173
(5.3)
3,587
(-1.2)
3,522
(11.0)

도매 및 소매업
3,738
(4.8)
4,191
(-5.0)
4,258
(13.9)

운수 및 창고업
4,145
(11.0)
4,160
(-5.8)
4,631
(11.7)

숙박 및 음식점업
2,042
(7.0)
2,216
(0.6)
2,213
(8.4)

정보통신업
5,319
(8.1)
5,797
(-2.4)
5,958
(12.0)

금융 및 보험업
7,523
(0.7)
8,691
(-14.8)
9,029
(20.0)

부동산업
3,018
(-5.5)
3,295
(-1.5)
3,224
(6.8)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5,597
(9.1)
5,522
(-7.6)
6,179
(10.4)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2,616
(4.9)
2,818
(-0.4)
2,850
(9.0)

교육서비스업
3,387
(1.8)
3,805
(-8.7)
3,981
(17.5)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3,006
(-0.7)
3,222
(-4.5)
3,341
(11.2)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2,944
(-3.7)
3,364
(-6.2)
3,249
(10.4)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2,866
(4.6)
3,097
(-7.2)
3,285
(14.6)

주: 임금은 세금공제 전 임금,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2. 근로시간(’24.2월 기준)

(총괄) ’24.2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145.6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7.3시간(-4.8%) 감소

*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월력상 근로일수전년대비 1일 감소(20일→19일)

<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단위: 시간, 일, %) >


’23.2월
’23.11월
12월
’24.1월
2월
전체근로자
152.9
(8.1)
165.6
(-1.4)
152.8
(-8.3)
165.0
(7.3)
145.6
(-4.8)
[계절조정지수, ’20.12=100]
[99.1]

[98.2]

[97.7]

[96.9]

[101.4]

근로일수
18.9
(8.6)
20.5
(-1.0)
18.9
(-8.3)
20.5
(7.9)
18.0
(-4.8)

주: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주요 특성별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152.5시간으로 7.5시간(-4.7%) 감소, 임시일용근로자82.4시간으로 4.7시간(-5.4%) 감소

* 종사상지위별 근로시간 특징:

(상용근로자) 월력상 근로일수 증감에 영향을 크게 받는 편으로 월력상 근로일수가 전년동월대비 1일 감소하여 근로시간 감소

(임시일용근로자) 임시일용 중 상대적으로 근로시간이 짧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에서 임시일용근로자 증가 등으로 근로시간 감소

< 종사상지위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내역별 근로시간(단위: 시간, 일, %) >


’23.2월
’23.11월
12월
’24.1월
2월
상용근로자
160.0
(9.2)
174.1
(-0.8)
159.9
(-8.0)
173.2
(7.9)
152.5
(-4.7)

근로일수
19.7
(10.1)
21.4
(-0.5)
19.7
(-7.5)
21.4
(8.6)
18.7
(-5.1)

소정실근로시간
152.6
(10.2)
166.0
(-0.8)
151.8
(-8.4)
165.4
(8.0)
144.8
(-5.1)

초과시간
7.4
(-7.5)
8.1
(-1.2)
8.0
(-1.2)
7.8
(6.8)
7.7
(4.1)
임시일용근로자
87.1
(-3.4)
92.5
(-6.8)
90.2
(-9.4)
90.0
(-1.2)
82.4
(-5.4)

근로일수
12.1
(-1.6)
12.8
(-5.2)
12.5
(-8.1)
12.6
(0.8)
11.7
(-3.3)

주: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44.6시간으로 7.4시간(-4.9%) 감소, 상용 300인 이상150.7시간으로 6.9시간(-4.4%) 감소

< 사업체 규모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단위: 시간, %) >


’23.2월
’23.11월
12월
’24.1월
2월
300인 미만
152.0
(7.7)
164.5
(-1.7)
152.2
(-8.6)
163.9
(7.1)
144.6
(-4.9)
300인 이상
157.6
(10.6)
170.7
(-0.1)
156.0
(-6.6)
170.1
(8.0)
150.7
(-4.4)

주: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산업별) 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수도,하수 및 폐기물처리,원료재생업(160.0시간), 제조업(158.9시간) 순, 짧은 산업은 건설업(120.8시간), 교육서비스업(124.8시간)

< 산업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단위: 시간, %) >


’23.2월
’24.1월
2월
전 체
152.9
(8.1)
165.0
(7.3)
145.6
(-4.8)

광업
163.4
(5.8)
175.1
(6.4)
156.8
(-4.0)

제조업
166.7
(9.8)
181.3
(8.9)
158.9
(-4.7)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60.4
(10.3)
156.1
(-3.2)
156.4
(-2.5)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165.1
(5.2)
179.1
(5.8)
160.0
(-3.1)

건설업
125.2
(5.3)
135.6
(6.4)
120.8
(-3.5)

도매 및 소매업
157.0
(8.2)
168.3
(6.9)
147.9
(-5.8)

운수 및 창고업
155.7
(8.4)
167.7
(6.3)
151.1
(-3.0)

숙박 및 음식점업
135.0
(3.4)
143.9
(4.0)
130.5
(-3.3)

정보통신업
159.1
(10.6)
174.0
(9.4)
152.0
(-4.5)

금융 및 보험업
157.8
(12.0)
171.3
(8.3)
148.8
(-5.7)

부동산업
162.5
(6.7)
175.6
(6.0)
157.6
(-3.0)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156.1
(10.9)
169.5
(8.9)
147.5
(-5.5)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154.3
(7.4)
167.8
(7.2)
148.7
(-3.6)

교육서비스업
132.6
(9.2)
140.4
(6.8)
124.8
(-5.9)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147.1
(5.7)
158.1
(6.8)
139.5
(-5.2)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145.5
(8.7)
153.0
(4.4)
136.1
(-6.5)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156.6
(8.8)
169.1
(6.4)
148.4
(-5.2)

주: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산업소분류별 종사자 수(잠정결과)

※ 산업소분류별 종사자 수는 사업체노동력조사 부가조사인 지역별사업체노동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추정

’23.10월말 산업소분류별 사업체 종사자 수는 「비거주 복지시설 운영업」(1,029천명), 「음식점업」(841천명), 「병원」(653천명), 「입법 및 일반 정부 행정」(512천명), 「고용알선 및 인력공급업」(486천명) 순으로 많게 나타남

 

전년동월대비 증가폭이 큰 산업은 「비거주 복지시설 운영업」(+41천명), 「거주 복지시설 운영업」(+24천명) 등으로 나타났으며, 감소폭이 큰 산업「중등 교육기관」(-18천명), 「건물 건설업」(-10천명) 등으로 나타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