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정부 정책뉴스

2016~2021년 「연금통계」 개발 결과

by 정부정책과 지원사업등을 우빗거리다(Ubit) 2023. 10. 26.
반응형

2016~2021년 「연금통계」 개발 결과

2023.10.26 통계청

2016~2021년 「연금통계」 개발 결과
- 통계등록부 중심, 모든 연금데이터 연계한 연금통계 최초 개발 -

 

통계청(청장 이형일)은 초고령 시대에 노인빈곤 해소와 지속 가능한 복지국가 개혁(국정과제 42번)을 뒷받침하기 위해 포괄적 연금통계를 개발하고, 그 결과를 26일 공표하였다.

 

연금통계는 통계등록부를 중심으로 기초연금, 국민연금, 직역연금, 주택연금 등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던 11종의 공・사적 연금데이터를 연계*하여, 현 노인세대의 연금 수급여부와 수준 뿐 아니라, 미래 노후소득을 준비하는 청장년 세대의 연금 가입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통계이다.

 

* 기초・장애인・국민・직역(공무원‧군인‧사학‧별정우체국)‧퇴직・개인・주택・농지연금 연계

 

통계청은 '21년부터 연금통계 개발 기본계획을 수립한 후, 행정자료 활용 협의, 개별 연금데이터의 입수‧정제・연계통계시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 다수의 정책부처, 데이터 제공기관 및 전문가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 연금제도가 도입(공무원연금 1960년, 국민연금 1988년 등)된 후 처음으로 모든 연금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통계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 정책부처(기재부, 복지부 등 11개), 데이터 제공기관(국민연금공단, 국세청, 신정원 등 12개), 전문가(학계, 연구기관 등의 17명) 자문회의 등을 통해 정책 수요 및 이용자 요구 등을 반영한 활용성 높은 연금통계 작성을 추진

 

오늘(26일) 발표한 연금통계 개발 결과에 따르면, '21년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내국인 862만 명 중 연금 수급자는 777만 명(수급률 90.1%)이고, 85만 명은 받은 연금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미수급률 9.9%). 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수급금액은 60만원(전년대비 6.7% 증가)으로 집계되었다.

 

또한, 18~59세 내국인 3,013만 명 중 연금 가입자는 2,373만 명(가입률 78.8%)이고, 640만 명은 가입한 연금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미가입률 21.2%) 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32만 9천원(1.9% 증가)으로 집계되었다.

 

가구 기준으로 보면, 65세 이상 인구가 포함된 615만 가구 중 587만 가구(수급률 95.4%)가 월평균 77만 1천원의 연금을 수급하였고, 18~59세 인구가 포함된 1,660만 가구 중 1,515만 가구(가입률 91.3%)가 연금에 가입하여 월평균 51만 1천원의 보험료를 납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금통계 개발 결과는 국민의 다층적 노후소득보장정책 등 과학적 국정운영을 다양하고 세부적인 데이터로 뒷받침하고, 학계・연구기관 등의 정책연구와 분석, 민간기업의 개인 맞춤형 연금상품 기획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통계청은 연금통계 개발을 계기로, 산재해 있는 다양한 데이터의 활용, 발굴 및 융합 등을 통해 사회현안을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디지털플랫폼 정부의 ‘통계데이터 허브’ 역할을 보다 강화할 계획이다.

 

2016~2021년 「연금통계」 개발 결과

 


일 러 두 기




「연금통계」개인 및 가구별 연금 가입과 수급 현황을 파악하여 복지정책 수립과 연구 등을 지원하기 위해 개발한 통계입니다.

ㅇ 동 통계는 퇴직연금통계(2016년 공표)의 포괄범위를 11종의 공‧사적 연금으로 확대*하여 올해 처음으로 작성하였고, 매년 결과를 공표할 예정입니다.

* 퇴직연금 → 기초・장애인・국민・직역(공무원‧군인‧사학‧별정우체국)‧퇴직・개인・주택・농지연금

ㅇ 통계작성 대상은 매년 111일 기준으로 국내에 상주하는 만 18세 이상의 내국인과 그 내국인을 포함하는 일반 가구입니다.

ㅇ 작성 대상을 직접 조사하는 방식이 아니라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 등에서 수집‧보유하고 있는 각종 행정자료를 상호 연계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행정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함에 따라, 행정자료별로 기준시점, 항목 등을 고려하여 통계를 해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 주요 활용자료별 기준시점 및 특성 >
자료명
작성기준시점
관련항목
비고
인구‧가구통계
등록부
매년
11월 1일
성, 연령, 지역, 가구원수, 가구유형 등
18세 이상 내국인과 그 내국인을 포함하는 일반가구 자료 활용
연금 가입‧수급
(11종 개별연금)
매년
1월1일~12월31일
연금 수급 및 가입
개별 연금의 수급 및 가입 여부, 수급금액, 보험료 등 활용
주택통계등록부
매년
11월 1일
거처 종류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다세대, 기타 등 거처종류
일자리DB
매년
12월1일~12월31일
고용형태, 조직형태, 종사자규모 등
무급 가족종사자, 농림어업 생산활동경영인, 무등록사업체 및 4대보험 미가입자 일자리는 제외
주택소유DB
매년
11월 1일
개인 및 가구의 주택 소유 현황
주택자산가액은 익년 1월 1일 기준 주택공시가격 활용
 

 


자료 이용 시 유의 사항

「연금통계」포괄범위와 작성기준시점 등의 차이로 개별 기관에서 작성 중인 관련 유사통계와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 연금통계와 관련 유사통계 비교 >

연금통계
국민연금통계, 퇴직연금통계 등
포괄범위
18세 이상* 내국인
전연령 내국인과 외국인
작성기준시점
매년 11월 1일
매년 12월
작성방법
인구‧가구통계등록부와 연계
개별 연금수급 및 가입자료 이용
* 개별 연금의 가입‧수급 연령을 고려하여 가입자(18~59세), 수급자(65세 이상) 등을 구분하여 통계 작성

- 통계표의 수급금액 등은 과거 연금제도(보험료율, 지급률 등)가 적용된 결과로, 현재 가입자가 받을 예상 수급금액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ㅇ 일부 통계표 수치는 반올림한 값으로 통계표 내의 합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비율지표(증감률, 구성비, 수급률, 가입률 등)는 최소단위(명, 가구, 원)를 기준으로 계산하여 반올림한 것으로 통계표의 단위 기준으로 계산한 값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통계표 중 「-」표시는 해당 숫자가 없는 경우이고, 「0」표시는 공표 단위 미만을 나타냅니다.

결과 공표 및 자료 보정

ㅇ 보도자료는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tat.go.kr)에 게시하였으며, 보다 상세한 통계표는 국가통계포털*(KOSIS, http://kosis.kr)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공표 후 1개월 이내 게시

ㅇ 수록된 통계자료는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관의 행정자료 변경(추가 수집, 보완, 갱신 등) 등의 사유로 추후 수정될 수 있습니다.

- 공표된 통계자료가 수정되는 경우 일러두기 등을 통해 변경된 내용을 공지할 예정입니다.

