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상반기(1~6월) 창업기업동향
- ’23년 상반기(1~6월) 창업기업 수는 65만 504개로 집계
2023.09.14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이영)는 2023년 상반기(1~6월) 창업기업동향’을 발표했다.
2023년 상반기 창업은 온라인·비대면 관련 업종의 증가세 지속과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대면 업종 중심으로 증가했으나, 세계(글로벌) 경기둔화와 3고(高)(고금리·고환율·고물가) 지속 등은 창업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전년동기대비 6.5%(45,387개) 감소한 65만 504개로 집계되었다.
* 상반기 창업기업(개) : (’20) 809,599 → (’21) 730,260 → (’22) 695,891 → (’23) 650,504
특히, 작년부터 이어진 고금리, 부동산 경기 하락 등으로 부동산업의 신규 창업이 전년동기대비 61,616개(47.3%) 대폭 감소한 것이 상반기 창업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분석되었고, 부동산업을 제외할 경우, 올해 상반기 창업은 전년동기대비 16,229개(2.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상반기 부동산업 제외 창업기업(개) : (’20) 516,789 → (’21) 569,587 → (’22) 565,565 → (’23) 581,794
다만, 2020년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증가했던 부동산 창업은 전체 창업증감률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나, 점차 그 비중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 연간 상반기 부동산업 창업 및 전체창업 중 비중(개, %) :
(’20) 292,810(36.2) → (’21) 160,673(22.0) → (’22) 130,326(18.7) → (’23) 68,710(10.6)
업종별로 살펴보면 코로나19 주기적 유행(엔데믹) 선언 이후 대면업종 생산이 확대되면서 숙박 및 음식점업(18.3%↑), 개인서비스업(10.1%↑) 등은 전년대비 신규창업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도매 및 소매업(3.4%↑), 전기⸱가스⸱공기(44.6%↑), 교육서비스업(7.6%↑), 사업시설관리(7.0%↑), 예술⸱스포츠⸱여가업(8.4%↑), 수도⸱하수⸱폐기물(4.7%↑)
고금리, 원자재 상승, 국내외 경기부진 지속에 따른 투자 축소, 수출감소 등으로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13.4%↓), 건설업(10.4%↓), 운수·창고업(10.3%↓) 등에서 창업이 감소*하였다.
* 부동산업(47.3%↓), 제조업(11.6%↓), 금융 및 보험업(33.4%↓), 정보통신업(3.4%↓),농⸱임⸱어업 및 광업(5.1%↓), 보건⸱사회복지(9.4%↓)
2023년 상반기 기술기반 창업은 115,735개로 전년동기대비 4.6%(5,554개) 감소했으며, 전체 창업에서 기술기반 창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동기대비 0.4%p 상승하며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 연간 상반기 기술기반 창업 및 전체창업 중 비중(개, %) :
(’20) 116,280(14.4) → (’21) 122,444(16.8) → (’22) 121,289(17.4) → (’23) 115,735(17.8)
▶ 본 통계 이용 시 유의사항
ㅇ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될 수 있음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등
참고1
|
|
’23년 상반기 창업기업 동향 주요 업종별 증감 분석
|
▶ 본 통계 이용 시 유의사항
ㅇ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될 수 있음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주택임대사업자 등록 등
|
1.주요 업종별 증감 분석
(1) 증가 업종
|
□ (숙박·음식점업) 코로나19 엔데믹, 기저효과, SNS를 통한 디저트류 유행*, 상가 임차료 인하**, 여행·캠핑 수요 증가*** 등의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 숙박·음식점업 창업은 전년동기대비 두 자릿수 증가
* 코로나19 엔데믹 선언 이후 유동인구 증가에 따른 수요확대와 SNS·미디어를 통한 디저트류(탕후루, 개성주악 등) 유행 등이 관련 창업에 긍정적으로 작용
** 최근 부동산 경기부진으로 공실률이 높은 상가의 경우 임차료를 인하하고 있어 음식점업 창업에 긍정적으로 작용
*** 엔데믹 이후 국내·외 여행 수요 증가와 해외 관광 입국자 증가 등 수요 증가와 함께 호텔, 여관 등의 숙박보다 기존 건물을 이용할 수 있는 민박업과 일반 및 생활 숙박시설 운영업 창업이 크게 증가
* 해외관광입국자수(만명) : (’20) 165.4 (’21) 21.2 (’22) 199.9 (’23.1~6) 347.8 (한국관광공사)
(단위 : 개, %)
|
|||||||||
구분
|
‘22.상반기
|
’23.상반기
|
|||||||
1/4
|
2/4
|
|
1/4
|
2/4
|
4월
|
5월
|
6월
|
|
|
숙박·
음식점업
|
33,020
|
41,020
|
74,040
|
41,464
|
46,157
|
14,895
|
15,442
|
15,820
|
87,621
|
(△5.4)
|
(△16.5)
|
(△11.9)
|
(25.6)
|
(12.5)
|
(22.1)
|
(28.3)
|
(△5.8)
|
(18.3)
|
