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2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2024.01.1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12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
- 수출 182.6억불, 수입 109.4억불, 무역수지 73.1억불 흑자
- 반도체가 전체 ICT 수출 증가를 견인하며 ‘23년 월별 최대 수출 달성
|
’23년 12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182.6억불, 수입은 109.4억불, 무역수지는 73.1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되었다.
12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가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ICT 수출 증가를 견인하여 전체 ICT 수출은 ‘23년 월별 최대 수출 실적**을 달성하였다.
* 반도체 수출 증감률(%) : (’23.10월) △4.7 → (11월) 10.7↑ → (12월) 19.3↑
** ’23년 월별 ICT 수출 순위(억불) : (1위)182.6(12월), (2위)180.4(9월), (3위)178.8(11월)

품목별로 반도체(19.3%↑), 디스플레이(7.3%↑)는 증가하였으며, 휴대폰(△1.0%), 컴퓨터·주변기기(△29.6%), 통신장비(△25.5%)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 16.3%↑), 베트남(4.3%↑), 미국(2.5%↑)은 증가하였고, 유럽연합(△8.0%), 일본(△2.7%) 등은 감소하였다.
정보통신산업(ICT) 수입*(109.4억불)은 주요 부품(반도체 등) 수입 감소로 전년 동월(117.9억불) 대비 7.2% 감소하였다.
* 주요 수입 지역 : 중국, 대만, 일본, 베트남, 미국 등
정보통신산업(ICT) 12월 수출 현황
|
□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반도체 : 110.7억불, 19.3%↑) 주력 품목인 메모리(69.9억불, 57.5%↑)가 큰 폭으로 증가하며 반도체 수출 증가를 견인, 전체 반도체 수출은 ’23년 월별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 ’23년 월별 반도체 실적 순위(억불) : (1위)110.7(12월), (2위)100.0(9월), (3위)95.6(11월)
** 반도체 월별 수출(억불, %) : (’23.10월)89.7(△4.7) → (11월)95.6(10.7↑) → (12월)110.7(19.3↑)
- 특히, 메모리 고정 거래가격*이 ’23.4분기 들어 3개월 연속 상승하는 등 단가 회복 흐름이 이어지며 전체 반도체 수출 회복을 견인
* D램 고정가 추이(8Gb, $) : (‘23.1Q)1.81 → (2Q)1.40 → (3Q)1.31 → (10월)1.50 → (11월)1.55 → (12월)1.65
○ (디스플레이 : 17.1억불, 7.3%↑) 모바일 수요 중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증가 및 액정 디스플레이(LCD) 수출의 동시 증가로 인해 전체 디스플레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5개월 연속 증가*
* 디스플레이 수출(억불, %) :(’23.8월)21.3(1.8↑)→(9월)20.0(0.9↑)→(10월)22.9(13.1↑)→(11월)20.8(3.7↑)→(12월)17.1(7.3↑)
○ (휴대폰 : 9.4억불, △1.0%)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점진적 회복에 따라 완제품(1.6억불, 83.6%↑)은 증가세가 지속되고, 부분품(7.8억불, △9.5%)은 소폭 감소*
* 휴대폰 월별 수출 (억불, %) : (’23.10월)15.0(△3.3) → (11월)15.5(12.2↑) → (12월)9.4(△1.0)
○ (컴퓨터·주변기기 : 8.2억불, △29.6%) 전자기기 및 데이터센터·서버용 보조기억장치(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SSD, 4.8억불, △38.4%) 수출 감소
