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폭력 피해자 광역단위 통합지원 사업 5개 시·도로 확대
2024.01.23 여성가족부
5대 폭력 피해자 광역단위 통합지원 사업
5개 시·도로 확대
|
- 부산, 경기 외에 서울, 대전, 울산 지역 3곳 추가
- 상담소 없는 도서‧산간 지역 ‘찾아가는 상담’ 활성화로 지역별 서비스 편차 최소화
|
□ 여성가족부(장관 김현숙)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원장 신보라)은 23일(화) 「5대 폭력 피해자 광역단위 통합지원 사업」(이하 ‘통합지원단’) 운영기관으로 서울·부산·대전·울산·경기 여성긴급전화 1366 센터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 「5대 폭력 피해자 광역단위 통합지원 사업」은 복합피해, 정신질환 동반 피해 등 고난도 사례 대응에 전문성을 갖추고, 유관 기관 간 유기적 협력으로 원스톱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2023년 처음으로 시범운영을 시작했다.
ㅇ 지난해 부산, 경기 지역 통합지원단을 통해 총 171건의 피해 사례를 지원하였고, 피해자 지원을 위한 통합사례회의(91회), 업무협약(24건)을 통해 피해자 지원 기관 간 협력 체계를 탄탄히 구축하였다.
|
2023년 5대 폭력 피해자 통합지원 사업 지원 사례
|
|
|
|
|
||
|
|||
피해자 ㄱ씨는 정신보건센터에서 여성폭력 피해가 의심된다며 1366 통합지원단에 연계됨. 피해자 상담과정에서 성매매 및 가정폭력 피해 사실을 인지하고 신체‧정신적 피해에 대한 신속한 의료지원, 수사지원, 탈 성매매 및 자립지원 진행
☞ 통합지원 내용
• (1366센터 통합지원단) : 초기 의료지원 및 성매매 사건지원, 복합사례에 대한 피해지원 계획수립, 광역단위 유관기관 활용 자원 탐색 및 연계, 사후 모니터링
• (정신건강복지센터) : 심리상담 및 약물복용교육
• (성매매피해자 보호시설) : 피해자 의료지원, 생활 및 자립지원
⇒ 1366센터 통합지원단은 정신건강복지센터, 성매매 보호시설과 협력하여 수사기관에 피해자 기소 유예를 위한 의견 전달, 기소 유예 처분을 받은 피해자는 탈성매매와 자립을 위한 직업훈련 진행 중
|
|||
ㅇ 올해부터는 통합지원단이 기초 단위 지원기관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고난도 사례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도서‧산간 지역에 찾아가는 방문 상담을 강화하여 지역별 서비스 편차를 줄여나갈 계획이다.
ㅇ 여성가족부는 통합지원단 사업 추진 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해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여성폭력 피해자 통합지원 매뉴얼**을 개발하여 종사자 교육을 통해 지원 역량을 높여나갈 예정이다.
* 1366 설치 근거를 「가정폭력방지법」에서 「여성폭력방지기본법」으로 이관
** 스토킹‧교제폭력‧디지털성범죄 등 복합피해 통합지원을 위한 직무분석, 통합지원을 위한 필요역량 도출, 사례지원 절차 및 지원방안 등 개발
□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은 “여성폭력 피해자가 어느 곳에 거주하더라도, 필요한 지원을 신속하게 해드릴 수 있도록 통합지원단 사업을 내실화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신보라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원장은 “사업수행기관인 여성긴급전화1366센터 5개소와 각 지자체, 경찰 등과 긴밀하게 협업하여 적극적으로 피해사례를 발굴‧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 「5대 폭력 피해자 광역단위 통합지원 사업」 현황
붙임
|
|
「5대 폭력 피해자 광역단위 통합지원 사업」 현황
|
□ 사업개요
ㅇ (사 업 명) 5대 폭력 피해자 광역단위 통합지원 사업
ㅇ (지원규모) 총 5개소, 총 533백만원
ㅇ (운영기관) 서울·부산·대전·울산·경기 여성긴급전화 1366 센터
ㅇ (사업내용) ① 광역단위 통합사례관리 ② 협업체계 구축 ③ 광역단위 총괄 기능 수행
□ 추진체계
ㅇ (중앙) 여가부·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지자체 및 유관 부처 협조 요청, 통합지원 매뉴얼 개발·보급, 종사자 보수 교육 및 워크숍, 시설평가 등
ㅇ (광역) 1366센터(통합지원단)는 고난도 사례 통합지원, 찾아가는 방문 상담, 광역 단위 협의체 운영, 현안 이슈 종사자 교육 등
ㅇ (기초) 성폭력, 가정폭력, 스토킹 등 유형별 상담, 의료·법률 지원, 시설연계 등
구분
|
운영주체
|
주요 역할·운영
|
중앙
|
여가부
(한국여성
인권진흥원)
|
▪ 지자체 및 유관 부처 협조 요청
▪ 센터 운영 및 통합사례관리 매뉴얼 개발·보급
▪ 통합관리사례사, 상담원 교육 및 슈퍼비전 제공
▪ 상담소, 보호시설 평가 및 컨설팅
▪ 지원 실적 관리 시스템 개발·운영
|
광역
기능
|
1366
(통합지원단)
* 개소당 통합사례관리사 2명 배치
|
▪ 기초 단위 상담소 미설치 지역 찾아가는 방문 상담 제공
▪ 복합피해 등 고난도 사례 통합사례관리 지원
※ 기초단위 지원기관에서 의뢰한 고난도 사례 지원 포함
▪ 광역 단위 유관기관 협의체 운영
▪ 지역 내 긴급한 중대범죄 대응 총괄(112협업)
|
기초
기능
|
통합 및 유형별상담소
|
▪ 가정폭력, 성폭력, 스토킹, 디지털성범죄 등 피해자 상담, 의료, 수사·법률 지원, 지원시설 연계
|
□ 피해자 지원 절차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년 만에 외국인 전용 신규 카지노 ‘인스파이어’ 허가 결정 (0) | 2024.01.24 |
---|---|
47년간 ‘대지’로 재산세 납부…행정청이 갑자기 ‘전’으로 변경한 것은 잘못 (0) | 2024.01.24 |
주택·가계 ‘세부담’ 줄어든다…주담대 갈아타도 이자 소득공제 (0) | 2024.01.23 |
2023년 세법개정 후속 시행령 개정안 (0) | 2024.01.23 |
(공동)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브리핑(151일차) (0) | 2024.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