|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숙박업, 음식점업, 주점업 등에서 크게 증가
- (음식점업) 한식음식점업, 외국식 음식점업, 기타 간이 음식점업 등을 중심으로 증가
* 상반기 음식점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21) 3.0 → (’22) △17.4 → (’23) 22.8
- (숙박업) 여관업이 가장 크게 감소했으나 민박업, 기타 일반 및 생활숙박시설 운영업, 기숙사 및 고시원 운영업 등을 중심으로 신규창업 활발
* 상반기 숙박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21) 21.4 → (’22) △9.4 → (’23) 4.6
- (주점업) 일반 유흥 주점업, 생맥주 전문점, 기타 주점업을 중심으로 증가
ㅇ (연령별)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전 연령대에서 신규 창업 활발
* ’23년 상반기 연령별 숙박·음식점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3.4 (30대) 16.0 (40대) 24.1 (50대) 20.3 (60세이상) 27.5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양호한 증가율 기록
* ’23년 상반기 숙박·음식점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4.3 (개인) 18.4
□ (도·소매업) 낮은 초기 투자비용, 온라인 소비문화의 확산, 통신판매중개 플랫폼 발전 등의 영향으로 전자상거래업을 중심으로 증가세 지속
ㅇ 낮은 초기 투자비용, 해외판매 유리함 등 온라인 소매창업이 증가하는 가운데 소매업을 중심으로 상반기 창업 증가세 지속
* G마켓, 네이버, 쿠팡, 11번가 등 오픈마켓(통신판매중개 사이트)을 통해 많은 소상공인등이 온라인쇼핑 시장으로 수월하게 진입 할 수 있었던 부분도 크게 작용
* 온라인쇼핑매출 증감률(%) : (’22.1분기) 12.7 → (2분기) 11.7 → (3분기) 11.2 → (4분기) 6.3 → (‘23.1분기) 7.0 → (2분기) 7.4 (통계청)
ㅇ 온라인 쇼핑의 경우 코로나19 기간 중 배달서비스 위주의 성장, 엔데믹 이후 해외여행, 문화, 레저 등의 업종에서 창업 성장주도
*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호황을 누렸던 음식 서비스의 경우 ‘23년 상반기(전년대비) △5.3%로 역성장한 반면 엔데믹 이후 해외여행 및 외부활동 증가로 여행·교통서비스(65.1%), 문화·레저서비스(28.3%), e쿠폰서비스(33.4%)등의 업종이 성장
ㅇ 온라인 쇼핑은 초기 진입이 쉽지만 폐업 또는 휴업 역시 높은 업종
* ‘서울시 전자상거래업체 변화 증가 추이’ 데이터 기준 22년말 136,798개 업체 중 운영중인 업체는 41,895개로 전체대비 30.6%, 휴/폐업은 65,138개로 전체대비 47.6% 수준
(단위 : 개, %)
|
|||||||||
구분
|
‘22.상반기
|
’23.상반기
|
|||||||
1/4
|
2/4
|
|
1/4
|
2/4
|
4월
|
5월
|
6월
|
|
|
도·소매업
|
116,050
|
114,364
|
230,414
|
125,248
|
113,031
|
36,919
|
37,838
|
38,274
|
238,279
|
(0.7)
|
(8.2)
|
(4.3)
|
(7.9)
|
(△1.2)
|
(1.4)
|
(1.3)
|
(△5.7)
|
(3.4)
|
|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도매업은 감소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소매업 중 통신판매업 등 무점포소매업을 중심으로 증가
ㅇ (연령별) 30대 이하에서 도·소매업 증가 주도, 전 연령대에서 창업 증가
* ’23년 상반기 연령별 도·소매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3.8 (30대) 5.2 (40대) 2.4 (50대) 0.9 (60세이상) 3.6
ㅇ (조직형태별) 개인 창업은 양호한 증가세를 기록한 반면, 법인은 감소
* ’23년 상반기 도·소매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0.1 (개인) 4.4
□ (전기·가스·공기) 환경규제로 인한 재생에너지 수요 증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지원 정책(송배전망 무제한 접속 제도*, 한국형 FIT**) 등으로 신규창업 활발
* 송배전망 무제한 접속 제도는 발전 설비 용량 1MW(메가와트) 이하 소규모 태양광 발전 사업자 전력을 무제한으로 사주는 제도
** 한국형 발전차액지원(FIT)은 소규모 태양광 발전사업자의 안정적인 수익 창출 목적으로 30kW 미만 개인사업자, 100kW 미만 농·어·축산업인 또는 조합이 지원 대상
(단위 : 개, %)
|
|||||||||
구분
|
‘22.상반기
|
’23.상반기
|
|||||||
1/4
|
2/4
|
|
1/4
|
2/4
|
4월
|
5월
|
6월
|
|
|
전기·가스·
공기
|
5,138
|
5,928
|
11,066
|
7,675
|
8,329
|
2,619
|
2,662
|
3,048
|
16,004
|
(△9.9)
|
(6.8)
|
(△1.7)
|
(49.4)
|
(40.5)
|
(43.3)
|
(35.1)
|
(43.2)
|
(44.6)
|
|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전기업 중 태양광 발전 등 태양력 발전업을 중심으로 증가
ㅇ (연령별)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전 연령대에서 신규창업이 활발
* ’23년 상반기 연령별 전기·가스·공기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39.0 (30대) 47.1 (40대) 32.6 (50대) 36.1 (60세이상) 54.8
ㅇ (조직형태별) 개인 창업은 크게 증가한 반면 법인은 감소