 

연금통계 개발 내용

 

1. 개발 배경

 

❍ 초고령 시대에 노령층의 은퇴 후 소득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노인복지정책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포괄적 연금통계 개발

 

-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급격히 증가하여 ’25년(20.6%)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50년에는 40%를 넘을 것으로 전망

 

- ’20년 은퇴연령(66세 이상)의 상대적 빈곤율*은 40.4%로 OECD에서 가장 높은 수준

 

* 은퇴연령의 상대적 빈곤율: (’18.) 43.4% → (’19.) 43.2% → (’20.) 40.4% → (’21.) 39.3%

 

❍ 하지만, 노령층의 은퇴 후 주된 소득인 연금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통계 및 관리체계가 부재

 

- 다양한 연금제도와 데이터를 개별 부처*가 관리하고 있어, 개인별 연금 수급 여부 및 수준 등의 정확한 파악이 어려운 상황

 

* 기초‧국민연금(보건복지부), 군인연금(국방부), 퇴직연금(고용노동부), 농지연금(농림부) 등

 

2. 그간의 추진 경과

 

❍ 퇴직연금통계 작성(’16.12.) 이후, 포괄범위 확대를 통한 연금통계 개발 가능성 검토 및 「연금통계 개발 기본계획」 수립('21.4.)

 

❍ 개별 부처(기관)연금데이터 제공 협의*, 입수‧정제('21.3.~'23.6.)

 

* 보건복지부, 국방부 등 관련 부처에서 연금데이터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제공에 협조하였고, 그동안 집중‧관리되지 않던 개인연금은 국세청과 신용정보원에서 데이터 활용에 협조

 

❍ 정책부처, 전문가, 자료제공기관 정기 협의회 운영(’22.7.~’23.9.)

 

정책부처 협의회

전문가 자문단

데이터 품질 협의회








기재부, 복지부, 인사혁신처, 국방부 등 정책부처 (11개)

경제‧복지‧금융‧회계‧통계 등 외부전문가(17명)

국민연금공단, 국세청 등 자료제공 및 통계작성기관 (12개)








정책수요 파악, 통계지표 및 시산결과 검증, 활용성 제고 방안 논의 등

개발방향‧수요, 통계지표 논의, 주요쟁점 해결방안 검토 등

행정데이터 품질점검 및 표준화, 통계작성 방법 비교‧작성기준 통일 등

 

❍ 개인・가구별 연금 가입・수급 현황 등 시산・분석(’22.9.~’23.10.)

 

 

3. 통계작성 방법

 

❍ (기본방향) 퇴직연금통계의 포괄범위를 확대*하여, 우리나라 인구 및 가구 특성별 연금 가입과 수급 현황 등을 보여주는 전수통계 작성

 

* 퇴직연금 → 기초・장애인・국민・직역(공무원‧군인‧사학‧별정우체국)‧퇴직・개인・주택・농지연금

 

❍ (작성방법) 통계청의 인구・가구통계등록부를 중심으로 모든 공‧사적 연금데이터를 연계하여 통계지표 작성

 

< 연금통계 작성방법 >

 

❍ (작성기준) 「부록1」 연금통계 작성 개요(p.80) 참고

 

4. 기대 효과

 

❍ (정책지원) 전국민 다층적 노후소득보장정책 수립 및 지속 가능한 복지국가 개혁(국정과제 42번) 등 과학적 국정운영을 통계로 뒷받침

 

- 개인‧가구별 연금 수급‧가입과 사각지대에 대한 입체적 파악을 통해 노인빈곤 해소 및 연금정책 수립 등에 기여

 

❍ (민간 연구지원) 학계‧연구기관 등의 정책연구‧분석 및 민간기업의 산업적 활용 등을 지원

 

- 상세 통계표 및 마이크로데이터 제공을 통해 추가적인 연구‧분석 및 개인 맞춤형 연금상품 기획 등 효율적인 활용을 기대

 


목 차




2016~2021년 연금통계 (요약) 1

2016~2021년 연금통계

. 개인의 연금 수급 및 가입 현황 5

1. 연금 수급 및 가입 총괄(2016~2021) 5
. 연금 수급 현황(65세 이상 인구 대상) 5
. 연금 가입 현황(18~59세 인구 대상) 7

2. 개인특성별 수급 및 가입 현황(2021) 9
. 개인특성별 수급 현황 9
. 개인특성별 가입 현황 13

3. 연금 특성별 수급 및 가입 현황(2021) 17
. 연금종류별 수급 현황 17
. 연금종류별 가입 현황 18
. 연금 가입기간별 수급 및 가입 현황 19

. 가구의 연금 수급 및 가입 현황 21

1. 연금 수급 및 가입 총괄(2016~2021) 21
. 연금 수급 현황(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가구 대상) 21
. 연금 가입 현황(18~59세 인구가 속한 가구 대상) 23

2. 가구특성별 수급 및 가입 현황(2021) 25
. 가구특성별 수급 현황 25
. 가구특성별 가입 현황 29

 


목 차




3. 주요 가구의 연금 수급 현황(2016~2021) 33
. 65세 이상 1인 가구의 연금 수급 현황 33
. 부부가구(1세대)의 연금 수급 현황 35


□ 통계표 38

□ 부록

1. 연금통계 작성 개요 80

2. 우리나라의 연금제도 비교(2021년 기준) 82

3. 주요 용어 설명 83

4. 60~64세 인구의 연금 수급 현황 86

 

 

 

 

 

 

2016~2021년 연금통계 (요약)

 

 

1. 연금 수급 및 가입 현황


□ 연금 수급 현황

 

’21년에 기초연금, 국민연금, 직역연금 등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65세 이상 인구(연금 수급자)는 776만 8천명으로,

* 연금포괄범위: 기초(장애인), 국민, 직역(공무원, 군인, 사학, 별정우체국), 퇴직, 개인, 주택, 농지연금

 

- 65세 이상 인구 대비 연금 수급자 비율(연금 수급률)은 90.1%임

 

’21년에 연금 수급자가 받은 월평균 수급금액*은 60만원이고, 중위금액은 38만 2천원임

* 개인이 각 연금제도에서 연금형태로 받은 모든 수급금액을 합한 금액

 

- 월평균 수급금액은 남자(78만 1천원), 65~69세(70만 8천원), 등록취업자(67만 7천원), 주택소유자(76만 2천원) 등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남

 

 

□ 연금 가입 현황

 

’21년에 국민연금, 직역연금, 퇴직 및 개인연금 중 1개 이상을 가입하고 있는 18~59세 인구(연금 가입자)는 2,372만 7천명으로,

 

- 18~59세 인구 대비 연금 가입자 비율(연금 가입률)은 78.8%임

 

’21년에 연금 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32만 9천원으로, 전년 대비 1.9% 증가

* 개인이 납부하는 기여금․납입금액과 사업장․국가 등에서 부담하는 부담금을 합한 금액으로, 보험료 행정자료가 있는 국민․직역․개인연금을 대상으로 작성

 

2. 가구 연금 수급 및 가입 현황


 

□ 가구 연금 수급 현황

 

’21년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가 1명 이상 있는 가구(연금 수급가구)586만 6천가구이고,

 

- 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가구 중 연금 수급가구의 비율(연금 수급률)은 95.4%임

 

’21년 연금 수급가구가 받은 월평균 수급금액*은 77만 1천원이고, 중위금액은 52만원임

 

* 65세이상 가구원이 각 연금제도에서 연금형태로 받는 모든 수급금액을 합한 금액

 

- 수급가구의 월평균 수급금액은 2인가구(90만 7천원), 1세대 부부가구(105만 7천원), 주택소유가구(88만 7천원), 세종지역(90만 3천원) 등에서 비교적 많음

 

□ 가구 연금 가입 현황

 

’21년 18~59세 연금 가입자가 1명 이상 있는 가구(연금 가입가구)1,515만 2천가구이고,

 

- 18~59세 인구가 속한 가구 중에서 연금 가입가구 비율(연금 가입률)은 91.3%임

 