※ 컴퓨터·주변기기 월별 수출(억불, %) : (’23.10) 7.6(△26.3) → (’23.11) 7.5(△22.8) → (’23.12) 8.2(△29.6)
○ (통신장비 : 1.9억불, △25.5%) 베트남(0.4억불, 8.4%↑) 등 일부 지역은 증가했으나,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인프라 투자 축소 영향으로 전체 통신장비 수출은 감소
※ 통신장비 월별 수출(억불, %) : (’23.10) 2.0(△23.4) → (’23.11) 2.1(△21.6) → (’23.12) 1.9(△25.5)
※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월 대비)
• (중소* · 중견기업 45.5억불, △2.6%) 반도체(20.7억불, △3.7%), 컴퓨터·주변기기(1.8억불, △11.7%), 디스플레이(1.9억불, △6.0%) 등은 감소, 이차전지(2.3억불, 11.1%↑)는 증가
* 중소기업(16.2억불, 5.1%↑)은 반도체(2.7억불, 13.1%↑), 이차전지(0.8억불, 23.0%↑) 등 증가
|
□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 (중국<홍콩 포함> : 78.6억불, 16.3%↑) 반도체(58.3억불, 31.7%↑) 등 주요 품목 증가에 힘입어 지난달 18개월 만에 증가 전환 이후 전년 동월 대비 2개월 연속 상승*
* 중국(홍콩 포함) 월별 수출(억불, %) : (‘23.10월)75.5(△3.5) → (11월)80.9(15.5↑) → (12월)78.6(16.3↑)
- 특히, 휴대폰, PC 등 주요 ICT 기기 생산 시설이 다수 위치한 중국은 글로벌 ICT 수요 회복 흐름에 따라 부분품을 중심으로 수출 개선 양상
○ (베트남 : 29.4억불, 4.3%↑) 주요 모바일 생산 거점이 위치한 지역으로 모바일용 디스플레이* 수출 확대에 힘입어 5개월 연속 증가
* 베트남 디스플레이 수출(억불, %) : (’23.6)8.8(△5.2) → (’23.7)11.7(4.9↑) → (’23.11)13.0(7.5↑) → (’23.12)9.2(13.2↑)
※ 베트남 월별 수출(억불, %) : (’23.8)30.5(1.7↑) → (’23.9)31.0(1.8↑) → (‘23.10월)32.2(0.3↑) → (11월)31.2(4.1↑) → (12월)29.4(4.3↑)
○ (미국 : 25.5억불, 2.5%↑) 반도체(10.6억불, 13.5%↑), 이차전지(5.3억불, 14.4%↑), 휴대폰(0.6억불, 70.1%↑) 등 주요 품목 증가
※ 미국 월별 수출(억불, %) : (’23.10월)17.4(△14.8) → (11월)20.6(12.5↑) → (12월)25.5(2.5↑)
- 반도체 수요 회복으로 미국향(向) 반도체 수출은 ’22.9월 이후 15개월 만에 증가 전환
* 미국 반도체 수출(억불, %) : (‘22.9월)9.5(13.6↑) →(10월)5.2(△39.8) →(‘23.11월)5.3(△0.5) →(12월)10.6(13.5↑)
○ (유럽연합 : 9.4억불, △8.0%) 반도체(3.0억불, 22.7%↑), 휴대폰(0.8억불, 98.3%↑)은 증가, 이차전지(1.2억불, △49.1%) 등은 감소
※ 유럽연합 월별 수출(억불, %) : (‘23.10월)8.5(△12.3) →(11월)10.2(5.4↑) →(12월)9.4(△8.0)
○ (일본 : 3.2억불, △2.7%) 반도체(1.0억불, 12.9%↑)는 증가, 컴퓨터·주변기기(0.3억불, △11.4%), 휴대폰(0.1억불, △41.8%) 등은 감소
※ 일본 월별 수출(억불, %) : (‘23.10월)3.5(△2.9) →(11월)3.2(2.0↑) →(12월)3.2(△2.7)
정보통신산업(ICT) 12월 수입 현황
|
□ (품목별) 휴대폰(5.4억불, 0.4%↑), 디스플레이(3.9억불, 22.9%↑)는 증가, 반도체(53.0억불, △8.1%), 컴퓨터·주변기기(11.5억불, △4.9%) 등 감소
□ (지역별) 베트남(9.9억불, 34.5%↑)은 증가, 중국(홍콩 포함, 37.8억불, △20.2%), 대만(15.9억불, △11.6%), 일본(10.4억불, △16.3%), 미국(7.2억불, △6.3%) 등 감소
< 첨부 > 동향 세부자료
목 차
|
|
|
|
||
|
|
|
1.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6
2. 주요 국가별 수출 동향....10