* ’23년 상반기 전기·가스·공기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1 (개인) 45.8
□ (개인서비스업)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유동인구 증가에 따른 수요확대, 틈새시장을 공략한 혁신적 창업 출현 등으로 개인서비스업 창업 증가
ㅇ 코로나19 여파로 둔화된 창업수요 확대, 다양한 프리랜서 증가, 출장형 대형견 목욕 서비스업 등 새로운 형태의 개인서비스업 창업 출현 등으로 개인서비스업 신규창업 활발
(단위 : 개, %)
|
|||||||||
구분
|
‘22.상반기
|
’23.상반기
|
|||||||
1/4
|
2/4
|
|
1/4
|
2/4
|
4월
|
5월
|
6월
|
|
|
개인
서비스업
|
14,817
|
14,398
|
29,215
|
15,701
|
16,458
|
5,308
|
5,686
|
5,464
|
32,159
|
(2.2)
|
(△6.9)
|
(△2.5)
|
(6.0)
|
(14.3)
|
(12.2)
|
(19.5)
|
(11.3)
|
(10.1)
|
|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협회·단체, 개인·소비용품수리업은 감소했지만, 기타 개인서비스업 창업은 크게 증가
- 기타개인서비스업 중 개인 간병 및 유사서비스업, 체형 등 기타 신체관리 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증가
* 상반기 기타개인서비스업 창업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21) 10.4 → (’22) 0.9 → (’23) 14.2
ㅇ (연령별) 40대를 중심으로 전 연령대에서 증가
* ’23년 상반기 연령별 개인서비스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2 (30대) 12.2 (40대) 13.8 (50대) 12.4 (60세이상) 5.5
ㅇ (조직형태별) 법인 창업은 감소한 반면 개인은 두 자릿수의 증가
* ’23년 상반기 개인서비스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7.7 (개인) 10.4
□ (교육서비스업) 코로나19 엔데믹에 따른 대면교육 활성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소규모 교육 창업 증가, 건강·취미에 대한 수요확대 등으로 교육서비스업 신규창업 활발
ㅇ 엔데믹 이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교육서비스업 산업규모가 회귀하는 가운데 디지털을 활용한 창업(에듀테크)*도 함께 활성화되면서 신규창업 증가
* 교육(Education)과 기술(Technology)이란 단어를 합성한 에듀테크(EduTech) 혹은 에드테크(EdTech) 산업은 미국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아시아, 유럽 지역에도 시장이 확장되고 있음
ㅇ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 및 수요 증가(덤벨 이코노미1)), 미술·음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교육기관 신규창업이 증가
* 운동프로그램(요가, 필라테스 등)과 건강관리 식단(프로틴 음료 및 바 등)의 수요 증가에 따라 관련 창업 증가(최근 프로틴 관련 상품 매출상승 등)(한국교육개발원)
** 펜데믹 이후 시간자원에 대한 소비패턴 변화와 가정 중심에서 개인 중심으로의 소비패턴 변화 등으로 미술, 음악 관련 소비 증가(한국교육개발원)
(단위 : 개, %)
|
|||||||||
구분
|
‘22.상반기
|
’23.상반기
|
|||||||
1/4
|
2/4
|
|
1/4
|
2/4
|
4월
|
5월
|
6월
|
|
|
교육
서비스업
|
12,175
|
9,647
|
21,822
|
13,268
|
10,212
|
3,241
|
3,426
|
3,545
|
23,480
|
(8.5)
|
(△0.5)
|
(4.4)
|
(9.0)
|
(5.9)
|
(3.1)
|
(7.9)
|
(6.5)
|
(7.6)
|
|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일반교습학원(일반교과학원), 기타 교육기관(스포츠 및 레크레이션 교육기관, 예술학원) 등을 중심으로 증가
ㅇ (연령별) 30세미만을 제외하고 대부분 연령대에서 신규창업
* ’23년 연령별 교육서비스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6.0 (30대) 1.9 (40대) 12.8 (50대) 16.0 (60세이상) 11.5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양호한 증가
* ’23년 교육서비스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7.7 (개인) 7.6
(2) 감소 업종
|
□ (부동산업) 고금리 및 부동산 경기 부진, 부동산 가격 및 자산가치 하락 등의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 창업 감소세 지속
* 주택 가격과 임대가의 하락은 주거용 건물을 소유하거나 임대함으로써 발생하는 자본이득과 임대수익이 줄어드는 것을 의미
ㅇ 주거용 건물 임대업은 매매가, 전·월세 가격의 동반하락에 따른 자본이득 및 월세수익이 하락하면서 창업 감소
< 2023년 상반기 누적 주택가격 변화>
구분
|
매매
|
전세
|
월세
|
|||
주택종합
|
아파트
|
주택종합
|
아파트
|
주택종합
|
아파트
|
|
전국
|
△4.10%
|
△5.60%
|
△6.18%
|
△8.69%
|
△1.27%
|
△1.77%
|
수도권
|
△4.68%
|
△6.15%
|
△7.97%
|
△10.95%
|
△1.79%
|
△2.52%
|
지방
|
△3.56%
|
△5.09%
|
△4.48%
|
△6.54%
|
△0.79%
|
△1.08%
|
*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제공