’21년 연금 가입가구의 월평균 보험료*51만 1천원으로, 전년 대비 0.6% 증가

* 18~59세 가구원의 월평균 보험료를 합한 금액

 

< 연금통계 총괄표 >

구 분
2020년
2021년
증감현황
전체

수급
가입(A)
수급률
가입률
전체

수급
가입(B)
수급률
가입률
증감
(B-A)
증감률
(%)
개인
(내국인)
수급
• 65세 이상 수급자(천명)
8,206
7,335
(89.4)
8,620
7,768
(90.1)
433
5.9
성별(천명)
남 자
3,550
3,350
(94.4)
3,751
3,560
(94.9)
210
6.3

여 자
4,655
3,985
(85.6)
4,869
4,208
(86.4)
223
5.6
연령별(천명)
65 ~ 69세
2,686
2,342
(87.2)
2,926
2,585
(88.4)
243
10.4

70 ~ 74세
2,010
1,799
(89.5)
2,070
1,861
(89.9)
62
3.5

75 ~ 79세
1,593
1,454
(91.3)
1,577
1,448
(91.8)
-6
-0.4

80세 이상
1,917
1,740
(90.7)
2,048
1,874
(91.5)
134
7.7
• 미수급자(천명)(미수급률)
8,206
871
(10.6)
8,620
852
( 9.9)
-19
-2.2
• 중복수급률(%, %p)
-
32.2
-
-
34.4
-
2.2
-
• 월평균 연금수급금액(천원)
-
562
-
-
600
-
38
6.7
가입
• 18~59세 가입자(천명)
30,590
23,793
(77.8)
30,128
23,727
(78.8)
-66
-0.3
성별(천명)
남 자
15,671
12,840
(81.9)
15,448
12,762
(82.6)
-78
-0.6

여 자
14,920
10,953
(73.4)
14,680
10,964
(74.7)
12
0.1
연령별(천명)
18 ~ 29세
7,672
4,595
(59.9)
7,470
4,564
(61.1)
-31
-0.7

30 ~ 39세
6,627
5,619
(84.8)
6,489
5,560
(85.7)
-58
-1.0

40 ~ 49세
7,954
6,679
(84.0)
7,841
6,630
(84.5)
-49
-0.7

50 ~ 59세
8,338
6,900
(82.8)
8,327
6,972
(83.7)
72
1.0
• 미가입자(천명)(미가입률)
30,590
6,797
(22.2)
30,128
6,401
(21.2)
-396
-5.8
• 중복가입률(%, %p)
-
31.6
-
-
32.3
-
0.7
-
• 월평균 연금보험료(천원)
-
323
-
-
329
-
6
1.9
가구
(일반
가구)
수급
• 65세 이상 인구포함
수급가구(천가구)
5,858
5,559
(94.9)
6,153
5,866
(95.4)
308
5.5
가구유형별
1인 가구
1,661
1,555
(93.6)
1,824
1,715
(94.0)
160
10.3
(천가구)
친족가구
4,093
3,907
(95.4)
4,212
4,043
(96.0)
137
3.5


부부가구
1,736
1,671
(96.2)
1,856
1,796
(96.8)
126
7.5

비친족가구
104
97
(93.5)
116
109
(93.9)
11
11.5
• 미수급가구(천가구)(미수급률)
5,858
299
( 5.1)
6,153
286
( 4.6)
-13
-4.4
• 가구 중복수급률(%, %p)
-
42.3
-
-
44.8
-
2.5
-
• 월평균 연금수급금액(천원)
-
717
-
-
771
-
53
7.4
가입
• 18~59세 인구 포함
가입가구(천가구)
16,489
14,988
(90.9)
16,596
15,152
(91.3)
165
1.1
등록취업자수별
1인
7,736
7,318
(94.6)
7,851
7,431
(94.7)
113
1.5
(천가구)
2인
4,781
4,718
(98.7)
4,866
4,800
(98.6)
82
1.7

3인 이상
1,284
1,277
(99.5)
1,326
1,318
(99.5)
41
3.2

미등록가구
2,688
1,674
(62.3)
2,555
1,603
(62.8)
-71
-4.3
• 미가입가구(천가구)(미가입률)
16,489
1,501
( 9.1)
16,596
1,444
( 8.7)
-57
-3.8
• 가구 중복가입률(%, %p)
-
49.5
-
-
49.6
-
0.1
-
• 월평균 연금보험료(천원)
-
508
-
-
511
-
3
0.6

 

 

 

 

2016~2021년 「연금통계」

 

Ⅰ. 개인의 연금 수급 및 가입 현황

 

1. 연금 수급 및 가입 총괄(2016~2021년)

 

가. 연금 수급 현황(65세 이상 인구 대상)

 

2165세 이상 연금수급자는 7768천명(수급률 90.1%)으로, 월평균 60만원 수급

 

❍ ’21년 기초연금, 국민연금, 직역연금 등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65세 이상 인구(연금 수급자)는 776만 8천명으로, ’16년 이후 지속적으로 수급자, 수급률 둘 다 증가

* 연금포괄범위: 기초(장애인), 국민, 직역(공무원, 군인, 사학, 별정우체국), 퇴직, 개인, 주택, 농지연금

 

- 연금을 받지 않는 65세 이상 인구(연금 미수급자)는 85만 2천명임

 

❍ ’21년 65세 이상 인구 중 연금 수급자 비율(연금 수급률)은 90.1%이고, 연금을 2개 이상 수급한 수급자 비율(중복수급률)은 34.4%임

 

 

< 표 1 > 2016~2021년 연금 수급자 현황

연 도
65세 이상 인구
(천명)
수급자
(천명)


미수급자
(천명)
수급률
(%)
중복 수급률
(%)
2021년
8,620
7,768
90.1
34.4
852
2020년
8,206
7,335
89.4
32.2
871
2019년
7,746
6,885
88.9
30.5
861
2018년
7,394
6,536
88.4
28.9
858
2017년
7,115
6,236
87.6
26.8
879
2016년
6,775
5,897
87.0
25.0
878

 

❍ ’21년 연금 수급자가 받은 월평균 수급금액*은 60만원으로, 전년 대비 6.7% 증가

* 개인이 각 연금제도에서 연금형태로 받은 모든 수급금액을 합한 금액

 

- 연금 수급자가 받은 수급금액 중위수는 38만 2천원임

 

❍ ’21년 연금 수급자의 수급금액 구성비는 25~50만원대가 43.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50~100만원(24.7%), 25만원 미만(21.1%) 순임

 

 

< 수급자의 월평균 수급금액 >

 

< 표 2 > 2016~2021년 연금 수급자 월평균 수급금액

연 도
수급자수

(천명)
월평균
수급금액
(천원)
구성비(%)
수급금액
증감률
(%)
25만원
미만
25~50
만원
50~100
만원
100~200
만원
200만원
이상
2021년
7,768
600
21.1
43.3
24.7
6.1
4.9
6.7
2020년
7,335
562
22.6
46.6
21.0
5.2
4.6
6.4
2019년
6,885
528
24.1
49.2
17.5
4.7
4.4
10.6
2018년
6,536
478
49.9
27.8
14.0
4.2
4.1
7.3
2017년
6,236
445
53.3
28.1
11.0
3.7
3.9
5.3
2016년
5,897
423
56.1
27.6
9.3
3.4
3.7
-

 

나. 연금 가입 현황(18~59세 인구 대상)

 

21년 연금 가입자는 2,3727천명(가입률 78.8%)으로, 월평균 보험료는 329천원임

 