2. 수입 및 수지 동향....12
4. 2023년 12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통계(잠정)....14
|
1.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1 반도체
반도체 수출은 메모리가 큰 폭으로 증가하며 전체 반도체 수출 증가를 견인,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하며 전년 동월 대비 19.3% 증가한 110.7억불 기록
◦ (메모리 반도체 : 69.9억불, 57.5%↑) D램 및 낸드의 고정거래가격 반등 및 메모리 반도체 수요 회복 등에 따라 두 자릿수 증가 기록
◦ (시스템 반도체 : 36.7억불, △14.0%) 파운드리 가동률 하락 등으로 시스템 반도체 감소는 지속되나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은 7월(△25.9%) 이후 점진적 회복세

(국가별) 중국(홍콩 포함, 58.3억불, 31.7%↑), 베트남(14.7억불, 1.4%↑), 미국(10.6억불, 13.5%↑), 유럽연합(3.0억불, 22.7%↑), 일본(1.0억불, 12.9%↑) 등 증가
|
|
|
|
반도체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12
|
'23.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반도체
|
92.8
|
61.5
|
61.1
|
87.3
|
64.7
|
74.7
|
89.9
|
75.4
|
86.4
|
100.0
|
89.7
|
95.6
|
110.7
|
||
(△27.8)
|
(△43.5)
|
(△41.5)
|
(△33.9)
|
(△40.6)
|
(△35.7)
|
(△27.9)
|
(△33.7)
|
(△21.1)
|
(△14.4)
|
(△4.7)
|
(10.7)
|
(19.3)
|
|||
|
메모리
|
44.4
|
27.7
|
29.2
|
45.7
|
29.3
|
34.1
|
47.7
|
36.0
|
42.5
|
54.3
|
45.1
|
52.4
|
69.9
|
|
(△47.2)
|
(△57.3)
|
(△53.9)
|
(△44.3)
|
(△54.1)
|
(△53.1)
|
(△38.8)
|
(△41.7)
|
(△26.1)
|
(△18.0)
|
(1.0)
|
(36.4)
|
(57.5)
|
|||
|
디(D)램
|
24.5
|
11.7
|
12.6
|
19.6
|
14.7
|
15.8
|
19.0
|
16.9
|
18.1
|
23.4
|
19.0
|
23.2
|
31.3
|
|
(△40.8)
|
(△63.6)
|
(△60.5)
|
(△49.5)
|
(△54.5)
|
(△57.4)
|
(△51.0)
|
(△48.3)
|
(△35.2)
|
(△24.6)
|
(△8.1)
|
(27.8)
|
(27.7)
|
|||
낸드
플래시
|
3.5
|
3.6
|
4.9
|
6.4
|
3.5
|
3.7
|
4.7
|
3.6
|
5.6
|
7.1
|
5.6
|
5.8
|
6.2
|
||
(△45.8)
|
(△30.3)
|
(△21.8)
|
(△14.6)
|
(△52.5)
|
(△53.9)
|
(△40.3)
|
(△51.9)
|
(△8.9)
|
(5.6)
|
(△0.6)
|
(11.6)
|
(79.9)
|
|||
메모리
MCP
|
14.9
|
11.1
|
10.6
|
16.2
|
9.8
|
12.7
|
21.4
|
14.3
|
16.7
|
20.7
|
18.5
|
20.2
|
25.2
|
||
(△52.6)
|
(△53.9)
|
(△49.6)
|
(△47.0)
|
(△50.3)
|
(△47.1)
|
(△14.5)
|
(△21.9)
|
(△19.6)
|
(△15.9)
|
(12.2)
|
(49.6)
|
(69.9)
|
|||
메모리
MCO
|
1.5
|
1.2
|
1.0
|
3.4
|
1.1
|
1.7
|
2.4
|
1.1
|
1.9
|
2.8
|
1.8
|
3.1
|
7.0
|
||
(△70.1)
|
(△65.7)
|
(△75.9)
|
(△33.1)
|
(△73.9)
|
(△50.0)
|
(△59.6)
|
(△65.3)
|
(△24.0)
|
(△21.5)
|
(6.5)
|
(108.7)
|
(379.6)
|
|||
시스템
반도체
|
42.7
|
29.0
|
26.9
|
36.3
|
31.2
|
36.4
|
37.8
|
34.7
|
39.7
|
41.6
|
40.6
|
38.9
|
36.7
|
||
(9.9)