ㅇ 상업용은 자산가치의 증대보다는 임대 수익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임차 수요가 적어지면서 창업수요 감소
< 상업용부동산 투자 수익률>
( 단위 : %, 전기대비, 전년동기대비 %p )
구 분
|
'22.2분기
|
3분기
|
4분기
|
'23.1분기
|
2분기
|
전기대비
|
전년동기대비
|
|
오피스
|
소득수익률
|
0.96
|
0.73
|
0.95
|
0.98
|
0.98
|
0.00
|
0.01
|
자본수익률
|
0.91
|
0.94
|
0.07
|
0.06
|
0.02
|
△0.04
|
△0.89
|
|
투자수익률
|
1.87
|
1.67
|
1.02
|
1.04
|
1.00
|
△0.04
|
△0.87
|
|
중대형 상가
|
소득수익률
|
0.84
|
0.62
|
0.85
|
0.85
|
0.85
|
0.00
|
0.01
|
자본수익률
|
0.76
|
0.70
|
△0.01
|
△0.15
|
△0.12
|
0.03
|
△0.87
|
|
투자수익률
|
1.59
|
1.32
|
0.84
|
0.69
|
0.73
|
0.04
|
△0.86
|
|
소규모 상가
|
소득수익률
|
0.77
|
0.60
|
0.78
|
0.77
|
0.78
|
0.01
|
0.01
|
자본수익률
|
0.66
|
0.59
|
0.02
|
△0.19
|
△0.12
|
0.07
|
△0.78
|
|
투자수익률
|
1.43
|
1.20
|
0.80
|
0.58
|
0.66
|
0.08
|
△0.77
|
|
집합
상가
|
소득수익률
|
1.02
|
0.87
|
1.04
|
1.04
|
1.04
|
0.00
|
0.02
|
자본수익률
|
0.51
|
0.51
|
0.03
|
△0.20
|
△0.03
|
0.16
|
△0.55
|
|
투자수익률
|
1.54
|
1.39
|
1.07
|
0.84
|
1.01
|
0.17
|
△0.53
|
ㅇ 부동산 중개업도 2023년 상반기 부동산 거래량 감소로 창업 부진
<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
구분
|
2022
|
2023
|
상반기증감률
|
|||||||
1분기
|
2분기
|
상반기
|
1분기
|
2분기
|
4월
|
5월
|
6월
|
상반기
|
||
전국
|
138,349
|
171,911
|
310,260
|
119,285
|
155,323
|
47,555
|
55,176
|
52,592
|
274,608
|
△11.5
|
서울
|
14,544
|
20,401
|
34,945
|
12,428
|
18,264
|
5,122
|
6,468
|
6,674
|
30,692
|
△12.2
|
수도권
|
52,467
|
71,364
|
123,831
|
50,261
|
69,558
|
20,830
|
24,739
|
23,989
|
119,819
|
△3.2
|
지방
|
123,805
|
151,510
|
275,315
|
106,857
|
137,059
|
42,433
|
48,708
|
45,918
|
243,916
|
△11.4
|
(단위 : 개, %)
|
|||||||||
구분
|
‘22.상반기
|
’23.상반기
|
|||||||
1/4
|
2/4
|
|
1/4
|
2/4
|
4월
|
5월
|
6월
|
|
|
부동산업
|
66,473
|
63,853
|
130,326
|
34,601
|
34,109
|
9,969
|
13,062
|
11,078
|
68,710
|
(△15.6)
|
(△22.1)
|
(△18.9)
|
(△47.9)
|
(△46.6)
|
(△51.1)
|
(△45.9)
|
(△42.6)
|
(△47.3)
|
|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주거용 건물임대업과 비주거용 건물임대업을 중심으로 감소
ㅇ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두 자릿수 감소
* ’23년 상반기 연령별 부동산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58.5 (30대) △53.7 (40대) △51.5 (50대) △46.1 (60세이상) △37.0
ㅇ (조직형태별) 법인 및 개인 모두 두자릿 수 감소 기록
* ’23년 상반기 부동산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54.7 (개인) △46.7
□ (전문·과학·기술) 국내외 불확실성 증가에 따른 경기부진 지속, 고금리로 인한 투자 및 수요 감소 등으로 컨설팅업종을 중심으로 신규창업 감소
* 경영컨설팅 수요자인 기업은 경기둔화시기 수익창출을 위한 컨설팅 수요가 높은 가운데 기존 컨설팅 업체 중 규모가 큰 업체를 선호하고 있어 영세기업 및 신규진입은 어려운 실정(한국컨설팅산업협회)
ㅇ ‘21~`22년 상반기 경영컨설팅 산업의 신규진입이 크게 확대되면서 `23년 신규창업은 기저효과와 투자 감소 등의 영향으로 크게 감소
* 연도별 상반기 경영컨설팅 창업기업수(개) :
(‘20.상반기) 8,339 → (‘21.상반기) 11,134 → (‘22.상반기) 11,076 → (‘23.상반기) 7,531
(단위 : 개, %)
|
|||||||||
구분
|
‘22.상반기
|
’23.상반기
|
|||||||
1/4
|
2/4
|
|
1/4
|
2/4
|
4월
|
5월
|
6월
|
|
|
전문·과학·
기술
|
16,067
|
15,681
|
31,748
|
14,350
|
13,152
|
4,225
|
4,396
|
4,531
|
27,502
|
(△0.9)
|
(△3.5)
|
(△2.2)
|
(△10.7)
|
(△16.1)
|
(△18.8)
|
(△18.9)
|
(△10.5)
|
(△13.4)
|
|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전문서비스업(회사본부 및 경영컨설팅 서비스업 등),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기타 과학기술서비스업, 기타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전문 디자인업 등) 등에서 창업 감소
ㅇ (연령별) 30세 미만을 제외하고 대부분 업종에 신규창업 감소