❍ ’21년 국민연금, 직역연금, 퇴직 및 개인연금 중 1개 이상을 가입하고 있는 18~59세 인구(연금 가입자)는 2,372만 7천명으로, 전년대비 가입자는 줄었지만 가입률은 상승

 

- 연금을 가입하고 있지 않은 18~59세 인구(연금 미가입자)는 640만 1천명임

 

❍ ’21년 18~59세 인구 중 연금 가입자 비율(연금 가입률)은 78.8%이고, 연금을 2개 이상 가입하고 있는 가입자 비율(중복가입률)은 32.3%임

 

< 표 3 > 2016~2021년 연금 가입자 현황

연 도
18~59세 인구
(천명)
가입자*
(천명)


미가입자
(천명)
가입률
(%)
중복가입률
(%)
2021년
30,128
23,727
78.8
32.3
6,401
2020년
30,590
23,793
77.8
31.6
6,797
2019년
30,915
22,263
72.0
30.0
8,652
2018년
31,182
22,296
71.5
29.3
8,886
2017년
31,354
21,880
69.8
28.0
9,474
2016년
31,523
21,754
69.0
27.0
9,769

* 국민연금 가입자 변경사항: (2019년 이전) 매년 12월 기준 가입자 / (2020년 이후) 연중 국민연금 가입자

 

❍ ’21년 연금 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32만 9천원으로, 전년 대비 1.9% 증가

* 개인이 납부하는 기여금․납입금액과 사업장․국가 등에서 부담하는 부담금을 합한 금액으로, 보험료 행정자료가 있는 국민․직역․개인연금을 대상으로 작성

 

❍ ’21년 연금 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 구성비는 10~25만원대가 36.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25~50만원(27.5%), 10만원 미만(20.2%) 순임

 

 

< 표 4 > 2016~2021년 연금 가입자 월평균 연금보험료

연 도
가입자수

(천명)
월평균
연금보험료*
(천원)
구성비(%)
연금보험료
증감률
(%)
10만원
미만
10~25
만원
25~50
만원
50~100
만원
100만원
이상
2021년
23,727
329
20.2
36.6
27.5
10.8
4.9
1.9
2020년
23,793
323
21.0
37.2
26.0
10.9
4.9
-0.8
2019년
22,263
326
24.1
33.1
25.8
11.9
5.1
3.4
2018년
22,296
315
25.6
33.5
24.0
12.0
4.9
2.0
2017년
21,880
309
26.1
33.9
23.1
12.2
4.7
3.5
2016년
21,754
298
27.4
33.5
22.8
12.0
4.3
-

* 국민연금 월평균 보험료 변경사항: (2019년 이전) 매년 12월 기준 보험료 / (2020년 이후) 연중 국민연금 월평균 보험료

 

2. 개인특성별 수급 및 가입 현황(2021년)

 

가. 개인특성별 수급 현황

 

□ 성별 및 연령별 수급 현황

 

2165세 이상의 연금 수급률은 남자 94.9%, 여자 86.4%

 

❍ 65세 이상 남자 수급자는 356만명(수급률 94.9%), 여자 수급자는 420만 8천명(수급률 86.4%)으로 각각 월평균 78만 1천원, 44만 7천원을 수급

 

 

< 표 5 > 2021년 성별 수급 현황

구분
65세 이상 인구
(천명)
수급자
(천명)


수급률
(%)
월평균 수급금액
(천원)
65세 이상 전체
8,620
7,768
90.1
600

남자
3,751
3,560
94.9
781
여자
4,869
4,208
86.4
447

 

❍ 75~79세 연령대 연금 수급자는 144만 8천명이며, 연금 수급률이 91.8%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고,

 

- 65~69세 연령대의 연금 수급자는 월평균 수급금액이 70만 8천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많음

 

 

< 표 6 > 2021년 연령구간별 수급 현황

구분
연령별 인구
(천명)
수급자
(천명)


수급률
(%)
월평균 수급금액
(천원)
65세 이상 전체
8,620
7,768
90.1
600

65~69세
2,926
2,585
88.4
708
70~74세
2,070
1,861
89.9
622
75~79세
1,577
1,448
91.8
545
80세 이상
2,048
1,874
91.5
472

 

□ 지역별 수급 현황

 

21년 연금 수급률은 전남(94.7%)에서 높고, 월평균 수급금액은 세종(713천원)에서 많음

 

❍ 전국 17개 시도 중, 전남의 연금 수급자는 40만 2천명으로, 연금 수급률이 94.7%로 가장 높고, 전북(93.1%), 경북(93.0%) 순으로 높음

 

❍ 세종의 연금 수급자는 월평균 수급금액이 71만 3천원으로 가장 많고, 광주(69만 3천원), 서울(67만 7천원) 순으로 많음

 

 

< 표 7 > 2021년 지역별 수급 현황

구분
65세 이상 인구
(천명)
수급자
(천명)


수급률
(%)
월평균 수급금액
(천원)
전체
8,620
7,768
90.1
600

서울
1,537
1,323
86.1
677
부산
669
612
91.5
576
대구
413
375
90.8
610
인천
426
390
91.5
540
광주
216
195
90.4
693
대전
220
198
89.9
673
울산
150
135
90.3
611
세종
36
31
88.1
713
경기
1,840
1,628
88.5
606
강원
323
294
91.0
609
충북
293
270
91.8
586
충남
408
374
91.7
521
전북
388
361
93.1
576
전남
424
402
94.7
516
경북
580
539
93.0
548
경남
592
547
92.4
577
제주
107
95
88.6
585

 

□ 경제활동별 수급 현황

 

21년 등록취업자의 연금 수급률은 91.9%, 월평균 수급금액은 677천원임

 

❍ 65세 이상 등록취업자* 중 수급자는 214만 9천명(수급률 91.9%), 미등록자* 중 수급자는 561만 9천명(수급률 89.4%)으로 각각 월평균 67만 7천원, 57만원을 수급

* 등록취업자는 4대 사회보험 등 일자리 행정자료에 등록된 임금비임금 근로자이고, 미등록자는 등록취업자 이외의 비경제활동, 실업상태, 제도권 밖의 취업 등에 있는 사람

 

 

< 표 8 > 2021년 경제활동별 수급 현황

구분
65세 이상 인구
(천명)
수급자
(천명)


수급률
(%)
월평균 수급금액
(천원)
전체
8,620
7,768
90.1
600
등록취업자*
2,338
2,149
91.9
677

임금
1,675
1,583
94.5
669
비임금
663
566
85.4
699
미등록자
6,282
5,619
89.4
570

 

* 등록취업자는 ’21년 12월 중 근로한 자임

 

❍ 등록취업자 수급자(214만 9천명) 중에서 65~69세 연령대의 비중이 51.1%로 가장 크고, 월평균 75만 1천원을 수급

 

- 미등록자 수급자(561만 9천명) 중에서 80세 이상 연령대의 비중이 30.3%로 가장 크고, 월평균 46만 5천원을 수급

 

 

□ 주택소유별 수급 현황

 

21년 주택 소유자의 연금 수급률은 90.5%, 월평균 수급금액은 762천원임

 

❍ 65세 이상 주택소유자 중 수급자는 343만 3천명(수급률 90.5%), 미소유자 중 수급자는 433만 5천명(수급률 89.8%)으로, 각각 월평균 76만 2천원, 47만 2천원을 수급

 

 

< 표 9 > 2021년 주택소유 및 주택자산가액*별 수급 현황

구분
65세 이상 인구
(천명)
수급자
(천명)