|
(△25.0)
|
(△25.5)
|
(△18.4)
|
(△22.1)
|
(△4.9)
|
(△9.6)
|
(△25.9)
|
(△14.9)
|
(△7.8)
|
(△7.4)
|
(△8.1)
|
(△14.0)
|
|||
개별 소자
|
1.2
|
1.2
|
1.2
|
1.5
|
1.3
|
1.3
|
1.4
|
1.4
|
1.4
|
1.3
|
1.4
|
1.6
|
1.4
|
||
(△17.6)
|
(△14.0)
|
(△8.9)
|
(△3.5)
|
(△10.0)
|
(△12.6)
|
(2.8)
|
(12.7)
|
(6.8)
|
(△3.0)
|
(8.0)
|
(20.8)
|
(13.0)
|
|||
광전자
|
3.0
|
2.2
|
2.2
|
2.2
|
1.6
|
1.6
|
1.8
|
2.1
|
1.6
|
1.5
|
1.4
|
1.5
|
1.4
|
||
(22.4)
|
(△5.9)
|
(9.2)
|
(11.1)
|
(△21.1)
|
(△11.2)
|
(△13.2)
|
(△9.4)
|
(△34.2)
|
(△39.0)
|
(△49.3)
|
(△48.3)
|
(△52.4)
|
2 디스플레이
모바일향(向) OLED 수출 확대 등으로 전체 디스플레이 수출은 5개월 연속 증가하며 전년 동월 대비 7.3% 증가한 17.1억불 기록
◦ (OLED : 10.7억불, 5.6%↑) 모바일향 OLED의 최대 수요처인 베트남(8.2억불, 7.6%↑) 수출 증가로 5개월 연속 증가
◦ (LCD : 4.2억불, 25.3%↑) 베트남(0.7억불, 145.1%↑), 유럽연합(0.1억불, 58.6%↑) 등 일부 지역 중심 LCD 패널 수출 증가로 4개월 연속 증가
전체 디스플레이 시장 내 OLED 채용 확대 기조로 OLED 점유율은 우상향 추세
◦ 액정표시장치(LCD)는 TV용 대형 패널을 중심으로 판가 개선세가 보이나, 노트북, 모니터 등의 LCD 패널 단가는 정체 상황

(국가별) 베트남(9.2억불, 13.2%↑)은 증가, 중국(홍콩 포함, 5.7억불, △9.0%) 등은 감소
|
|
|
|
디스플레이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12
|
'23.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디스 플레이
|
16.0
|
14.6
|
13.0
|
14.3
|
14.2
|
16.0
|
15.9
|
18.9
|
21.3
|
20.0
|
22.9
|
20.8
|
17.1
|
|
(△35.2)
|
(△37.7)
|
(△42.2)
|
(△41.4)
|
(△30.5)
|
(△12.0)
|
(△11.1)
|
(△5.3)
|
(1.8)
|
(0.9)
|
(13.1)
|
(3.7)
|
(7.3)
|
||
|
LCD
|
3.4
|
3.0
|
3.0
|
2.8
|
2.9
|
3.3
|
3.5
|
4.0
|
4.1
|
3.8
|
4.1
|
4.5
|
4.2
|
(△39.6)
|
(△44.7)
|
(△43.1)
|
(△53.3)
|
(△43.9)
|
(△31.9)
|
(△19.5)
|
(△15.0)
|
(△24.4)
|
(6.1)
|
(14.1)
|
(22.9)
|
(25.3)
|
||
|
OLED
|
10.2
|
9.6
|
8.0
|
9.1
|
9.2
|
10.6
|
10.2
|
12.5
|
14.6
|
13.9
|
16.6
|
14.3
|
10.7
|
(△33.7)
|
(△31.3)
|
(△39.3)
|
(△35.9)
|
(△21.6)
|
(6.6)
|
(△6.7)
|
(△0.2)
|
(16.3)
|
(2.8)
|
(15.6)
|
(1.4)
|
(5.6)
|
||
|
부분품
|
2.4
|
2.1
|
2.1
|
2.4
|
2.1
|
2.1
|
2.2
|
2.4
|
2.5
|
2.3
|
2.2
|
2.0
|
2.1
|
(△35.3)
|
(△50.1)
|
(△50.4)
|
(△42.6)
|
(△40.1)
|
(△37.8)
|
(△16.3)
|
(△12.5)
|
(△12.5)
|
(△15.7)
|
(△4.4)
|
(△12.8)
|
(△12.4)
|
3 휴대폰(부분품 포함)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점진적 회복에 따라 완제품은 증가세 지속하나, 부분품 부진으로 전체 휴대폰 수출은 소폭 감소한 9.4억불 기록
◦ (완제품 : 1.6억불, 83.6%↑)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회복세에 따라 완제품 수출은 지난달 10개월 만에 증가 전환 이후 2개월 연속 증가