* ’23년 상반기 연령별 전문·과학·기술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2.2 (30대) △10.6 (40대) △19.9 (50대) △16.7 (60세이상) △8.8
ㅇ (조직형태별) 법인 및 개인 모두 감소 기록
* ’23년 상반기 전문·과학·기술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8.6 (개인) △11.3
□ (건설업) 건설 신규 수주 감소, 부동산 시장 침체, 부동산 PF 시장 위축 등으로 건설업 창업 감소 추세
ㅇ 건설수주 감소세가 지속(5개월 연속감소)되고 있는 가운데 건설기성도 증가폭이 축소되는 등 부정적인 요인이 지속되면서 신규창업 감소세 지속
* 건설수주 증감률(%, 전년동월대비) : (‘22.1분기) 13.2 → (‘22.2분기) 22.2 → (‘22.3분기) 30.5 → (‘22.4분기) △17.4 → (‘23.1분기) △11.1 → (‘23.2분기) △37.5 (통계청)
* 건설기성 증감률(%, 전년동월대비) : (‘22.1분기) 10.1 → (‘22.2분기) 13.2 → (‘22.3분기) 12.2 → (‘22.4분기) 13.3 → (‘23.1분기) 17.3 → (‘23.2분기) 11.8 (통계청)
< 전국 건축 허가/착공/준공 현황 >
(단위: 동, 천m2 / 증감률(%))
구 분
|
'18
|
'19
|
'20
|
'21
|
'22
|
‘23년
(상반기)
|
전년
동기比
|
5년
상반기
평균比
|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하반기
|
상반기
|
하반기
|
|||||
허가
|
동수
|
138,148
|
132,663
|
116,685
|
120,349
|
109,365
|
114,025
|
118,894
|
113,537
|
105,626
|
95,689
|
77,501
|
(△26.6)
|
(△34.2)
|
연면적
|
81,972
|
78,991
|
69,266
|
75,026
|
68,858
|
78,451
|
81,673
|
91,532
|
93,038
|
88,435
|
72,029
|
(△22.6)
|
(△8.8)
|
|
착공
|
동수
|
112,306
|
103,796
|
96,872
|
98,075
|
91,647
|
93,993
|
94,407
|
91,434
|
82,036
|
71,169
|
58,475
|
(△28.7)
|
(△38.7)
|
연면적
|
63,901
|
57,318
|
57,428
|
52,242
|
58,564
|
65,135
|
66,624
|
68,674
|
58,453
|
52,386
|
35,920
|
(△38.5)
|
(△41.1)
|
|
준공
|
동수
|
95,056
|
114,976
|
95,510
|
106,871
|
89,249
|
94,887
|
82,425
|
94,878
|
76,116
|
85,156
|
66,130
|
(△13.1)
|
(△24.6)
|
연면적
|
81,880
|
87,522
|
88,707
|
79,897
|
68,587
|
82,306
|
71,641
|
77,498
|
68,212
|
78,668
|
70,471
|
(3.3)
|
(△7.0)
|
* 국토교통부, 건축행정시스템
ㅇ 선행공정인 종합건설업의 수주·착공 감소는 후행공정인 전문직별 공사업 신규창업에 부정적으로 작용
ㅇ 「건설산업기본법」* 개정 영향으로 건설장비 운영업의 신규창업 감소
* 건설산업기본법 개정(22.10.7. 입법예고)은 기존 건설기계를 임대하면서 일부 시공까지 수행하고 또는 불법 하도급을 주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건설기계 임대·공급의 업무 범위를 축소해 건설기계나 기구를 공급하는 자가 건설공사를 할 수 없도록 법을 개정
(단위 : 개, %)
|
|||||||||
구분
|
‘22.상반기
|
’23.상반기
|
|||||||
1/4
|
2/4
|
|
1/4
|
2/4
|
4월
|
5월
|
6월
|
|
|
건설업
|
18,790
|
17,676
|
36,466
|
17,017
|
15,674
|
5,150
|
5,114
|
5,410
|
32,691
|
(△5.5)
|
(△4.9)
|
(△5.2)
|
(△9.4)
|
(△11.3)
|
(△13.8)
|
(△12.0)
|
(△8.1)
|
(△10.4)
|
|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종합건설업(건물 건설업), 전문직별공사업(실내건축 및 건축마무리공사업, 건설장비 운영업) 등을 중심으로 감소
ㅇ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감소했으며 특히 40대에서 크게 감소
* ’23년 상반기 연령별 건설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8.6 (30대) △3.9 (40대) △16.1 (50대) △10.2 (60세이상) △6.9
ㅇ (조직형태별) 개인 및 법인 창업 모두 감소 기록
* ’23년 상반기 건설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8.0 (개인) △9.1
□ (운수·창고업) 글로벌 경기둔화, 수출입 부진 등의 영향으로 도로화물 운송업 등 창업 감소
ㅇ 2023년 1분기 철근재 내수량은 전년동기대비 5.6% 감소한 292만 2천톤,컨테이너 수송실적은 421만 TEU를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4.6% 감소
* ‘23년 1~6월 수출 : 307,131백만달러(전년동기대비 12.4%↓)
‘23년 1~6월 수입 : 333,621백만달러(전년동기대비 7.7%↓)
‘23년 1~6월 무역수지 : △26,490백만달러(전년동기대비 142.6%↓) (관세청)
< 주요 품목별 물동량 추이>
구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3/4
|
4/4
|
1/4
|
2/4
|
3/4
|
4/4
|
1/4
|
4월
|
5월
|
||
철강재 내수량
(철근 및 형강, 천통)
|
3,113
|
3,252
|
3,094
|
2,296
|
2,977
|
3,085
|
2,922
|
1,042
|
1,049
|
|
|
컨테이너 수송실적
(천 TEU)
|
4,206
|
