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혁신기금(펀드), 올해 2,500억 원을 5대 분야에 중점투자
과기혁신기금(펀드), 올해 2,500억 원을 5대 분야에 중점투자
2025.04.2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4월 25일(금)에 개최된 운영위원회를 통해 과학기술혁신기금(펀드)의 2025년 주목적 투자방향을 최종 확정하면서 ①반도체·디스플레이 ②인공지능 ③첨단 생명과학(첨단 바이오) ④첨단 이동수단(첨단 모빌리티) ⑤양자라는 5개 분야에 중점 투자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혁신기금(과학기술혁신펀드)」는 정부 연구개발 자금을 관리하는 전담은행의 출자와 민간 투자를 연계하여 2028년까지 4년간 약 1조원 규모의 순수 민간재원으로 조성되는 과학기술분야 특화기금(특화펀드)으로,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와 기술사업화 기업에 중점 투자될 계획이다. 올해는 총 2,500억 원 규모로 자기금(자펀드)을 조성하여 12대 국가전략기술*분야로서 시장수요가 높은 5개 분야를 중심으로 투자된다.
* 선도분야(반도체, 이차전지, 차세대통신), 추격·경쟁분야(인공지능, 첨단 생명과학(첨단바이오), 차세대원자력, 첨단 이동수단(첨단모빌리티), 첨단로봇제조, 사이버보안), 미래도전분야(양자, 우주항공해양, 수소)
먼저, 기술선도 분야인 ①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는 1개의 운용사를 선정해 은행 출자금 350억 원을 바탕으로 총 1,000억 원 규모의 기금(펀드) 조성을 추진한다. 선정된 운용사는 해당분야 중견·중소기업에 40%이상,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60% 이상 의무 투자(중복 가능)하도록 하여 우수한 기술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추격·경쟁 분야인 ②인공지능 ③첨단 이동수단(첨단 모빌리티) ④첨단 생명과학(첨단 바이오) 분야의 경우 각 1개의 운용사를 선정하여 은행 출자금 200~210억 원을 바탕으로 각각 총 400~420억 원 규모의 기금(펀드) 조성을 추진한다. 선정된 운용사는 해당 분야 중소·중견기업에 40% 이상,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60% 이상, 우수 기술평가 기업*에 80% 이상 의무투자(중복 가능)하게 하여 기술력을 인정받은 유망한 기업 등을 발굴하고 투자하여 기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 기술평가기관으로부터 받은 투자용 기술신용평갸(TCB) 기술등급이 상위 5등급(TI5) 이상이거나,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술가치평가 또는 ‘발명진흥법’에 따른 평가를 받은 기업
미래도전 분야인 ⑤양자 분야의 경우 총 3개의 운용사를 선정하여 은행 출자금 203억 원을 바탕으로 총 339억 원 규모의 기금(펀드) 조성을 추진한다. 선정된 운용사는 해당 분야 중소·중견기업에 30% 이상,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에 60% 이상 의무투자(중복 가능)하게 하여 기술개발 초기단계인 양자 분야의 사업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특히 55억원의 창업기획자(엑셀러레이터, AC)·기술지주 전용 기금(펀드)을 신설하여 유망한 양자 분야 초기창업기업을 발굴하여 벤처캐피털(VC) 기금(펀드) 투자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 (창업기획자 기금<AC 펀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창업자를 발굴, 극초기~초기단계(Seed~Series A)에 중점 투자
(벤처 캐피탈 기금<VC 펀드>) 기대수익 극대화를 목적으로, 중기단계(Series A 이후)에 중점 투자
이와 함께 자기금(자펀드) 운용사가 공공기술을 사업화한 기업*과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된 기술을 사업화한 기업에 투자할 경우 유인책(인센티브)을 받도록 설계하여 국가연구개발 성과의 기술사업화를 촉진해 나갈 계획이다.
* 공공연구기관 기술(특허, 실용신안, 노하우 등)을 활용하여 기술이전 등을 통해 사업화하는 기업
과학기술혁신기금(과학기술혁신펀드)의 2025년도 자기금(자펀드) 조성 및 운용을 위한 위탁운용사 선정은 5월 12일(월)에 공고*하고, 6월 말까지 선정을 완료하여 하반기부터 저기금(자펀드) 조성 및 투자를 개시해 나갈 예정이다.
* 과학기술혁신기금(과학기술혁신펀드) 자산운용사인 신한자산운용 누리집(www.shinhanfund.com)에서 확인 가능
과기정통부 이상윤 성과평가정책국장은 “과학기술혁신기금(과학기술혁신펀드)은 국가전략기술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를 사업화하여 실질적인 산업 성장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한다”면서 “앞으로도 우리의 기술이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이어갈 것입니다”라고 밝혔다.
붙임. 과학기술혁신펀드 출자사업 계획
붙임
|
|
과학기술혁신펀드 출자사업 계획
|
□ 펀드 결성규모
(단위 : 억원)
구분
|
세부 분야
|
출자액
|
결성
목표액
|
선정
운용사수
|
펀드별 목표
결성금액
|
최대
출자비율
|
신청가능
조합형태
|
|
선도
|
반도체·디스플레이
|
350
|
1,000
|
1
|
1,000
|
35%
|
· 기관전용사모집합
투자기구
· 창업·벤처전문사모
집합투자기구
· 신기술사업투자조합
· 벤처투자조합
· 개인투자조합
|
|
추격·경쟁
|
인공지능
|
210
|
420
|
1
|
420
|
50%
|
||
첨단모빌리티
|
200
|
400
|
1
|
400
|
50%
|
|||
첨단바이오
|
200
|
400
|
1
|
400
|
50%
|
|||
미래도전
|
양자
|
중·대형
|
170
|
284
|
2
|
142
|
60%
|
|
소형*
|
33
|
55
|
1
|
55
|
60%
|
· 개인투자조합
· 벤처투자조합
|
||
합계
|
1,163
|
2,559
|
7
|
-
|
-
|
-
|
* 창업기획자, 기술지주회사 전용
□ 주목적 투자 분야
주요항목
|
주요내용
|
|
공통
|
○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 관련 중소·중견기업에 목표결성액의 60%, 초과결성액의 40% 이상 투자
|
|
선도
|
반도체·
디스플레이
|
○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 관련 중소·중견기업에 목표결성액의 40%, 초과결성액의 20% 이상 투자
|
추격·
경쟁
|
추격·경쟁
공통
|
○ 우수 기술평가 기업*에 투자집행금액의 80% 이상 투자
* 기술평가기관으로부터 받은 투자용 TCB 기술등급이 상위5등급(TI5) 이상이거나, 「기술의이전 및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술가치평가 또는「발명진흥법」에 따른 평가를 받은 기업
|
인공지능
(AI)
|
○ 인공지능(AI) 산업 관련 중소·중견기업에 목표결성액의 40%, 초과결성액의 20% 이상 투자
|
|
첨단
모빌리티
|
○ 첨단 모빌리티 산업 관련 중소·중견기업에 목표결성액의 40%, 초과결성액의 20% 이상 투자
|
|
첨단
바이오
|
○ 첨단 바이오 산업 관련 중소·중견기업에 목표결성액의 40%, 초과결성액의 20% 이상 투자
|
|
미래
도전
|
양자
|
○ 양자 산업 관련 중소·중견기업에 목표결성액의 30%, 초과결성액의 15% 이상 투자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