* 휴대폰 완제품 수출 추이(억불, %) : (’23.10) 2.6(△10.1) → (11) 3.3(16.0↑) → (12) 1.6(83.6↑)
◦ (부분품 : 7.8억불, △9.5%) 주요 기업의 스마트폰 생산기지가 위치한 중국(홍콩포함, 5.2억불, △9.8%↑) 등의 감소로 부분품 전체는 감소
* 휴대폰 부분품 수출 추이(억불, %) : (’23.10) 12.5(△1.8) → (11) 12.2(11.3↑) → (12) 7.8(△9.5)

(국가별) 미국(0.6억불, 70.1%↑), 유럽연합(0.8억불, 98.3%↑)은 증가, 중국(홍콩 포함, 5.4억불, △8.2%), 베트남(1.3억불, △13.9%), 일본(0.1억불, △41.8%)은 감소
|
|
|
|
휴대폰(부분품 포함)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12
|
'23.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휴대폰
(부분품 포함)
|
9.5
|
13.8
|
10.3
|
8.3
|
8.1
|
9.2
|
7.8
|
7.2
|
9.8
|
13.7
|
15.0
|
15.5
|
9.4
|
|
(△29.2)
|
(21.9)
|
(△5.7)
|
(△49.4)
|
(△41.6)
|
(△17.2)
|
(△18.9)
|
(△19.7)
|
(△13.1)
|
(△5.8)
|
(△3.3)
|
(12.2)
|
(△1.0)
|
||
|
완제품
|
0.9
|
3.2
|
1.7
|
2.6
|
3.3
|
3.2
|
2.4
|
2.3
|
1.7
|
2.7
|
2.6
|
3.3
|
1.6
|
(△76.6)
|
(152.2)
|
(△36.2)
|
(△66.4)
|
(△42.3)
|
(△24.2)
|
(△46.9)
|
(△22.7)
|
(△34.7)
|
(△33.4)
|
(△10.1)
|
(16.0)
|
(83.6)
|
||
|
부분품
|
8.6
|
10.7
|
8.5
|
5.7
|
4.8
|
6.0
|
5.3
|
4.9
|
8.2
|
11.0
|
12.5
|
12.2
|
7.8
|
(△11.2)
|
(5.7)
|
(4.5)
|
(△34.4)
|
(△41.2)
|
(△12.9)
|
(6.7)
|
(△18.3)
|
(△6.9)
|
(5.0)
|
(△1.8)
|
(11.3)
|
(△9.5)
|
4 컴퓨터 및 주변기기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은 서버 투자 둔화 등으로 주요 품목인 SSD 감소세 지속되며 전년 동월 대비 29.6% 감소한 8.2억불로 18개월 연속 감소 기록
◦ (컴퓨터 : 0.9억불, △17.4%) 미국(0.2억불, 60.2%↑)은 증가하였으나, 중국(홍콩 포함, 0.4억불, △6.5%), 베트남(0.1억불, △17.8%) 등 감소로 6개월 만에 감소 전환
* 컴퓨터 수출 추이(억불, %) : (‘23.7) 1.0(12.0↑) → (11) 1.1(41.1↑) → (12) 0.9(△17.4)
◦ (주변기기 : 7.3억불, △30.9%) 전자기기 및 서버·데이터센터용 보조기억장치 (SSD : 4.8억불, △38.4%) 수요 둔화 지속되며 18개월 연속 감소 기록
* 세계 SSD 시장 성장률 전망(Gartner, ’23.10, %) : (’20) 21.1 → (’21) 18.5 → (’22) △2.2 → (’23) △0.9
|
|
|
|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12
|
'23.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컴퓨터 및 주변기기
|
11.7
|
6.3
|
6.6
|
8.5
|
5.9
|
8.3
|
8.7
|
8.7
|
6.6
|
8.0
|
7.6
|
7.5
|
8.2
|
|
(△29.5)
|
(△58.7)
|
(△58.6)
|
(△52.5)
|
(△66.7)
|
(△53.0)
|
(△48.7)
|
(△28.0)
|
(△47.7)
|
(△47.9)
|
(△26.3)
|
(△22.8)
|
(△29.6)
|
||
|
컴퓨터
|
1.1
|
0.7
|
0.8
|
0.9
|
0.7
|
0.9
|
0.8
|
1.0
|
0.8
|
0.9
|
1.0
|
1.1
|
0.9
|
(△52.6)
|
(△24.3)
|
(2.7)
|
(23.1)
|
(△17.4)
|
(△6.0)
|
(△10.1)
|
(12.0)
|
(17.7)
|
(20.7)
|
(45.1)
|
(41.1)
|
(△17.4)
|
||
주변 기기
|
10.5
|
