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재배면적조사 결과(잠정) -마늘, 양파-
2025년 재배면적조사 결과(잠정) -마늘, 양파-
2025.04.29 통계청

2025년 마늘, 양파 재배면적 잠정 결과(요약)
|
□ ’25년 마늘 재배면적은 22,942ha로 전년(23,290ha) 대비 1.5%(-347ha) 감소
○ (’24) 23,290ha → (’25) 22,942ha*
* 한지형은 4,044ha(-320ha, -7.3%), 난지형은 18,898ha(-27ha, -0.1%)
□ ’25년 양파 재배면적은 17,682ha로 전년(18,614ha) 대비 5.0%(-932ha) 감소
○ (’24) 18,614ha → (’25) 17,682ha*
* 조생종은 2,394ha(119ha, 5.2%), 중만생종은 15,287ha(-1,051ha, -6.4%)
|
< 2025년 마늘, 양파 재배면적조사 결과 >
(단위: ha, %)
|
|||||
|
2023년
|
2024년
(A)
|
2025년
(B)
|
증감
(C=B-A)
|
증감률
(C/A)
|
▪ 마늘
|
24,700
|
23,290
|
22,942
|
-347
|
-1.5
|
▪ 양파
|
17,282
|
18,614
|
17,682
|
-932
|
-5.0
|
< 연도별 마늘, 양파 재배면적 추이(2005 ~ 2025) >
|
2025년 마늘, 양파 재배면적 잠정 결과
|
1. 마늘 재배면적
2025년 마늘 재배면적은 22,942ha로 전년(23,290ha) 대비 1.5%(-347ha) 감소
|
○ (한지형) 2025년 한지형 마늘은 4,044ha로 전년(4,364ha) 대비 7.3%(-320ha) 감소
○ (난지형) 2025년 난지형 마늘은 18,898ha로 전년(18,925ha) 대비 0.1%(-27ha) 감소
< 2025년 마늘 재배면적조사 결과 >
(단위: ha, %)
|
||||||
|
2023년
|
2024년
(A)
|
2025년
(B)
|
증감
(C=B-A)
|
증감률
(C/A)
|
|
|
마늘
|
24,700
|
23,290
|
22,942
|
-347
|
-1.5
|
|
한지형
|
4,360
|
4,364
|
4,044
|
-320
|
-7.3
|
|
난지형
|
20,340
|
18,925
|
18,898
|
-27
|
-0.1
|
< 연도별 마늘 재배면적 추이(2015 ~ 2025) >
|
○ 시도별 마늘 재배면적
- 시도별 마늘 재배면적은 경남(7,325ha), 경북(4,640ha), 충남(3,604ha), 전남(2,894ha), 대구(944ha) 순
〈 2025년 주요 시도별 마늘 재배면적 〉
|
< 2025년 주요 시도별 마늘 재배면적 >
(단위: ha, %)
|
|||||
순위
|
시도
|
2024년(A)
|
2025년(B)
|
증감(C=B-A)
|
증감률(C/A)
|
1
|
경남
|
7,033
|
7,325
|
292
|
4.2
|
2
|
경북
|
4,568
|
4,640
|
71
|
1.6
|
3
|
충남
|
3,518
|
3,604
|
86
|
2.4
|
4
|
전남
|
3,443
|
2,894
|
-550
|
-16.0
|
5
|
대구
|
847
|
944
|
98
|
11.6
|
6
|
제주
|
1,135
|
860
|
-275
|
-24.3
|
7
|
경기
|
701
|
754
|
53
|
7.6
|
8
|
충북
|
765
|
736
|
-29
|
-3.8
|
9
|
전북
|
701
|
681
|
-21
|
-3.0
|
2. 양파 재배면적
2025년 양파 재배면적은 17,682ha로 전년(18,614ha) 대비 5.0%(-932ha) 감소
|
○ (조생종) 2025년 조생종 양파는 2,394ha로 전년(2,276ha) 대비 5.2%(119ha) 증가
○ (중만생) 2025년 중만생종 양파는 15,287ha로 전년(16,338ha) 대비 6.4%(-1,051ha) 감소
< 2025년 양파 재배면적조사 결과 >
(단위: ha, %)
|
||||||
|
2023년
|
2024년
(A)
|
2025년
(B)
|
증감
(C=B-A)
|
증감률
(C/A)
|
|
|
양파
|
17,282
|
18,614