4,350
|
4,178
|
4,176
|
4,064
|
4,102
|
4,210
|
1,473
|
1,490
|
|
연안
|
40
|
46
|
53
|
43
|
55
|
57
|
56
|
16
|
12
|
철도
|
181
|
189
|
173
|
170
|
180
|
157
|
90
|
30
|
25
|
|
도로
|
3,986
|
4,114
|
3,951
|
3,963
|
3,828
|
3,887
|
4,064
|
1,427
|
1,454
|
* 2022년 4/4분기 물류브리프(한국교통연구원)
(단위 : 개, %)
|
|||||||||
구분
|
‘22.상반기
|
’23.상반기
|
|||||||
1/4
|
2/4
|
|
1/4
|
2/4
|
4월
|
5월
|
6월
|
|
|
운수·
창고업
|
17,889
|
16,932
|
34,821
|
15,474
|
15,754
|
4,996
|
5,182
|
5,576
|
31,228
|
(8.8)
|
(△3.4)
|
(2.6)
|
(△13.5)
|
(△7.0)
|
(△20.6)
|
(0.8)
|
(1.4)
|
(△10.3)
|
|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육상운송·파이프라인운송업이 감소했으며, 그 중 도로화물운송업(일반화물자동차운송업, 용달화물자동차운송업, 개별화물 자동차운송업)을 중심으로 감소
ㅇ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신규창업 감소
* ’23년 상반기 연령별 운수·창고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1.4 (30대) △5.2 (40대) △9.9 (50대) △12.0 (60세이상) △13.0
ㅇ (조직형태별) 법인과 개인 창업 모두 두 자릿수 감소
* ’23년 상반기 운수·창고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2.2 (개인) △10.3
□ (제조업) 3高(고물가, 고환율, 고금리) 지속, 원자재 가격 상승, 수출감소 지속 등 국내·외적인 경영 환경 불안요인 증가, 디지털산업으로의 전환 등으로 제조업 창업 감소
ㅇ 제조업 생산 및 무역수지 악화 등으로 창업 감소
* 제조업생산지수 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22.1분기) 6.0 → (2분기) 5.6 → (3분기) 1.4 → (4분기) △6.7 → (‘23.1분기) △10.0 → (2분기) △7.7 (통계청)
* 원/달러환율(원) : (‘20) 1,086.3 → (‘21) 1,188.8 → (‘22) 1,264.5 → (‘23.6월말) 1,317.7 (한국은행)
* 제조업의 경우 중국과의 거래와 관계(미-중 관계 포함) 등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됨. 특히, 수출입, 양국 간 기술추격(격차) 및 자국 상품 대체, 경쟁력 정도(가격, 질 등) 등이 최근 제조업 경기 및 창업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됨.
(단위 : 개, %)
|
|||||||||
구분
|
‘22.상반기
|
’23.상반기
|
|||||||
1/4
|
2/4
|
|
1/4
|
2/4
|
4월
|
5월
|
6월
|
|
|
제조업
|
11,799
|
10,256
|
22,055
|
10,144
|
9,345
|
3,045
|
3,032
|
3,268
|
19,489
|
(△7.4)
|
(△16.2)
|
(△11.7)
|
(△14.0)
|
(△8.9)
|
(△9.8)
|
(△10.6)
|
(△6.3)
|
(△11.6)
|
|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식료품, 섬유제품, 기계·장비, 금속가공제품, 전자·컴퓨터 등을 중심으로 대부분의 업종에서 창업 감소
ㅇ (연령별) 전 연령대에서 감소
* ’23년 상반기 연령별 제조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13.4 (30대) △10.7 (40대) △14.1 (50대) △11.9 (60세이상) △6.2
ㅇ (조직형태별) 법인 및 개인 창업 모두 감소
* ’23년 상반기 제조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5.5 (개인) △14.0
□ (금융·보험업) 고금리 및 경기부진 지속 등으로 금융업 신규 창업 감소
ㅇ 금융 산업은 금리인상과 경기둔화 우려 등으로 수익성과 성장성이 정체되는 모습. 특히, 은행업은 금리인상에 따른 순이자마진(NIM) 확대 등으로 양호한 수익성을 기록했으나 증권업, 여전업 등 비은행 부문은 금리인상(안전자산시장으로의 자금 이동)과 부동산PF 부실 우려 등으로 성장성과 수익성이 크게 둔화
ㅇ ‘23년에도 경기 둔화, 통화긴축 지속 등의 영향으로 투자 감소가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가상화폐 및 VC 시장을 포함한 위험자산 시장의 위축이 이어지면서 금융업 창업에 부정적으로 작용
(단위 : 개, %)
|
|||||||||
구분
|
‘22.상반기
|
’23.상반기
|
|||||||
1/4
|
2/4
|
|
1/4
|
2/4
|
4월
|
5월
|
6월
|
|
|
금융·
보험업
|
2,476
|
2,467
|
4,943
|
1,572
|
1,720
|
541
|
568
|
611
|
3,292
|
(△4.0)
|
(△20.7)
|
(△13.1)
|
(△36.5)
|
(△30.3)
|
(△32.5)
|
(△34.0)
|
(△24.0)
|
(△33.4)
|
|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금융업, 보험·연금업, 금융·보험관련서비스업 등이 감소
- 금융업 중 그외 기타 분류 안 된 금융업을 중심으로 감소
- 금융·보험관련서비스업은 투자 자문업 및 투자 일임업, 그 외 기타 금융 지원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감소
ㅇ (연령별) 50대 제외 전연령대에서 감소