5.6
|
5.8
|
7.6
|
5.1
|
7.4
|
7.8
|
7.7
|
5.7
|
7.1
|
6.5
|
6.4
|
7.3
|
|
(△25.7)
|
(△61.1)
|
(△61.7)
|
(△55.6)
|
(△69.4)
|
(△55.6)
|
(△50.9)
|
(△31.1)
|
(△51.6)
|
(△51.6)
|
(△31.5)
|
(△28.6)
|
(△30.9)
|
5 통신장비*
※ 통신장비 : ICT 품목분류체계 내 통신기기 단위에서 휴대단말기 제외 품목(스위치, 안테나 등 포함)
베트남(0.4억불, 8.4%↑) 등 일부 지역은 증가했으나,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5.5% 감소한 1.9억불 기록
|
|
|
|
통신장비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12
|
'23.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통신장비
|
2.6
|
1.6
|
2.1
|
2.4
|
2.0
|
2.0
|
2.2
|
2.0
|
2.0
|
2.2
|
2.0
|
2.1
|
1.9
|
|
(24.1)
|
(△27.2)
|
(0.4)
|
(△9.3)
|
(△14.8)
|
(△11.3)
|
(△3.6)
|
(△21.1)
|
(△9.6)
|
(△17.3)
|
(△23.4)
|
(△21.6)
|
(△25.5)
|
2. 주요 국가별 수출 동향

1 중국(홍콩 포함) : 78.6억불 수출, 전년 동월 대비 16.3% 증가
우리 ICT 최대 수출국인 중국은 반도체(58.3억불, 31.7%↑) 수출 증가 등으로 지난달 18개월 만에 증가 전환 이후 2개월 연속 증가
◦ 우리나라 전체 ICT 수출에서 對중국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43.1%
* 對중국(홍콩 포함) 수출 비중(%) : (‘22) 43.8 → (‘23.1) 40.2 → (4) 40.0 → (7) 41.3 → (10) 44.3 → (11) 45.2 → (12) 43.1
◦ (중국 : 52.6억불, △1.7%) 반도체(33.6억불, 3.9%↑)는 증가하였으나, 휴대폰(5.2억불, △9.8%), 컴퓨터·주변기기(1.8억불, △6.8%), 디스플레이(5.6억불, △7.7%)는 감소
◦ (홍콩 : 26.1억불, 83.9%↑) 반도체(24.7억불, 107.9%↑), 휴대폰(0.2억불, 107.6%↑) 등 증가
* 12월 對중국(홍콩 포함) 수출 내 지역별 비중(%) : (중국) 66.8, (홍콩) 33.2
|
|
|
|
중국(홍콩 포함)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12
|
'23.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금액
|
67.6
|
52.5
|
51.2
|
63.2
|
51.0
|
60.1
|
67.4
|
60.4
|
65.5
|
74.9
|
75.5
|
80.9
|
78.6
|
|
(증감률)
|
(△36.2)
|
(△42.9)
|
(△39.4)
|
(△40.2)
|
(△39.0)
|
(△31.6)
|
(△25.7)
|
(△27.7)
|
(△20.6)
|
(△22.2)
|
(△3.5)
|
(15.5)
|
(16.3)
|
|
|
중국
|
53.5
|
44.5
|
43.3
|
44.9
|
41.0
|
45.8
|
47.6
|
46.0
|
48.5
|
54.1
|
56.4
|
57.9
|
52.6
|
(△31.0)
|
(△37.9)
|
(△33.9)
|
(△45.9)
|
(△36.0)
|
(△30.1)
|
(△29.4)
|
(△34.4)
|
(△27.2)
|
(△23.7)
|
(△8.5)
|
(4.1)
|
(△1.7)
|
||
홍콩
|
14.2
|
8.0
|
7.9
|
18.3
|
10.0
|
14.3
|
19.9
|
14.4
|
17.0
|
20.9
|
19.1
|
23.0
|
26.1
|
|
(△50.2)
|
(△60.7)
|
(△58.4)
|
(△19.4)
|
(△48.6)
|
(△35.9)
|
(△15.3)
|
(7.7)
|
(7.0)
|
(△17.9)
|
(15.0)
|
(59.5)
|
(83.9)
|
2 베트남 : 29.4억불 수출, 전년 동월 대비 4.3% 증가
반도체(14.7억불, 1.4%↑), 디스플레이(9.2억불, 13.2%↑) 등의 증가로 5개월 연속 증가
|
|
|
|
베트남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12