수급률
(%)
월평균 수급금액
(천원)
전체
8,620
7,768
90.1
600
주택소유자
3,793
3,433
90.5
762

0.6억원이하
824
791
96.0
532
0.6~1.5억원
1,071
1,003
93.6
656
1.5~3억원
801
718
89.6
775
3~6억원
656
563
85.8
925
6~12억원
312
254
81.4
1,168
12억원초과
129
105
81.4
1,553
주택미소유자
4,826
4,335
89.8
472

* 주택소유는 ’21년 11월 기준 소유 현황이며, 주택자산가액은 ’22년 1월 1일 기준 주택공시가격을 적용하여 산정

 

❍ 주택소유 수급자(343만 3천명) 중에서 65~69세 연령대의 비중이 36.1%로 가장 크고, 월평균 87만 3천원을 수급

 

- 주택 미소유 수급자(433만 5천명) 중에서 65~69세 연령대의 비중이 31.0%로 가장 크고, 월평균 55만 6천원을 수급

 

 

 

나. 개인특성별 가입 현황

 

□ 성별 및 연령별 가입 현황

 

2118~59세의 연금 가입률은 남자 82.6%, 여자 74.7%

 

❍ 18~59세 남자 가입자는 1,276만 2천명(가입률 82.6%), 여자 가입자는 1,096만 4천명(가입률 74.7%)으로 월평균 보험료는 각각 35만 8천원, 29만 5천원임

 

 

< 표 10 > 2021년 성별 가입 현황

구분
18~59세 인구
(천명)
가입자
(천명)


가입률
(%)
월평균 연금보험료
(천원)
18~59세 전체
30,128
23,727
78.8
329

남자
15,448
12,762
82.6
358
여자
14,680
10,964
74.7
295

 

❍ 30~39세 연령대 가입자는 556만명이며, 연금 가입률이 85.7%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고,

 

- 40~49세 연령대의 연금 가입자는 월평균 보험료가 37만 7천원으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많음

 

 

< 표 11 > 2021년 연령구간별 가입 현황

구분
연령별 인구
(천명)
가입자
(천명)


가입률
(%)
월평균 연금보험료
(천원)
18~59세 전체
30,128
23,727
78.8
329

18~29세
7,470
4,564
61.1
217
30~39세
6,489
5,560
85.7
337
40~49세
7,841
6,630
84.5
377
50~59세
8,327
6,972
83.7
351

 

□ 지역별 가입 현황

 

21년 세종의 연금 가입률(81.7%) 및 월평균 보험료(455천원)가 가장 높음

 

❍ 전국 17개 시도 중 세종의 연금 가입자는 18만 1천명으로 연금 가입률이 81.7%로 가장 높고, 제주(80.2%), 서울(80.2%) 순으로 높음

 

❍ 세종의 연금 가입자는 월평균 보험료가 45만 5천원으로 가장 많고, 서울(35만 3천원), 울산(34만 7천원) 순으로 많음

 

 

 

 

□ 경제활동별 가입 현황

 

21년 등록취업자의 연금 가입률은 94.1%, 월평균 보험료는 378천원임

 

❍ 18~59세 등록취업자 중 가입자는 1,867만 2천명(가입률 94.1%), 미등록자 중 가입자는 505만 5천명(가입률 49.1%)으로, 월평균 보험료는 각각 월평균 37만 8천원, 14만 7천원임

 

- 조직형태를 보면 정부비법인 단체에서 연금 가입률(98.0%) 및 월평균 보험료(63만 5천원)가 높음

 

- 종사자규모를 보면 300~999명 구간에서 연금 가입률이 96.9%로 높고, 1000명 이상 구간에서 월평균 보험료가 57만 9천원으로 많음

 

 

* 등록취업자는 ’21년 12월 중 근로한 자로 12월 근무한 일자리에 관한 정보임

** 연금 가입자가 약 100만명 이상인 주요 산업대분류임

 

□ 주택소유별 가입 현황

 

21년 주택 소유자의 연금 가입률은 90.8%, 월평균 보험료는 437천원임

 

❍ 18~59세 주택소유자 중 가입자는 805만 9천명(가입률 90.8%), 미소유자 중 가입자는 1,566만 8천명(가입률 73.7%)으로, 월평균 보험료는 43만 7천원, 27만 4천원임

 

 

* 주택소유는 ’21년 11월 기준 소유 현황이며, 주택자산가액은 ’22년 1월 1일 기준 주택공시가격을 적용하여 산정

 

❍ 주택소유 가입자(805만 9천명) 중에서 50~59세 연령대의 비중이 42.0%로 가장 크고, 월평균 보험료는 42만 8천원임

 

- 주택미소유 가입자(1,566만 8천명) 중에서 18~29세 연령대의 비중이 27.7%로 가장 크고, 월평균 보험료는 21만 2천원임

 

 

3. 연금 특성별 수급 및 가입 현황(2021년)

 

가. 연금 종류별 수급 현황

 

2165세 이상 기초연금 및 국민연금 수급자는 각각 5932천명, 3969천명임

 

❍ ’21년 65세이상 연금 수급자 중에서 기초연금(593만 2천명), 국민연금(396만 9천명) 수급자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각 연금제도별로 수급자수 지속적 증가 추세

 

 

< 표 15 > 2016~2021년 연금 종류별 수급자수

연 도
수급자수*
(천명)


기초
(장애인)
국민
직역
퇴직
개인
주택
농지
2021년
7,768
5,932
3,969
495
9
325
71
11
2020년
7,335
5,599
3,626
461
5
274
65
10
2019년
6,885
5,300
3,282
424
3
224
57
8
2018년
6,536
5,065
3,009
394
2
184
49
7
2017년
6,236
4,828
2,779
368
1
149
41
6
2016년
5,897
4,588
2,526
339
1
120
32
5

* 수급자수 전체는 중복수급이 포함되어 있음

 

❍ ’21년 각 연금별 수급자의 월평균 수급금액은 기초연금이 27만 3천원, 국민연금이 38만 5천원*

* 국민연금의 세부 종류인 노령연금, 유족연금, 장애연금 등 모든 연금을 포함한 월평균 금액

 

 

< 표 16 > 2021년 연금 종류별 수급 현황

구분
전체


기초
(장애인)
국민
직역
퇴직
개인
주택
농지
수급자수(천명)
7,768
5,932
3,969
495
9
325
71
11
수급금액
월평균
600
273
385
2,439
2,210
578
1,130
1,266
(천원)
중위수
382
300
295
2,416
600
272
912
1,069
(%)
25만원 미만
21.1
42.4
39.5
0.3
26.9
46.1
3.5
10.2
25~50만원
43.3
56.9
38.2
0.1
16.4
25.0
13.9
11.7
50~100만원
24.7
0.8
17.2
2.9
24.7
18.3
38.1
25.0
100~200만원
6.1
0.0
5.0
31.7
14.7
7.2
31.5
30.4
200만원 이상
4.9
-
0.0
64.9
17.2
3.4
12.9
22.7

 

나. 연금 종류별 가입 현황

 

21년 국민연금 및 퇴직연금 가입자는 각각 2,150만명, 7266천명임

 

❍ ’21년 18~59세 연금 가입자 중에서 국민연금(2,150만명), 퇴직연금(726만 6천명) 가입자가 큰 비중을 차지

 

 

* 가입자수 전체는 중복가입이 포함되어 있음

** 국민연금 가입자 변경사항: (2019년 이전) 매년 12월 기준 가입자 / (2020년 이후) 연중 국민연금 가입자

 

❍ ’21년 각 연금별 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국민연금이 21만 3천원, 개인연금이 32만원임