* ’23년 상반기 연령별 금융·보험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34.4 (30대) △36.7 (40대) △41.6 (50대) 0.0 (60세이상) △27.0
ㅇ (조직형태별) 법인 및 개인 창업 모두 감소
* ’23년 상반기 금융·보험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49.4 (개인) △2.5
□ (정보통신업) K-콘텐츠 글로벌 확산 등의 영향으로 영상·방송 관련 창업은 확대, 소프트웨어산업은 고금리, 경기부진 등의 영향으로 감소
ㅇ 소프트웨어산업은 엔젤⸱벤처 등의 투자자금을 유치하는 산업으로 글로벌 경기둔화, 고금리 등이 소프트웨어산업 투자에 부정적으로 작용 (소프트웨어정책연구원)
* 한국기준금리 추이(%) : (‘22.5) 1.70 → (‘22.10) 3.00 → (‘23.1) 3.50 → (‘23.7) 3.50(한국은행)
* 벤처신규투자액(억원) : (‘22년 상반기) 41,529 → (‘23년 상반기) 22,041(전년동기대비 △46.9%)(한국벤처협회)
* 상반기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창업 증감률(%, 전년동기대비) :
(‘21년 상반기) 43.1 → (‘22년 상반기) 10.3 → (‘23년 상반기) △41.9
ㅇ 단, 최근 몇 년간 K-콘텐츠(드라마, 영화 등)의 성공과, OTT 플랫폼 이용률 증가, 유튜브, 숏폼콘텐츠* 등의 활성화로 영화⸱비디오물 및 방송 프로그램 제작업 창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
* OTT 플랫폼 이용률(%) : (‘20) 66.3 → (‘21) 69.5 → (‘22) 72.0 (’22년 방송매체 이용행태조사)
* 숏품콘텐츠의 경우 유튜브에서 광고수익 등을 정산하기로 정책(`23.2.1.)이 변경되면서 기존에 재미/취미로 인스타나 틱톡, 유튜브에서 숏폼을 올리던 많은 개인들이 수익 창출을 위해 1인사업자/소규모 기업으로 신규사업자 등록이 늘어난 것으로 판단됨 (한국콘텐츠진흥원)
(단위 : 개, %)
|
|||||||||
구분
|
‘22.상반기
|
’23.상반기
|
|||||||
1/4
|
2/4
|
|
1/4
|
2/4
|
4월
|
5월
|
6월
|
|
|
정보통신업
|
11,793
|
12,702
|
24,495
|
13,375
|
10,276
|
3,341
|
3,572
|
3,363
|
23,651
|
(9.6)
|
(8.7)
|
(9.1)
|
(13.4)
|
(△19.1)
|
(△7.4)
|
(△22.1)
|
(△25.4)
|
(△3.4)
|
|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ㅇ (세부업종별) 영화·비디오기록물제작 및 배급업(영화, 비디오, 방송프로그램 등)은 증가한 반면 출판업(소프트웨어개발·공급업)은 감소
ㅇ (연령별) 청년층(39세 이하)에서는 증가한 반면 40대 이상은 크게 감소
* ’23년 상반기 연령별 정보통신업 창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30세미만) 33.4 (30대) 13.6 (40대) △14.2 (50대) △24.6 (60세이상) △23.2
ㅇ (조직형태별) 개인 창업은 증가를 기록한 반면 법인은 크게 감소
* ’23년 상반기 정보통신업 창업기업 증가율(%, 전년동기대비) : (법인) △16.7 (개인) 0.1
참고2
|
|
’20~’23년 상반기 주요 업종별 창업 동향
|
(단위 : 개, %)
|
||||
구 분
|
’20.상반기
|
’21.상반기
|
’22.상반기
|
’23.상반기
|
전 체
|
809,599
|
730,260
|
695,891
|
650,504
|
(26.0)
|
(△9.8)
|
(△4.7)
|
(△6.5)
|
|
부동산업 제외
|
516,789
|
569,587
|
565,565
|
581,794
|
(0.1)
|
(10.2)
|
(△0.7)
|
(2.9)
|
|
농업, 임업, 어업 및 광업
|
6,891
|
7,082
|
7,906
|
7,501
|
(14.8)
|
(2.8)
|
(11.6)
|
(△5.1)
|
|
제조업
|
25,402
|
24,974
|
22,055
|
19,489
|
(△8.8)
|
(△1.7)
|
(△11.7)
|
(△11.6)
|
|
전기, 가스, 공기조절공급업
|
11,970
|
11,252
|
11,066
|
16,004
|
(△20.8)
|
(△6.0)
|
(△1.7)
|
(44.6)
|
|
하수·폐기물처리, 원료재생
|
452
|
387
|
343
|
359
|
(4.1)
|
(△14.4)
|
(△11.4)
|
(4.7)
|
|
건설업
|
34,065
|
38,463
|
36,466
|
32,691
|
(△2.5)
|
(12.9)
|
(△5.2)
|
(△10.4)
|
|
도매 및 소매업
|
186,748
|
220,921
|
230,414
|
238,279
|
(10.2)
|
(18.3)
|
(4.3)
|
(3.4)
|
|
운수 및 창고업
|
30,762
|
33,955
|
34,821
|
31,228
|
(△5.6)
|
(10.4)
|
(2.6)
|
(△10.3)
|
|
숙박 및 음식점업
|
82,592
|
84,041
|
74,040
|
87,621
|
(△11.9)
|
(1.8)
|
(△11.9)
|
(18.3)
|
|
정보통신업
|
17,359
|
22,444
|
24,495
|
23,651
|
(15.6)
|
(29.3)
|
(9.1)
|
(△3.4)
|
|
금융 및 보험업
|
3,873
|
5,690
|
4,943
|
3,292
|
(7.2)
|
(46.9)
|
(△13.1)
|
(△33.4)
|
|
부동산업
|
292,810
|
160,673
|
130,326
|
68,710
|
(131.6)
|
(△45.1)
|
(△18.9)
|
(△47.3)
|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26,600
|
32,468
|
31,748
|
27,502
|
(17.0)
|
(22.1)
|
(△2.2)
|
(△13.4)
|
|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
24,733
|
21,113
|
20,288
|
21,707
|
(8.9)
|
(△14.6)