|
'23.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금액
|
28.2
|
22.8
|
21.1
|
28.0
|
22.0
|
23.5
|
24.9
|
25.2
|
30.5
|
31.0
|
32.2
|
31.2
|
29.4
|
(증감률)
|
(△19.8)
|
(△31.3)
|
(△31.7)
|
(△20.0)
|
(△26.7)
|
(△14.6)
|
(△11.3)
|
(△18.7)
|
(1.7)
|
(1.8)
|
(0.3)
|
(4.1)
|
(4.3)
|
3 미국 : 25.5억불 수출, 전년 동월 대비 2.5% 증가
반도체(10.6억불, 13.5%↑), 휴대폰(0.6억불, 70.1%↑), 이차전지(5.3억불, 14.4%↑)는 증가, 컴퓨터·주변기기(2.8억불, △40.9%) 등은 감소
|
|
|
|
미국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12
|
'23.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금액
|
24.8
|
16.8
|
16.5
|
18.9
|
16.0
|
17.7
|
19.7
|
17.3
|
16.4
|
21.8
|
17.4
|
20.6
|
25.5
|
(증감률)
|
(△5.6)
|
(△18.8)
|
(△20.9)
|
(△33.3)
|
(△40.1)
|
(△36.1)
|
(△32.7)
|
(△28.4)
|
(△29.7)
|
(△18.7)
|
(△14.8)
|
(12.5)
|
(2.5)
|
4 유럽연합 : 9.4억불 수출, 전년 동월 대비 8.0% 감소
반도체(3.0억불, 22.7%↑), 휴대폰(0.8억불, 98.3%↑)은 증가, 이차전지(1.2억불, △49.1%)는 감소
|
|
|
|
유럽연합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12
|
'23.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금액
|
10.3
|
8.8
|
9.3
|
9.9
|
8.5
|
9.0
|
9.7
|
8.2
|
8.4
|
9.5
|
8.5
|
10.2
|
9.4
|
(증감률)
|
(△17.8)
|
(△15.7)
|
(△23.6)
|
(△30.4)
|
(△37.0)
|
(△30.8)
|
(△21.2)
|
(△25.0)
|
(△19.9)
|
(△12.4)
|
(△12.3)
|
(5.4)
|
(△8.0)
|
5 일본 : 3.2억불 수출, 전년 동월 대비 2.7% 감소
반도체(1.0억불, 12.9%↑), 이차전지(0.4억불, 20.4%↑)는 증가, 휴대폰(0.1억불, △41.8%)은 감소
|
|
|
|
일본 수출 추이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분
|
'22.12
|
'23.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금액
|
3.3
|
3.1
|
3.1
|
4.1
|
2.7
|
3.7
|
3.6
|
4.2
|
3.8
|
3.4
|
3.5
|
3.2
|
3.2
|
(증감률)
|
(△15.4)
|
(△10.6)
|
(△5.0)
|
(△11.1)
|
(△25.0)
|
(△11.1)
|
(△10.3)
|
(23.1)
|
(13.0)
|
(△21.8)
|
(△2.9)
|
(2.0)
|
(△2.7)
|
3. 수입 및 수지 동향
’23년 12월 ICT 수입은 전년 동월(117.9억불) 대비 7.2% 감소한 109.4억불 기록
◦ (품목별) 휴대폰(5.4억불, 0.4%↑), 디스플레이(3.9억불, 22.9%↑)는 증가, 반도체(53.0억불, △8.1%), 컴퓨터·주변기기(11.5억불, △4.9%) 등은 감소
◦ (국가별) 베트남(9.9억불, 34.5%↑)은 증가, 중국(홍콩 포함, 37.8억불, △20.2%), 대만(15.9억불, △11.6%), 일본(10.4억불, △16.3%), 미국(7.2억불, △6.3%) 등 감소
5
|
|
|
|
2023년 12월 ICT산업 주요 국가/품목별 수입
|
|
|
|
|
(단위 : 억불, % : 전년 동월 대비)
구 분
|
전자부품
|
컴퓨터 및 주변기기
|
ICT 응용ㆍ기반 기기
|
전체
|
|||||
전체
|
63.2
|
(△7.1)
|
11.5
|
(△4.9)
|
23.1
|
(△8.7)
|
109.4
|
(△7.2)
|
|
|
중국(홍콩 포함)
|
17.4
|
(△26.8)
|
5.5
|
(△5.8)
|
10.8
|