* 보험료 행정자료가 있는 국민, 직역(공무원, 군인, 사학, 별정우체국), 개인연금을 대상으로 작성

 

 

 

다. 연금 가입기간별 수급 및 가입 현황

 

21년 기준 국민연금은 「10~20년」 가입 후 수급자(1901천명),
직역연금은 「30년 이상」 가입 후 수급자(239천명)의 비중이 큼

* 가입기간 자료가 있는 국민연금과 직역연금 수급자 및 가입자를 대상으로 작성하고, 각 연금의 세부 종류인 노령(퇴직)연금, 유족연금, 장애(해)연금 등 모든 연금형태를 포함

 

❍ ’21년 국민연금 수급자 396만 9천명은 타 연금 포함 월평균 62만 4천원(이중, 국민연금 38만 5천원), 직역연금 수급자 49만 5천명은 타 연금 포함 254만 4천원(이중, 직역연금 243만 9천원) 수급

 

- 가입기간별로는, 국민연금 수급자(평균가입기간 12.4년)는 「10~20년」가입 후 수급자가 190만 1천명(비중 47.9%)으로 가장 많고,

 

- 직역연금 수급자(평균가입기간 28.7년)는 「30년 이상」 가입 후 수급자가 23만 9천명(비중 48.2%)으로 가장 많음

 

 

 

 

< 표 19 > 2021년 연금 가입기간별 수급 현황(65세 이상)

구분
국민연금 수급자
직역연금 수급자
수급자수
(천명)

월평균
수급금액
(천원)

수급자수
(천명)

월평균
수급금액
(천원)

구성비
(%)
국민연금
(천원)
구성비
(%)
직역연금
(천원)
전체
3,969
100.0
624
385
495
100.0
2,544
2,439
10년미만*
1,106
27.9
455
194
1
0.1
1,862
432
10~20년
1,901
47.9
623
405
4
0.7
1,690
1,320
20~30년
438
11.0
1,131
939
165
33.4
2,103
2,012
30년이상
0
0.0
1,625
1,303
239
48.2
3,207
3,098
기타**
524
13.2
561
253
87
17.5
1,604
1,505
* 장애(해)연금, 연계연금, 특례연금 수급자 등
** 가입기간 정보가 없는 유족연금 등은 기타로 작성

 

❍ ’21년 국민연금 가입자 2,150만명의 월평균 보험료는 타 연금 포함 28만 3천원(이중 국민연금 21만 3천원), 직역연금 가입자 179만 7천명은 타 연금 포함 92만원(이중 직역연금 81만 4천원)

 

- 가입기간별로는, 국민연금 가입자(평균가입기간 10.1년)는 가입기간 「1~10년」이 1,011만 7천명(비중 47.1%)으로 가장 많고,

 

- 직역연금 가입자(평균가입기간 14년)도 가입기간 「1~10년」이 70만 6천명(비중 39.3%)으로 가장 많음

 

 

 

 

< 표 20 > 2021년 연금 가입기간별 가입 현황(18~59세)

구분
국민연금 가입자
직역연금 가입자
가입자수
(천명)

월평균
연금보험료
(천원)

가입자수
(천명)

월평균
연금보험료
(천원)

구성비
(%)
국민연금
(천원)
구성비
(%)
직역연금
(천원)
전체
21,500
100.0
283
213
1,797
100.0
920
814
1년미만
2,104
9.8
128
104
108
6.0
613
504
1~10년
10,117
47.1
229
184
706
39.3
708
643
10~20년
6,318
29.4
341
249
440
24.5
1,021
917
20~30년
2,516
11.7
443
304
338
18.8
1,285
1,129
30년이상
446
2.1
551
369
204
11.4
996
830

 

Ⅱ. 가구의 연금 수급 및 가입 현황

 

1. 연금 수급 및 가입 총괄(2016~2021년)

 

가. 연금 수급 현황(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가구 대상)

 

21년 연금 수급가구는 5866천가구(수급률 95.4%), 월평균 771천원 수급

 

❍ ’21년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가 1명 이상 있는 가구(연금 수급가구)는 586만 6천가구임

 

- 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가구 중에서, 65세 이상 연금수급자가 없는 가구(연금 미수급가구)는 28만 6천가구임

 

❍ ’21년 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가구 중에서 연금 수급가구 비율(연금 수급률)은 95.4%이고, 연금 종류를 2개 이상 수급한 수급가구 비율(중복수급률)은 44.8%임

 

 

 

< 표 21 > 2016~2021년 연금 수급가구 현황

연 도
65세이상
인구포함 가구
(천가구)
수급가구

(천가구)


미수급 가구

(천가구)
수급률
(%)
중복 수급률
(%)
2021년
6,153
5,866
95.4
44.8
286
2020년
5,858
5,559
94.9
42.3
299
2019년
5,591
5,281
94.4
40.2
311
2018년
5,372
5,048
94.0
38.1
324
2017년
5,203
4,856
93.3
35.5
347
2016년
5,016
4,653
92.8
33.1
363

 

❍ ’21년 연금 수급가구가 받은 월평균 수급금액은 77만 1천원으로, 전년 대비 7.4% 증가

 

- ’21년 연금 수급가구가 받은 수급금액 중위수는 52만원임

 

❍ ’21년 연금 수급가구의 수급금액 구성비는 25~50만원대가 43.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50~100만원(34.1%), 100~200만원(11.4%) 순임

 

 

 

 

< 표 22 > 2016~2021년 연금 수급가구 월평균 수급금액

연 도
수급가구

(천가구)
월평균
수급금액
(천원)
구성비(%)
수급금액
전년증감률
(%)
25만원
미만
25~50
만원
50~100
만원
100~200
만원
200만원
이상
2021년
5,866
771
4.9
43.0
34.1
11.4
6.5
7.4
2020년
5,559
717
5.6
47.0
32.3
9.0
6.1
7.1
2019년
5,281
670
6.4
51.1
29.1
7.7
5.7
10.9
2018년
5,048
604
33.5
30.5
24.4
6.3
5.3
8.0
2017년
4,856
559
36.6
33.4
19.7
5.3
5.0
6.2
2016년
4,653
526
39.5
34.3
17.0
4.6
4.7
-

 

나. 연금 가입 현황(18~59세 인구가 속한 가구 대상)

 

21년 연금 가입가구는 1,5152천가구(가입률 91.3%), 월평균 보험료는 511천원임

 

❍ ’21년 18~59세 연금 가입자가 1명 이상 있는 가구(연금 가입가구)는 1,515만 2천가구임

 

- 18~59세 인구가 속한 가구 중에서, 18~59세 연금가입자가 없는 가구(연금 미가입가구)는 144만 4천가구임

 

❍ ’21년 18~59세 인구가 속한 가구 중에서 연금 가입가구 비율(연금 가입률)은 91.3%이고, 연금을 2개 이상 가입하고 있는 연금 가입가구 비율(중복가입률)은 49.6%임

 

 

 

< 표 23 > 2016~2021년 연금 가입가구 현황

연 도
18~59세
인구 포함 가구
(천가구)
가입가구수*

(천가구)


미가입가구

(천가구)
가입률
(%)
중복가입률
(%)
2021년
16,596
15,152
91.3
49.6
1,444
2020년
16,489
14,988
90.9
49.5
1,501
2019년
16,267
14,273
87.7
48.8
1,993
2018년
16,177
14,202
87.8
48.5
1,975
2017년
16,118
14,001
86.9
47.4
2,117
2016년
16,044
13,921
86.8
46.6
2,123