|
(△3.9)
|
(7.0)
|
|
교육서비스업
|
21,274
|
20,910
|
21,822
|
23,480
|
(△6.4)
|
(△1.7)
|
(4.4)
|
(7.6)
|
|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
2,613
|
2,694
|
2,542
|
2,303
|
(△11.8)
|
(3.1)
|
(△5.6)
|
(△9.4)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
|
13,993
|
13,227
|
13,401
|
14,528
|
(△12.6)
|
(△5.5)
|
(1.3)
|
(8.4)
|
|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
27,462
|
29,966
|
29,215
|
32,159
|
(△8.8)
|
(9.1)
|
(△2.5)
|
(10.1)
|
|
* ( ) :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
참고3
|
|
월별 창업기업동향 통계 개요
|
□ (작성목적) 전체 기업의 창업 동향을 적시에 파악하여 중소기업 현장경기를 진단하고, 창업 지원시책에 활용할 수 있는 통계생산
□ (작성근거) 『창업기업 동향(구, 신설법인 동향)』 통계작성 변경승인(통계청 통계조정과-254, ’19.1.21.)에 의한 가공통계
□ (법적근거) 통계법 제18조 및 동법시행령 제26조
□ (작성내용) 월별 전체 기업의 업종‧연령‧조직형태‧성‧지역별 창업 동향
◦ 업종 분류 : 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기준
*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 업종코드 기반, 통계청 조사자료 및 연계표 등 활용하여 보완
◦ 연령 분류 : 30세 미만,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만나이 기준)
◦ 조직형태별 분류 : 개인, 법인
◦ 성별 분류 : 여성, 남성
◦ 지역 분류 : 전국 17개 시·도
□ (작성단위) 영리기업
◦ 개인사업자 및 영리법인의 본점(사업자등록번호 중간 2자리로 구분)
- 제외사업자 : 80(법인 아닌 단체), 82(비영리법인의 본점 및 지점), 83
(국가, 지방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조합), 84(외국법인의 본․지점 및 연락
사무소), 85(영리법인의 지점), 89(법인이 아닌 종교단체)
◦ 비시장 활동을 하는 비영리 기업(단체) 등은 제외
- 제외대상 산업분류 : O(국방, 사회보장), T(자가소비), U(국제기관)
- 제외대상 법인유형 : 사단·재단법인, 학교법인, 농·축·수산·산림 협동조합 등
□ (작성기관) 중소벤처기업부
□ (작성방법) 전국 사업자등록 DB(통계청, 행정자료)를 업종·연령·조직형태·성·지역별로 분류하여 집계
□ (이용 시 유의사항)
◦ 국세청 사업자등록자료를 기준으로 창업기업을 집계하여, 법령(중소기업창업지원법, 조세특례제한법)상 ‘창업’에서 제외되는 기업이 일부 포함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등
◦ 기존에 작성하던 신설법인동향(법인등기자료)과 활용하는 행정자료(사업자 DB)가 변경되어 법인 총계·업종구분 상 차이가 발생하여 비교 시 유의
구분
|
차이 사유
|
총계
|
• 법인등기 시점과 사업자등록 시점이 상이
• (법인등기 상당기간 후 사업자등록을 하거나,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는 경우)
|
업종
|
• 신설법인동향은 법인등기 시 신청인이 기재한 목적 기준, 창업기업동향은 사업자등록증의 주업종을 기준으로 업종 분류
|
□ (용어설명)
◦ 기업: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는 법적 단위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사업체로 구성되면서 동일자금에 의하여 소유되고 통제되는 제도적 단위 또는 법적 경영단위(회사법인, 회사이외법인, 비법인단체, 개인기업의 형태로 구분)
◦ 창업기업: 국세청에 사업자등록을 마치고 사업자 등록일자가 해당 월에 속하는 영리기업(개인, 법인기업 포함)
* 개인회사의 법인전환, 기존 회사의 합병·분할, 폐업 후 동일업종 재개 등 포함
◦ 기술기반창업: 기술기반업종을 영위하는 기업의 창업
* 기술기반업종(OECD, EU 기준) : 제조업 + 지식기반서비스업(정보통신, 전문·과학·기술, 사업시설관리(N75), 교육 서비스, 보건·사회복지, 예술·스포츠·여가(R90))
□ (2023년 창업기업 동향 공표 계획)
통계명
|
공표일자
|
비고
|
2023년 상반기 및 6월 창업기업 동향
|
2023. 9. 14.(목요일)
|
보도자료 발표
|
* 상기 공표 계획은 추후 변경될 수 있음
** 통계수치는 중소벤처기업부 누리집(mss.go.kr)과 국가통계포털(kosis.kr)에 공개
1) 덤벨 이코노미(Dumbbell economy)이란 아령(Dumbbell)과 경제(Economy)를 합친 용어로, 건강과 체력 관리에 관한 소비가 늘고 관련 시장이 호황을 누리는 경제현상을 말함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알면 도움이 되는 정책 및 지원사업 > 정부 정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나다와 불법 어업 근절과 지역수산관리기구 내 협력 방안 모색 (0) | 2023.09.15 |
---|---|
분양가상한제 기본형건축비 9월 정기고시 (0) | 2023.09.14 |
2023년 8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0) | 2023.09.14 |
“이제는 끊어내세요” 한 대가 무한대가 되는 전자담배 연쇄흡연! (0) | 2023.09.14 |
치매환자 실종예방을 위해 배회감지기 대여 서비스 등 적극 활용 필요 (0) | 2023.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