|
17,682
|
-932
|
-5.0
|
|
조생종
|
2,261
|
2,276
|
2,394
|
119
|
5.2
|
|
중만생종
|
15,020
|
16,338
|
15,287
|
-1,051
|
-6.4
|
< 연도별 양파 재배면적 추이(2015 ~ 2025) >
|
○ 시도별 양파 재배면적
- 시도별 양파 재배면적은 전남(5,979ha) 경남(3,806ha), 경북(2,196ha),
전북(2,194ha), 충남(1,072ha) 순
〈 2025년 주요 시도별 양파 재배면적 〉
|
< 2025년 주요 시도별 양파 재배면적 >
(단위: ha, %)
|
|||||
순위
|
시도
|
2024년(A)
|
2025년(B)
|
증감(C=B-A)
|
증감률(C/A)
|
1
|
전남
|
6,862
|
5,979
|
-883
|
-12.9
|
2
|
경남
|
3,860
|
3,806
|
-54
|
-1.4
|
3
|
경북
|
2,696
|
2,196
|
-500
|
-18.5
|
4
|
전북
|
1,824
|
2,194
|
371
|
20.3
|
5
|
충남
|
976
|
1,072
|
97
|
9.9
|
6
|
제주
|
1,015
|
957
|
-58
|
-5.7
|
7
|
대구
|
683
|
711
|
28
|
4.1
|
8
|
경기
|
299
|
402
|
102
|
34.2
|
9
|
강원
|
113
|
130
|
17
|
15.1
|
통 계 표
|
1. 연도별 마늘, 양파 재배면적
(단위: ha, %)
|
||||
연 도
|
마 늘
|
양 파
|
||
재배면적
|
증감률
|
재배면적
|
증감률
|
|
2005
|
31,766
|
5.1
|
16,737
|
7.5
|
2006
|
28,594
|
-10.0
|
15,315
|
-8.5
|
2007
|
26,986
|
-5.6
|
17,751
|
15.9
|
2008
|
28,416
|
5.3
|
15,392
|
-13.3
|
2009
|
26,323
|
-7.4
|
18,514
|
20.3
|
2010
|
22,414
|
-14.9
|
22,113
|
19.4
|
2011
|
24,035
|
7.2
|
22,976
|
3.9
|
2012
|
28,278
|
17.7
|
20,965
|
-8.8
|
2013
|
29,352
|
3.8
|
20,036
|
-4.4
|
2014
|
25,062
|
-14.6
|
23,911
|
19.3
|
2015
|
20,638
|
-17.7
|
18,015
|
-24.7
|
2016
|
20,758
|
0.6
|
19,896
|
10.4
|
2017
|
24,864
|
19.8
|
19,538
|
-1.8
|
2018
|
28,351
|
14.0
|
26,425
|
35.2
|
2019
|
27,689
|
-2.3
|
21,777
|
-17.6
|
2020
|
25,372
|
-8.4
|
14,673
|
-32.6
|
2021
|
21,999
|
-13.3
|
18,461
|
25.8
|
2022
|
22,362
|
1.7
|
17,661
|
-4.3
|
2023
|
24,700
|
10.5
|
17,282
|
-2.1
|
2024
|
23,290
|
-5.7
|
18,614
|
7.7
|
2025
|
22,942
|
-1.5
|
17,682
|
-5.0
|
2. 시도별 마늘 재배면적
(단위: ha, %)
|
|||||
|
2023
|
2024
(A)
|
2025
(B)
|
증감
(C=B-A)
|
증감률
(C/A)
|
전 국
|
24,700
|
23,290
|
22,942
|
-347
|
-1.5
|
서 울
|
2*
|
2*
|
2*
|
0
|
20.4
|
부 산
|
29
|
30
|
33
|
2
|
7.8
|
대 구1)
|
461
|
847
|
944
|
98
|
11.6
|
인 천
|
43
|
48
|
45
|
-3
|
-6.1
|
광 주
|
31
|
40
|
29
|
-11
|
-26.9
|
대 전
|
36
|
37
|
39
|
3
|
7.4
|
울 산
|
72
|
86
|
75
|
-12
|
-13.7
|
세 종
|
60*
|
64*
|
26
|
-39
|
-60.2
|
경 기
|
656
|
701
|
754
|
53
|
7.6
|
강 원
|