* 국민연금 가입자 변경사항이 가입가구에 반영되었음 / 국민연금 가입자 변경사항: (2019년 이전) 매년 12월 기준 가입자 / (2020년 이후) 연중 국민연금 가입자

 

❍ ’21년 연금 가입가구의 월평균 보험료*는 51만 1천원으로, 전년 대비 0.6% 증가

* 개인이 납부하는 기여금․납입금액과 사업장․국가 등에서 부담하는 부담금을 합한 금액으로, 보험료 행정자료가 있는 국민, 직역, 개인연금을 대상으로 작성

 

❍ ’21년 연금 가입가구의 월평균 보험료 구성비는 25~50만원대가 29.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10~25만원대(24.1%), 50~100만원대(22.2%) 순임

 

 

 

< 표 24 > 2016~2021년 연금 가입가구 월평균 연금보험료

연 도
가입가구수

(천명)
월평균
연금보험료*
(천원)
구성비(%)
연금보험료
전년증감률
(%)
10만원
미만
10~25
만원
25~50
만원
50~100
만원
100만원
이상
2021년
15,152
511
12.4
24.1
29.6
22.2
11.7
0.6
2020년
14,988
508
12.8
24.4
29.1
21.9
11.8
1.2
2019년
14,273
502
15.6
23.1
28.1
21.3
12.0
2.7
2018년
14,202
489
16.7
23.7
27.3
20.7
11.7
2.4
2017년
14,001
477
17.3
24.4
27.0
20.0
11.3
3.6
2016년
13,921
461
18.2
24.5
27.1
19.5
10.6
- 

* 국민연금 월평균 보험료 변경사항: (2019년 이전) 매년 12월 기준 보험료 / (2020년 이후) 연중 국민연금 월평균 보험료

 

2. 가구특성별 연금 수급 및 가입 현황(2021년)

 

가. 가구특성별 수급 현황

 

□ 가구원수 및 가구유형별 수급 현황

 

21년 월평균 수급금액은 2인가구(907천원), 부부가구(1057천원)에서 많음

 

❍ 가구원수를 보면, 2인 가구인 연금 수급가구가 255만 5천가구로 연금 수급률이 96.2%로 가장 높고,

 

- 2인 가구인 연금 수급가구의 월평균 수급금액은 90만 7천원으로 타 유형에 비해 가장 많음

 

❍ 가구유형을 보면, 부부가구(1세대)인 수급가구가 179만 6천가구(수급률 96.8%)이며, 월평균 수급금액은 105만 7천원으로 타 유형에 비해 가장 많음

 

 

 

□ 경제활동별 수급 현황

 

21년 등록 취업가구의 연금 수급률은 95.6%, 월평균 수급금액은 786천원임

 

❍ 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등록취업가구* 중 수급가구는 326만 9천가구(수급률 95.6%)로 월평균 78만 6천원을 수급

* 가구원 중 등록취업자가 1명 이상 있는 가구

 

- 등록취업자수별로는, 등록취업자가 2명 있는 가구에서 연금 수급가구의 월평균 수급금액은 80만 3천원으로 가장 많음

 

❍ 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미등록가구* 중 수급가구는 259만 8천가구(수급률 95.0%)로 월평균 75만 1천원을 수급

* 가구원 중 등록취업자가 없고 모두 미등록자인 가구

 

 

 

< 표 26 > 2021년 경제활동별 수급가구

구분
65세 이상
인구포함 가구
(천가구)
수급가구

(천가구)


수급률

(%)
월평균
수급금액
(천원)
전체
6,153
5,866
95.4
771
등록취업가구
3,420
3,269
95.6
786

1인
2,168
2,074
95.7
784
2인
972
928
95.5
803
3인이상
280
266
95.0
739
미등록가구
2,733
2,598
95.0
751

 

□ 주택소유 및 거처종류별 수급 현황

 

21년 주택소유가구의 연금 수급률은 95.5%, 월평균 수급금액은 887천원임

 

❍ 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주택소유 가구* 중에서 수급가구는 391만 7천가구(수급률 95.5%)로 월평균 88만 7천원을 수급

* 가구원 중 주택소유자가 1명 이상 있는 가구

 

- 미소유 가구 중에서 수급가구는 195만가구(수급률 95.0%)로 월평균 53만 8천원을 수급

 

 

< 표 27 > 2021년 주택소유 및 주택자산가액별 수급가구

구분
65세이상
인구포함 가구
(천가구)
수급가구

(천가구)


수급률

(%)
월평균
수급금액
(천원)
전체
6,153
5,866
95.4
771
주택소유가구
4,100
3,917
95.5
887

0.6억원이하
724
709
98.0
633
0.6~1.5억원
1,067
1,037
97.2
757
1.5~3억원
882
846
95.9
866
3~6억원
787
741
94.2
988
6~12억원
428
392
91.6
1,167
12억원초과
212
191
90.0
1,663
주택미소유가구
2,052
1,950
95.0
538

 

❍ 거처종류를 보면 아파트에 거주하는 수급가구는 260만 7천가구(수급률 95.2%)로 월평균 92만 6천원을 수급

 

 

< 표 28 > 2021년 거처종류별 수급가구

구분
65세이상
인구포함 가구
(천가구)
수급가구

(천가구)


수급률

(%)
월평균
수급금액
(천원)
전체
6,153
5,866
95.4
771
거처종류
단독주택
2,490
2,381
95.6
649
아파트
2,739
2,607
95.2
926
연립/다세대
674
649
96.4
632
기타
250
229
91.8
662

 

□ 지역별 수급 현황

 

21년 가구 연금 수급률은 전남(97.7%)에서 높고, 월평균 수급금액은 세종(903천원)에서 많음

 

❍ 전국 17개 시도 중, 전남의 연금 수급가구는 29만 9천가구로 연금 수급률이 97.7%로 가장 높고, 경북(97.2%), 전북(97.0%) 순으로 높음

 

❍ 세종의 수급가구는 월평균 수급금액이 90만 3천원으로 가장 많고, 광주(89만원), 대전(86만 5천원) 순으로 많음

 

 

 

 

나. 가구특성별 가입 현황

 

□ 가구원수 및 가구유형별 가입 현황

 

21년 연금 가입률은 4인 이상 가구(98.0%), 부부포함가구(97.3%)에서 높음

 

❍ 가구원수를 보면, 4인 이상 가구인 연금 가입가구가 394만 3천가구로, 연금 가입률이 98.0%로 가장 높고,

 

- 4인 이상 가구인 연금 가입가구의 월평균 보험료는 71만 1천원으로 타 유형에 비해 가장 많음

 

❍ 가구유형을 보면, 부부포함 가구인 연금 가입가구가 637만 2천가구(가입률 97.3%)이며, 월평균 보험료는 67만 5천원으로 타 유형에 비해 가장 많음

 

 

 

□ 경제활동별 가입 현황

 

21년 등록 취업가구의 연금 가입률은 96.5%, 월평균 보험료는 553천원임

 

❍ 18~59세 인구가 속한 등록취업가구* 중 연금 가입가구는 1,354만 9천가구(가입률 96.5%)로 월평균 보험료는 55만 3천원임

* 가구원 중 등록취업자가 1명 이상 있는 가구

 

- 등록취업자가 많을수록 연금 가입률과 월평균 보험료가 높아져서, 등록취업자 3인 이상인 가구에서는 가입가구가 131만 8천가구로(가입률 99.5%), 월평균 보험료는 82만 5천원임

 

❍ 18~59세 인구가 속한 미등록가구* 중 연금 가입가구는 160만 3천가구(가입률 62.8%)로 월평균 보험료는 15만 6천원임

* 가구원 중 등록취업자가 없는 가구

 