(△10.5)
|
37.8
|
(△20.2)
|
대만
|
15.1
|
(△11.3)
|
0.5
|
(△4.9)
|
0.2
|
(△12.5)
|
15.9
|
(△11.6)
|
|
일본
|
7.9
|
(△16.2)
|
0.3
|
(△18.1)
|
1.9
|
(△15.2)
|
10.4
|
(△16.3)
|
|
베트남
|
2.9
|
(59.8)
|
2.1
|
(35.9)
|
0.9
|
(△9.3)
|
9.9
|
(34.5)
|
|
미국
|
2.9
|
(△6.1)
|
0.7
|
(32.8)
|
2.7
|
(△10.0)
|
7.2
|
(△6.3)
|

‘23년 12월 ICT 무역수지는 73.1억불 흑자를 기록
|
|
|
|
전체·ICT 무역 수지
|
|
|
|
|
(단위 : 억불)
구분
|
'22.12
|
'23.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전체
|
△47.7
|
△126.7
|
△53.8
|
△47.5
|
△25.2
|
△22.3
|
12.6
|
17.8
|
10.3
|
36.8
|
15.8
|
37.8
|
44.8
|
ICT산업
|
50.9
|
8.2
|
17.8
|
39.2
|
23.0
|
32.4
|
46.0
|
31.8
|
49.5
|
72.7
|
44.3
|
64.4
|
73.1
|
◦ (품목별) 반도체(57.7억불), 디스플레이(13.2억불), 휴대폰(4.0억불)은 흑자 지속
|
|
|
|
주요 품목별 무역 수지
|
|
|
|
|
(단위 : 억불)
구분
|
'22.12
|
'23.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반도체
|
35.1
|
9.6
|
11.7
|
32.8
|
16.7
|
23.0
|
35.8
|
23.6
|
33.6
|
48.3
|
33.3
|
43.1
|
57.7
|
디스 플레이
|
12.8
|
11.5
|
10.5
|
10.6
|
10.9
|
12.3
|
11.9
|
14.5
|
17.2
|
15.8
|
18.2
|
16.4
|
13.2
|
휴대폰
|
4.1
|
3.2
|
4.5
|
3.0
|
2.9
|
4.7
|
2.5
|
△0.4
|
4.2
|
9.1
|
△0.04
|
5.5
|
4.0
|
컴퓨터·
주변기기
|
△0.4
|
△10.3
|
△9.7
|
△4.5
|
△4.7
|
△2.4
|
△2.1
|
△3.3
|
△3.5
|
△2.6
|
△3.3
|
△2.2
|
△3.3
|
◦ (국가별) 중국(홍콩 포함, 40.8억불), 베트남(19.6억불), 미국(18.3억불), 유럽연합(3.0억불)은 흑자 기조 지속, 對일 적자는 7.3억불 기록
|
|
|
|
주요 국가별 무역 수지
|
|
|
|
|
(단위 : 억불)
구분
|
'22.12
|
'23.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중국(홍콩)
|
20.2
|
△1.7
|
7.8
|
13.4
|
7.1
|
12.1
|
20.1
|
15.0
|
22.0
|
30.8
|
19.3
|
30.6
|
40.8
|
베트남
|
20.9
|
11.7
|
10.5
|
18.0
|
13.5
|
14.8
|
15.6
|
13.5
|
19.6
|
20.9
|
21.8
|
21.7
|
19.6
|
미국
|
17.2
|
10.4
|
10.2
|
12.4
|
9.5
|
10.8
|
12.5
|
10.6
|
9.1
|
14.5
|
9.1
|
13.5
|
18.3
|
유럽연합
|
3.5
|
2.5
|
3.4
|
2.5
|
2.6
|
2.2
|
3.4
|
1.0
|
2.3
|
3.4
|
1.0
|
3.6
|
3.0
|
일본
|
△9.2
|
△9.3
|
△6.5
|
△5.8
|
△6.5
|
△4.4
|
△8.2
|
△5.4
|
△6.6
|
△6.5
|
△8.2
|
△7.6
|
△7.3
|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세대 선박연료 전문가 한자리에’ 친환경 선박연료 공급산업의 미래전략 논의 (0) | 2024.01.16 |
---|---|
(인사혁신기획과) 위험직무 수행하다 다친 공무원, 휴직 기간 확대 (0) | 2024.01.16 |
국민연금,기초연금 조사 결과 상호공유하여 수급자의 중복조사 부담 완화 (0) | 2024.01.16 |
「중대범죄신상공개법 시행령」 제정안 국무회의 의결 (0) | 2024.01.16 |
대한민국 혁신제품, 세계무대서도 빛났다 (0) | 2024.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