313
|
271
|
257
|
-14
|
-5.1
|
충 북
|
669
|
765
|
736
|
-29
|
-3.8
|
충 남
|
3,573
|
3,518
|
3,604
|
86
|
2.4
|
전 북
|
715
|
701
|
681
|
-21
|
-3.0
|
전 남
|
4,061
|
3,443
|
2,894
|
-550
|
-16.0
|
경 북
|
5,208
|
4,568
|
4,640
|
71
|
1.6
|
경 남
|
7,519
|
7,033
|
7,325
|
292
|
4.2
|
제 주
|
1,251
|
1,135
|
860
|
-275
|
-24.3
|
1) 군위군(이전 경상북도)은 `24년부터 대구광역시로 집계
2) ‘*’는 상대표준오차(RSE)가 높아 신뢰도가 다소 낮으므로 이용 시 유의
3. 시도별 양파 재배면적
(단위: ha, %)
|
|||||
|
2023
|
2024
(A)
|
2025
(B)
|
증감
(C=B-A)
|
증감률
(C/A)
|
전 국
|
17,282
|
18,614
|
17,682
|
-932
|
-5.0
|
서 울
|
1*
|
0*
|
1*
|
0
|
137.8
|
부 산
|
16
|
21
|
22
|
1
|
7.1
|
대 구1)
|
332
|
683
|
711
|
28
|
4.1
|
인 천
|
17
|
17
|
21
|
4
|
27.1
|
광 주
|
71*
|
41*
|
42*
|
2
|
4.6
|
대 전
|
9
|
10
|
17*
|
7
|
65.7
|
울 산
|
45
|
41
|
34
|
-7
|
-18.1
|
세 종
|
13*
|
11*
|
12*
|
1
|
8.3
|
경 기
|
435
|
299
|
402
|
102
|
34.2
|
강 원
|
99
|
113
|
130
|
17
|
15.1
|
충 북
|
74
|
145
|
84*
|
-61
|
-42.0
|
충 남
|
836
|
976
|
1,072
|
97
|
9.9
|
전 북
|
1,751
|
1,824
|
2,194
|
371
|
20.3
|
전 남
|
6,079
|
6,862
|
5,979
|
-883
|
-12.9
|
경 북
|
2,986
|
2,696
|
2,196
|
-500
|
-18.5
|
경 남
|
3,482
|
3,860
|
3,806
|
-54
|
-1.4
|
제 주
|
1,035
|
1,015
|
957
|
-58
|
-5.7
|
1) 군위군(이전 경상북도)은 `24년부터 대구광역시로 집계
2) ‘*’는 상대표준오차(RSE)가 높아 신뢰도가 다소 낮으므로 이용 시 유의
부록
|
3월 작물재배면적조사 개요
|
□ 조사목적
◦ 작물재배면적조사는 농산물 수급안정 계획 수립, 농업정책수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요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실시
□ 법적근거
◦ 통계법 제17조 1항에 의한 지정통계 제114033호
□ 조사연혁
◦ 정부수립 이전부터 행정보고통계로 작성
◦ 1967. 5. 29. 지정통계로 지정
◦ 1974년부터 행정조사를 표본조사로 대체
◦ 2008. 3. 5. 통계청으로 이관
◦ 2010년 경지면적조사와 통합 후 농업면적조사로 변경
□ 조사대상
◦ 농업면적 표본조사구 21,743개
□ 조사기간: 2025. 3. 14. ∼ 4. 7.(25일간)
□ 주요 작물: 마늘, 양파, 시설봄배추, 시설봄무 등
◦ 상대표준오차(RSE): 마늘(2.57%), 양파(3.37%)
□ 조사체계 및 방법
◦
|
통계청 농어업통계과
|
↔
|
지방청 및 사무소
|
↔
|
표본조사구
|
◦ 전국 21,743개 표본조사구를 현지에서 실측(작물명/면적) 조사
부록
|
주요 작물재배면적 공표 일정(잠정)
|
보 도 자 료 명
|
공 표 일 자
|
2025년 재배면적조사 결과(잠정)
-마늘, 양파-
|
2025. 4. 29.(화)
|
2025년 재배면적조사 결과(잠정)
-맥류, 봄감자, 사과, 배-
|
2025. 6. 27.(금)
|
2025년 재배면적조사 결과(잠정)
-벼, 고추-
|
2025. 8. 28.(목)
|
2025년 재배면적조사 결과(잠정)
-가을배추, 가을무-
|
2025. 10. 30.(목)
|