 

< 표 31 > 2021년 경제활동별 가입가구

구분
18~59세
인구포함 가구
(천가구)
가입가구

(천가구)


가입률

(%)
월평균
연금보험료
(천원)
전체
16,596
15,152
91.3
511
등록취업가구
14,042
13,549
96.5
553

1인
7,851
7,431
94.7
403
2인
4,866
4,800
98.6
710
3인이상
1,326
1,318
99.5
825
미등록가구
2,555
1,603
62.8
156

 

□ 주택소유 및 거처종류별 가입 현황

 

21년 주택소유가구의 연금 가입률은 95.6%, 월평균 보험료는 618천원임

 

❍ 18~59세 인구가 속한 주택소유 가구* 중에서 가입가구는 848만 2천가구(가입률 95.6%), 미소유 가구 중에서 가입가구는 667만가구(가입률 86.3%)로, 각각 월평균 보험료는 61만 8천원, 37만 5천원임

* 가구원 중 주택소유자가 1명 이상 있는 가구

 

 

< 표 32 > 2021년 주택소유 및 주택자산가액별 가입가구

구분
18~59세
인구포함 가구
(천가구)
가입가구

(천가구)


가입률

(%)
월평균
연금보험료
(천원)
전체
16,596
15,152
91.3
511
주택소유가구
8,869
8,482
95.6
618

0.6억원이하
840
764
90.9
381
0.6~1.5억원
2,006
1,895
94.4
460
1.5~3억원
2,255
2,168
96.1
572
3~6억원
2,210
2,142
96.9
692
6~12억원
1,123
1,092
97.2
837
12억원초과
435
422
97.0
1,041
주택미소유가구
7,727
6,670
86.3
375

 

❍ 거처종류에서는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입가구는 859만 6천가구(가입률 94.7%)로, 월평균 보험료는 61만 8천원임

 

 

< 표 33 > 2021년 거처종류별 가입가구

구분
18~59세
인구포함 가구
(천가구)
가입가구

(천가구)


가입률

(%)
월평균
연금보험료
(천원)
전체
16,596
15,152
91.3
511
거처종류
단독주택
4,294
3,639
84.8
352
아파트
9,074
8,596
94.7
618
연립/다세대
1,954
1,783
91.2
399
기타
1,274
1,135
89.0
384

 

□ 지역별 가입 현황

 

21년 연금 가입률은 경기(93.6%)에서 높고, 월평균 보험료는 세종(699천원)에서 많음

 

❍ 전국 17개 시도 중, 경기의 연금 가입가구는 405만가구로, 연금 가입률이 93.6%로 가장 높고, 세종(93.4%), 울산(93.0%) 순으로 높음

 

❍ 세종의 가입가구는 월평균 보험료가 69만 9천원으로 가장 많고, 서울(54만 4천원), 울산(54만 2천원) 순으로 많음

 

 

 

 

3. 주요 가구의 연금 수급 현황(2016~2021년)

 

가. 65세 이상 1인 가구의 연금 수급 현황

 

211인 연금 수급가구는 1715천가구(수급률 94.0%), 월평균 539천원 수급

 

❍ ’21년 65세 이상 1인 가구 중 연금 수급가구는 171만 5천가구임

 

- 연금을 받지 않는 가구는 11만가구임

 

❍ ’21년 65세 이상 1인 가구 중 연금 수급가구 비율(연금 수급률)은 94.0%이고, 연금 종류를 2개 이상 수급한 수급가구 비율(중복수급률)은 39.6%임

 

 

 

< 표 35 > 1인 가구 중 연금 수급가구 현황

연 도
65세이상
1인 가구
(천가구)
수급가구

(천가구)


미수급 가구

(천원)
수급률

(%)
중복 수급률

(%)
2021년
1,824
1,715
94.0
39.6
110
2020년
1,661
1,555
93.6
37.7
106
2019년
1,533
1,430
93.3
35.9
103
2018년
1,445
1,342
92.9
34.0
102
2017년
1,371
1,266
92.3
31.7
105
2016년
1,294
1,190
91.9
29.6
104

 

❍ ’21년 1인 연금 수급가구가 받은 연금 수급금액은 월평균 53만 9천원으로, 전년 대비 6.5% 증가

 

❍ ’21년 1인 연금 수급가구의 수급금액 구성비는 25~50만원대가 60.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50~100만원(25.8%), 25만원 미만(6.1%) 순임

 

< 표 36 > 1인 가구 중 연금 수급가구 월평균 수급금액

연 도
1인
수급가구
(천가구)
월평균
수급금액
(천원)
구성비(%)
수급금액
증감률
(%)
25만원
미만
25~50
만원
50~100
만원
100~200
만원
200만원
이상
2021년
1,715
539
6.1
60.6
25.8
4.7
2.9
6.5
2020년
1,555
507
6.5
65.6
21.0
4.2
2.6
7.3
2019년
1,430
472
7.3
70.3
16.0
3.9
2.4
13.0
2018년
1,342
418
51.6
30.9
11.7
3.5
2.3
8.2
2017년
1,266
386
55.1
31.1
8.4
3.2
2.1
5.4
2016년
1,190
366
58.3
30.1
6.7
2.9
1.9
-

 

나. 부부가구(1세대)의 연금 수급 현황

 

21년 부부 수급가구는 1796천가구(수급률 96.8%), 월평균 1057천원 수급

 

❍ ’21년 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부부가구(1세대) 중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가 1명 이상 있는 가구는 179만 6천가구임

 

- 반면,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가 없는 부부가구(1세대)는 6만가구임

 

❍ ’21년 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부부가구(1세대) 중 연금 수급가구 비율(연금 수급률)은 96.8%이고, 연금 종류를 2개 이상 수급한 수급가구 비율(중복수급률)은 51.7%임

 

 

< 표 37 > 부부가구 중 연금 수급가구 현황

연 도
65세이상
부부가구
(천가구)
수급가구

(천가구)


미수급 가구

(천가구)
수급률

(%)
중복 수급률

(%)
2021년
1,856
1,796
96.8
51.7
60
2020년
1,736
1,671
96.2
48.8
65
2019년
1,600
1,531
95.7
46.7
69
2018년
1,502
1,429
95.2
44.7
73
2017년
1,421
1,342
94.4
41.7
80
2016년
1,330
1,245
93.6
39.2
85

 

❍ ’21년 부부가구(1세대)인 연금 수급가구가 받은 연금 수급금액은 월평균 105만 7천원으로, 전년 대비 7.8% 증가

 

❍ ’21년 연금 수급가구의 수급금액 구성비는 50~100만원대가 44.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25~50만원(22.4%), 100~200만원(18.8%) 순임

 

< 표 38 > 부부가구 중 연금 수급가구 월평균 수급금액

연 도
65세이상부부수급가구
(천가구)
월평균
수급금액
(천원)
구성비(%)
수급금액
증감률
(%)
25만원
미만
25~50
만원
50~100
만원
100~200
만원
200만원
이상
2021년
1,796
1,057
3.4
22.4
44.0
18.8
11.4
7.8
2020년
1,671
980
4.2
25.4
45.4
14.3
10.7
6.3
2019년
1,531
922
5.0
28.3
44.3
12.2
10.1
8.6
2018년
1,429
849
10.2
30.8
39.6
9.7
9.6
7.3
2017년
1,342
791
12.1
38.0
32.8
8.0
9.1
5.7
2016년
1,245
749
14.0
41.5
28.9
6.8
8.8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